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함께 사니 幸福한가? ‘幸福한 家族’은 幻想이다 [古典硏究가 고미숙에게 家族을 묻다]|신동아

함께 사니 幸福한가? ‘幸福한 家族’은 幻想이다 [古典硏究가 고미숙에게 家族을 묻다]

플라톤아카데미와 함께하는 ‘삶이 묻는 것들에 答하다’

  • 허문명 記者

    angelhuh@donga.com

    入力 2021-02-03 10:00:01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核家族’이라는 巨大한 판타지

    • 집은 欲望 아닌 마음의 居處가 돼야

    • 혼자 工夫 힘들어 만든 工夫 共同體

    • 中年 男子 내면 ‘외롭다’

    • 人生의 哲學을 만들 때가 됐다

    *신동아는 2月號부터 人文學財團 플라톤아카데미와 함께 ‘삶이 묻는 것들에 答하다’ 시리즈를 進行한다. 2021年까지 進行한 ‘人文을 科學하다’ 後續 連載다. 플라톤아카데미는 2010年 11月 設立된 國內 最初 人文學 支援 財團으로 人類의 오랜 知識과 智慧를 바탕으로 삶의 根源的 물음을 새롭게 傳한다는 趣旨로 硏究 支援, 大衆 講演, 온라인 포털 等 다양한 事業을 進行하고 있다. 새로 선보이는 ‘삶이 묻는 것들에 答하다’는 코로나19 以後 많은 것이 바뀌고 있는 世上에서 삶의 羅針盤을 잃어버린 듯 空虛感을 겪는 우리에게 새로운 精神的 價値를 摸索하는 사람들의 인터뷰로 進行한다.<편집자 週>

    [허문명 기자]

    [허문명 記者]

    서울 南山 近處에서 工夫 共同體 ‘감이黨’(서울 中區 필동)을 運營하는 古典硏究가 고미숙 氏를 만나고 싶었던 건 그가 最近 펴낸 ‘寄生蟲과 家族, 核家族 崩壞에 對한 愉快한 默示錄’ 때문이다. 映畫 ‘寄生蟲’을 材料로 삼아 只今의 核家族은 情緖的 執着과 經濟的 利益의 捕虜가 됐다며 家族이라는 共同體에 對한 幻想을 깨고 더 넓은 世上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主張을 담았다. 40代 때부터 피 한 방울 안 섞인 他人들과 苦戰 工夫를 媒介로 한 工夫 共同體를 運營하는 그에게 家族은 무엇이고 共同體는 어떤 것인지 물었다. 于先 ‘寄生蟲’ 映畫 이야기로 始作했다.

    ‘核家族’이라는 巨大한 판타지

    - ‘寄生蟲’에 對해 核家族 崩壞의 끝장을 보여준다고 評했는데. 

    “봉준호 監督이 애初 映畫 題目을 ‘데칼코마니’로 하려 했다는 데서 알 수 있듯이, 映畫에는 雙둥이처럼 닮은 家族이 登場한다. 한쪽은 大邸宅에 사는 富者, 다른 한쪽은 半地下 下層民이다. 이걸 貧富隔差라는 視角으로 보는데 나는 貧富를 넘어선 核家族이라는 앵글로 보았다. 大邸宅에 살든 半地下에 살든 두 家族 다 엄마·아빠, 아들·딸로 이뤄진 典型的 近代 核家族이다. 大邸宅 家政婦와 地下室에 숨어 살던 男便도 變形된 核家族이라고 할 수 있다. 

    나는 이들 세 家族 모두가 完全히 封鎖된 關係 안에서 外部가 하나도 없는 것에 注目했다. 映畫의 作品性은 훌륭하단 걸 알겠는데 왜 보고 나면 찜찜하지? 核家族의 終末이란 點에서 보면 뭐가 다르지? 半地下 살면서 돈 생기면 치킨 뜯어 먹거나 뷔페 가고, 大邸宅에 살면 庭園에서 生日파티 하는 건데 이 差異가 뭐가 그렇게 重要하지? 이런 疑問이 들었다.” 

    - 엄청난 差異 아닌가. 

    “外部로부터 疏外된 核家族 關係라는 點에선 똑같다는 말이다. 오로지 欲望을 發散하는 거 外에는 없는 거. 家族이란 게 만나면 서로 먹이는 거밖에 못하지 않나. 다른 種類의 交感이 不可能하다는 걸 映畫가 보여준다. 그거를 작은 規模로 하느냐, 華麗하게 하느냐 그 差異다. 



    父母가 子息한테 해주는 것도 華麗한 生日파티 아니면 뷔페나 치킨 이런 거지 다른 걸로 뭘 주고받을 게 없다. 核家族이라는 게 우리나라는 20世紀高 西洋은 産業革命 때 나온 건데 이제 100年 된 거다. 이제 갈 때까지 간 制度라는 것이 느껴진다. 

    나는 그나마도 이런 核家族에 對한 維持가 코로나 時代와 함께 正말 解體되고 幕을 내리겠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내가 弄談으로도 많이 얘기하는데 核家族을 維持해 온 건 판타지 때문이다. 옛날엔 언덕 위 하얀 집이었는데 只今은 아파트, 거기에 엄마 아빠가 있고 애들이 있는데 아버지는 事務職이어야 하고 一日 勞動者여서는 안 된다. 아이들은 工夫를 잘해야 하고. 바이올린이나 피아노는 쳐줘야 하고. 이런 設定이 核家族의 表象이다. 하지만 只今은 어떤가. 

    只今 家族 안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 아무도 모르는 무서운 世上이다. 代表的 例로 언제부터인지 近親相姦이 너무나 赤裸裸하게 드러나기 始作했다. 예전에는 입에 담지도 못했는데 只今은 포털 뉴스에 隨時로 올라온다. 사람들은 漸漸 富者가 되고 집은 좋아지고 있는데 왜 이럴까. 

    그나마 코로나 前에는 다들 바빠서 家族關係가 그런대로 維持가 됐다. 아버지도 바쁘고 엄마도 哀悼 바빠서 서로 만나기 어려우니까 그나마 時間을 내서라도 서로 마음을 주고받았다. 그런데 코로나 때문에 이제 몇 달을 같이 있어봤지, 그래서 어땠나, 幸福한가. 다들 ‘집콕’을 하면서 우리가 깨달은 건 한마디로 家族끼리 같이 할 게 없다는 거다. 그렇게 平素에 서로 바빠 對話가 不足했다면서 다들 하루 온終日 같이 있게 됐는데 對話가 되던가. 하지만 家族은 元來 對話가 必要 없는 關係다.”

    집은 欲望 아닌 마음의 居處가 돼야

    - 對話가 必要 없다고? 

    “家族은 構成員들 各自가 自己 人生을 살도록 ‘서포트’ 해주면 된다. 父母, 子息 間에 무슨 깊은 對話를 주고받을 素材가 別로 없다는 말이다. 原初的으로 그냥 連結돼 있기 때문에 默默히 그냥 自己 길을 가게 해주면 된다.” 

    - 原初的으로? 

    “그렇게 돼 있다. 다 큰 子息이 父母하고 알콩달콩 사는 걸 願할까? 그리고 또 父母는 뭐 때문에 다 큰 애랑 그렇게 自己 中年을 보내야 해? 生命 論理하고도 맞지 않는다. 動物들도 새끼가 사냥法을 攄得하는 瞬間 父母, 어미는 뒤도 돌아보지 않고 떠난다. 그래야 새끼가 情을 떼고 自己 길을 간다. 幸福한 家族關係가 人生의 全部라고 設定해 놓는 건 資本의 프레임이다. 그래야 所有에 올인할 수 있다. 내 집, 내 아파트. 

    只今 不動産이 거의 盲目이 돼 있는데 한番 따져보자. 집을 갖는 快樂, 所有하는 快樂의 實體를 말이다. 집이란 게 따뜻하고 基本 衣食住 解決되는 空間이라고 생각하면 사는 게 거의 똑같다고 본다. 나머지는 머리로 妄想하는 거다. 내가 남보다 큰 집에 산다. 이런 거밖에 人生의 意味를 둘 만한 데가 없으니까 只今의 아파트는 마음의 居處가 아닌 欲望의 居處다. 이렇게 된 게 家族關係, 核家族이 土臺다. 드라마도 그렇지만 公益 廣告나 이런 것들을 보면 家族의 사랑을 엄청 막 浪漫的으로 띄워주고 너무 所重한 것처럼 하는데 그런 게 事實 家族을 第一 힘들게 하는 거다. 

    어떻든 이렇게 우리가 100年을 持續해 살아왔다. 그런데 只今은 1人 家口가 늘어나면서 核家族조차 解體되고 있다. 그렇다면 왜 우리는 이 核家族 制度조차 더 견디기 어렵게 된 걸까. 이걸 苦悶해야 하는데 恒常 答은 어디로 가냐면 經濟學 卽 일자리 問題로 간다. 

    家族에 對한 판타지가 人生의 基本이고 終局의 目標라는 생각을 버리지 않는 限 ‘포스트 코로나’ 時代를 살아갈 수 없다고 생각한다. 세팅을 새로, 卽 리셋해야 한다. 일도 너무 熱心히 하면 안 된다. 地球가 남아날 수가 없다. 코로나 時代에는 熱心히 사는 게 半(反)生態主義다. 밤에 불 켜고 일하고 그러면 또 먹어야 하고, 쓰레기 나오고. 野生動物 잡아먹다 異常한 바이러스를 깨우고, 그런 點에서 조금 게으르게 사는 게 地球를 살린다.”


    혼자 工夫가 힘들어 만든 工夫 共同體

    공부 공동체에서 공부하는 학생들과 간식 캠페인 문구. [허문명 기자]

    工夫 共同體에서 工夫하는 學生들과 間食 캠페인 文句. [허문명 記者]

    - 家族에 對한 問題意識을 언제부터 가졌나. 

    “30代만 해도 結婚하고 아이 낳고 論文 쓰고 아파트 하나 생겨서 사는 게 當然하다고 받아들였다. 40代에 마음의 흐름이 크게 바뀌었다. 命理學에서는 大運이 바뀌는 때라고 한다. 우리 마음은 思春期 때 20代 때 다 다르다. 博士 學位를 받았는데 敎授가 안 됐다. 그러면서 就職을 抛棄했다. 그러던 中 男便은 獨逸로 留學 갔는데 나는 가기 싫었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헤어졌다. 敎授도 抛棄하고 哀悼 抛棄하니 家族이라는 것의 幸福이 내 삶에서 사라져버리더라. 나는 工夫하는 사람이었으니까 앞으로도 繼續 자유롭게 工夫하고 싶은데 家族 안에서 그걸 疏通하기가 어려웠다. 

    스님들 말에 따르면 그때 내가 出嫁를 한 거나 마찬가지였다. 親庭 父母님도 걱정은 되는데 내가 너무 泰然하게 잘 사니까 介入을 못 하더라. 於此彼 敎授는 틀렸고 工夫는 繼續해야 하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 그때 드는 생각이 나는 혼자서는 絶對 못 한다, 이런 마음이 들었다. 그래서 工夫 共同體를 생각한 거다.” 

    그러면서 그는 核家族의 歷史를 工夫하기 始作했다고 한다. 

    “살면서 보니 나만 겪는 일도 아니었고 사람들 사는 모습을 보니까 모든 괴로움과 障礙가 家族이라는 表象을 절대화하면서 일어난다는 생각이 들었다. 언제부터 家族이란 表象이 絶對化됐을까. 우리는 20世紀 初 春園 李光洙가 基本的으로 로망을 만들어놓았다. 男女 間의 至高至順한 사랑을 絶對化한 게 核家族이었다. 그게 딱 韓國人을 사로잡은 거다. 여기에 學校, 敎會, 病院이 딱 三位一體로 이런 式의 삶이 第一 좋다는 基準이 생겨버린 거다. 우리가 東南亞나 다른 나라에 비해 近代化를 빨리 이룬 것도 核家族 制度와 關係가 있다고 생각한다.” 

    - 어떤 關係가 있을까. 

    “性質이 急하지 않은가. 眞짜 다이내믹하고. 한 番에 올인하는 氣質도 있고. 宏壯히 樂天的이긴 한데 根本的인 洞察 같은 건 弱하다. 어떻든 核家族은 所有와 資本을 集中하게 하는 데 엄청난 效果가 있었다. 全部 다 妻子息 먹여 살리느라고 뼈 빠지게 일한다고 하지 않나. 그런데 이제는 어느 程度 벌었는데 아직도 不足하다고 얘기한다. 

    이제 벌 만큼 벌었으니 남을 위해 쓰겠다고 생각하는 中産層이 있어야 하는데 우리에겐 그런 멘털이나 倫理가 없다. 父母 世代 때는 所有에 執着하는 게 納得이 됐다. 먹고살기 어려워서 病이 들어도 病院에 못 갔으니까. 하지만 只今 上流層은 돈이 남아돌아가는 데도 오로지 消費와 欲望에만 사로잡혀 있다.”
     
    - 工夫 共同體를 해보니 어땠나. 

    “내게는 다음 生이 있어도 다른 選擇은 없다. 그 程度로 퍼펙트하다. 처음에는 工夫를 같이 할 사람을 모아야 하고 같이 모였으니 밥을 먹어야 하고 같이 밥을 먹다 보면 工夫, 散策도 하고 그래서 卓球 大會도 만들고 그랬다. 人間이 같이 生活할 때 오는 眞짜 어마어마한 衝擊이 있다.” 

    - 그게 뭔가. 

    “共同體를 運營한다고 하면 ‘그렇게 많은 사람들하고 어떻게 같이?’라고 묻는데 둘이 사나 100名 하고 사나 똑같다, 둘이 사는 힘으로 100名 하고도 살 수 있다. 사람이 함께 모이면 相互的 循環과 相生道 있고 相剋도 있어서 貧困感 같은 게 생긴다. 累軍歌랑 같이 살면 마음의 負擔이나 스트레스를 받는다. 相對方의 걸음걸이, 表情, 말, 몸짓 같은 게 完全히 크게 다가온다. 거기서 참 많이 배우고 많이 당혹스러웠다. 나도 이렇게 벗겨지고 있겠구나. 다른 사람들 같으면 趁卽 그만뒀을 거다. 그런데 나는 共同體가 選擇이 아니었기 때문에 다 겪어낸 거지. 나는 人間에 對한 幻想이나 期待 같은 게 全혀 없다.” 

    - 사람을 믿지 못한다는 건가. 

    “그게 아니라 저 사람은 어떤 存在일 것이라고 하는 前提가 없다는 말이다. 그래서 幻想도 없고 同情心도 없다. 그런 깨달음은 共同體를 안 했으면 絶對 알 수 없었을 것이다. 愛着을 갖지 않으면 괴로움이 생기지 않는다.” 

    - 家族은 그런 點에서 愛着을 끊기가 어렵다. 

    “家族 안에서는 感情만 주고받는다. 그런데 누구도 感情 調節을 訓鍊한 적이 없잖은가. 學校에서도 집에서도. 그래서 더 感情만 增幅이 되고 汚染이 된다. 大家族 制度下에서는 仁義禮智信(仁義禮智信) 같은 倫理나 祭祀 儀式들이 感情을 調律하는 役割을 했는데, 核家族은 ‘사랑한다’는 거로 다 된다고 생각한다. 

    - 하긴, 여기(家族)서 안 해주면 어디서 해줘, 이런 式이지. 

    “그게 서로에게 어마어마한 傷處를 준다. 特히 靑年들이 犧牲羊이 된 거다, 엄청난 케어를 받고 愛着의 對象이 됐는데 人間이나 生命으로서 自尊感을 하나도 못 느낀다. 일자리가 없기 때문이 아니다. 交感할 사람이 없다는 게 問題다. 家族 안에서 맨날 感情을 排泄하는 것만 배우는데 어떻게 밖에 나가 낯선 存在를 사랑하겠나. 사랑에도 倫理가 없으니 性이 犯罪가 되는 時代가 된 거다. 사랑하는 方法을 모르는 거다. 그냥 自己가 받은 대로 한다고 생각한다. 올인해서 하루 終日 나(I)만 생각하는 것, 이것은 悲劇이다. 小心해서 밖에서는 말도 못 하는 애들이 집에 와서 父母한테 行悖를 부린다. 그런데도 核家族이 어떻게 維持가 되느냐? 바로 아파트, 財産 때문이다. 家族이 解體되는 瞬間 그걸 分解시켜야 하니까.“ 

    - 人間의 本源的 외로움 같은 것도 있지 않나. 極端的 例를 든다면 매 맞는 아내라도 男便이 있으면 좋다는 心理 같은 거. 

    “그래서 더 외로워지는 거다. 그런 關係를 全部라고 생각하니까 親舊가 생길 理가 없다. 靑年이고 中年이고 親舊가 없다. 그러니 바깥에 나갈 엄두를 못 내고. 그렇다고 해서 家族끼리 많은 時間을 보내면 외롭지 않아야 하는데 외롭다고 한다. 都大體 뭐가 問題가.” 

    - 같이 있어도 나눌 수 없다고 느낄 때 외로운 것 아닌가. 

    “거듭 말하지만 幻想을 깨라. (家族 內) 두세 命하고 아무리 校監海 봐야 基本的으로 안 되는 건데 안 되는 것을 붙잡고 있다. 아무리 잘 통한다고 해도 어떻게 두서너 名하고만 關係를 맺나. 그건 生命이 아니다. 永遠한 파트너? 멜로드라마에나 나오는 이야기다. 아니, 그런 사람이 있어도 絶對 채워지지 않는다. 戀愛는 基本的으로 그게 不可能하다. 왜냐고? 男女 間 사랑은 基本的으로 性慾에 基盤하기 때문이다. 性慾이 주는 快感이라는 베이스 위에서 始作하는 거라 이 均衡이 깨지는 瞬間 權力이 생기고 이게 不便해지면 因緣은 끝난다. 너무너무 不安定한 關係인 거다. 이 世上 權力關係 中에 가장 不安定한 게 性으로 맺은 關係다. 永遠할 수가 없다. 내가 보기에는 10年을 無難히 사는 것만도 正말 대단한 因緣이다.

    中年 男子들의 內面이 외롭다

    고미숙 씨는 “이제는 대중이 지성을 연마해 세상을 이끌어가야 한다”라고 말했다. [허문명 기자]

    고미숙 氏는 “이제는 大衆이 知性을 硏磨해 世上을 이끌어가야 한다”라고 말했다. [허문명 記者]

    - 共同體 속에서 에너지의 相剋, 相生 關係를 經驗한다고 했는데. 

    “共同體라는 건 關係의 日常性이 維持돼야 한다. 여기 ‘감이黨’은 누구나 들락날락할 수 있는 外延이 넓은 共同體다. 이 안에서 우리가 血緣 以上의 뭘 느끼려면 强度와 密度를 維持할 수 있어야 한다. (廚房을 가리키며) 日常에 每日 두 끼를 여기서 먹는다고 할 때 宏壯히 깊은 精神的 紐帶가 있어야 한다. 그래서 工夫하는 거다. 살펴보니 中年 男子들이 特히 내면적으로 외로운 삶을 산다.” 

    - 왜 그런가. 

    “한마디로 왕따 되기 딱 좋은 멘털과 身體 리듬을 갖고 있다. 우리 工夫 共同體도 90%가 女性이다. 靑年이든 中年이든. 男性은 極히 드문데 요즘 조금 늘었다.” 

    - 中年 男子들은 다 어디로 갔나. 

    “하긴 自己네들끼리도 서로 물어보더라(웃음). 어디 갔느냐고? 다 아직도 20世紀的으로 산다고 보면 된다. 競馬場 아니면 株式 投資, 아니면 PC房. 이분들은 뭔가를 戰鬪的으로 해야만 잘 산다고 생각한다. 너무 낡은 意識이다. 싸워서 이겨야만 意味가 있다고 하는 건 얼마나 二分法的이고 動物的 事故인가. 어떻게 이렇게 工夫를 안 할 수가 있을까. 韓國 中年 男性들은 새로운 展望, 運命의 展望에서 只今 거의 淘汰됐다. 그런데 長點도 있다. 느리지만 우직해서 哲學的 突破力이 宏壯히 빠르다. 그런데 뭔가 感情 訓鍊이 하나도 안 돼 있는 거야. 거의 部下 職員들을 感情 쓰레기桶으로 생각하고 살았잖아. 

    여기는 名銜이 안 통한다. 無條件 自己 삶의 求道者가 돼야 한다. 工夫하면서 自己 老年과 죽음에 對한 생각이 깊어지면 누구나 贈與者가 된다. 내가 너무 많은 걸 누렸구나. 그래서 이제 언제든 나누어 주어야겠구나.” 

    - 共同體에서 먹고 자는 건 어떻게 하나. 

    “中年들은 各自 집이 있으니 알아서 하고. 靑年들은 男女 寄宿舍 2個가 있다. 거기 다 受容이 안 되면 두세 名이 집을 셰어한다. 이 洞네가 옛날 집들이 많은데 月 20萬 원씩 내면 서너 名이 꽤 좋은 집에 살 수 있다. 그리고 이 안에서 매니저나 이런 걸 하면 經濟活動도 된다. 우리는 이제 血緣을 넘어선 새로운 關係. 人生을 함께 갈 수 있고 日常을 같이 할 수 있는 사람들이 必要하다. 우리 共同體엔 日常과 人生이 같이 있다. 이제 學閥 時代는 끝났고 大學에서 배우는 工夫가 世上을 이끌어갈 수 없다고 確信한다. 大衆이 知性을 硏磨해서 이끌어가야 한다. 그런 意味에서 大衆知性이라는 모토로 나온 게 감以堂이다.” 

    - 그래도 먹고살 距離가 있어야 하지 않을까. 

    “밥을 같이 먹느냐 안 먹느냐의 問題가 아니라 會社를 다니면 日常은 다 거기 묶이지만 人生의 비전을 거기 싣지는 않는다. 먹고살기 위한 生活의 道具이다 보니 共同體的 關係를 못 맺는다. 職場이란 게 그런 式으로 交感할 수 있는 곳이 아니다. 나는 여기서 工夫하고 글을 써서 世上에 智慧를 나누어주고 講義도 하며 먹고살 수 있다는 걸 證明하는 中이다. 지난해에도 靑年들 冊이 4卷인가 나왔다. 靑年들을 冊의 著者로 舞臺에 登極시키고 있다.” 

    - 人間이 가진 欲望을 어떻게 否定할 수 있나. 

    “누가 否定하라고 했나. 어떤 게 잘 사는 건지 省察하고 더 잘 살기 위한 欲望을 가지라는 거지. 消費를 위해 사는 게 人間답게 사는 건가. 나는 아파트에 對한 欲望을 버리고 4000萬 원 갖고 共同體를 始作했다. 그리고 여기까지 왔다.” 


    ‘人生의 哲學’ 定立해야

    - 오케이 좋다, 그렇다면 家族에 對한 로망과 幻想을 깬 뒤는 뭘 하나. 

    “한마디로 집이 아니라 길을 人生의 비전으로 만들자는 거다. 집에서 길로, 所有에서 自由路 가자는 거다. 所有가 目的이 아니라 所有할 수도 있고 집에 머물 수도 있고 돈을 많이 벌 수도 있다. 그 모든 건 다 나의 存在論的 自由의 擴張이다. 태어남 自體가 隸屬인데 자유롭게 살아야 하지 않겠나.” 

    - 왜? 

    “施工과 境界가 다 무너지는데 왜 자꾸 집으로 家族 속으로 들어가나, 無限한 길이 열렸는데 왜 내 마음을 아파트 안에 가둬두냐고. 길을 나서려면 가벼워야 한다.” 

    - 감이黨이란 이름은 어떻게 지었나. 

    “周易에 나오는 坎卦에서 따온 거다. 坎은 물이다. 물은 智慧를 의미한다. 智慧로 지은 집이란 뜻이다. 여기는 靑年하고 中年들이 같이 밥 먹고 工夫하는 재미있는 日常이 있다. 그러면 삶을 좀 견딜 힘이 생긴다. 只今 사람들 人生이 헛헛하다. 交感할 자리가 없다는 것이다. 이건 戀愛나 家族으로 絶對 解決이 안 된다. 家族은 義務 關係이고 戀愛는 快樂이지 絶對 내 根源的 問題를 解消해 주지 않는다. 各自 다 哲學者가 돼야 한다. 다들 自己 人生의 哲學을 할 때가 됐다.”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