•  


國寶 半跏思惟像, 굽어진 손·발가락 祕密|新東亞

國寶 半跏思惟像, 굽어진 손·발가락 祕密

[名作의 祕密]

  • 이광표 西原大 휴머니티敎養大學 敎授

    kpleedonga@hanmail.net

    入力 2022-04-05 10:00:02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奇妙하게 꺾어진 半跏思惟像 손, 발가락

    • 兩손 바뀐 金弘道 ‘씨름’ 속 觀客

    • 藝術的 令監과 宗敎的 象徵의 새로운 表現

    국립중앙박물관 ‘사유의 방’에 놓인 2개의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왼쪽이 6세기 후반, 오른쪽은 7세기 전반 만들어졌다. [국립중앙박물관]

    國立中央博物館 ‘思惟의 房’에 놓인 2個의 金銅彌勒菩薩半跏思惟像. 왼쪽이 6世紀 後半, 오른쪽은 7世紀 全般 만들어졌다. [국립중앙박물관]

    지난해 11月 국립중앙박물관에 ‘思惟의 房’이 門을 열었다. 여기엔 國寶 半跏思惟像 두 點이 展示되어 있다. 하나는 6世紀 後半에 만들어진 金銅彌勒菩薩半跏思惟像(1962-1·옛 國寶 78號)이고, 다른 하나는 7世紀 全般에 만들어진 金銅彌勒菩薩半跏思惟像(1962-2·옛 國寶 83號). 여기서 ‘1962’는 國寶로 指定된 害를 意味한다. 文化財廳은 2021年 11月 國寶 寶物 等 指定文化財의 指定番號를 廢止했다. 單純한 指定番號를 서열화해 받아들이는 傾向이 剛해 이를 改善하기 위한 目的에서 番號를 廢止한 것이다.

    國寶 第1號 崇禮門, 國寶 第70號 訓民正音 解例本, 國寶 78號 金銅彌勒半跏思惟像, 國寶 第83號 金銅彌勒菩薩半跏思惟像이 아니라 國寶 崇禮門, 國寶 訓民正音 解例本, 國寶 金銅彌勒半跏思惟像으로 名稱이 바뀐 것이다. 그런데 金銅彌勒菩薩半跏思惟像처럼 名稱이 똑같은 것이 있다. 이런 境遇엔 番號 廢止로 인해 混亂을 招來할 수 있어 이에 對한 對策의 하나로 名稱 뒤에 國寶 指定 年度를 附加하기로 했다. 하지만 이 두 佛像의 境遇엔 指定 年度도 同一해 그 年度 뒤에 一連番號를 附與해 區分하고 있다.

    ‘思惟의 房’에선 半跏思惟像의 발가락을 눈여겨보는 사람들을 種種 만나게 된다. 國寶 半跏思惟像(1962-2)의 오른발 엄지발가락이 아주 特異하기 때문이다. 正常的인 발가락 模樣이 아니라 발가락이 緊張된 狀態로 위쪽으로 툭 튀어 올라와 있다. 그래서인지 두 半跏思惟像의 발가락을 比較해 보는 사람도 있고, 나아가 日本 國寶인 高류지(廣隆寺) 木造반가思惟像과 比較해 보는 사람도 있다.

    國寶 半跏思惟像(1962-1)이나 高류지 半跏思惟像의 엄지발가락은 위쪽으로 튀어나오지 않고 普通의 境遇처럼 엄지발가락이 발바닥과 日子로 連結되어 있다. 國寶 半跏思惟像(1962-2)의 엄지발가락에 注目한 이들은 大槪 “깨달음이 발가락으로 表現된 것”이라고 한다. 劇的인 깨달음의 瞬間, 그 洞察과 喜悅이 身體에 物理的 影響을 주어 발가락 動作의 變化로 나타났을 것이란 얘기다.

    굽은 발가락은 ‘깨달음의 表現’

    얼마 前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유창종 유금瓦當博物館長을 만났다. 行事를 마치고 思惟의 房을 함께 觀覽했다. 두 半跏思惟像이 國籍에 對해 잠깐 얘기를 나눈 뒤 有 館長이 이런 말을 했다. “저 83號의 오른발 엄지발가락을 보세요. 잔뜩 緊張해 발가락이 툭 튀어나와 있지요. 저 발가락을 두고 깨달음의 表現이라고 하는데, 얼마 前 우리 집사람이 美術 作業을 하던 中 아주 重要한 瞬間, 緊張하는 瞬間, 발가락에 힘이 들어가더라고요. 아, 그前엔 몰랐는데 놀라운 發見이었습니다.”



    國寶 半跏思惟像(1962-2)의 오른발 엄지발가락을 두고 흔히 ‘깨달음의 表現’이라고 한다. 그런데 많은 궁금症이 남는다. 깨달음이란 果然 무엇인가. 어느 程度의 깨달음이어야 발가락이 緊張하는 걸까. 저 굽은 발가락은 正말로 깨달음이 身體的으로 具體化된 것일까. 7世紀 佛敎 丈人의 經驗인가 直觀인가. 깨달음이 발가락 表現으로 具體化된 것이라면, 腦와 발가락의 聯關性이 있어야 할 텐데…….

    이 問題를 具體的이거나 本格的으로 다룬 글은 찾아보기 어렵다. 簡略한 言及은 있지만 좀 긴 言述은 없는 것 같다. 그러던 次에 有 館長의 말은 무척이나 具體的인 情況을 담고 있어 매우 흥미로웠다. 무언가 많은 생각을 던져주었다.

    國寶 半跏思惟像(1962-2)의 저 엄지발가락은 世俗的으로 보면 事實的이지 않다. 劇的으로 깨달음을 얻으면 저렇게 될지 모르지만 一般的으로는 엄지발가락이 저렇게 튀어나올 수 없다. 그런 點에서 日常的이지 않다고 말하는 게 더 適切할지 모르겠다. 世俗의 눈으로 보면 非事實的이지만 宗敎的으로는 合理的 表現일 것이다.

    作家들만 알던 발가락의 祕密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1962-2)의 엄지발가락이 치켜세워져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金銅彌勒菩薩半跏思惟像(1962-2)의 엄지발가락이 치켜세워져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깨달음의 表現’이라는 說明은 宗敎的이며 直觀的이고 그렇기에 多少 漠然하다. 그런 狀況에서 有 館長의 說明은 무언가 强力한 열쇠로 느껴졌다. 有 館長의 얘기를 듣고 나니, 이 발가락과 關聯해 더욱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

    有 館長이 누구던가. 30代 檢事 時節, 기와와 文化財에 빠져 기와를 蒐集하기 始作했고, 忠州 高句麗碑(國寶)를 發見하기도 했다. 2002年엔 그때까지 精誠 들여 蒐集한 기와 컬렉션 1800餘 點을 欣快히 국립중앙박물관에 寄贈했다. 寄贈 後에도 繼續 기와를 蒐集해 2008年 서울 종로구 부암동에 유금瓦當博物館을 세웠다. 有 館長은 이렇게 自他가 公認하는 國內 最高의 기와 專門家다.

    夫人은 纖維패션 專門家인 금기숙 前 弘益大 敎授로, 2018年 平昌 겨울올림픽 開閉會式의 衣裳을 디자인했다. 유금瓦當博物館의 ‘유금(柳琴)’은 유창종, 금기숙 夫婦의 性(姓)에서 따온 것이다. 두 사람 모두 傳統과 藝術에 對한 眼目이 대단하다. 그런 柳 館長이 夫人의 美術 作業 過程에서 발가락의 變化를 發見했다니 놀랍고 흥미로운 捕捉이 아닐 수 없다.

    이를 契機로 발가락과 關聯 글이 더 없는지 여기저기 찾아보았다. 最近 인터넷 經濟新聞 ‘데일리임팩트’에 실린 이성낙 嘉泉大 總長의 칼럼 ‘半跏思惟像, 그 엄지발가락’을 읽게 되었다. 李 前 總長은 皮膚科 專門醫이자 美術史 硏究者이다. 그의 博士 論文은 ‘朝鮮時代 肖像畫에 나타난 皮膚 病變(皮膚 病變) 硏究’(2014)다.

    李 前 總長의 칼럼에는 이규항 前 KBS 아나운서가 쓴 冊 ‘부처님의 밥맛’(2018)의 一部가 引用되어 있다. 한 時節 野球中繼 캐스터로 이름을 날렸던 그는 지나친 飮酒로 인해 갑자기 쓰러졌고, 以後 佛敎에 빠져 이 冊을 쓰게 되었다고 한다. 이규항 아나운서와 李 前 總長은 오랜 親舊 사이라고 한다. 그럼 먼저 ‘부처님의 밥맛’의 한 대목을 引用해 본다.

    中樞神經系까지 파고든 발가락의 祕密

    “왼쪽 무릎 위에 올라간 오른발의 엄지발가락은 발등 쪽으로 完全히 뒤로 젖혀져 있다. 몸 全體의 弛緩된 雰圍氣와 달리 이 발가락만큼은 對照的으로 緊張되어 있다는 말이다. … 歷史學者인 안병욱 敎授는 이렇게 말한 바 있다. “78號는 곰 발바닥처럼 平발인데 83號는 엄지발가락을 살짝 비튼 가벼운 움직임이 있다. 얼굴에 손을 대고 冥想하다가 法悅에 들면서 입가에 微笑가 감돌고 발가락은 살짝 움직이고 손가락은 뺨에서 막 떨어지는 瞬間을 나타냈다.” … 金元龍 敎授가 半跏思惟像에 對해 한 말이다. ”不可思議한 웃음이 바람처럼 스치고 지나간다. 입과 눈이 그대로 두면 無限히 커질 것 같고…… 永遠한 寂寞을 깨뜨리는 것 같으면서 그것을 더 强調하고 있는 벌어진 오른발 엄지발가락의 動作과 描寫는 한마디로 辛卯(神妙)……”

    李 前 總長은 自身의 칼럼에 이규항 아나운서의 冊 內容을 言及한 뒤 다음과 같이 썼다.

    앞서 안병욱 敎授가 指摘했듯이 “法悅에 들면서 입가에 微笑가 감돌고 발가락은 살짝 움직이고 손가락은 뺨에서 막 떨어지는 瞬間을 나타냈다”라는 內容을 醫學的 視角에서 살펴보면, 깨달음이 或是 ‘腦(腦)의 움직임’과 입가의 微笑와 발가락 사이의 어떤 神經生物學的 反應과 關聯이 있는 것 아닐까 생각하게 됩니다.

    病院 應急室에 실려 온 重患者가 死亡한 狀態, 卽 腦死(腦死) 狀態인지를 鑑別하는 첫 檢事는 바로 ‘바빈스키 反射(Babinski reflex)’입니다. 壓舌子(押舌子·tongue depressor)로 患者의 발바닥에 刺戟을 加한 後 얼굴에 나타나는 反應에 따라 日次 鑑別을 하는 것입니다. ‘腦와 발바닥 사이’의 그러한 生物學的 連結性을 알고 있기에 親舊가 指摘한 半跏思惟像의 ‘굽어진 엄지발가락’李 예사롭지 않게 다가왔습니다.

    筆者는 우리 半跏思惟像에 나타난 ‘굽어진 발가락’李 깨침의 瞬間 中樞神經系에 나타나는 現象과 無關하지 않다는 것을 PET-CT 또는 PET-MRI와 같은 最尖端 映像 檢査 技法으로 糾明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 그에 關한 硏究를 進行하고 있습니다.


    有 館長의 애기와 李 前 總長의 글. 이쯤 되니 國寶 半跏思惟像(1962-2)의 엄지발가락에 關한 이야기가 더욱 興味津津해진다.

    直角으로 굽은 손가락, 一種의 宗敎的 表現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1962-2)의 새끼손가락이 직각으로 굽혀져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金銅彌勒菩薩半跏思惟像(1962-2)의 새끼손가락이 直角으로 굽혀져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깨달음의 表現’이라는 只今까지의 大體的인 見解(또는 假說)에 따르면, 人間은 劇的인 깨달음의 瞬間, 그 決定的 瞬間에 발가락이 잔뜩 緊張하는 動作을 取하게 된다. 勿論 너무 單純한 깨달음, 劇的이지 않은 깨달음이라면 발가락에 影響을 주지 않을 것이다. 또한 宗敎的 次元에서 봤을 때, 至極히 世俗的인 깨달음이라면 그것 또한 발가락에 影響을 주지 않을 것이다. 어쨌든 깨달음이 발가락을 긴장시키는 現象은 발가락 動作이 腦와 連結되어 있어야 可能할 것이다(물론 宗敎的 깨달음의 現象을 醫學的으로 모두 說明하지 못할 수도 있지만).

    이 대목에서 두 固守(劉 館長, 李 前 總長)의 言及은 무척이나 흥미롭고 暗示的이다. 國寶 半跏思惟像(1962-2)의 엄지발가락을 다시 觀察해 본다. 그냥 지렛대 올라가듯이 반듯하게 올라간 것이 아니라 直角으로 굽은 채 突出되었다. 階段처럼 直角으로 꺾여 突出된 模樣이라고 해도 좋을 듯하다. 참으로 흉내 내기 어려운 발가락 動作이다. 世俗的으로 보면, 至極히 非日常的이다.

    엄지발가락을 念頭에 두고 國寶 半跏思惟像(1962-2)의 손가락을 다시 들여다본다. 손가락의 形態도 異例的이다. 뺨에 살짝 댄 오른손을 보면 새끼손가락이 直角으로 굽어 있다. 새끼손가락 세 마디 가운데 첫째 둘째 마디는 一直線으로 펴져 있고 둘째와 셋째 마디 사이가 直角으로 굽어 있다, 그런데 普通 사람들이 손가락을 이렇게 움직이기는 쉽지 않다. 엄지발가락이 日常的이지 않은 것처럼 새끼손가락도 日常的이지 않다. 손가락에도 宗敎的 깨달음의 瞬間이 反映된 것은 아닐까.

    옆에 있는 國寶 半跏思惟像(1962-1)의 손가락을 보자. 이 半跏思惟像은 새끼손가락과 藥指가 楕圓形처럼 굽어 있다. 손가락 마디마디가 각지지 않고 曲線으로 이어져 있는데, 그 손가락은 여느 사람도 쉽게 銅雀乙 再現할 수 있다. 이와 달리 國寶 半跏思惟像(1962-2)의 손가락은 實際로 動作하기 어렵다. 이 또한 熾烈하고 劇的인 깨달음이 있어야 可能한 손가락 姿勢가 아닐까. 손가락이든 발가락이든 國寶 半跏思惟像(1962-1)이나 日本 高류지 半跏思惟像은 日常에서 動作이 可能한 姿勢인데 國寶 半跏思惟像(1962-2)의 오른발 엄지발가락과 오른손 새끼손가락은 日常에서 取하기 어려운 動作이다.

    얼마나 놀랐는지 左右 손이 바뀌었다

    단원 김홍도의 ‘씨름’. 왼쪽 아래 구경꾼의 왼손과 오른손의 위치가 바뀌어 있다. [문화재청]

    檀園 金弘道의 ‘씨름’. 왼쪽 아래 구경꾼의 왼손과 오른손의 位置가 바뀌어 있다. [文化財廳]

    손과 발……. 여기서 갑자기 檀園 金弘道(檀園 金弘道·1745~1806?)의 風俗畫 ‘씨름’이 떠오른다. 이 그림을 보면 畵面 오른쪽 아래에 구경꾼 두 사람이 화들짝 놀라서 뒤로 물러서는 모습이 나온다. 그런데 이 가운데 한 名의 두 손이 左右가 바뀌었다. 어찌 된 일일까. 여기서 金弘道의 ‘씨름’에 對한 美術史學者 오주석(1956~2005)의 글을 보자.

    씨름판이 벌어졌다. 여기저기 철 이른 부채를 든 사람들을 보니 막 힘든 모내기가 끝난 端午節인가 보다. 씨름꾼은 샅바를 相對便 허벅지에 휘감아 팔뚝에만 걸었다. 이건 漢陽을 中心으로 京畿地方에서만 하던 바씨름이다. 興味津津한 씨름판, 구경꾼들은 한복판 씨름꾼을 에워싸고 빙 둘러앉았다. 누가 이길까? 앞쪽 장사의 들배지기가 제대로 먹혔으니 앞사람이 이겼다. 뒷사람의 쩔쩔매는 눈매와 깊게 주름잡힌 兩眉間, 그리고 들뜬 왼발과 떠오르는 오른발을 보라. 絶望的이다. 게다가 오른손까지 漸漸 빠져나가 바나나처럼 길어 보이니 곧 나자빠질 게 틀림없다.

    왼쪽인가 오른쪽인가. 技術은 왼便으로 걸었지만 안 넘어가려고 反對便으로 용을 쓰니 相對는 瞬間 그 쪽으로 낚아챈다. 이크, 오른便 아래 두 구경꾼이 깜짝 놀라며 입을 딱 벌렸다. 얼마나 놀랐는지 그림 속 왼손, 오른손까지 뒤바뀌었구나. 瞬間 上體는 뒤로 밀리고 오른팔은 뒤땅을 짚었다. 판 났다! (오주석, ‘오주석이 사랑한 우리 그림’)


    欠으로 보이는 것이 오히려 畫龍點睛

    매우 흥미롭고 魅力的인 글이다, 그림 속 場面들을 하나하나 뜯어보며 오주석의 글을 吟味하면 좋겠지만 여기서는 ‘깜짝 놀라 左右 두 손이 바뀌었다’는 表現에 集中하겠다. 이렇게 表現한 걸 보면 오주석이라는 사람은 참 넉살도 좋다. 이 넉살은 勿論 오주석의 執拗한 觀察과 探究의 結果이지만 여기에는 意味深長한 洞察이 숨어 있다. 金弘道는 왜 두 손을 바꿔놓았을까. 金弘道가 그릴 줄 몰라서였을까. 오주석은 生前에 “그렇지 않다. 朝鮮 最高의 畫家가 左右 손을 뒤바꿔 그릴 까닭이 없다. 그건 金弘道의 浪漫과 익살의 發露로 보아야 할 것이다”라고 말하곤 했다. 내가 봐도 그렇다. 이에 關해 무슨 記錄이 남아 있는 건 아니지만 오주석의 說明이 가장 合理的이라고 본다. 그런데 國寶 半跏思惟像(1962-2)의 엄지발가락, 손가락을 보니 생각이 좀 더 재미있는 想像力을 펼칠 수 있을 것 같다. 特히 有 館長의 說明이 많은 洞察을 提供해 준다.

    다시 ‘씨름’ 속으로 들어가 보자. 씨름을 하고 있는 두 사람의 판勢는 이제 決定的인 瞬間으로 접어들었다. 오주석의 說明에 따르면 이 씨름은 始作된 지 오래됐고 그것도 지루하게 進行되고 있다. 그림 위 오른쪽에서 턱을 괴고 누워 있는 구경꾼이 이를 暗示한다. 저 구경꾼이 턱을 괴고 누워 不良한 態度로 씨름을 구경할 程度로 이 씨름은 오랫동안 느슨하게 展開된 것이다. 그렇게 限없이 지루할 것 같은 씨름판이었는데 갑자기 技術이 걸렸고, 瞬息間에 勝敗의 갈림길로 突入했다. 그렇다 보니 구경꾼들은 깜짝 놀랐고, 너무 놀라다 보니 左右 손이 뒤바뀌었다는 것이다. 이 瞬間은 이 씨름에서 가장 決定的인 刹那다. 그렇다면 그 瞬間은 이 그림에서도 核心이 아닐 수 없다.

    金弘道는 이 같은 瞬間을 그림의 포인트로 삼고자 했을 것이다. 그 決定的 瞬間을 구경꾼의 몸動作 特히 ‘損의 뒤바뀜’으로 表現한 것이 아닐까. 그것은 金弘道의 藝術的 令監이자 藝術的 깨달음이다. 다시 말하면, 두 손의 뒤바뀜은 金弘道의 藝術的 깨달음의 象徵的 浪漫的 表現이라고 봐도 좋을 것 같다.

    國寶 金銅彌勒菩薩半跏思惟像(1962-2)의 저 엄지발가락 하나가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보는 이의 想像力을 刺戟한다. 발가락만 그런 것이 아니다. 손가락도 凡常치 않다. 半跏思惟像의 엄지발가락과 새끼손가락은 宗敎的 象徵이다. ‘씨름’ 속 구경꾼 두 손은 藝術的이고 浪漫的인 表現이다. 하나는 宗敎的 깨침이고 하나는 藝術的 浪漫的 깨침이라고 할까. 이런 點에서 差異가 날 수도 있다. 그럼에도 이들에겐 共通點이 있다. 모두 決定的 瞬間을 宗敎的·藝術的 浪漫的으로 捕捉했고, 그것이 끝내 畫龍點睛(畵龍點睛)李 되었다는 事實!


    이광표
    ● 1965年 忠南 豫算 出生
    ● 서울대 考古美術史學科 卒業
    ● 高麗大 大學院 文化遺産學協同過程 卒業(博士)
    ● 前 동아일보 論說委員
    ● 著書 : ‘그림에 나를 담다’ ‘손 안의 博物館’ ‘韓國의 國寶’ 外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