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법산스님의 ‘竹篦소리’|新東亞

인터뷰

법산스님의 ‘竹篦소리’

“꽃은 스스로 떨어져도 미워하는 사람 없어… 그게 佛心”

  • 入力 2018-10-03 17:00:01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德山 ‘念佛’, 경봉 ‘參禪’, 탄허 ‘東洋哲學’ 가르침 받아

    • ‘朝鮮佛敎通事’ 한글化, 僧伽考試 等 業績

    • 金剛經 遂行은 本來 自省의 淸淨한 마음 찾기

    • 次期 總務院長 ‘修行者로서 尊敬心 가질 수 있는 분이어야’

    • 總務院長에 목매는 건 주지 人事權 때문…査察 財政 透明化 必要

    • 佛子들도 스님 保護하는 ‘護法信徒’ 使命 다해야

    [김도균 기자]

    [金度均 記者]

    佛敎界가 시끄럽다. 德望 있는 스님의 따끔한 竹篦소리가 切實하다. 또한 어지러운 現代人의 마음을 淸凉하게 해줄 淸凉한 法文이 그립다. 동국대 名譽敎授이자 曹溪宗 大宗師人 법산스님은 代表的인 學僧이자 看話禪 專門家다. 진흙탕 싸움이 된 宗團 政治와는 距離가 멀다. 限死코 인터뷰를 辭讓하는 스님을 찾아 合掌을 올린 理由다. 스님은 “시원찮은 사람에게 뭐 들을 이야기가 있다고…” 하면서 자비로운 微笑를 지었다. 인터뷰는 스님이 서울에 올 때 머무는 아·태불교문화연구원에서 進行됐다. 

    1945年 慶南 南海에서 태어난 스님은 올해 나이 일흔셋이다. 하지만 두 時間 넘는 인터뷰 내내 흐트러짐이 없었다. 印度佛敎에서 線까지 거침없이 該博한 眼目을 들려주었다. 世俗 衆生의 눈에도 ‘高僧’의 法力이 느껴졌다.

    工夫하고 싶어 15歲에 出家

    열다섯에 南海 화방사로 出嫁하셨더군요. 어린 나이에 出家한 契機는. 

    “中學校도 못 갈 程度로 가난했어요. 제가 工夫하고 싶어 하니까 할머니가 절에 가면 工夫 할 수 있다며 勸하셨어요. 스님들이 佛經 工夫하는 걸 보신 模樣이에요. 그래서 出家한 거죠. 念佛하는 法, 鐘치는 法 等 佛敎 生活과 意識을 다 漢文으로 배웠는데, 배우는 게 재미있어 외우고 또 외웠지요.” 

    學僧의 길을 걷게 된 것은 배움에 對한 渴症이 影響을 준 셈이군요. 



    “처음엔 그런 것도 없었어요. 어느 날, 謝過를 싼 新聞紙에서 通信敎育 廣告를 봤어요. 只今으로 치면 放送通信學校인 셈인데, 그때는 郵便으로 講義錄을 보내주는 方式이었죠. 住持스님께 通信 講義로 工夫하고 싶다고 했더니 손수 登錄해주셨지요. 當時 庵子에 考試 工夫를 하러 온 兄들에게 물어가며 中學校·高等學校 過程을 2年 만에 다 마쳤죠.” 

    大學은. 

    “當時 南海에는 檢定考試를 치를 곳이 없어서 慶南 高聲으로 와서 봤어요. 그래서 固城 玉泉寺에 暫時 起居했는데, 그곳 스님들 가운데 馬山大學(只今의 경남대학교) 出身이 많았어요. 全身이 海印寺에서 세운 해인대학이라 嶺南地方 스님 大部分이 여기를 다녔죠. 1967年 馬山大學에 入學했는데, 어느 날 特講을 하러 온 서경수 東國大 敎授님이 제가 梵語(산스크리트語)를 잘하는 걸 보시고는 동국대로 편입시켰어요. 처음엔 村놈이 서울 生活하는 게 겁나기도 했는데, 가서 보니 제가 梵語뿐 아니라 다른 工夫도 가장 잘했더군요. 奬學金도 받고(웃음).” 

    梵語는 大學 가기 前부터 배운 건가요. 

    “大學 들어가서 처음 배웠어요. 1學年 때부터 必須科目이었죠. 大乘佛敎 經典이 全部 梵語로 돼 있거든요. 新奇해서 외우고 또 외웠죠.” 

    大學 生活은. 

    “市內 査察에 起居하면서 아침저녁으로 念佛을 해주는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낮에는 學校에 다니고, 碩·博士 過程 밟으면서 탄허 스님에게 四書三經을 비롯해 道德經, 莊子, 老子 같은 東洋哲學 全般을 배웠지요. 博士課程을 마치고 동국대학에서 梵語 講義 자리를 줘서 신나게 講義했죠.” 

    탄허스님의 學識이 그렇게 뛰어났나요. 

    “탄허스님은 16歲에 四書三經, 老子, 莊子를 全部 通達했을 程度로 머리가 아주 非常한 분이셨어요. 元來 普天敎 信徒였는데, 換癌스님과 筆談을 나누다 反해서 五臺山 上院寺에 가서 상투를 자르고 스님이 되셨죠. 非佛敎界에서도 認定하는 世界的인 碩學이셨지요.”

    스님 最初 臺灣 遊學

    스님은 1980年 9月 臺灣 中國文化大學 哲學硏究所에 入學했다. 光復 後 臺灣으로 留學을 간 스님은 법산스님이 最初였다. 

    臺灣 留學은 어떻게. 


    “學生들을 가르치다 不足함을 느껴 印度哲學을 더 工夫해야겠다고 생각했어요. 印度 留學을 決定하고 탄허스님에게 人事드리러 갔더니 ‘佛敎를 工夫하려면 中國이 좋다. 臺灣으로 가거라’ 하셔서 바로 方向을 바꾸었지요. 어른이 하라는 대로 해야죠(웃음). 그리고 參禪을 가르쳐주신 恩師인 경봉스님에게도 人事를 드리러 갔더니 ‘중이 參禪하면 되지, 웬 留學이냐’며 가지 말라고 하시더라고요. 그렇다고 안 갈 수 있나요. 時間을 두고 다시 찾아뵀더니 ‘法文(講義)을 해보라’고 하시더군요. 스님 앞에서 法文을 했더니 ‘그만하면 國際布敎師 程度는 해도 되겠다’며 許諾해주셨죠.” 

    경봉스님에게 參禪을 배웠는데 學僧의 길을 걸은 걸 보면 先學에는 큰 興味를 못 느낀 模樣입니다(웃음). 

    “法은 부처님의 말을 익히는 것이고 善은 부처님의 마음을 닦는 것입니다. 結局 道를 깨치는 건 線이죠. 普照國師 知訥度 善과 敎는 一致한다고 하셨고요. 禪僧들이 흔히 達磨大師의 ‘不立文字(不立文字) 直指人心(直指人心) 見性成佛(見性成佛)’을 말하는데, 이 말은 글字에 치우치지 말라는 뜻이지 工夫하지 말라는 게 아니에요. 聖哲스님만 해도 代表的인 禪僧이지만 讀書量이 대단한 분입니다.”

    스님 資質 向上 爲한 僧伽考試

    [김도균 기자]

    [金度均 記者]

    臺灣 留學 生活은 어땠나요. 

    “前 스승 福이 많아요. 德山스님에게 念佛을 배웠고, 경봉스님에게 參禪을 배웠고, 김동화 敎授를 만나 學問을, 탄허스님에게 漢學을 배웠으니까요. 臺灣 中國文化大學에 가서는 ‘先學의 黃金時代’란 當代 베스트셀러를 쓴 오경웅(吳經熊) 敎授를 만나 中國 先學을, 臺灣 푸런(輔仁)대학 總長인 로깡(羅光) 新婦에게 中國古代哲學思想을 배웠어요. 그러면서 韓國 看話禪의 源流인 普照國師 知訥의 思想的 뿌리라 할 수 있는 中國 善과 華嚴思想을 深層的으로 硏究할 수 있었죠.” 

    普照國師 知訥 思想 硏究로 博士學位를 받은 스님은 1986年 동국대학에 돌아와 線學科 敎授로 赴任했다. 以後 동국大學의 佛敎大學長, 불교대학院長, 정각원長, 佛敎文化硏究院長, 보조思想硏究院腸, 韓國禪學會長, 印度哲學會長, 韓國淨土學會長, 동국大學 名譽敎授, 東方文化大學院大學校 夕座敎授 等 學僧의 길을 걸었다. 

    東國大學校 佛敎文化硏究院長으로 계시면서 韓國 佛敎 最初의 綜合 역사서이자 佛敎 百科事典이라고 할 수 있는 ‘朝鮮佛敎通事’를 한글화했습니다. 

    “상현擧事 이능화(1869~1943) 先生이 執筆하고 六堂 崔南善 先生이 咬裂한 ‘朝鮮佛敎通事’는 三國遺事에 버금가는 貴한 冊이라고 할 수 있어요. 1917年 前 3卷으로 完刊했는데, 西紀 372年 純度스님이 高句麗에 佛敎를 傳한 以後 1916年까지 1544年間의 韓國 佛敎史家 다 담겨 있지요. 1906年 開校한 동국대학에 出資한 査察 名單도 들어 있어요. 獨步的인 學術 價値를 인정받은 冊이지만, 漢文으로 되어 있어 갈수록 活用度가 떨어졌죠. 3年에 걸쳐 總 8卷으로 飜譯해 2011年 曹溪寺에서 奉呈式을 치렀는데, 個人的으로 큰 보람을 느끼는 일이었죠. 普照國師 知訥의 補助全書를 한글化하는 作業도 했습니다.” 

    佛敎 論文의 學術的 權威를 높이는 데에도 寄與했습니다. 

    “韓國印度哲學會, 韓國淨土學會, 韓國禪學會 等의 學會長을 할 때마다 學會論文集을 韓國學術振興財團(現 韓國硏究財團)에 登載하는 作業을 했어요. 그렇게 하지 않으면 論文이 學術的으로 公認받을 수 없거든요. 佛敎 論文의 價値를 인정받고, 活用度를 높이는 契機를 마련한 거죠.” 

    僧伽告示도 만들었는데, 理由가…. 

    “僧侶의 資質 向上을 위해 2001年 僧伽考試制度를 만들어 8年 동안 考試委員長을 했습니다. 처음에는 ‘道를 깨치는 게 스님이지, 웬 工夫냐’는 反撥이 많았어요. 그러나 住持나 寺刹의 所任을 제대로 하려면 建築法, 都市計劃法, 山林法, 文化財法, 社會福祉法, 行政法 等을 알아야 하고, 參禪을 가르치려면 船員의 語錄을 알아야 하고, 敎理를 가르치려면 江原 敎科를 알아야 합니다, 그걸 모르고 어떻게 住持를 하고 指導者가 될 수 있는가 하고 說得했죠. 3級 僧伽考試에 合格한 스님에게만 住持가 될 資格을 줬어요. 처음에는 脫落者가 많았지만, 只今은 다들 工夫를 熱心히 해서 合格率이 80%가 넘습니다. 스님의 資質 向上에 一助했다고 自負하는 일이죠.”

    “이 뭐꼬”

    스님은 硏究 安息年이던 2006年부터 每年 여름이면 跏趺坐를 틀고 左服을 벗 삼아 ‘이 뭐꼬’ 話頭를 챙기고 있다. “學生들에게 參禪을 가르치면서 정작 내가 안 하면 말이 안 되잖아요” 라며 껄껄 웃은 스님은 “석 달 동안 參禪하고 나면 얼굴이 밝아지고 講義하는 기운이 달라진다”고 參禪의 效果를 말한다. 

    參禪은 어떻게 하는 건가요. 

    “안나(들숨)와 반나(날숨)를 社띠(느끼는 것)하면서 다른 생각이 일어나지 않게 하는 것입니다. 생각이 一面 곧바로 그 생각을 버려야 해요. ‘無念’은 아무것도 없다는 게 아니라 거울처럼 淸淨한 마음으로 돌아가는 것입니다. 거울은 아무것도 없는 게 아니라 비치는 모든 걸 담을 수 있잖아요. 그런 狀態가 되는 겁니다.” 

    看話禪은 話頭를 잡아 參禪을 한다는데, 話頭가 뭔가요. 

    “話頭는 無念無想의 狀態로 가기 위한 지팡이 같은 것입니다. 나중에는 話頭도 없어져요. 山에 오를 때 지팡이를 짚고 가면 수월하지만, 山 頂上에 이르면 지팡이가 必要 없어지듯이. ‘話頭’는 여러 가지가 있어요. 한 스님이 스승에게 法堂 앞에 있는 개를 가리키며 ‘이 개에게도 佛性이 있습니까’ 하고 물었더니 스님이 무(無)라고 對答했어요. 弟子가 ‘왜 개에게 佛性이 없다고 생각하십니까’ 하고 묻자 스승이 ‘네가 찾아봐라’고 했어요. ‘왜 없다고 할까’가 弟子에게 話頭가 되는 겁니다. 어떤 사람이 스님에게 ‘不法의 寂寂大義가 뭡니까’ 하고 묻자 스님이 ‘나는 오줌 누러 간다’면서 나갔어요. 不法에 對해 물었는데 왜 小便을 보러 간다고 하셨을까요. 小便이 마려우면 自己가 누러가야지 남이 代身 눌 수 있는 게 아니거든요. 마찬가지로 疑問을 스스로 찾아 풀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疑問을 돌려주는 것, ‘왜?’가 話頭인 것이죠. ‘왜?’가 中國말로 ‘是甚麽(是甚?)’이고, 우리말로 ‘이 뭐꼬’입니다.” 

    近來 들어 一般人 사이에서도 參禪, 冥想이 流行하고 있습니다. 

    “物質文明이 發達할수록 사람들은 精神的으로 疲弊해지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눈과 귀가 外部로만 쏠리고, 自己 內面을 잊고 살아요. 參禪, 冥想은 自己 內面을 觀察하고 마음에 있는 煩惱, 妄想, 잡된 생각을 드러내 맑아지는 것입니다. 살면서 六感을 통해 入力된 情報가 많을수록 나쁜 바이러스도 많이 들어오게 됩니다. 參禪을 통해서 나쁜 바이러스를 비워내는 게 必要합니다. 요즘 사람들은 스마트폰 때문에 冥想할 餘裕가 없어 보여요. 틈나는 대로 스마트폰으로 檢索하느라 視覺과 聽覺이 어지러워져요. 멀리할 必要가 있습니다.”

    金剛經 10萬 番 讀誦 隨行

    스님은 지난해 末 선시집 ‘나는 누구인가’와 便역書 ‘뜻으로 풀어본 金剛經 읽기’를 함께 出刊했다. ‘뜻으로 풀어본 金剛經 읽기’는 中國 歷史哲學者 동방교(東方橋) 敎授가 쓴 金剛經 解說書 ‘毒錦江警笛方法論’을 飜譯한 것이다. 金剛經을 유가와 老子 莊子의 例를 들어 쉽게 說明했다. 

    왜 金剛經인가요. 

    “曹溪宗의 始祖인 육조 慧能스님이 金剛經을 읽다 道를 깨달았어요. 金剛經은 선(禪)의 所依經典입니다. ‘無執着’이라는 般若思想의 核心이 들어 있어요.” 

    金剛經 10萬 番 讀誦 遂行 中이라고 들었습니다. 

    “2001年부터 遂行을 始作했어요. 한 番 읽는데 15~30分밖에 걸리지 않지만, 在職 中에는 바쁘다 보니 1年에 500~600番밖에 못 읽었어요. 어느 날 弟子가 ‘하루에 한 番씩 읽으면 10萬 番 읽는 데 300年이 걸린다’고 하더군요. 깜짝 놀라서 틈나는 대로 하루 10番, 20番씩 읽고, 善防에 있을 때는 더 많이 읽고 있지요. 9月 末이면 4萬5000毒을 讀破합니다. 이番 生에 다 못 읽으면 다음 生에 마저 읽는다는 마음으로 精進하고 있습니다(웃음).” 

    읽으면 뭐가 좋은가요. 

    “마음에 貪慾, 성냄, 어리석음, 미움이 일어나지 않고, 精神이 맑아집니다. 이미 머릿속에 다 외우고 있지만 같은 말이 反復돼 集中해서 읽어야 하기 때문에 集中力도 생기고요. 金剛經 遂行은 本來 自省의 淸淨한 마음을 찾아가는 修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一般人도 가난하게 자란 사람은 成功하면 本能的으로 物慾을 갖는다. 出家僧 亦是 마찬가지다. 出家 前 못 다 푼 恨을 풀 듯이 富와 名譽에 매달리는 境遇가 있다. 하지만 법산스님은 낮은 곳을 먼저 본다. 

    “大學에 있을 때 가장 가까이 지낸 분들이 淸掃部, 水位, 運轉手, 技能工들이에요. 大學總長은 한 달 넘게 學校를 비워도 學校가 아무 問題없이 돌아가지만, 이분들은 하루만 비워도 學校가 큰일 납니다. 水位는 訪問客이 가장 먼저 만나고 가장 마지막에 만나는 學校의 얼굴입니다. 이분들이 밝은 얼굴을 하면 學校 이미지도 좋아집니다. 또한 障礙人도 저의 親舊들이죠. 1988年 手話를 배우며 광림사 軟化福祉院과 因緣을 맺었는데, 只今도 每달 이분들을 만나 法門下는 게 가장 큰 幸福입니다. 手話音樂會도 열고, 視聽覺障礙人送年잔치도 하고, 點字로 佛經도 만들었어요. 눈이 어둡고 귀가 멀었더라도 只今 生에 잠깐 그런 것이지 本來 性品까지 그런 것은 아니다, 덜 보고 듣는 만큼 깨끗이 遂行해서 다음 生에는 부처님 世上에서 환한 눈과 밝은 귀를 갖고 태어나자고 이야기해줘요.”

    眞짜 積弊는 自己 마음에서 일어나는 貪慾審

    법산스님이 잔디에 드리워진 자신의 그림자를 찍은 자화상. 스님은 ‘그림자 속의 나, 내 속의 그림자, 나는 누구인가?’ 하고 묻는다. [법산스님 제공]

    법산스님이 잔디에 드리워진 自身의 그림자를 찍은 自畫像. 스님은 ‘그림자 속의 나, 내 속의 그림자, 나는 누구인가?’ 하고 묻는다. [법산스님 提供]

    지난 8月 21日 설정 曹溪宗 總務院長이 自身을 둘러싼 疑惑을 解消하지 못하고 辭退하는 불미스러운 일이 일어났다. 이 過程에서 스님들은 勿論 信徒들까지 갈라져 對立하는 等 內訌을 겪고 있다. 

    지난 8月 26日 曹溪寺 앞에서 ‘敎權守護決意大會’와 ‘全國僧侶大會(僧侶決意大會)’가 對立的으로 열리는 等 葛藤이 表出됐습니다. 


    “마음이 아프죠. 이 모든 게 貪慾審 때문입니다. 저 自身이 먼저 淸淨해져야 합니다. 欲心을 버리고 純粹한 修行敎壇으로 돌아가야 합니다. 眞짜 積弊는 自己 마음에서 일어나는 貪欲心입니다. 自己가 뭘 하기 위해 다른 이를 辱하고 밀어내려는 것이 積弊인 거죠. 마음의 貪慾을 버리면 얼마나 좋아요. 꽃은 스스로 떨어져도 미워하는 사람이 없어요. 그게 佛心입니다.” 

    새 總務院長이 選出돼도 佛敎改革行動에서는 認定하지 않을 雰圍氣입니다. 

    “選擧를 해도 問題는 남을 겁니다. 總務院長 候補로 나설 程度의 스님이면 어떤 분인지 다들 잘 압니다. 聽聞會 等을 통해서 過去 行跡을 徹底하게 檢證하고, 조금이라도 戒律을 犯한 게 있다면 候補에서 물러나게 해야 합니다. 제대로 檢證하지 않으니 이런 問題가 생기는 거지요.” 

    네 분의 스님이 總務院長 候補로 立候補했습니다. 

    “어느 分이든 個人 能力은 둘째치고 깨끗한 분이 됐으면 좋겠어요. 이番 일을 契機로 僧侶大會 쪽 분들의 이야기도 귀담아들을 必要가 있지요. 그 누구라도 首肯할 수 있는 修行者로서 尊敬할 만한 분이기를 바랍니다.” 

    次期 總務院長에게 바라는 點이 있다면. 


    “曹溪宗을 隨行 宗團으로 만들고, 僧侶 敎育體系를 바로 세워야 합니다. 부처님 말씀을 燈불로 삼고 戒律을 遂行의 울타리로 삼으면 自然히 모든 사람이 尊敬하게 됩니다.”

    信徒 役割도 重要

    ‘중벼슬 닭벼슬보다 못하다’는 말도 있는데, 왜 그렇게들 總務院長에 목을 매는 걸까요. 

    “住持 人事權이 있으니까요. 이제는 査察도 神도 敎育 中心으로 가고, 寺刹 運營은 信徒會에 맡기는 制度를 確固히 하는 게 必要합니다. 査察 財政을 透明化해야 하지요. 只今도 規定은 그렇게 되어 있지만, 住持스님이 獨走하는 걸 막을 道理가 없어요. 輸入 支出을 信徒會에서 分明히 管理하고, 스님을 尊重하고 工夫 잘하시도록 뒷받침해 信徒들의 스승으로서 本보기가 되도록 해야겠지요. 勿論 信徒들은 敎育을 제대로 받고 부처님의 弟子로서 慈悲를 實踐하는 佛者가 돼야 합니다.” 

    스님은 臺灣 佛敎를 例로 들었다.
     
    “臺灣 스님들은 食堂도 마음대로 못 들어갑니다. 一般 食堂에 들어가면 主人이 ‘여기는 스님 드실 만한 게 없으니 다른 곳으로 가시라’고 내보냅니다. 스님을 싫어해서가 아니라 保護하기 위해서입니다. 스님이 고기를 먹으면 힘이 넘쳐서 안 되니 菜食을 하셔야 한다, 스님이 골프場 같은 곳에 가서 놀면 안 되고, 遂行하면서 좋은 工夫해 우리를 더 잘 指導해주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臺灣 寺刹의 財政이나 살림 運營에도 信徒들의 參與度가 대단히 높습니다. 돌아가면서 奉仕活動도 많이 하고 修行이나 法會에서도 同參해 進行합니다. 臺灣 스님들은 이러한 信徒들의 外濠 아래 福祉事業을 많이 합니다. 敎育施設도 만들고, 老人施設度 만들고…. 社會的으로 좋은 일을 많이 하니 國民이 스님을 尊敬하고 더 많이 施主합니다.”

    大宗師 法階

    스님들이 構圖에 精進할 雰圍氣를 佛子들이 造成하는 게 重要하군요. 

    “韓國 佛敎도 잘되려면 스님들의 自淨 努力도 重要하지만, 佛子들이 스님을 잘 保護하는 것도 重要합니다. 臺灣에서는 信徒會를 호법信徒會라고 합니다. 法(스님)을 保護하는 神도 모임이란 뜻이죠.” 

    스님은 지난 6月 17日 曹溪宗 最高 法系인 大宗師 法階를 받았다. 僧臘 40年 以上 從事 法階를 받은 스님 中에서 품西夏는 大宗師 法界는 修行力과 宗團 指導力을 크게 認定한다는 意味다. 現在 曹溪宗에서 大宗師 품書를 받은 스님은 51名뿐이다. 大宗師 中에서 曹溪宗 最高 어른인 宗正이 選出된다. 법산스님은 이조차 특별하게 여기지 않았다. 다만 ‘上求菩提 下化衆生(上求菩提 下化衆生)’, 위로는 깨달음을 求하고 아래로는 衆生을 敎化한다는 부처님 말씀만 좇을 뿐이다. 

    인터뷰를 마치고 나오는 記者의 머릿속에 스님의 詩集 ‘나는 누구인가’에 실린 時 ‘靑山白雲’의 한 句節이 떠나지 않았다. 

    “靑山은 백운이 가린다고 탓하지 않고백운은 淸算이 걸린다고 미워하지 않네청산 없는 백운 없고, 백운 없으면 淸算도 없으니청산이 白雲이요, 백운이 淸算이라.”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