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운 달큰 구수한 국물에 살짝 익힌 굴…해張力 극강 매생이굴국밥|新東亞

개운 달큰 구수한 국물에 살짝 익힌 굴…해張力 극강 매생이굴국밥

김민경 ‘맛 이야기’ ?

  • 김민경 푸드칼럼니스트

    mingaemi@gmail.com

    入力 2021-01-23 10:00:01

  • 글字크기 설정 닫기
     매생이와 다양한 해물을 넣고 부친 매생이전. 고소한 맛이 일품이다. [GettyImage]

    매생이와 다양한 海物을 넣고 부친 매생이展. 고소한 맛이 一品이다. [GettyImage]

    “누에가 만든 緋緞실보다 가늘고, 쇠털보다 촘촘하며, 검푸른 빛깔을 띠고 있다.” 

    朝鮮 實學者 丁若銓은 ‘玆山魚譜’에서 매생이를 이렇게 描寫했다. 敢히 說明을 보태자면 실로 이뤄진 粥 같고, 아무리 움켜잡아도 손에 쥘 수 없는 미끈한 것이라고 하겠다. 

    每年 이맘때면 市場에서 올망졸망 덩어리진 모습으로 놓여 있는 매생이를 쉽게 볼 수 있다. 只今은 健康하고 맛좋은 食材料로 有名하지만, 예전에는 賤덕꾸러기 取扱을 받았다. 김에 붙어 자라는 習性 때문이다. 오랫동안 漁夫들은 매끈하고 模樣 좋은 金을 만들고자 김 養殖場에서 매생이를 一一이 뜯어버리곤 했다. 그러던 매생이가 스스로 養殖 對象이 된 건 2000年 즈음, 매생이의 魅力的인 맛과 健康上 效能이 알려진 뒤부터다.


    개운하고 달큰한 굴국에 구수한 매생이 한 국자

    무를 푹 끓여 만든 국물에 굴을 넣어 살짝 익히고 마지막에 매생이를 풀면 개운하면서 감칠맛 나는 매생이굴국이 된다. [GettyImage]

    무를 푹 끓여 만든 국물에 窟을 넣어 살짝 익히고 마지막에 매생이를 풀면 개운하면서 감칠맛 나는 매생이굴국이 된다. [GettyImage]

    나는 매생이를 부침개로 처음 만났다. 축축 처지는 것을 젓가락으로 收拾해가며 겨우 한 입 먹었는데, 물렁하고 질척하고 뜨거웠다. 한 金 式은 다음 죽죽 찢어가며 먹으니 비로소 特有의 구수한 맛이 느껴졌다. 꽤나 좋았다. 부침개에는 건더기가 많이 들어가야 한다고 늘 말씀하시는 엄마는, 當時 이 낯선 錢을 굽느라 갖은 애를 쓰셨다고 한다. 

    알고 보니 매생이展 반죽은 如干 까다로운 게 아니다. 매생이를 가위로 잘게 자른 뒤 가루材料를 조금씩 넣어가며 엉김 程度를 살펴야 한다. 너무 질면 부침개가 처진다. 그렇다고 반죽이 되직해질 만큼 가루를 넣으면 부침개가 떡처럼 단단해져 매생이 特有의 부드러움을 맛볼 수 없게 된다. 



    매생이 特有의 順하면서도 개운한 맛을 즐기기엔 국물料理가 제格이다. 멀겋게 끓인 된醬국에 매생이 두어 숟가락을 풀면 맛이 확 달라진다. 고기나 뼈로 낸 국물이든, 멸치로 낸 국물이든 매생이는 어디에나 살랑살랑 잘 어우러진다. 그中 最高는 매생이 굴국이다. 개운하고 달큰한 국물의 바탕이 되도록 무를 푹 끓이고, 구수한 香과 津한 감칠맛을 내는 窟을 넣어 살짝 익힌다. 마지막에 개운함과 殘香을 膳賜하는 매생이를 한 국자 넣은 뒤 바로 불을 끄고 살살 푼다. 이때 매생이를 뭉치지 않게 하려고 많이 휘저으면 飮食이 지저분해지니 덩이가 풀어질 程度로만 젓는다. 饅頭국, 떡국, 칼국수 等에 매생이를 넣을 때도 料理가 完成된 뒤 넣고 불을 끈 채 살살 저으면 된다.


    미운 사위한테 줄까, 고운 사위한테 줄까

    매생이는 파스타, 라면 등 국수 요리에 넣어도 잘 어울린다. [동아DB]

    매생이는 파스타, 라면 等 국수 料理에 넣어도 잘 어울린다. [東亞DB]

    매생이가 들어간 국물料理는 뜨거워도 김이 올라오지 않는다. 결이 촘촘한 매생이가 이불처럼 飮食을 덮어 김을 가두기 때문이다. 無心코 한 숟가락 떠먹었다가는 입天障이 홀라당 벗겨지기 일쑤다. 매생이 국을 ‘미운 사위 國’이라고도 부르는데, 딸 苦生시키는 사위를 向한 丈母의 작은 恨풀이 手段이었기 때문인가 싶다. 

    하지만 事實 매생이는 콩나물보다 아스파라긴산이 3倍 많고, 비타민 미네랄 칼슘 鐵分 等도 豐富하다. 매생이 特有의 미끌미끌함을 만드는 알긴산은 몸속 老廢物, 나트륨, 콜레스테롤 等을 輩出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한다. 게다가 칼로리가 낮으면서 飽滿感은 크다. 이런 面을 보면 매생이는 ‘사위 사랑은 丈母’라는 말에도 꼭 맞는 食材料다. 

    매생이는 죽이나 라면에 넣어도 좋다. 생생한 매생이를 끓는 물에 살짝 데쳐 바다내음 향긋한 무침으로 먹어도 그만이다. 菜蔬나 파스타를 볶을 때도 조금씩 넣으면 香이 더해진다. 

    매생이 덩어리를 세는 單位는 ‘再起’로, 매생이 한 재기는 무게가 400g 程度 된다. 이것 하나면 서너 名이 국을 한 番 끓여 먹고, 煎도 부쳐 먹고, 飯饌으로 무쳐 먹을 수도 있다. 

    매생이를 손질할 때는 반드시 체에 밭쳐 물에 헹궈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물에 줄줄 흘러가는 매생이를 決코 잡을 수 없다. 잘 헹군 매생이는 한 番에 먹을 만한 分量으로 나눠 冷凍 保管하면 된다. 요즘엔 凍結 乾燥한 ‘매생이 블록’도 쉽게 求할 수 있다. 凍結 매생이度 生 매생이와 마찬가지로 料理 마지막에 넣으면 금세 부드럽게 풀어지며 飮食의 香과 맛을 더한다.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