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양유업 커피믹스 갖다주시라요”|신동아

特別企劃 | 市場, 北韓을 바꾸다

“남양유업 커피믹스 갖다주시라요”

北-中 接境地域 르포

  • 단둥=김유림 | 채널A 記者 rim@donga.com

    入力 2016-01-05 11:12:22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中國 派遣 北 勞動者 月給 40萬 원
    • “韓國 밥솥 살 사람은 벌써 다 샀다”
    • 子女 몫으로 中國 住宅도 購入
    • “5·24措置 탓 中國人만 신났다”
    便安한 차림으로 食卓에 앉자 김치, 멸치볶음, 콩자반 같은 익숙한 飮食이 우리를 반겼다. 食卓에 둘러앉은 韓國人 投資 希望者와 朝鮮族 企業家, 그리고 北·中 境界를 硏究하는 硏究者 等이 隔意 없이 對話를 나눴다. 北韓에서 태어난 華僑 出身 아주머니가 식은 국을 데워줬고, 어제 막 北韓에서 汽車를 타고 親戚을 만나러 왔다는 北韓 村老(村老)는 緊張한 채 默默히 수저질만 했다.
    北韓 平安北道 新義州와 陸路로 이어진 中國 東北地域의 단둥(丹東)은 北韓에 큰 意味가 있다. 北·中 貿易의 70~80%가 이 都市에서 이뤄진다. 北韓 場마당에서 팔리는 中國産 生必品 大部分이 단둥 地域을 통해 傳達된다.? 北韓 사람과 韓國 사람, 朝鮮族과 北韓 出身 華僑까지 多樣한 背景을 가진 이들이 저마다 利益을 좇아 모여들었다. 正確한 統計는 없지만 단둥에 머무는 北韓 사람은 1萬 名이 넘을 것으로 推測된다. 取材陣은 7泊8日間 단둥 等 北·中 國境 地域으로 돈을 벌기 위해 나온 北韓 사람들을 만났다.



    김일성 배지 거의 안 달아

    하루 날을 잡아 北韓에서 中國으로 들여오는 物資의 뒤를 쫓아보았다. 出發點은 이른바 ‘鴨綠江鐵橋’다.
    11月 16日 月曜日 午前, 구슬비가 쉴 새 없이 내리는 동안에도 ‘平北’ 番號版을 단 貨物車들이 끊임없이 鐵橋 위를 지났다. 車 한 臺가 지나갈 때마다 철컹철컹 不安한 쇳소리가 江가에 울려 퍼졌다. 1943年 開通돼 낡을 대로 낡은 鴨綠江鐵橋는 道路 곳곳이 파여 있고 車가 한 車線으로밖에 다닐 수 없다. 이 때문에 事故도 잦다. 그럼에도 鴨綠江鐵橋는 北·中 間 物資와 사람, 돈이 오가는 가장 重要한 通路다.
    鴨綠江鐵橋에서 5分 남짓 떨어진 단둥 稅關. 往復 8車線 道路는 稅關에 들어서는 車와 나가려는 車가 뒤엉켜 북새통을 이뤘다. 北韓에서 단둥으로 들어온 車들은 모두 稅關에 들러 檢査를 받아야 한다. 稅關 안에는 검은色 옷을 맞춰 입은 北韓 女性들이 버스를 기다리고 있었다. 3~4個月 單位의 中國 居住 비자를 更新하고자 暫時 北韓에 다녀오려는 勤勞者들이었다.
    特記할 點은 稅關을 가득 메운 北韓 사람 中 ‘김일성 배지’를 단 사람이 거의 없다는 點. 脫北者 出身으로 北·中 國境 地域 交流를 硏究하는 김형덕 韓半島平和繁榮硏究所長은 “以前에 北韓 사람들은 모두 배지를 着用하고 制限된 行動만 했다. 韓國 사람과 對話하거나 交易하는 것 自體를 警戒하는 雰圍氣가 있었다면 只今은 훨씬 부드러워졌다”고 傳했다.
    稅關을 通過한 北韓 貨物車의 뒤를 쫓아 車로 20分쯤 가니? 貨物 下車場이 나타났다. 車마다 가득 실어온 物資를 내리는데, 까맣고 하얀 가루 무더기였다. 北韓 運轉技士는 “新義州에서 들여온 鐵鑛石”이라고 說明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에 따르면 2014年 北韓이 가장 많이 輸出한 品目은 石炭, 鐵鑛石 等 鑛物性 生産品이다. 15億6800달러를 輸出했는데 그中 97.4%가 中國으로 들어갔다.



    “韓國 製品 寫眞 찍어 注文”

    멀지 않은 곳에서는 反對로 北韓에 들어가는 物件을 싣고 있었다. 貨物車마다 ‘太陽熱 發電機’가 가득히 쌓였다. 北·中 貿易 事業을 하는 ‘北韓 華僑’ 鄭某 氏는 “電力難과 겨울철 暖房 大亂을 準備하는 것”이라고 傳했다. 그 옆에는 中國 內陸 地方에서 栽培한 橘, 沙果 等 과일이 가득 실린 車가 出發을 기다렸다.
    貨物車는 北韓에 生必品도 傳達한다. 特히 韓國 製品이 人氣가 많다. 稅關 앞 한 商店에 들어가 “北韓 親戚에게 갖다줄 韓國産 粉乳를 包裝해달라”고 했더니 能熟한 손길로 粉乳 商標를 벗기고 검정 사인펜으로 브랜드를 지웠다. 北韓 運轉技士들이 검정 사인펜을 몇 個씩 들고 다니면서 一一이 브랜드를 지우기도 했다. “事實 韓國 物品이라는 걸 알면서도 稅關에서는 눈감아주는 것”이라고 한다.
    北韓에서 富裕한 이들은 直接 韓國産 物品 寫眞을 찍어 注文하기도 한다. 取材陣이 만난 한 貿易商은 “最近 남양유업의 커피믹스와 韓國産 染色藥을 注文받았다”며 “韓國에서는 얼마에 파는 製品이냐”고 되묻기도 했다.
    最近까지 가장 人氣 있던 韓國 製品은 電氣밥솥. 하지만 요즘은 電氣밥솥을 들여가는 사람은 거의 없다고 한다. 한 商人의 말을 빌리자면 “이미 韓國 밥솥 살 餘裕가 있는 사람은 다 샀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轉換 體制를 맞이하려는 北側의 努力은 끊이지 않는다. 取材陣은 國境 地域에서 北韓 對外經濟性이 2015年 2月 許可한 ‘開發事業權承認書’를 入手했다. ‘朝鮮진한開發會社’라는 北·中 合作會社가 平安北道 新義州詩 林道 開發을 하도록 承認한 內容이다. 이 開發會社에는 中國과 北韓 企業이 各各 7對 3으로 投資했다고 돼 있지만, 조봉현 IBK經濟硏究所 首席硏究委員은 “北韓은 인프라를 제공받는 代價로 開發權을 주는 境遇가 많기 때문에 事實上 中國의 持分이 絶對的일 것”이라고 解釋했다. 이 開發會社의 資本金은 1億8000달러(2000億 원)에 達한다. 林道의 地域 開發과 觀光, 農業, 金融, 物流, 不動産 開發 等을 事業 目的으로 한다. 鴨綠江 下流의 섬 威化島 바로 옆에 있는 林道는 面積이 6.2㎢로 汝矣島 面積의 2倍가 넘는다. 北韓은 賃搗를 50年間 利用할 수 있는 土地利用症도 함께 發給했다.
    김형덕 所長은 “政治的 不安定性 때문에 投資 誘致가 쉽지 않다 보니 50年을 期限으로 開發權을 주는 것”이라며 “이런 投資가 擴散될수록 北韓 經濟에 對한 中國의 影響力은 커질 수밖에 없다”고 憂慮했다.

    “돈에는 國境이 없다”

    取材陣은 단둥에서 偶然히 北韓의 勞動黨 指導員을 만날 수 있었다. 人民服을 입고 배지까지 단 그는 40代 後半의 나이에 어울리지 않게 白髮이 星星했고 손과 목에 주름이 가득했다. 그는 단둥과 지안(集安)에 있는 먼 親戚을 만나러 왔다고 했다. 지안驛에 내렸을 때 約束한 親戚이 안 나오면 어떻게 할 건지 크게 걱정하고 있었다.
    그에게 北韓 雰圍氣를 물었더니 “將軍님 德分에 잘 먹고 산다”며 뻣뻣하게 答했다. “黨 創建 70周年을 맞아 强盛大國으로 나아간다”는 말도 덧붙였다. 그러면서도 그는 “北韓에 被服工場을 세우고 싶은데 南韓에는 그런 設備를 받을 데가 많지 않으냐”며 끊임없이 質問을 퍼부었다.
    단둥 稅關 앞 한 商店에서 取材陣은 北韓 保衛部 要員을 만났다. 嚴格한 잣대로 사람들을 判斷하는 탓에 北韓 勞動者들에게 惡名이 높은 이다. 그런 그도 韓國 有名 商標가 달린 內衣를 한참 들여다보며 살지 말지 苦悶했다. 取材陣이 다가가자 뒤로 물러서는 듯하면서도 다른 韓國 物件들을 들여다봤다.
    北韓 華僑 出身 무역가 한某 氏는 술을 들이켜며 이렇게 答했다.
    “北韓 사람들도 다 알아요. 돈에는 國境이 없고 돈은 無條件 좋다는 걸. 北韓 사람들이 그걸 알아가는데 韓國 사람들은 於此彼 5·24 對北 制裁 때문에 投資도 못하고…. 結局 中間에서 中國 사람들만 신났다 이거예요.”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