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WW(월드와이드웹) 誕生 30年|新東亞

WWW(월드와이드웹) 誕生 30年

컴퓨터 科學者의 ‘資料 共有’ 아이디어가 世上을 바꾸다

  • 강석기 科學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入力 2020-03-02 10:00:01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1990年 유럽 한 硏究室에서 誕生

    • 아마존, 구글 等 世界的 企業의 뿌리

    • 넥서스, 넷스케이프, 익스플로러, 크롬

    • 아이폰이 가져온 웹 大衆化

    • 콘텐츠 生産者 暴增의 裏面

    • 網 中立性 確保 課題

    2019년 3월 스위스에서 열린 한 행사에 참석한 ‘월드와이드웹’ 개발자 팀 버너스리. [뉴시스]

    2019年 3月 스위스에서 열린 한 行事에 參席한 ‘월드와이드웹’ 開發者 팀 버너스리_ [뉴시스]

    2019年 10月 24日 世界 1位 甲富가 바뀌었다는 外信이 話題가 됐다. 美國 企業 아마존의 株價가 이날 하루 8.1% 急落하면서 持分의 12%를 所有한 CEO 제프 베이조스의 資産 70億 달러(藥 8兆3000億 원)가 蒸發했다. 그 結果, 베이조스의 總 資産이 1028億 달러(藥 122兆 원)로 줄어 1075億 달러(藥 128兆 원)를 所有한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MS) 技術顧問에게 世界 最高 甲富 자리를 빼앗겼다는 報道였다. 게이츠가 2017年 베이조스에게 1位를 내줬으니, 그의 觀點에서는 2年 만의 奪還人 셈이다. 

    베이조스는 2019年 初 離婚하지만 않았어도 世界 最高 甲富 자리를 지켰을 것이다. 當時 그는 아내 매킨지에게 아마존 持分의 25%를 넘겨줬다. 當時 價値로 356億 달러(藥 42兆 원)에 達하는 額數였다. 이는 人類 歷史上 最高의 慰藉料로 記錄됐다. 

    大體 아마존이 어떤 會社이기에 創業者가 이런 天文學的인 財産을 갖게 됐을까. 1964年生인 베이조스는 美國 프린스턴대에서 電氣工學科 컴퓨터科學을 工夫한 뒤 월스트리트에서 이런저런 일을 하다 30歲인 1994年 아마존을 創業했고 이듬해 온라인 書店 ‘아마존닷컴(amazon.com)’을 열었다. 

    아마존닷컴의 이름이 알려지자 베이조스는 漸次 音盤, 電子製品 等으로 取扱 商品을 늘리며 綜合 쇼핑몰을 만들어갔고, 投資金과 收益金으로 새로운 事業도 벌였다. 그 結果 아마존은 MS, 애플, 구글과 함께 美國을 代表하는 情報通信(IT) 企業이 됐다. 

    베이조스가 事業 天才인 건 分明하다. 하지만 그의 成功은 ‘韻漆器삼(運七技三)’이라고도 할 수 있다. 時代를 正말 잘 타고났다는 얘기다. 이 말은 1998年 구글을 創業한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에게도 똑같이 適用된다(이들은 各各 世界 甲富 6位와 7位다). 이들이 會社를 만들 수 있었던 건 이 무렵 인터넷 大衆化를 이끈 월드와이드웹(World Wide Web·줄여서 WWW 또는 W3 또는 웹(Web)이라고 한다)이 存在했기 때문이다.



    인터넷과 월드와이드웹의 差異

    많은 사람이 월드와이드웹, 卽 웹을 곧 인터넷이라고 여긴다. 하지만 事實 둘은 다른 槪念이다. 인터넷(internet)은 컴퓨터 사이에 情報를 交換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가리키는 包括的인 用語다. 反面 웹은 인터넷을 可能하게 하는 여러 方法, 卽 서비스 가운데 하나일 뿐이다. 그럼에도 워낙 잘 만들어져 컴퓨터를 잘 모르는 사람도 웹을 통해 쉽게 인터넷을 經驗할 수 있게 됐다. 그 結果 大衆의 腦裏에는 ‘웹=인터넷’이라는 等式이 생겼다. 

    1990年 월드와이드웹이 開發되고 30年이 지나는 동안 인터넷, 卽 웹은 世上을 바꿔놓았다고 해도 誇張이 아닐 程度로 우리 삶에 莫大한 影響을 미쳤다. 不過 한 世代도 안 되는 期間이지만 그사이 많은 有數의 企業이 沒落했다. 反面 아마존이나 구글 같은 新生 會社가 世界的인 規模의 企業으로 成長하는 믿을 수 없는 일도 벌어졌다. 이 過程에서 수많은 職業이 사라졌고 또 생겨났다. 

    웹이 불러일으킨 變化에 適應하지 못한 사람들은 “世上이 어떻게 돌아가는 것인지 모르겠다”고 恨歎했고, 이를 機會로 잡은 사람들은 “이게 웬 떡이냐?”며 八字를 고쳤다. 이는 戰爭으로 인한 社會構造 激變과 比較될 程度다. 

    이런 劇的인 變化의 出發點이 바로 1990年 웹의 誕生이다. 當時 웹이 開發되지 않았다면 우린 只今 다른 世上에서 살고 있을 것이다. 언젠가 비슷한 서비스가 開發돼 인터넷 大衆化가 이뤄졌을 수도 있지만 時間은 꽤 遲滯됐을 것이다. 2020年 새해를 맞아 웹 開發 30周年 歷史를 되짚어보고 우리 삶에 미친 影響을 吟味하는 時間을 가져보자. 


    世界 最初의 웹브라우저 넥서스

    웹의 콘텐츠가 보관돼 있는 컴퓨터를 웹 서버라고 한다. 웹브라우저를 통해 해당 콘텐츠(웹 페이지)를 호출하면 HTTP 규약을 통해 웹 서버에 연결돼 콘텐츠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다. 1990년 버너스리가 최초로 만든 웹사이트 콘텐츠가 보관된 웹 서버 컴퓨터(왼쪽)와 개발이 완료된 웹브라우저 ‘월드와이드웹’ [위키피디아]

    웹의 콘텐츠가 保管돼 있는 컴퓨터를 웹 서버라고 한다. 웹브라우저를 통해 該當 콘텐츠(웹 페이지)를 呼出하면 HTTP 規約을 통해 웹 서버에 連結돼 콘텐츠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다. 1990年 버너스리_ 最初로 만든 웹사이트 콘텐츠가 保管된 웹 서버 컴퓨터(왼쪽)와 開發이 完了된 웹브라우저 ‘월드와이드웹’ [위키피디아]

    놀랍게도 웹은 國家나 企業이 投資한 大規模 프로젝트의 結果物이 아니다. 1989年 유럽粒子物理硏究所(CERN)에서 컴퓨터 네트워크를 管理하던 컴퓨터科學者 팀 버너스리__30 Burners-Lee) 한 사람이 떠올린 아이디어가 不過 1年 만에 實現된 結果物이다. 오늘날 ‘웹의 아버지’로 불리는 버너스리_ 어떤 사람일까. 

    1955年 英國 런던에서 태어난 그의 집에는 當時로는 正말 드물게 컴퓨터가 있었다. 父母가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硏究하는 應用數學者였기 때문이다. 이런 環境 德分인지 1976年 옥스퍼드대에서 物理學科를 優等으로 卒業한 버너스리_ 進路를 바꿔 컴퓨터科學者의 길을 걸었다. 

    1984年 CERN에 자리 잡은 버너스리_ 科學者들이 實驗 데이터와 論文을 쉽게 주고받을 수 있는 인터넷 環境을 支援하는 業務를 맡았다. CERN은 數十 個國에서 온 科學者와 工學者 數百 名이 常住하며 巨大粒子加速器를 만들고 實驗해 새로운 物理現象을 發見하는 尖端 硏究所다. 

    이곳의 實驗 데이터는 硏究所 內 科學者들뿐 아니라 世界 곳곳의 共同 硏究者들에게도 共有돼야 했기 때문에 좀 더 빠르고 便利한 인터넷 시스템에 對한 需要가 높아지고 있었다. 인터넷은 이미 1960年代 開發돼 硏究所나 大學 等 硏究 機關을 連結하고 있었지만 機關마다 管理 시스템이 달라 接近하기 어려웠다. 게다가 데이터 容量이 漸漸 커지고 連結된 컴퓨터(嚴密히는 端末機) 數가 늘어나 네트워크가 漸漸 더 複雜하게 엉켰다.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얻느니 차라리 擔當 硏究者에게 直接 電話를 걸어 書類로 받는 게 나을 地境이었다. 

    이런 問題를 解決하려고 努力하던 버너스리_ 1989年 어느 날 문득 이미 解決 方案이 提示돼 있다는 事實을 깨달았다. 다만 여러 아이디어를 한데 모아 具現한 시스템이 存在하지 않았을 뿐이다. 그렇다면 이런 統合 시스템을 만들어보면 어떨까? 

    버너스리_ 提案에 對해 當時 上司는 “模糊하지만 멋진 아이디어”라며 프로젝트化를 承認했다. 以後 버너스리_ 同僚 로베르 카이오와 함께 不過 1年 만인 1990年 12月 25日 웹을 具現하는 데 成功했다. 컴퓨터에서 웹에 接近하기 위한 窓인 웹브라우저 ‘월드와이드웹(WorldWideWeb)’을 만들어 亦是 自身들이 만든 世界 最初의 웹사이트(info.cern.ch)를 불러냈다. 그 뒤 웹브라우저 이름이 서비스 이름과 같아 헷갈린다는 指摘에 따라 브라우저 이름은 ‘넥서스(Nexus)’로 改名했다. 그렇다면 웹의 核心 아이디어는 무엇일까. 

    먼저 콘텐츠를 하이퍼텍스트(hypertext)로 만든다. 웹 페이지를 읽다 보면 밑줄이 쳐진 파란色 單語나 文句를 볼 수 있다. 이것을 클릭하면 새로운 웹 페이지가 열린다. 이를 하이퍼링크(hyperlink)라고 한다. 웹 페이지가 하이퍼링크를 통해 서로 連結돼 있고 사람들은 이를 클릭하기만 하면 쉽게 웹 페이지 사이를 넘나든다. 그 結果 願하는 情報를 훨씬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다. 하이퍼링크를 따라 여기저기 둘러보는 行爲를 흔히 ‘웹 서핑(web surfing)’이라고 한다. 

    다음은 도메인 네임(domain name) 시스템이다. 이는 하이퍼텍스트로 만든 콘텐츠(웹 페이지)에 住所를 體系的으로 指定하는 方式을 의미한다. 웹사이트(website)는 關聯된 웹 페이지를 하나의 도메인 네임(domain name) 아래 모아놓은 묶음이다. 例를 들어 ‘신동아’ 웹사이트의 도메인 네임(shindonga.donga.com)을 入力한 뒤 엔터키를 치면 홈페이지 畵面이 열리고 目錄에 있는 記事를 클릭하면(물론 하이퍼링크로 連結돼 있다) 웹 페이지가 뜬다. 그 住所(URL)를 보면 도메인 네임 뒤에 ‘/…’ 式으로 標示돼 있다. 한 家族이라는 말이다. 

    하이퍼텍스트의 놀라운 點은 하이퍼링크의 範圍가 한 웹사이트 안에 局限되지 않는다는 點이다. 하이퍼텍스트로 만든 모든 콘텐츠는 하이퍼링크로 서로 連結될 수 있다. 卽 클릭 한 番이면 舞臺가 完全히 바뀐다. 

    한마디로 웹은 다양한 形態의 콘텐츠가 하이퍼텍스트로 묶인 巨大한 集合이다. 事實 하이퍼텍스트는 1963年 情報技術 分野 開拓者 테드 넬슨이 만든 用語지만 버너스리_ 이를 具現하는 컴퓨터 言語 HTML을 만들면서 實用化됐다.

    웹 大衆化 이끈 넷스케이프

    파이어폭스, 크롬, 익스플로러 등 웹브라우저가 개발되면서 웹의 대중화가 이뤄졌다. [GettyImage]

    파이어폭스, 크롬, 익스플로러 等 웹브라우저가 開發되면서 웹의 大衆化가 이뤄졌다. [GettyImage]

    한便 버너스리_ 同僚들은 웹에서 하이퍼텍스트로 만들어진 콘텐츠를 登錄하거나 編輯하고 컴퓨터에서 불러오기 위한 規約(프로토콜)도 만들었다. 이를 HTTP라고 한다. HTTP 프로토콜을 따르는 典型的인 URL(흔히 ‘웹사이트 住所’라고 한다)은 ‘http://www.…’으로 始作한다. 이때 ‘http:’는 이 콘텐츠에 接近하는 프로토콜이 HTTP라는 뜻이고 ‘// ’는 뒤에 도메인 네임이 온다는 뜻이다. 

    도메인 네임은 웹사이트임을 나타내기 위해 ‘www’로 始作하는 境遇가 많지만 반드시 그럴 必要는 없다. 콘텐츠를 登錄하거나 編輯하는 作業이 아니라 單純히 불러오는 境遇는 ‘http://’를 쓸 必要가 없기도 하다. 그래서 最近 많은 웹사이트 住所(URL)에서 ‘http:’ 表記가 省略돼 있다. 

    어쨌든 웹을 開發하고 氣分 좋게 年末을 보낸 버너스리_ 1991年 1月 CERN뿐 아니라 다른 硏究所에도 웹브라우저 ‘넥서스’를 配布했다. 이제 硏究所들은 웹사이트를 만들어 하이퍼텍스트로 쓰인 콘텐츠를 올리고 HTTP 規約에 따라 손쉽게 다른 硏究所의 콘텐츠에 接近할 수 있게 됐다. 硏究 效率이 크게 높아졌음은 勿論이다. 웹이 잘 돌아가는 것을 確認한 버너스리_ 같은 해 8月 一般 大衆에게까지 ‘넥서스’를 公開하며 無料 配布했다. 바야흐로 情報化 時代의 幕이 열린 것이다. 

    그런데 科學者들의 뜨거운 反應과 달리 初期 웹에 對한 大衆의 反應은 미지근했다. 大部分의 사람이 컴퓨터에 익숙하지 않아 文書 基盤 웹브라우저인 넥서스를 使用할 엄두가 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게다가 訪問할만한 웹사이트도 얼마 되지 않았다. 

    이런 狀況이 바뀐 건 1993年, 美國 일리노이대 在學生 마크 앤드리슨이 그래픽 基盤 웹브라우저 ‘모자이크(Mosaic)’를 開發하면서부터다. 이제 컴퓨터 마니아가 아닌 사람도 모자이크의 案內에 따라 쉽게 웹을 旅行할 수 있게 됐다. 이듬해 會社를 차린 앤드리슨은 모자이크를 改善한 ‘넷스케이프 내비게이터(Netscape Navigator)’를 내놓았고 反應은 暴發的이었다. 제프 베이조스가 인터넷 書店을 構想하고 아마존을 創業한 게 바로 이때다. 

    1995年 筆者는 國內 某 企業 硏究所 硏究員이었다. 當時 會議室에서 넷스케이프 내비게이터 使用法에 對한 講義를 들으며 ‘이게 都大體 무슨 얘긴가?’ 어리둥절했던 記憶이 난다. 1990年代 後半 MS의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웹브라우저 市場을 平定했고 2008年 구글이 ‘크롬’을 내놓으면서 猛追擊해 逆轉에 成功했다. 오늘날엔 크롬의 웹브라우저 占有率이 60%가 넘는다.

    스마트폰 時代의 웹

    2007년 미국 뉴욕에서 아이폰 출시를 기다리는 사람들(위). 2019년 국내에서 가장 많이 조회된 동영상(공식 뮤직비디오 제외)은 가수 장윤정이 신곡 ‘목포행 완행열차’를 부르는 장면을 담은 동영상으로 1320만 회의 조회수를 기록했다. [GettyImage, 유튜브 캡처]

    2007年 美國 뉴욕에서 아이폰 出市를 기다리는 사람들(危). 2019年 國內에서 가장 많이 照會된 動映像(公式 뮤직비디오 除外)은 歌手 장윤정이 新曲 ‘木浦行 緩行列車’를 부르는 場面을 담은 動映像으로 1320萬 會議 照會數를 記錄했다. [GettyImage, 유튜브 캡처]

    2007年 애플이 아이폰을 出市하며 스마트폰 時代가 열렸고, 이와 더불어 웹의 두 番째 跳躍이 이뤄졌다. 1990年 以後 인터넷 인프라가 急激히 擴張되고 데이터 電送 速度가 빨라지면서 웹이 널리 퍼졌지만 컴퓨터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 如前히 많았다. 特히 中壯年層 以上에서는 ‘인터넷(=웹)’이라는 單語에 疏外感을 느끼는 사람이 많았다. 웹 서핑에 익숙한 사람도 컴퓨터 앞에 앉아 있을 때만 接續할 수 있다는 點에서 時間과 空間의 制約도 있었다. 

    그런데 스마트폰이 本格的으로 普及되면서 所謂 ‘컴맹’인 사람도 直觀的으로 作動하는 손 안의 컴퓨터로 쉽게 웹을 旅行할 수 있게 됐다. 여기에 페이스북과 트위터, 인스타그램 等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結合하면서 웹의 덩치는 걷잡을 수 없을 程度로 커졌다. 最近에는 유튜브가 人氣를 얻으면서 初等學生의 將來 希望 1位가 ‘유튜버’인 世上이 됐다. 

    事實 애플이 스마트폰을 내놓으며 선보인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줄여서 ‘어플’ 또는 ‘앱’이라고 부른다)은 웹이 아니라 모바일 機器에 最適化된 別途의 인터넷 서비스다(이를 네이티브앱(native app)이라고 한다). 

    하지만 오늘날 우리가 쓰는 大部分의 앱은 하이브리드앱(hybrid app)이다. 卽 包裝紙만 앱이고 內容物은 웹이다. 이미 웹으로 만들어진 콘텐츠를 다시 앱 樣式으로 만들려면 費用이 많이 들기 때문이다. 게다가 네이티브앱은 아이폰用과 안드로이드폰用을 따로 만들어야 해 費用이 二重으로 든다. 

    요즘 우리가 즐겨 찾는 포털과 쇼핑몰, SNS 等의 앱은 大部分 하이브리드앱으로 콘텐츠는 웹이다. 例를 들어 스마트폰에 設置한 敎保文庫 앱을 누르면 열리는 畵面은 스마트폰의 네이버 또는 구글에서 교보문고를 檢索해 사이트 住所(mobile.kyobobook.co.kr)를 클릭했을 때 열리는 畵面과 똑같다. 結局 스마트폰에서도 인터넷은 大部分 웹 서비스를 利用한다는 말이다. 

    다른 인터넷 서비스도 웹의 影響을 받고 있다. 例를 들어 e메일(電子郵便)이나 카카오톡 같은 메신저도 웹 페이지 住所를 쓰면(예를 들어 www.donga.com) 自動으로 하이퍼텍스트처럼 밑줄이 있는 파란色으로 바뀌면서 하이퍼링크가 生成돼 클릭하면 웹으로 連結된다. ‘한글’이나 ‘MS워드’ 같은 워드프로세서 프로그램에서도 마찬가지다.

    모두가 콘텐츠 生産者 되는 世上

    수많은 익명의 개인이 필자로 참여하는 인터넷 백과사전 위키피디아. [GettyImage]

    수많은 匿名의 個人이 筆者로 參與하는 인터넷 百科事典 위키피디아. [GettyImage]

    웹이 자리 잡으면서 ‘世界 모든 사람이 情報를 만들고 共有하는’ 버너스리_ 꿈이 事實上 이뤄졌다. 그의 以上이 具現된 代表的인 例는 匿名의 수많은 사람이 筆者로 參與하는 인터넷 百科事典 ‘위키피디아(wikipedia)’일 것이다. 

    누구나 콘텐츠의 生産者가 되는 건 過去에는 想像할 수도 없던 일이다. 每日 日記를 쓰는 사람은 이미 콘텐츠 生産者이긴 하다. 하지만 本人 外에는 보는 사람이 없기 때문에 意味가 없다. 내가 만든 콘텐츠를 남에게 보여주고 싶어도 過去엔 方法이 極히 制限돼 있었다(그러니 ‘샘터’ 같은 雜誌에 보낸 隨筆이 揭載되면 平生 記憶될 일이었다!). 그 時代에 콘텐츠 生産者는 學者나 作家, 記者, PD 等 少數에 不過했다. 

    그런데 웹의 登場으로 누구나 마음만 먹으면 自己 웹사이트를 만들어 콘텐츠를 올릴 수 있게 됐다. 블로그가 代表的인 例다. 2000年代 들어 블로그를 運營하는 사람, 卽 블로거가 暴發的으로 늘었고 몇몇은 人生이 바뀌기도 했다. 

    科學著述家 이은희 作家도 그런 사람 가운데 한 名이다. 某 企業 硏究所 硏究員이었던 이 作家는 趣味로 블로그를 만들어 生物學 이야기를 틈틈이 써 올렸는데 네티즌 사이에 人氣가 높았다. 마침내 한 出版社가 그 內容에 注目했고, 2002年 ‘하라하라의 生物學 카페’라는 冊을 펴냈다. 이것이 베스트셀러가 되면서 李氏는 硏究所를 그만두고 專業 作家로 나서 只今은 우리나라에서 손꼽히는 科學著述家가 됐다. 

    事實 블로그 같은 웹사이트를 運營하는 건 꽤 부지런해야 할 수 있는 일이기 때문에 如前히 오랫동안 大多數 사람은 콘텐츠 消費者에 머물렀다. 그러나 스마트폰과 SNS가 結合되면서 이제 正말 누구나 콘텐츠 生産者인 時代가 됐다. 

    모든 일에는 銅錢의 앞뒷面처럼 밝은 面과 어두운 面이 있다. 웹도 例外는 아니다. 버너스리_ 바람대로 마음만 먹으면 하루 終日 良質의 情報를 마음껏 接할 수 있는 平等한 世上이 됐지만 어느 時點부터 웹의 情報가 넘쳐나면서 내가 願하는 情報를 찾기 어려운 狀況이 펼쳐지기 始作했다. 卽 檢索의 重要性이 커졌다. 이를 알아챈 컴퓨터工學도 두 사람이 檢索엔진을 만드는 事業을 構想해 1998年 創業한 會社가 바로 구글이다. 

    卓越한 檢索엔진이 나왔다고 바로 問題가 解決되지는 않는다. 良質의 情報뿐 아니라 不良 情報에 對해서도 接近이 더 쉬워졌기 때문이다. 사람은 맑은 것보다 濁한 것에 더 끌리기 마련이다(‘물이 맑으면 고기가 살지 않는다’는 옛말이 있듯이). 各國 政府를 中心으로 明白히 有害한 사이트를 遮斷하려는 努力이 進行되고 있지만 이를 回避하는 方法도 進化하고 있어 戰爭은 끝나지 않을 것 같다.

    웹이라는 兩날의 칼

    情報의 歪曲 또는 造作도 웹 發展이 가져온 深刻한 副作用이다. 2016年 美國 大選이 보여줬듯 웹을 통해 假짜 뉴스가 瞬息間에 퍼지면서 사람들의 判斷을 흐리게 하고 있다. 이런 行爲가 갈수록 巧妙해짐에 따라 무엇이 眞實이고 무엇이 거짓(假짜)인지 區分하기가 漸漸 더 어려워지고 있다. 버너스리_ 꿈꾸던 웹의 모습과는 正反對가 되는 現象이다. 

    웹은 사람들의 精神健康에도 深大한 影響을 미치고 있다. 特히 스마트폰이 本格 普及된 2010年代 들어 SNS와 온라인 게임, 온라인 쇼핑에 中毒된 사람이 크게 늘었다. 會社에서 SNS를 지나치게 하다 數次例 指摘을 받고도 고치지 못해 結局 쫓겨난 사람도 있다. 

    公人들 亦是 웹 때문에 큰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어디를 가나 스마트폰 카메라를 의식해야 하기 때문이다. 些少한 失手나 다툼도 카메라에 捕捉돼 웹에 올라가는 瞬間 수많은 사람 앞에 露出된다. 이는 瞬息間에 堪當하기 어려운 非難으로 돌아온다. 얼마 前 自殺恨 젊은 女性 演藝人의 境遇 前 男子親舊에게 “性關係 動映像을 公開하겠다”는 脅迫을 받은 以後 極甚한 스트레스에 시달렸다고 한다. 

    이는 一般人도 마찬가지다. 예전에는 누군가가 나의 隱密한 場面을 훔쳐보더라도 그 사람의 記憶 속에 남아 있을 뿐이었지만(물론 이것도 무척 不快한 일이다) 只今은 動映像으로 記錄돼 萬人이 ‘鑑賞’할 수 있는 끔찍한 世上이 됐다. 많은 女性이 日常生活에서 이런 被害를 볼지도 모른다는 不安感을 느끼는 건 儼然한 現實이다. 

    獨逸 베를린藝術代의 哲學者 한병철 敎授는 2012年 出刊한 冊 ‘透明社會’에서 웹이 年 情報化 社會의 副作用을 指摘했다. 그는 “걸러지지 않은 大量의 情報는 地殼을 무뎌지게 한다”며 “情報의 過多는 思惟의 萎縮으로 歸結된다”고 썼다. 

    SNS 亦是 日常 公開를 包含한 情報 交換을 통해 他人과의 커뮤니케이션을 圓滑히 하는 것보다 自身에 對한 認定을 渴求하는 側面(올린 콘텐츠에 對한 ‘좋아요’ 回數에 따라 一喜一悲한다!)이 더 强하다. 知人이 SNS에 올린 旅行地나 맛집에서 찍은 寫眞을 보며 ‘좋아요’를 누를 때 느끼는 스트레스도 만만치 않다. 그 結果 SNS에 많은 時間을 보낼수록 더 憂鬱해진다는 硏究 結果가 여럿 나왔다. 

    韓 敎授는 앞의 冊에서 “소셜미디어는 나르시시즘的 媒體”라며 “憂鬱症은 무엇보다도 나르시시즘的인 疾病”이라고 喝破했다. ‘透明社會’가 나오고 8年이 지난 只今, 웹의 影響力이 더 커지면서 社會는 더 透明해졌고 憂鬱症이나 不眠症을 呼訴하는 사람은 더 늘어났다.

    버너스리_ 끝나지 않은 꿈

    1993年 接近性이 높은 웹브라우저의 登場으로 웹이 本格的으로 大衆化되자 버너스리_ 이듬해 10月 ‘W3C(World Wide Web Consortium)’를 設立해 웹의 國際標準을 만드는 作業에 邁進했다. W3C에는 世界 各國의 關聯 機關이 參與하고 있다. 

    W3C는 只今까지 80餘 個의 勸告案을 發表했고 웹 關聯 敎育과 소프트웨어 開發에 關與해왔다. 特히 웹 言語와 프로토콜에 對한 著作權이 없는 公開 標準을 만들어 웹이 分裂되거나 商業化되는 걸 막는 데 注力하고 있다. 웹 開發者가 自身의 物質的 利益이 아니라 人類의 知的 資産 擴散에 寄與하는 데 삶의 意味를 둔 사람이라는 게 人類로서는 커다란 幸運이 아닐 수 없다. 

    豫想할 수 있겠지만 버너스리_ 自身이 만든 웹이 成長하는 樣相에 갈수록 失望이 커졌다. 너무나 빨리 웹이 政府와 企業의 손아귀에 들어가 巧妙하게 左之右之되는 空間으로 轉落했기 때문이다. 結局 버너스리_ 2009年 ‘월드와이드웹財團(WWWF)’을 設立해 ‘網 中立性’을 되찾기 위해 努力했다. 

    網 中立性(net neutrality)이란 政府와 企業이 인터넷(웹)에 存在하는 콘텐츠에 對해 ‘비差別, 相互接續, 接近性’의 세 가지 原則을 同一하게 適用해야 한다는 精神을 의미한다. 例를 들어 最近 中國 政府는 選別的인 웹사이트 遮斷으로 網 中立性을 크게 毁損하고 있다. 버너스리_ 이런 現象에 斷乎하게 反對한다. 

    2019年 11月 25日 獨逸 베를린에서 열린 ‘인터넷 거버넌스 포럼’에서 버너스리_ WWWF는 ‘웹을 위한 約定(Contract for the Web)’으로 명명한 캠페인을 始作한다고 發表했다. 웹이 誤用되는 걸 막고 人類의 利益을 위해 쓰일 수 있게 9個 原則을 定해 各 主體(政府, 企業, 市民)가 實踐하도록 促求하자는 內容이다. 

    이에 따르면 政府가 지켜야 할 原則 세 가지는 ‘누구나 인터넷에 連結할 수 있게 保障하고, 모든 인터넷을 恒常 쓸 수 있게 하고, 國民의 온라인 私生活과 데이터 權利를 保障해야 한다’이다. 企業이 지켜야 할 原則 세 가지는 ‘누구나 인터넷에 接近할 수 있게 하고, 顧客의 私生活과 個人 데이터를 尊重하고, 人類를 위한 技術을 開發해야 한다’이다. 끝으로 市民은 ‘웹의 創造者이자 協力者가 돼야 하고, 人間 尊嚴性을 尊重하는 커뮤니티를 만들고 웹을 지키기 爲해 싸워야 한다’. 다 좋은 말인데 어딘지 空虛하기도 하다. 

    人類에게 웹을 膳物한 버너스리_ 2002年 BBC가 選定한 ‘偉大한 英國人 100人’에 이름을 올렸고, 2004年 ‘밀레니엄 테크놀로지賞’의 첫 受賞者가 됐다. 그리고 2016年 튜링賞을 받았다. 

    筆者는 이番 글을 準備하며 1997年 美國 月刊 科學誌 ‘사이언티픽 아메리칸’(12月號)에 실린 버너스리_ 인터뷰를 읽어봤다. 當時 42歲인 버너스리_ “웹이 아직 潛在力을 充分히 發揮하지 못하고 있다”고 아쉬워하면서도 웹을 통해 父母님께 크리스마스 膳物을 보낸 經驗을 들려줬다. 

    그 무렵 美國 MIT에 살고 있던 버너스리_ 英國 런던에 있는 父母에게 보낼 크리스마스 膳物로 웹사이트에서 와인 한 箱子를 注文했다. 버너스리_ “父母님 집 앞까지 配達하는 費用으로 7파운드, 卽 고작 10달러(藥 1萬2000원)만 支拂했다”면서 “이런 얘기는 들어본 적도 없다”며 즐거워했다. 只今 생각하면 正말 素朴한 幸福이다.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