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 陳(眞), 다할 陳(盡) 나아길 陳(進)|新東亞

참 陳(眞), 다할 陳(盡) 나아길 陳(進)

李舜臣 리더십의 要諦

  • 박종평 | 李舜臣 硏究가 goldagebook@naver.com

    入力 2015-05-20 16:16: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수많은 人材를 거느리고도 反面敎師와 같은 暗君(暗君)으로 轉落한 宣祖. 戰船 12隻으로 積善 133隻을 물리치고도 天行(天幸)이었다고 謙遜해한 李舜臣. 危機 때 더욱 빛난 李舜臣 리더십의 眞面目을 살펴본다.
    참 진(眞), 다할 진(盡) 나아길 진(進)

    鳴梁海戰을 再現한 行事. 李舜臣이 12代 133의 絶對 劣勢 싸움에서 勝利한 要因은 獻身的인 리더십이다.

    우리는 리더 不在(不在)의 時代를 살고 있다. 믿었던 이들이 醜聞을 일으킨 탓이다. 依支하고 싶은 이가 없다. 歷史를 살펴봐도 제대로 된 리더가 있었던 時代는 흔치 않다. 그래도 사람들은 歷史 속에서 참다운 리더를 찾고자 하고, 그런 리더가 되고자 努力한다.

    “亡命이 內 本뜻이다”

    500年 朝鮮 歷史에서 辱을 가장 많이 먹은 리더는 先祖일 것이다. 壬辰倭亂이 일어나지 않았더라면, 그는 人材가 가장 많은 時代를 열었기에 聖君(聖君) 班列에 오를 수도 있었다. 그러나 豫想된 戰爭에 對備하지 못하고, 戰爭을 치르면서 最惡의 리더십을 보여줬기에 公憤을 샀다.

    1592年 4月 13日, 朝鮮 땅에 上陸한 日本軍은 破竹之勢로 北上했다. 連日 傳해지는 敗戰 消息에 宣祖와 臣下들은 衝擊에 휩싸였다. ‘先祖修正實錄’ 1592年 5月 1日에는, 4月 30日 아침 對話가 記錄돼 있다. 宣祖가 避難을 떠나기 直前이었다. 宣祖는 李山海와 류성룡을 부르고는 가슴을 치며 괴로운 表情으로 물었다.

    “姨母(李某)야! 류某(柳某)야! 이렇게 되었으니 나는 이제 어디로 가야 하느냐. 꺼리지도 숨기지도 말고 생각을 말해보라.”



    臣下들이 對答하지 않는 사이 李恒福이 義州를 推薦하며, “八道가 모두 陷落된다면 바로 明나라로 가서 呼訴할 수 있다”고 했다. 尹斗壽는 傳統的으로 軍事力이 剛했던 咸鏡道를 推薦했다. 그러자 류성룡이 “임금께서 우리 땅을 벗어나 한 발짝이라도 나간다면, 朝鮮은 우리 땅이 될 수 없다”며 反對했다. 이 말이 匕首가 됐는지, 宣祖가 本心을 드러냈다.

    “內部(內附, 明나라로 亡命)가 內 本뜻이다.”

    宣祖는 國家와 百姓보다 自己 목숨을 扶持하기 위해 明나라로 도망치려 했다. 後날을 圖謀하기 위한 逃亡이 아니었다. 宗廟社稷과 百姓을 버리면서까지 自身의 生存에만 戀戀했다. ‘遺體離脫 話法’으로 百姓과 臣下들에게 戰亂의 責任을 轉嫁한 先祖와는 全혀 다른 次元의 참된 리더가 李純信이다. 다음 두 場面을 보자.

    #1 李舜臣의 조카 二分(1566∼1619)이 쓴 ‘이충무공행록’(以下 ‘行錄’)의 1597年 2月 26日 狀況이다.

    李舜臣은 釜山浦 進擊 命令을 拒否해 閑山島에서 逮捕됐다. 서울로 押送될 즈음이다. 先祖처럼 도망치는 길이 아니다. 不敗의 名將이 한瞬間에 나라의 罪人이 되어 죽을지 살지 모르는 길을 떠나고 있었다. 李舜臣을 본 男子와 女子, 늙은이와 어린이 할 것 없이 모든 百姓이 그를 둘러싸고 “大監 어디로 가십니까. 이제 우리는 다 죽은 목숨입니다”라며 울부짖었다.

    #2 李舜臣 自身의 日記다. 1597年 7月 漆川梁에서 統制使 元均(元均·1540~1597)이 이끄는 朝鮮 水軍은 밤中에 기습당했다. 經常 右水使 排泄(裵楔·1551~1599)李 戰鬪 中에 이끌고 나온 12隻을 除外한 朝鮮 水軍은 全滅했다. 慘酷한 事態에 直面한 李舜臣은 8月 3日 三道統制使 任命狀을 받고 水軍 再建의 길을 나섰다.

    8月 6日, 避難을 떠나는 百姓들이 李舜臣을 만났다. 百姓들은 “使道가 다시 오셨으니, 우리는 살길이 생겼습니다”라며 기뻐했다. 8月 9日 李舜臣이 落雁을 지나갈 때 길가에 洞네 老人 等이 줄을 서 다투어 歡迎하고 慰勞하며 飮食과 飮料水가 든 缸아리를 바쳤다. 받지 않으면 울며불며 떼를 썼다.

    한 點 부끄럼 없는 純潔함

    百姓들이 던진 돌멩이를 맞고 辱을 먹으며 逃亡친 宣祖와 全혀 다른 處地다. 李舜臣은 百姓에게 生命 그 自體였다. #1과 #2에서 눈여겨봐야 할 것이 또 있다.

    #1이 있기 直前, 李舜臣은 加德島 앞바다에 出動해 있다가 逮捕 命令을 듣고 本陣으로 돌아왔다. 그는 到着 卽時 陣中의 軍糧과 武器類를 計算해 後任者인 原菌에게 引繼했다. ‘行錄’에 따르면, 陣營 안의 軍糧米 9914席, 火藥 4000斤, 戰線에 備置된 總統 外 300자루 等을 引繼했다. 職位가 解除되고 生死의 갈림길에 섰는데도 李舜臣은 職分에 忠實했다.

    ‘行錄’에 따르면, #2에서 李舜臣은 權慄(權慄·1537~1599)의 要請으로 敗戰 狀況을 把握하기 위해 7月 18日 軍官 9名, 軍事 6名과 함께 길을 떠났다. 그가 옥과와 順天을 거쳐 寶城에 到着했을 때 人員이 120餘 名으로 불어났다. 避難을 가던 젊은이들이 李舜臣을 만난 뒤 家族에게 “이제 우리 大監이 오셨으니 너희들은 안 죽을 것”이라며 水軍 再建의 길에 合流했기 때문이다.

    무엇 때문에 百姓들은 잡혀가는 李舜臣을 보고 “우리는 다 죽은 목숨입니다”라고 했고, 무엇 때문에 百姓들은 復歸한 李舜臣을 보고 “우리는 살길이 생겼습니다”라고 했을까. ‘亂中日記’와 ‘임진장初’에는 그 理由를 說明해주는 事例가 많다. 筆者는 그것을 ‘참 陳(眞)’ ‘다할 陳(盡)’ ‘나아길 陳(進)’으로 整理한다.

    尹東柱가 ‘序詩’에서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點 부끄럼이 없기를/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워했다”라고 한 것과 똑같다. 한 點 부끄럼이 없는 純潔함으로 默默히 召命을 實踐한 사람이 李純信이다.

    1597年 9月 15日은, 8月 3日 統制使 再任命腸을 받은 李舜臣이 軍士를 모으고 電線(戰船)을 收拾하면서, 닥쳐올 對決前인 鳴梁海戰을 앞둔 날이다. 8月 18日 李舜臣은 회령포(會寧浦)에서 經常右水使 排泄 所屬의 電線 10餘 隻을 引受했다. 그가 閑山島에 있던 4年 동안 새로 乾燥하고 整備한 戰線이 150餘 隻이었는데 12隻만 남았다.

    李舜臣도 어쩔 수 없는 極甚한 스트레스를 받았는지 20日부터 23日까지는 飮食을 먹지 못했다. 吐하기도 하고 人事不省 狀態에 이르기도 했다. 그러나 朝鮮 水軍을 潰滅시키기 爲해 追擊해 오는 日本 水軍을 잊지 않았다.

    神人을 만나다

    지친 몸을 추스르며 그는 少數가 多數를 相對해 勝利할 수 있는 場所를 찾아 나섰다. 會寧包를 始作으로 8月 20日 李瑱(梨津), 24日 道卦(刀掛)를 거쳐 魚卵(於蘭)捕虜, 28日 張도(獐島), 29日 벽파진(碧波津), 9月 15日 右水營(右水營) 앞바다로 陣營을 옮겼다.

    移動 過程은 順坦하지 않았다. 日本軍은 漆川梁 敗戰으로 사기가 바닥인 朝鮮 水軍을 끊임없이 괴롭혔다. 하지만 李舜臣은 徹底한 準備와 計算으로 單 한 次例도 虛點을 보이지 않았다.

    8月 28日, 敵船 8隻이 奇襲했지만 李舜臣은 “나는 눈도 깜짝하지 않았다. 敵船이 다가오자 螺角(螺角)을 불고 旗발을 휘두르며 쫓아버리게 했다.” 9月 2日, 朝鮮 水軍 首腦部의 一員인 排泄이 逃亡쳤어도 李舜臣은 흔들리지 않았다.

    9月 7日, 探望軍館(探望軍官) 임준영이 日本 電線 13隻이 어란포에 到着했다고 報告하자 그는 奇襲에 對備했다. 午後 4時쯤 日本軍이 奇襲했지만, 準備된 朝鮮 水軍에 打擊을 주지 못했다. 日本軍은 그날 밤 다시 奇襲했으나 이를 豫測한 李舜臣이 大將線을 이끌고 나가 지자포(地字砲)를 쏘며 擊退했다.

    9月 14日, 임준영이 “敵船 200餘 隻 中 55隻이 먼저 어란포에 들어왔다”고 報告하자 그는 決戰을 豫感하고 전령선(傳令船)을 보내 避難民들을 陸地로 올라가도록 急히 命令을 내렸다.”

    9月 15日, 李舜臣은 “벽파정 뒤에는 鳴梁(鳴梁)이 있다. 적은 數의 水軍으로 鳴梁을 등 뒤에 두고 陳(陣)을 칠 수 없다”며 右水營 앞바다로 移動했다. 그러고는 將帥들을 불러 모아 이렇게 말했다.

    “兵法에 傳하기를 ‘반드시 죽고자 하면 살고, 반드시 살려고 하면 죽는다(兵法云 必死則生 必生則死)’고 했다. 또한 ‘한 사람이 길목을 지키면, 千 名도 두렵게 할 수 있다(一夫當逕 足懼千夫)’고 했다. 只今 우리를 두고 한 말이다. 너희 여러 장수가 조금이라도 軍令을 어긴다면 곧장 軍律로 다스려 容恕치 않을 것이다.”

    그날 밤 李舜臣은 꿈에 新人(神人)을 만났다. 新人은 李舜臣에게 指示하며 말하기를 “이렇게 하면 크게 이기고, 저렇게 하면 敗北할 것이다”라고 했다. 李舜臣이 新人이 알려준 方法대로 戰鬪했는지는 알 수 없다. 確實한 事實은 그가 12隻의 戰船으로 133隻의 日本軍과 맞서 勝利했다는 것이다. 李舜臣이 勝利를 懇切하게 念願했기에 믿기지 않는 일이 일어났다.

    排泄에게 退路 열어줘

    꿈에 新人이 나타날 程度로 勝利를 熱望한 李舜臣이지만 新人 德分에 鳴梁에서 勝利한 것은 아니다. 7月 中旬의 漆川梁 海戰 以後 10月 29日 木浦 高下島(高下島)까지 移動하는 過程을 보면, 李舜臣 리더십의 眞面貌를 알 수 있다.

    鳴梁海戰 두 달 前에 쓴 7月 18日 日記에는 怨讐(元帥) 權慄이 漆川梁 敗戰 後 李舜臣에게 도움을 要請한 대목이 나온다. 要請을 받은 李舜臣은 “제가 直接 沿海 地方으로 가서 듣고 본 後에 對備策을 定합시다”라며 現場으로 달려갔다.

    ‘듣고 본 後에 對備策을 定하자(吾往沿海之地 聞見而定)’는 그의 말은, 中國 한(漢)나라의 名匠 조충국(趙充國)李 遊牧民族 江(羌)의 叛亂 消息을 듣고 對策 樹立을 要請하는 皇帝에게 “百 番 듣는 것보다는 實際로 한 番 보는 것이 낫다(百聞不如一見). 軍事의 일은 豫測하기 어렵다. 直接 가서 現地 地形을 觀察한 뒤 對策을 세우겠다”고 한 것과 같은 脈絡이다.

    참 진(眞), 다할 진(盡) 나아길 진(進)

    李舜臣은 率先垂範하는 威嚴으로 大長線 兵士들에게 勝利의 確信을 심어줬다.

    李舜臣은 現場으로 移動하면서도, 絶望에 빠진 百姓들의 마음을 慰勞했다. 8月 25日 어란포에서 “日本軍이 왔다”고 헛所聞을 내고는 混亂한 틈을 노려 放牧하던 소를 훔치려던 包作(鮑作 ·소라 顚覆 미역 等을 採取하는 사람) 2名을 보자 목을 베고 梟示했다.

    李舜臣은 警戒를 늦추지 않았다. 探望軍館 임준영을 中心으로 한 偵察部隊를 運用해 日本軍 動向을 細心하게 確認했다. 德分에 朝鮮 水軍은 單 한 番도 日本軍의 奇襲 被害를 입지 않았다. 李舜臣이 會寧包에서 電線을 引受한 以後 鳴梁海戰까지, 日本軍은 8月 28日 1回, 9月 7日 2回 奇襲해왔으나 모두 擊退했다.

    그는 한 番도 怯먹고 唐慌하거나 흔들리지 않았다. 排泄의 逃亡 前後 李舜臣이 取한 措置는 危機 때 드러나는 리더십의 眞面目을 보여준다. 排泄은 漆川梁 海戰 以後 正常的인 狀態가 아니었다. 8月 25日 包作들의 헛所聞에 놀라 도망쳤다가 27日에야 나타났다. 8月 30日 李舜臣은 戰爭恐怖症에 걸린 排泄에게 特段의 措置를 取했다.

    첫째는 그가 七千輛海戰 때처럼 部下들을 이끌고 도망치지 못하도록 그의 所屬 將帥들을 불러 거느렸다. 排泄과 그 麾下의 將帥들을 分離해 麾下 將帥들의 動搖를 防止하고, 排泄과 함께 도망칠 可能性을 事前에 遮斷한 것이다.

    約束 또 約束

    그는 排泄의 逃走 可能性을 豫測하고도 “이때는 明確히 나타나지 않았다. 먼저 들추는 것이 長壽의 計策이 아니기에 생각을 감추고 있었다”라고 日記에 썼다. 李舜臣 리더십이 또 한 番 빛을 發하는 대목이다. 排泄은 도망칠 可能性이 높은 人物이지만, 그런 判斷에 誤謬가 있을 수 있고 事實이 確認되지 않은 狀態에서 擧論해 不必要한 論難을 일으킴으로써 將卒들의 士氣를 떨어뜨리지 않으려고 했다.

    같은 날 李舜臣은 排泄이 病을 핑계로 陸地에 上陸해 몸調理를 하겠다고 하자 許諾했다. 戰鬪에 도움이 되지 않는 排泄에게 退路를 열어준 것이다.

    軍士들에게도 시의적절한 慰勞를 했다. 大規模 日本軍이 몰려오고 있다는 消息이 連달았기에 軍士들의 士氣를 올리는 일이 時急했다. 그는 母親喪을 當한 터라 움직임을 삼가야 했지만, 마지막 戰鬪가 될지 모를 軍士들을 위해 잔치를 베풀었다.

    9月 9日, 소 5마리를 잡아 軍士들에게 먹였다. 그런데 그날 日記에는 잔치를 하면서도 警戒에 徹底한 面貌가 드러난다. 廉探하러 온 日本軍 電線 2隻을 永登浦 萬戶 曹溪宗(趙繼宗)李 追擊해 물리칠 수 있었던 것도 그 德分이다.

    9月 14日 임준영이 日本軍 動向을 緊急 報告하자 李舜臣은 自身을 따라다니던 避難民들을 陸地로 올라가게 해 戰鬪로 因한 被害를 豫防토록 했다. 그는 勝利에만 執着하지 않았다.

    百姓 保護策은 다른 곳에서도 눈에 띈다. ‘敵을 무찌른 일을 아뢰는 啓本(討賊狀)’(1593年 4月 6日)에 따르면, 李舜臣은 日本軍이 배를 버리고 山으로 도망치자 積善을 모두 불태우지 않고 한두 隻을 남겨뒀다. 日本軍이 다시 바다로 나와 도망치게 한 것이다.

    李舜臣은 “敵船만 불태우다가는 窮地에 몰린 盜賊들의 火풀이(窮寇之禍)가 반드시 (山속에 避難해 있는) 우리 百姓들에게 미치기 때문”이라고 밝혀 놓았다. 이는 ‘孫子兵法’에서 ‘窮地에 몰린 敵을 壓迫하지 말라(窮寇勿迫)’고 한 대목과 關聯이 있다. 李舜臣은 그렇게 하면서도 복병선을 配置했다. 山에서 내려와 몰래 바다로 도망치는 日本 戰線에 對한 攻擊을 잊지 않은 것.

    9月 16日, 李舜臣은 鳴梁大捷의 奇跡을 만들었다. 그날도 미리 配置해둔 偵察軍士가 日本軍의 移動을 제대로 報告했다. 李舜臣은 그에 맞춰 “將帥들을 불러 모아, 거듭 約束”을 하고 出戰했다.

    李舜臣의 말과 글에는 約束을 하는 場面이 자주 나온다. 一方的인 命令이나 指示가 아니라 部下들을 說得하기 위한 約束을 强調한다. 그것도 몇 次例에 걸쳐. 部下 將帥들이 그를 信賴하고 尊敬하며 自發的으로 움직인 理由의 하나가 바로 ‘約束’이다.

    鳴梁海戰은 李舜臣人 탄 大長線이 맨 앞에서 외로이 첫 砲聲을 쏘는 것으로 始作됐다. 그런데도 部下들은 壓倒的인 規模의 日本軍을 보자 ‘約束’을 잊고 두려워하며 戰鬪를 回避했다. 包圍된 大長線을 지켜보면서도 도망칠 생각을 하고 있었다. 大長線의 軍士들도 마찬가지였다.

    李舜臣은 大長線에 탄 部下 將卒들부터 說得했다. “배 위의 사람들은 서로를 돌아보며 파랗게 질려 있었다. 나는 부드럽게 論하며 說明하면서 말하기를 ‘敵이 비록 1000척이라도 敢히 우리 배는 바로 치지 못할 것이다. 조금도 마음 흔들리지 말고, 힘을 다해 敵을 쏘아라’고 했다.”

    敵將을 寸斬한 理由

    李舜臣은 물살이 유리한 方向으로 바뀔 때까지 그렇게 홀로 견뎌냈다. 轉換의 時間이 다가오자 그는 部下들을 불러 螺角을 불게 하고 旗발을 올렸다. 巨濟 縣令 安危, 中軍將 김응함이 잇따라 다가왔다. 그들에게 한便으로는 호통을 치고 한便으로는 說得했다.

    安危에게는 “네가 命令을 거스르다가 軍法에 죽고 싶으냐!” “도망가서 山들 어디에서 살 수 있겠느냐!”고 외쳤다. 김응함에겐 “너는 中軍(中軍)인데도 멀리 被害 大將을 求하지 않는구나. 그 罪를 어찌 벗어날 수 있겠느냐. 敵의 狀況이 急하다. 暫時라도 먼저 공(功)을 세워라!”라고 했다.

    엄청난 危機의 瞬間에도 李舜臣은 論理的인 說得으로 部下들의 自發的인 忠誠心을 이끌어냈다. 美國 예일대 敎授 이언 에어즈가 强調하는 ‘당근과 채찍’ 같은 動機附與 方式이 아니다. ‘率先垂範과 威嚴’을 보여주는 場面이다.

    敵陣으로 들어간 安危는 안골眞(安骨陣)의 敵將(賊將) 마다시(馬多時)와 그 麾下의 敵船 2隻과 對決했다. 李舜臣도 合勢해 敵將選 等 敵船 3隻을 破壞했다. 李舜臣과 安慰의 核心 타깃은 敵將船이었다. 指揮體系를 붕괴시켜 勝利를 거머쥐려는 것이다.

    적장선은 無力化되고 敵將은 바다에 떨어졌다. 李舜臣의 배에 타고 있던 投降한 日本軍 出身 俊士(俊沙)가 바다에 빠진 마다시를 알아보고 李舜臣에게 報告했다. 李舜臣은 卽時 마다시를 건져 올리게 한 뒤 ‘村참(寸斬)’을 命했다.

    村참은 ‘온몸의 마디마디를 잘라 죽이는 것’이다. 마다시의 온몸이 토막토막 잘렸다. ‘亂中日記’에는 李舜臣이 殺人·强盜·强姦·脫營兵을 處刑하거나 梟示케 한 事例가 많이 나오지만 村참 事例는 한 番도 없다. ‘朝鮮王朝實錄’에서도 村참은 燕山君 時代에만 나오는 惡刑이었다.

    그런 村참을 命令한 것은 일본군에게는 恐怖心과 함께 도망쳐 살고자 하는 欲望을, 朝鮮 水軍에게는 리더의 威嚴과 승리에 對한 確信을 주기 위해서였을 것이다. 李舜臣의 計劃대로 日本軍의 氣勢는 꺾였고, 구경만 하던 朝鮮 水軍은 거센 波濤처럼 日本軍 陣營으로 달려 들어갔다.

    그날 밤, 李舜臣은 깃털 하나 들 수 없을 程度로 파김치가 된 狀態에서 “이番 일은 實로 하늘이 도우셨구나(此實天幸), 하늘이 도우셨구나(天幸天幸)…”라며 하늘에 感謝했다. 다음은 人間 李舜臣, 리더 李舜臣의 眞面目을 볼 수 있는 日記 몇 대목이다. 리더를 꿈꾸는 이라면 한 番쯤 새겨볼 만하다.

    △1595年 1月 1日. 맑았다. 촛불을 밝히고 홀로 앉았다. 나랏일을 생각하니, 나도 모르게 눈물이 주르르 흘러내렸다. 또 80歲의 아프신 어머니 걱정에, 애 태우며 밤을 새웠다.

    △1597年 10月 16日. 맑았다. (…) 來日이면 막내아들이 죽었다는 消息을 들은 지 나흘째이다. 그런데도 마음껏 소리 높여 슬피 울부짖을 수 없어, 소금 굽는 사람(鹽干) 강막지의 집으로 갔다.

    참 진(眞), 다할 진(盡) 나아길 진(進)
    박종평

    1964年 忠南 保寧 出生

    서강대 政外科 卒業, 고려대 碩士(政治學)

    著書: ‘眞心盡力 : 삶의 戰場에서 李舜臣을 만나다’ ‘흔들리는 마흔, 李舜臣을 만나다’ ‘李舜臣, 꿈속을 걸어 나오다’ 外 2卷


    △1594年 2月 9日. 맑았다. 高聲 縣監에게 당항포에 敵船이 往來하는지 물었다. 또한 “百姓들이 굶주림으로 인해 서로 죽여 잡아먹는 慘澹한 狀況에서, 앞으로 어떻게 保護하고 살 수 있게 할 것인가”라고 물었다.

    △1597年 10月 21日. 밤 2時쯤에 비와 눈이 오락가락했다. 바람결이 아주 차가웠다. 뱃사람들이 추워 얼어붙을까봐 걱정이 되어 마음을 안정시킬 수 없다.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