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香娘각시 : 忠北 淸州|新東亞

곽재식의 怪物餘地도

香娘각시 : 忠北 淸州

“두꺼비가 지네와 싸워 사람을 救했다”〈송전필담〉

  • 곽재식 小說家

    gerecter@gmail.com

    入力 2020-01-06 14:00:01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할리우드 映畫를 보면 거미, 개미, 사마귀, 벌 等 節肢動物이 怪物로 變身해 사람을 攻擊하는 場面이 자주 나온다. 우리나라에도 예부터 그런 이야기가 제법 많이 傳해졌다. 特히 사람보다 훨씬 큰 지네가 登場하는 怪談이 人氣를 끌었다.
    일러스트레이션·이강훈/ 워크룸프레스 제공

    일러스트레이션·이강훈/ 워크룸프레스 提供

    地球에 사는 動物種 가운데 가장 數가 많은 건 節肢動物이다. 몸이 마디로 나뉘고 껍질에 싸여 있는 動物로, 昆蟲類 거미류 다지류 甲殼類 等이 이에 屬한다. 이들은 種類가 다양하고 個體 數도 대단히 많다. 그래서 풀 한 포기 없는 索莫한 빌딩 숲에서도 節肢動物만큼은 쉽게 만날 수 있다. 地下室 구석에는 거미가, 步道블록 틈새엔 개미가 산다. 

    節肢動物의 또 다른 特徵은 우리와 매우 다르게 생겼다는 點이다. 고양이는 눈 두 個, 콧구멍 두 個, 다리 네 個로 構造上 사람과 크게 다를 바 없다. 反面 거미는 눈이 여덟 個, 다리도 여덟 個다. 지네는 다리가 數十 個에 이른다. 

    어쩐지 奇怪하게 느껴지지만 어디서나 接할 수 있는 이런 屬性 때문에 節肢動物은 일찍부터 怪物 이야기 素材로 널리 쓰였다. 特히 SF가 大流行한 1950年代 美國 할리우드에서는 節肢動物이 怪物로 變해 사람을 攻擊하는 內容의 映畫가 쏟아졌다.

    祭物이 된 處女

    1954年 나온 ‘그놈들!(Them!)’이라는 映畫는 사람보다 몇 倍 큰 개미가 사람을 攻擊하는 內容이다. 1955年作 ‘毒거미(Tarantula)’에도 커다란 거미가 나온다. 1957年 映畫 ‘殺人 사마귀(The Deadly Mantis)’의 主役은 題目 그대로 사마귀이고, 같은 해 나온 ‘綠色 地獄에서 온 怪物(Monster from Green Hell)’에서는 커다란 罰이 怪物이었다. 

    우리나라에도 節肢動物이 怪物로 登場하는 이야기가 많이 傳해진다. 그中 가장 널리 알려진 건 커다란 지네 이야기일 것이다. 줄거리는 이렇다. 忠北 어느 고을 사람들은 해마다 한 名씩을 洞네 외딴집에 보낸다. 一種의 祭物이다. 그 집에서 밤을 보내는 사람은 다음 날 어김없이 屍體로 發見된다. 어느 해, 가난한 女性이 祭物이 돼 그 집에 간다. 밤이 되자 女性 앞에 사람보다 몇 倍 큰 지네가 나타난다. 그 瞬間 平素 이 女性이 돌봐주던 두꺼비가 登場해 지네와 맞서 싸운다. 그 德에 女性이 살아남고, 지네는 사라진다. 



    이 傳說을 들어본 사람이 많을 것이다. 大體 언제, 어디서부터 퍼지기 始作했을까. 궁금症을 갖고 資料를 찾아봤다. 朝鮮 英·正祖 時代에 살았던 學者 心材의 冊 ‘송천필담’에 우리가 알고 있는 것과 거의 똑같은 內容의 지네怪物 이야기가 실려 있었다. 그러니까 最小限 200~250年 前부터 이 傳說이 完成된 形態로 사람들 사이에서 떠돌았던 셈이다. 

    왜 朝鮮 後期에 이런 傳說이 流行했을까. 나는 壬辰倭亂, 丙子胡亂, 李适의 亂, 李麟佐의 난 같은 많은 戰爭을 겪으면서 破壞된 빈집이 늘어난 게 한 原因이었을 거라고 想像한다. 朝鮮 木造住宅은 축축하게 썩을 境遇 지네가 살기에 좋은 環境이 된다. 누군가 그런 빈집에 들어갔다가 갑자기 튀어나온 지네를 보고 크게 놀랐다면, 또 그런 經驗을 한 사람이 제법 많았다면 지네 傳說이 共感을 얻기에 좋은 狀況이지 않았을까.


    傳說의 故鄕

    송천필담. [한국학중앙연구원 제공]

    송천필담. [한국학중앙연구원 提供]

    송천필담에서 지네 이야기의 背景으로 登場하는 場所는 오공원(蜈蚣院)이다. 원(院)은 過去 宿泊業所 구실을 하던 곳을 가리키는 單語다. 高麗時代 以前 記錄을 보면 원은 主로 절과 함께 運營됐던 것 같다. 寺刹에서 나그네에게 慈悲를 베풀고자 절 한 쪽에 外部人이 밥을 먹거나 자고 갈 수 있는 建物을 마련해둔 게 바로 원이었다. 오공원度 한때는 그런 곳이었을 것이다. 

    그런데 송천필담은 이 空間을 사람이 잘 가지 않는, 낡고 외딴 建物로 描寫한다. 아마 營業을 中斷한 지 꽤 된, 오랜 時間 放置돼 凶家처럼 變한 곳이라고 봐야 할 것이다. 朝鮮時代 佛敎가 衰退하면서 査察에 딸려 있던 오공원度 버려진 게 아닐까. 그게 아니라면 앞서 言及한 여러 件의 戰爭을 치르는 사이 亡해버렸는지도 모른다. 어쨌든 오공원 傳說은 衰落한 호텔에서 怪物이 나타난다는 이야기니, 現代 恐怖映畫 스토리로도 썩 잘 어울린다는 느낌이다. 

    오공원이라는 이름에서 蜈蚣(蜈蚣)은 지네를 意味한다. 그러니까 오공원은 요즘 式으로 말하면 지네 호텔이다. 처음부터 이 숙밥業所 이름이 오공원이었을 수 있다. 하지만 지네怪物 傳說이 流行한 뒤 이런 이름이 붙었을 可能性이 더 크다. 그곳이 지네 이야기의 實際 舞臺였기 때문이다. 송천필담을 봐도 該當 마을 사람들은 自身들이 祭物을 바치는 對象이 지네라는 事實을 모르고 있었던 것 같다. 그저 마을의 平和를 위해 낡은 建物에 사람을 바쳤을 뿐이다. 적어도 가난한 한 處女가 깊은 밤 그곳에서 巨大한 지네를 마주치기 前까지는 말이다. 

    송천필담에 따르면 處女로부터 平素 恩惠를 입은 두꺼비와 지네는 서로 毒을 내뿜으며 싸웠다. 이들은 處女 앞에서 마치 흰 천을 펼치는 것처럼 毒기운을 내뿜었다고 돼 있다. 두 動物 모두 實際로 毒을 뿜어낼 수 있으니 썩 그럴듯한 描寫다. 다만 지네의 毒 成分 中에 氣體가 될 수 있는 것은 別로 없다. 그렇다면 작은 물방울로 構成된 안개나 구름 같은 形態로 毒을 내뿜은 건 아닐까 想像해본다. 

    우리나라에 傳해진 지네怪物 傳說은 以外에도 많다. 19世紀 編纂된 ‘임하필기’에는 돌 속에 사람 키 몇 倍가 넘는 巨大한 지네가 살았다는 이야기가 실려 있다. 現代에 採錄된 民譚을 모은 冊 韓國民俗文學辭典에도 ‘지네와 구렁이의 昇天 다툼’이라는 題目의 傳說이 記錄돼 있다. 줄거리는 이렇다. 어떤 男子가 窟속에 사는 女子를 偶然히 만나 아내로 삼으려 하는데, 알고 보니 그 女子는 하늘로 올라가려고 準備하는 千年 묵은 지네였다. 男子는 한 老人에게 ‘사람으로 變한 지네’를 없애는 祕法을 배우고, 이를 써먹으려다 마음을 고쳐먹는다. ‘아무리 지네라 해도 그동안 내게 잘해줬는데’ 하는 생각에서다. 그런데 알고 보니 男子에게 祕法을 알려준 老人 亦是 아주 오래 묵은 구렁이가 變身한 怪物로, 지네보다 먼저 하늘에 올라가려 한 競爭 相對였다고 한다. 

    이 傳說은 흔히 ‘지네 각시’ 이야기라고 불린다. 그 內容은 中國에서 예부터 傳해 내려오면서 여러 次例 劇化된 百辭典(白蛇傳) 이야기와 비슷하다. 오래 산 節肢動物이 사람 女性과 비슷한 모습으로 變한다는 部分은 日本 거미怪物 ‘兆로구모(絡新婦)’ 傳說과도 닮았다. 

    ‘각시’라는 이름에서 ‘香娘각시’ 이야기도 떠오른다. 옛 記錄을 보면 朝鮮 後期 사람들 사이에서는 집 안에 사는 노래기를 ‘향랑(香娘)’ 또는 ‘香娘각시(香娘閣氏)’라고 부르는 게 流行이었다. 노래기는 지네와 비슷하게 생긴 벌레로 다리가 많고 고약한 냄새를 풍긴다. 그런데 누군가 처음 이 動物에 ‘香氣 나는 아가씨’라는 뜻의 諧謔的인 이름을 붙였나 보다. 이것이 全國的으로 퍼져나갔는지, ‘京都雜志’ ‘東國歲時記’ 等 當代 風俗을 記錄한 文獻에까지 실려 있다. 이에 따르면 朝鮮 사람들은 2月 初하루에 봄맞이 大淸掃를 하면서 집 기둥이나 壁에 ‘香娘각시餘, 어서 千里 밖으로 가버리거라(香娘閣氏速去千里)’라고 써 붙였다. 이런 風習은 노래기뿐 아니라 지네까지 아름다운 사람과 견주어 보게 만들지 않았을까. 그 過程에서 千年 묵은 지네가 女性으로 變身하는 지네 각시 傳說도 생겨난 게 아닌가 싶다.

    사람의 報恩

    충북 청주 원흥이방죽 풍경. [청주시청 제공]

    忠北 淸州 元興이방죽 風景. [청주시청 提供]

    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 가장 有名한 오공원 지네怪物 이야기의 背景은 어디일까. 記錄에 따르면 忠北 淸州 一帶인 것은 分明하다. 그 안에서 正確히 어디인지를 놓고는 意見이 갈린다. 一部 傳說에 따르면 오공원은 以後 그 자리에 倉庫가 세워지면서 ‘蜈蚣窓’으로 불렸고, 再次 이름이 바뀌어 ‘五倉’이 됐다. 이에 따르면 只今의 淸州市 梧倉邑이 該當 傳說의 舞臺일 可能性이 높다. 反面 中部每日 2009年 7月 28日子에는 지네怪物이 나타난 場所가 청주시 오근장동 近處일 수 있다는 內容의 記事가 실렸다. 場터에서 지네怪物이 出沒했다는 內容의 傳說 또한 傳해지고 있어서다. 오공원 이야기의 主舞臺가 倉庫라면 ‘五倉’, 場터라면 ‘오근장’李 有力해진다. 

    梧倉과 오근장은 事實 別로 떨어지지 않은 洞네다. 그러나 사이에 개川이 흘러 正確히 分離돼 있다. 現在로서는 둘 가운데 어디가 지네怪物 傳說의 發祥地인지 正確히 가려내기 어렵다. 한 地域에서 偶然히 옛날 宿泊業所 遺跡이 發掘되기라도 한다면 모를까, 그前까지는 그저 淸州 北西쪽 地域에서 發源한 傳說이라고 봐야 할 것 같다. 

    흥미로운 點은 最近 淸州에 全國 最初로 두꺼비 生態 公園이 생겨났다는 點이다. 2003年 무렵 淸州 元興이방죽 近處에 保存 價値가 높은 두꺼비 棲息地가 있다는 事實이 알려졌다. 마침 이 地域에 住居團地를 開發하는 途中이었다. 當場 保存 措置를 取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졌고, 結局 이곳에 元興이두꺼비生態公園이 만들어졌다. 이 一帶는 이제 흔히 두꺼비 마을이라고 불린다. 

    어떻게 보면 恩惠 갚은 두꺼비의 後孫들을 위해 이番에는 淸州 市民이 도움을 베푼 셈이다. 그 地域에서 두꺼비의 敵手였던 지네怪物의 痕跡까지 찾아볼 수 있게 되면 재미있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곽재식 | 1982年 釜山 出生. 大學에서 兩者工學, 大學院에서 化學과 技術政策을 工夫했다. 2006年 短篇小說 ‘토끼의 아리아’로 作家 生活을 始作했으며 小說集 ‘當身과 꼭 結婚하고 싶습니다’, 敎養書 ‘로봇 共和國에서 살아남는 法’ ‘韓國 怪物 百科’ 等을 펴냈다.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