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忠告하고 指摘하고 바로잡으라!|신동아

史記에 길을 묻다

忠告하고 指摘하고 바로잡으라!

齊나라 위왕의 ‘疏通 리더십’

  • 金映洙 | 史學者, 中國 史記 專門家

    入力 2016-02-22 14:40:47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政治, 外交 할 것 없이 連日 ‘不通 리더십’李 紙面을 달군다.
    • 리더에게 要求되는 많은 資質 中에서도 疏通은 맨 윗자리를 차지한다.
    • 不通 리더십에서 疏通 리더십으로 거듭나 百姓을 便安케 하고 나라를 富强하게 이끈 歷史的 事例를 통해 우리 現實을 省察해본다.
    疏通을 모르는 統治者와 政權은 例外 없이 思想과 言論을 統制하고 彈壓한다. 이로 因해 獨裁 政權과 權威主義 政權은 늘 流言蜚語에 시달리고 이를 두려워한다. 이런 政權 아래서 發生하는 流言蜚語는 學者들이 診斷하듯 病的인 것도 아니고 남을 속이려는 手法의 結果物도 아니다. ‘不安하고 曖昧模糊한 狀況을 理解하려는 百姓들의 隱密하고도 성실한 試圖’일 따름이다.
    中國을 最初로 統一한 秦始皇은 史上·言論 彈壓으로 惡名이 높았다. 流言蜚語조차 極端的인 方法으로 統制했다. 그 結果物은 ‘偶語기시(偶語棄市)’라는 말로 壓縮된다. 두 사람이 짝을 지어 속닥거려도 저잣거리에서 公開 處刑한다는 惡法이었다. 百姓의 生活이 어떠했을지 想像하고도 남는다.
    ‘詐欺(史記)’에서 이 成語는 두 군데 나타난다. 하나는 이 苛酷한 法을 制定한 張本人 秦始皇의 行跡을 收錄한 ‘秦始皇本紀’이고, 다른 하나는 이 法을 비롯해 秦나라의 苛酷한 法들을 廢止해 ‘約法삼장(約法三章)’으로 要約한 漢나라 高祖 劉邦의 一代記 ‘고조본기’다. 참으로 공교롭다.    
    ‘偶語기시’라는 極端的 措置는 理事(李斯)의 發想에서 나왔다. 이 措置는 思想 彈壓의 一環으로 ‘詩(詩)’나 ‘徐(書)’에 對해 두 사람 以上이 이야기를 하면 處刑한다는 것이었다. 이것이 ‘고조본기’에 와서는 ‘모여서 議論하는 사람들은 저잣거리에서 死刑을 當했다’는 意味로 擴大됐다. 言論 彈壓의 範圍가 曖昧하고 包括的일 수밖에 없다는 點을 念頭에 둔다면, 當初 ‘詩’나 ‘徐’에 對한 論議를 處罰하던 것에서 그저 두 社  람 以上이 모여 수군거리기만 해도 極刑에 處하는 것으로 法 適用이 擴大된 건 當然한 手順으로 보인다.



    雍蔽之, 國傷也

    思想과 言論이 彈壓을 받으면 流言蜚語가 傳染病처럼 퍼진다. 窮極的으로 政權마저 感染시켜 쓰러뜨린다. 流言蜚語는 表面에 드러난 말보다 더 많은 걸 말하고 싶어 하며, 그 隱密함 때문에 더 重要하고 妥當할 때도 있다. 그 속에 百姓의 마음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政權이 流言蜚語를 두려워하는 까닭도 여기에 있다. 그런데 어리석게도 流言蜚語를 惡意的으로 利用하려는 者들이 있다. 百姓은 이 點을 正確히 읽어야 한다.
    ‘壅蔽地(雍蔽之), 國喪野(國傷也)’는 言論이 統制되거나 言路가 막히면 나라가 위태로워진다는 點을 含蓄한 名言이다. 秦나라가 그리도 빨리 무너져버린 原因을 따지는 자리에서 司馬遷이 漢나라 初期 政治思想家 街의(賈誼·기원전 200~168)가 秦나라의 實情(失政)을 專門的으로 批評한 ‘과진론(過秦論)’이란 글을 빌려 한 말이다.
    ‘옹(雍)’은 물의 흐름을 막는다는 뜻이고 ‘弊(蔽)’는 遮斷하고 가린다는 意味다. 要컨대 위의 뜻이 아래로 傳達되지 못하고, 아래의 感情은 더욱 위로 傳達되지 못한다. 그렇게 되면 서로 감추고 숨기는 바람에 나라의 血管이 막힌다. 그다음은 滅亡의 길이다. 情報 傳達 機能을 喪失한 組織이 活力을 잃는 것과 같은 理致다. 勿論 분별없는 低質 言論, 確固한 自己 哲學과 方向性을 喪失한 言論 또한 나라를 망치는 主犯이다. 言論이 不通의 統治者에게 어떤 行態를 보이는지 사납게 지켜봐야 할 重要한 理由다.
    紀元前 379年 前인(田因)은 第(齊)나라 諸侯이던 아버지를 繼承해 새 諸侯가 됐다. 全人은 吳(吳)와 月(越)나라의 뒤를 따라 諸侯 名稱을 버리고 스스로를 王으로 불렀으니, 그가 바로 제 위왕(威王)이다. 위왕은 自慢에 빠져 每日 歌舞와 女色에 陶醉해 調整을 돌보지 않았다. 여기에 腐敗한 政治의 틈을 노려 韓(韓), 位(魏), 노(魯), 兆(趙)나라 等이 서로 軍隊를 일으켜 繼續 攻擊하니 제나라를 지키려는 邊方의 將帥들은 싸울 鬪志마저 없어 每番 戰鬪에서 敗했다. 적지 않은 國土가 敵國의 손에 넘어갔다.
    이런 마당에도 위왕은 自身의 잘못을 깨닫지 못했다. 當時 一介 下層 知識人에 不過하던 추기(鄒忌)의 마음은 불타는 듯 焦燥했다. 그는 나라의 面貌를 改變하려면 반드시 위왕의 精神狀態를 돌려놔야 하고, 이를 위해선 어떤 方法을 쓰든 위왕을 刺戟해야 한다는 것을 잘 알았다. 추기는 사흘 밤낮을 苦悶한 끝에 한 가지 方策을 생각해냈다.

    거문고와 統治의 理致

    추기는 衣服을 갖춰 입고 王宮으로 가서 사람을 넣어 王을 만났다.
    “大王께서 音樂을 좋아하신다고 들었습니다. 제가 거문고에 對해 나름 硏究한 게 있어 찾아뵙게 됐습니다.”
    飮酒歌舞엔 一家見이 있다고 自負하던 위왕은 追記가 거문고 얘기를 하자 몹시 들떠 左右 侍從들에게 明解 거문고를 追記의 面前에 놓게 했다. 추기는 거문고 줄 위에 손을 얹고는 눈을 감았다. 위왕은 잔뜩 期待에 부푼 表情으로 추기를 바라봤다. 그러나 한참이 지나도 추기는 줄에 손을 얹은 채 搖之不動이었다. 위왕이 疑訝한 表情으로 물었다.
    “先生께서 스스로 거문고에 對해 잘 안다고 하여 거문고 타는 솜씨를 鑑賞하려는데 줄만 어루만지니 或是 거문고가 마음에 들지 않으시오? 아니면 寡人에게 무슨 말을 하고 싶은 겝니까?”
    추기는 거문고를 한쪽으로 밀어놓고 正色을 하며 말했다.
    “神이 잘 안다고 말씀드린 것은 거문고 소리에 關한 理致입니다. 거문고를 타서 아름다운 소리를 내는 건 樂工(樂公)의 몫이지요. 神이 비록 거문고 소리의 理致를 알고 있다고는 하나 그걸 듣고 王께서 辱하시면 어쩌나 걱정돼서 이렇게 머뭇거립니다.”
    위왕은 多少 언짢은 表情을 지었지만 已往 이렇게 된 것 어쩔 수 없다는 듯 “그러면 먼저 거문고의 理致에 對해 말해보시오!”라고 했다. 그러자 추기는 이렇게 말했다.
    “거문고를 뜻하는 ‘금(琴)’이라는 글字는 ‘금(禁)’字와 통합니다. 卽 淫蕩하고 邪惡한 것을 禁하고 모든 것을 올바르게 돌려놓는다는 뜻입니다. 太古 때 伏羲氏(伏羲氏)가 거문고를 만들면서 길이는 석 字 여섯 치 일곱 푼으로 하여 1年 366日을 본떴고, 그 幅은 여섯 치로 六合(六合)을 象徵했습니다. 앞이 넓고 뒤가 좁은 것은 貴한 것과 賤한 것을 區分하기 위해섭니다. 위가 둥글고 네모난 것은 하늘과 땅을 象徵합니다. 줄이 5個인 것은 金(金)·목(木)·數(水)·火(火)·土(土)의 五行을, 큰 줄은 君主를, 작은 줄은 臣下를 말합니다. 소리에 緩急이 있는 것은 請託(淸濁)을 表現하고자 함인데, 濁한 소리는 너그럽되 節制가 있으니 이는 임금의 道를 말하고, 請한 소리는 깨끗하나 어지럽지 않으니 이는 臣下의 道理를 말합니다. 君臣 間에 서로 믿게 되면 政治의 命令이 調和를 이룹니다. 나라를 다스리는 理致가 거문고를 연주하는 理致와 하나 다를 바 없습니다.”
    위왕은 追記의 說明에 興味를 갖긴 했지만 如前히 그 깊은 意味를 깨닫지 못하고 말했다.
    “거문고에 對한 先生의 說明은 참으로 좋습니다. 先生께서 이미 거문고의 理致를 깨닫고 있으니 必是 그 音(音)에도 精通하리라 생각하오. 願컨대 先生은 나를 위해 거문고를 한番 타보시기 바라오.”


    누가 더 잘생겼나

    그러자 추기는 沈痛한 表情으로 말했다.
    “神의 업은 거문고의 理致를 깨닫는 것이라 거문고에 精通한 건 當然합니다. 下溫帶 大王의 업은 나라를 다스리는 일인데 어찌하여 나라를 다스리는 理致에 精通하지 못하십니까. 大王께선 神이 거문고를 어루만지기만 하듯 나라를 9年 동안이나 어루만지기만 할 뿐 다스리지 않으시니 百姓의 마음이 즐거울 수 있겠습니까.”
    追記의 이 말에 위왕은 문득 깨달은 바 있어 興奮한 마음을 진정시키지 못하고 遑急히 말했다.
    “先生의 뜻을 알았습니다. 過人이 삼가 先生의 말씀을 따르겠소이다!”
    위왕은 추기를 自己 寢所의 오른쪽 房에 머물도록 했다. 다음 날 아침 위왕은 沐浴齋戒한 다음 추기를 불러 治國(治國)의 道理를 물었고, 추기는 治國의 理致와 方法 等에 對한 自身의 생각을 털어놨다. 얼마 後 위왕은 추기를 宰相으로 삼고 自身을 도와 나라를 다스리게 했다. 위왕은 이렇게 大悟 覺醒하고 추기와 呼吸을 맞춰 제나라 中興을 위한 改革에 始動을 걸었다.
    추기는 美男이었다. 일쑤 거울을 보며 잘생긴 容貌에 스스로 感歎했다고 한다. 그는 아내에게 都城 北쪽의 書工과 自身을 比較할 때 누가 더 美男이냐고 물었다. 아내는 “當然히 當身이 더 잘생겼지요”라고 對答했다. 妾에게 물어도, 自身을 찾아온 손님에게 물어도 答은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書工의 實物을 보니 아무리 봐도 自己보다 더 잘생겼다. 추기는 ‘이들은 왜 내가 더 잘생겼다고 할까’ 하며 苦悶에 빠졌다.
    얼마 뒤 추기는 위왕에게 이 얘기를 들려주며 “아내는 저를 사랑하기에, 妾은 寵愛를 잃을까 怯이 나서, 손님은 제게 바라는 게 있어서 그렇게 말한 것입니다”라고 分析했다. 그러면서 王의 곁에도 이런 部類가 넘쳐나니 정작 바른 소리를 들을 수 없다고 忠告했다.
    이를 들은 위왕은 全國에 布告令을 내렸다. 첫째, 王 앞에서 대놓고 忠告하는 사람에겐 1等賞을 준다. 둘째, 글을 올려 王의 잘못을 바로잡는 사람에겐 2等賞을 준다. 셋째, 私席에서라도 王의 잘못을 指摘해 그 얘기가 王의 귀에 들리면 3等賞을 준다. 그로부터 1年 뒤 위왕의 잘못을 指摘하는 말들이 完全히 사라졌다. 위왕은 自身을 批判하는 목소리에 充實히 귀 기울여 잘못을 바로잡았고, 이 때문에 指摘할 잘못이 없어졌기 때문이다.





    改革으로 이어진 用人術

    추기 等의 補佐를 받으며 富國强兵을 追求한 위왕의 政策 中에서도 人材를 登用하는 龍仁 政策은 가장 큰 比重을 차지했다. 그는 먼저 地方 官吏에 對한 構造調整에 突入했다. 齊나라는 두 자리의 重要한 地方官을 뒀는데, 卽묵(卽墨, 只今의 산둥省 評도 東南쪽) 貸付와 아(阿, 只今의 산둥省 糧穀 東北쪽) 代父였다.
    卽묵 大夫는 荒蕪地를 開墾하는 等 地域을 잘 다스려 稅金이 날로 늘었다. 性格이 剛直해 權勢家들의 脾胃를 맞출 줄 몰랐고, 이 때문에 위왕 側近 大臣들은 늘 卽묵 貸付에 對해 險談을 일삼았다. 아 大夫는 農事를 제대로 안 챙겨 논밭엔 雜草만 茂盛하고 倉庫도 텅 비어 防禦力이 허술하기 짝이 없었다. 하지만 위왕 側近들에게 賂物을 자주 바치는 等 阿附를 일삼아 위왕 側近들은 아 貸付를 稱讚하는 말을 늘어놨다.
    위왕은 두 사람에 對해 調査한 뒤 그들을 불러들였다. 위왕은 卽묵 代父에게 “그대가 卽묵으로 간 다음 자네에 對한 뒷公論이 茂盛했다네. 그래서 내가 사람을 보내 卽묵을 살피게 했더니 곳곳이 논밭으로 變해 있었고, 百姓은 풍요롭고 官吏들은 청렴해 모두가 便하게 살고 있다더군. 이는 그대가 나의 側近 大臣들에게 阿附하지 않았기 때문이 아닌가 하네”라며 1萬 戶나 되는 땅을 다스리게 했다.
    이어 위왕은 아 代父에게 “그대가 아 地域으로 간 다음 오로지 稱讚하는 말만 들리더군. 그래서 사람을 보내 알아보니 논밭은 農事를 짓지 않아 雜草만 우거지고 百姓은 苦生에 허덕이더군. 옛날 조나라가 犬(甄)을 칠 때 그대는 犬을 救하지 못했고, 魏나라가 說陵(薛陵)을 칠 때도 알지 못했지. 너는 財物로 내 側近들을 買收해 나를 속였더군”이라고 호통을 친 뒤 “아 貸付와 그의 罪를 숨겨준 者들을 끓는 물에 던져 죽이라!”고 嚴命을 내렸다.
    卽묵 代父에게 賞을 내리고 아 貸付를 懲罰한 것으로 볼 때 위왕은 眞짜 잘하는 것과 그렇지 못한 것을 가릴 줄 알았고, 賞罰의 原則이 분명해 큰 業績을 이룰 可能性을 보여줬다. 實際로 위왕은 탁擇(濁澤)에서 魏나라와 싸워 이기고 혜왕을 包圍했다. 혜왕은 和解를 求乞하며 조나라에게서 빼앗은 齊나라의 長城을 돌려줬다. 위왕은 執權 以前 諸侯國들의 混戰(混戰) 狀況을 짧은 時間에 收拾했다. 國內에서 實施한 一連의 政策은 제나라 百姓들로 하여금 健全한 生活과 人間關係를 누릴 수 있게 했고, 모두가 誠實히 살도록 刺戟해 齊나라는 繁榮을 謳歌했다. 以後 20年 동안 어느 諸侯도 齊나라를 건드리지 못했다.
    諸侯들이 제나라를 넘보지 못한 건 위왕이 有能한 人材를 起用한 德分이기도 하다. 위왕 곁에는 추기 外에도 孫臏(孫?), 순우곤(淳于?) 等의 人材가 있었다. 孫臏은 뛰어난 軍事價였는데, 위나라에 갔다가 同門受學한 방연(龐涓)의 嫉妬와 謀陷으로 무릎 아래를 잘리는 極刑을 받고 齊나라로 逃亡쳤다. 齊나라 將軍 電氣(田忌)는 위왕에게 孫臏을 推薦했고 위왕은 그를 參謀로 앉혔다. 魏나라가 조나라를 攻擊하자 조나라는 齊나라에 도움을 請했다. 孫臏은 위나라를 包圍해 조나라를 救한다는 ‘僞位救助(圍魏救趙)’ 策略으로 界陵(桂陵)에서 위나라 軍隊를 大破했다. 이로써 齊나라는 最强의 諸侯國으로 負傷해 天下를 號令했다.

    寶物 같은 人材들

    위왕은 이렇듯 政治·軍事 等 여러 方面에서 卓越한 人材들을 거느렸다. 위왕은 有能한 人材를 起用하면 어떤 結果가 나타나는지를 알았고, 그래서 人材를 나라의 寶物처럼 자랑스러워했다. 그가 量(粱) 혜왕(惠王)과 나눈 意味深長한 對話를 보자.
    “大王의 나라엔 寶物이 얼마나 있습니까.”
    “없습니다.”
    “過人의 나라는 비록 작긴 하지만 한 치짜리 구슬로 수레 12代는 채울 수 있습니다. 그런데 大王의 나라는 大國인데 어째서 寶物이 없다고 하십니까.”
    “過人의 寶物과 當身의 寶物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내게는 端子(檀子)라는 臣下가 있는데, 南쪽 城을 굳게 지켜 楚나라 사람들이 東쪽을 넘보지 못하고 12諸侯가 貢物을 바치게 합니다. 반자(盼子)라는 臣下가 古堂(高唐)을 지켜 조나라 사람들은 그 東쪽 江에서 敢히 고기도 잡지 못합니다. 檢部(黔夫)라는 臣下는 西周(徐州)를 지키는데 北門과 序文에서 祭祀를 지내는 燕나라와 조나라 사람 7000號가 우리 쪽으로 移住해 왔습니다. 종수(種首)라는 臣下는 盜賊을 막는 能力이 特出해 그의 管轄 地域에선 길에 떨어진 物件도 줍지 않는답니다. 이런 人材들을 어찌 열두 수레를 채우는 寶物과 比較하겠습니까,”
    量 혜왕은 위왕의 말을 듣고는 부끄러워 얼른 自國으로 돌아갔다. 위왕과 그 後의 先王은 여러 方法과 手段으로 人材를 끌어들였고, 德分에 齊나라는 人材로 흘러넘쳤다. 齊나라는 思想的으로도 開放됐고, 수도 任置(臨淄)의 序文인 直門(稷門) 밖엔 오늘날의 大學校나 專門 硏究機關 같은 學校가 들어섰다. 이를 直下學宮, 그곳에서 講義하고 工夫하는 사람들을 직하학파(稷下學派)라고 일컬었다. 直下學宮에선 國籍을 超越해 뛰어난 學者를 두루 받아들였다. 各國의 文人과 學者, 思想家들이 雲集했는데 鄒衍, 순우곤, 煎餠(田騈), 椄餘(接予), 信徒(?到), 渙然(環淵) 等 70名에 이르는 學者가 祿俸과 상대부라는 자리를 받아 學問을 硏究하고 國事를 論議했다. 한창 蕃盛했을 땐 學者가 數千 名에 達했다. 大思想家 孟子와 荀子도 이곳에서 講義한 적이 있다.


    共生同趨, 以賢薦賢

    齊나라가 有能한 人材를 많이 끌어들일 수 있었던 가장 根本的인 原因은 君主가 人材를 重視하고 그들을 適材適所에 起用했기 때문이다. 그 結果 함께 살고 함께 發展해나가는 ‘共生同推(共生同趨)’ 現象이 나타났다.
    어느 날 순우곤은 先王에게 하루 동안 7名의 人材를 한꺼번에 推薦했다. 先王이 疑訝해하며 “내가 듣기에 1000里 안에 賢明한 선비 한 사람만 있어도 人材가 몸에 부딪칠 程度로 많다고들 하며, 100代에 成人이 한 사람 나와도 발꿈치가 닿을 程度로 人材가 많다고들 하는데, 나는 오늘 하루 만에 7名을 얻었으니 너무 많은 것 아니오?”라고 물었다. 순우곤의 對答은 이랬다.
    “사람은 뜻이 같은 사람끼리 모이고, 事物은 같은 種類끼리 모이는 法입니다. 오늘 推薦한 이들은 모두 天下에 둘도 없는 人材입니다. 大王께서 제게 人材를 求하라는 것은 江물에서 물을 얻고 불더미에서 불씨를 얻으라는 것과 마찬가집니다. 그러니 7名 推薦한 것을 어찌 많다고 하겠습니까.”
    人材는 孤立된 狀況에서 出現하는 게 아니라 일정한 條件이 되면 植物들의 共生關係처럼 무더기로 자라나며, 같은 理想과 抱負를 지닌 人材는 條件만 맞으면 서로를 끌어당긴다는 뜻이다. ‘賢明한 사람이 賢明한 사람을 推薦한다’는 ‘이현천縣(以賢薦賢)’의 法則이다.
    위왕은 추기로부터 疏通의 理致에 對한 忠告를 듣고 9年에 걸친 生活 態度와 思考方式을 完全히 뜯어고쳤다. 그러고는 百姓과 積極 疏通했다. 그 結果 어떤 官吏가 좋고 나쁜지를 正確히 알게 됐고 孫臏, 電氣 같은 軍事 專門家를 拔擢할 수 있었다. 나아가 當代 最高의 思想家들을 大擧 招聘해 學宮을 만들고 自由롭게 學術 討論을 하도록 支援했다. 그 結果 齊나라와 수도 任置는 當時 最高 水準의 文化를 누리는 第2의 全盛期를 맞았다. 그 모든 것의 出發點은 다름 아닌 統治者의 疏通 意志와 實踐이었다.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