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韓國 麥酒보다 맛있는’ 大同江麥酒 맛의 祕密|新東亞

‘韓國 麥酒보다 맛있는’ 大同江麥酒 맛의 祕密

大同江麥酒 輸出 成功 힘입어 三日浦위스키도 出市

  • reporterImage

    송홍근 記者

    carrot@donga.com

    入力 2020-02-23 10:00:01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잘사는 사람만 마시는 비싼 술

    • 英國 釀造場 引受해 技術 獲得

    • 러시아 발티크麥酒 벤치마킹

    • 中企業이 라이선스 生産하기도



    [신원건 동아일보 기자]

    [신원건 동아일보 記者]

    大同江麥酒는 北韓이 자랑하는 輸出品이다. 2012年 英國 雜誌 ‘이코노미스트’가 ‘화끈한 飮食, 따분한 麥酒’라는 題目의 서울發(發) 記事에서 韓國 麥酒가 北韓 大同江麥酒보다 맛이 떨어진다고 酷評하면서 話題가 된 술이다. 2018年 4·27 南北頂上會談 直後 靑瓦臺 揭示板에는 大同江麥酒를 輸入해 달라는 請願이 登場하기도 했다. 

    ‘신동아’가 20代 靑年 5名과 함께 大同江麥酒를 試飮해 봤다. 靑年들은 하나같이 “韓國 麥酒보다 맛있다”면서 놀라워했다. 生前의 金正日은 “南朝鮮 麥酒는 正말 맛없다”고 酷評한 적이 있다. 世界 麥酒 愛好家 사이에서 大同江麥酒는 ‘레어템(稀貴 아이템)’으로 통한다. 韓國 麥酒보다 맛있다는 評價를 듣는 大同江麥酒 맛의 祕密은 뭘까.

    “朝鮮의 魅力 알리는 道具로 만들라”

    첫째로는 北韓 當局의 全幅的 支援이 꼽힌다. 金正日·金正恩 富者가 술을 좋아한다. 金正日은 와인과 코냑을 즐겼고 金正恩은 ‘麥酒 마니아’다. 金正日은 “麥酒를 朝鮮의 魅力을 알리는 道具로 만들라”고 指示했으며 2002年 大同江麥酒工場을 찾아 “四時四철 人民에게 新鮮한 麥酒를 供給하게 됐다”면서 洽足해했다. 

    둘째는 깨끗한 물이다. 産業化가 더딘 데다 山地가 많아 新鮮한 물을 供給받는 게 수월해 品質 維持에 도움을 준다는 것이다. 大同江麥酒는 大同江 上流 地域의 맑은 물로 빚는다. 



    셋째는 쌀이다. 大同江麥酒는 일곱 種類(1~7番)가 生産되는데 慢性的 쌀 不足을 겪으면서도 原材料의 쌀 含量이 30%, 50%, 80%, 100%다. 쌀과 보리를 섞어 麥酒를 製造한다. 쌀 含量이 많을수록 깔끔한 맛이 난다. 보리 100%인 1番은 쓴맛이 强하다. 北韓에서 가장 잘 팔리는 것은 보리 70%, 쌀 30%인 알코올 5.5%의 2番이다. 2017年부터 보리 代身 밀을 使用한 밀麥酒와 떼기食通麥酒(캔麥酒)도 生産하기 始作했다. 

    大同江麥酒 外 錦江麥酒, 龍城麥酒, 봉학麥酒가 北韓에서 有名하다. 輸出도 하는 大同江麥酒가 代表選手 格인데 大同江麥酒工場의 歷史는 길지 않다. 

    北韓 當局이 2000年 180年 傳統의 英國 釀造場을 引受한다. 釀造기를 分解해 部品을 平壤으로 옮긴 後 다시 組立해 大同江麥酒工場을 세웠다. 2002年 4月부터 麥酒를 生産했다. 金正日은 大同江麥酒工場을 잇따라 現地指導하면서 質을 더욱 높이라고 注文했다. 


    大同江麥酒 2號 中企業이 라이선스 生産

    대동강맥주축전. [조선중앙TV 캡쳐]

    大同江麥酒祝電. [조선중앙TV 캡쳐]

    大同江麥酒工場이 建立된 때는 1990年代 中後半 苦難의 行軍 直後다. 食糧 不足을 겪으면서도 麥酒 工場을 建設할 만큼 김정일의 麥酒에 對한 關心은 깊었다. 2002年 5月 30日 노동신문은 이렇게 報道했다. 

    “普通 때 平凡한 날에 일떠선 工場이라면 이렇게 情이 가겠습니까. 허리띠를 졸라매고 苦難의 私選 千里를 헤친 지 얼마 되지 않던 그때 敬愛하는 將軍님께서 우리 人民을 위해 그토록 貴重한 資金을 들여 마련해 주신 工場이니 더 情이 가는 것입니다.” 

    大同江麥酒는 北韓에서 잘사는 사람만 마시는 비싼 술이다. 平壤에서 640㎖ 1甁當 1.5달러에 팔린다. 一般 住民은 ‘甘酒’라고 일컫는 막걸리나 中國에서 輸入한 싸구려 高粱酒를 主로 마신다. 술按酒는 豆腐국, 明太국, 饅頭국 等이다. 쪽파, 말린 조갯살, 人造고기 무침, 말린 낙지(北韓에서는 오징어를 낙지라고 稱한다)도 술按酒로 人氣다. 

    中國에서도 大同江麥酒가 잘 팔린다. 食堂에서 中國 麥酒보다 4倍假量 비싼 20~25위안(3400~4200원)에 提供된다. 對北消息通에 따르면 中國 企業이 랴오닝(遼寧)省 둥강(東港)에서 大同江麥酒 2號를 라이선스海 生産하기도 한다. 中國이 資本을 대고 北韓이 技術과 勞動을 提供하는 形態로 合作이 이뤄졌다. 

    北韓에서는 韓國과 달리 유럽式 麥酒가 大勢다. 韓國 麥酒 産業은 美國 麥酒 影響을 받은 日本 麥酒를 벤치마킹하면서 始作됐다. 美國 麥酒는 유럽 麥酒와 달리 옥수수 같은 附加物(adjunct)을 많이 넣는다. 韓國人에게 익숙한 버드와이저, 밀러, 코로나 같은 麥酒가 ‘附加物 라거’다. 附加物을 넣으면 度數가 낮아져 消費者層이 넓어진다. 맛이 개운해 淸凉感이 커지는 代身 香이나 風靡는 옅어진다. 

    大同江麥酒는 유럽 麥酒 中에서도 러시아 발티카麥酒의 影響을 받았다. 발티카麥酒度 알코올 度數나 材料, 加工法에 따라 0~9番으로 넘버링한다. 김정일이 2001年 8月 러시아를 訪問했을 때 상트페테르부르크 발티카麥酒 工場을 見學하기도 했다. 

    平壤에는 200個 넘는 大同江麥酒 비어홀이 있다. 가장 有名한 곳은 경흥관麥酒집이다. 1~7番 大同江麥酒와 가스麥酒(生麥酒)를 販賣하며 菓子와 말린 海産物을 按酒로 낸다.

    北韓의 國酒는 平壤燒酒

    北韓에서 麥酒는 술이라기보다는 飮料 待接을 받는다. 平壤을 訪問한 韓國 側 人士가 食事 자리에서 麥酒를 마시면 “先生은 술은 안 드시고 麥酒만 하십니까”라는 質問을 받는다. 平壤의 富裕層 新世代는 햄버거에 곁들여 麥酒를 마시기도 한다. 

    北韓의 國主(國酒·나라의 술)는 大同江食料工場에서 開發한 平壤燒酒다. 알코올 21%, 23%, 25%는 平壤燒酒, 30%와 40%는 平壤주라고 한다. 平壤株와 平壤燒酒는 韓國의 ‘처음처럼’이나 ‘참이슬’처럼 酒酊에 물을 섞은 稀釋株가 아니라 蒸溜酒다. 쌀과 옥수수를 原料로 한다. 

    韓國에서 팔리는 이른바 ‘大同江 페일에일’은 北韓과 無關한 麥酒다. 붓글씨로 쓴 것처럼 보이는 商標로 인해 北韓産처럼 보이지만 手製 麥酒 會社 더부스가 덴마크 企業과 合作해 만든 麥酒다. ‘大同江 페일에일’이라는 브랜드名으로 販賣하려 했으나 食品醫藥品安全處 基準에 따르면 大同江 물을 實際로 使用해야 브랜드名에 地名을 쓸 수 있다. 大同江의 ‘東’字 部分에 censored(檢閱됐다)라는 작은 글씨를 새겨 넣어 ‘大○江 페일에일’로 팔리는 理由다. 

    北韓은 最近 大同江麥酒의 成功을 디딤돌 삼아 ‘三日浦위스키’를 出市했다. 北韓이 自體 브랜드로 輸出하는 輕工業 製品은 담배와 술이 유이(唯二)하다. 

    新東亞와 함께 大同江麥酒를 試飮한 靑年들에게 “便宜店에서 4캔에 1萬 원에 팔면 마실 거냐”고 물었다. 答은 “當然하죠, 韓國 麥酒보다 맛있어요”였다.



    송홍근 편집장

    송홍근 編輯長

    Alex's husband. tennis player. 午後햇살을 사랑함. 冊 세 卷을 냄. ‘北韓이 버린 天才 音樂家 精麤’ ‘統一先進國의 戰略을 묻다’ ‘DOG’

    車輪型裝甲車에 스마트 遠隔武裝 단다

    “終戰宣言이 美軍撤收로 이어지는 걸 文이 모를 理 없다”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