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責子 ; 子息을 꾸짖다|신동아

名士에세이

責子 ; 子息을 꾸짖다

  • 김대근 한국형사정책연구원 腐敗·經濟犯罪硏究室長

    cogito75@kic.re.kr

    入力 2020-02-09 10:00:01

  • 글字크기 설정 닫기
    12月 末, 父母님이 서울에 올라오셨다. 과일과 飯饌거리를 사서 冷藏庫에 넣어두었고, 고구마를 구워서 테이블에 올려놓았다. 오시는 날 추위에 苦生하실 것 같아 따뜻하고 便安하시도록 집을 구석구석 淸掃하고 보일러와 螢光燈을 켜두고 出勤했다. 

    아이들이 마치 콩나물이 자라는 것처럼 눈 깜짝할 사이에 크더라고 親舊들이 말하던데, 아이는 아직 키워보지 못해서 잘 모르지만, 父母님이 늙는 速度야말로 瞬息間이다. 안 보는 사이 父母님은 부쩍 늙으셨고 야위셨다. 안쓰러움을 느낄 새도 暫時, 退勤해 집에 들어오자마자 數十 年間 反復된 꾸지람이 들려온다. 

    왜 너는 맨날 인스턴트 飮食만 먹니(맨날은 아니에요), 밤에는 飮食 먹지 마라(예전보다 덜 먹어요), 저렇게 飮食物 쌓아두고 밖에서 사 먹으면 浪費다(두 분 드시라고 꺼내놓은 건데), 다 본 冊은 버리든지 整理를 하렴(아직 안 봤어요), 보지 않을 冊은 그만 事故(나중에 다 볼 거예요), 걸으면 먼지가 푹푹 올라오겠다(어제 淸掃한 거예요), 이런 데서 잠이 오니(머리만 대면 잠들어요), 化粧室 淸掃는 하는 거니(어제도 했다고요), 또 불 끄고 가는 것을 잊었구나(밝아 보이게 하려고요), 사람도 없는데 보일러를 켜두다니 精神이 있는 거니(추울까 봐 일부러 켜둔 거예요). 

    나 나름 淸掃도 하고 整理도 했는데 티가 안 나서 그런가. 어쨌거나 父母님과 마주하고 어리광을 부리니 사람 사는 것 같다. 같이 食事하고 對話하니 어느덧 어린 時節의 철不知가 된 것도 같다. 對話의 主題가 漸次 바뀐다. 對話가 더 構造的인 것으로 옮겨간다. 

    살은 언제 뺄래(나름 빠진 거예요), 그러니까 結婚을 못하지(왜 ‘그러니까’죠?), 結婚은 언제 할래(때 되면 할 거예요), 네 나이 때 나는 애가 셋이었다(그건 結婚 안 해도 할 수 있어요), 아직도 TV 켜놓고 工夫하는 버릇은 못 고쳤구나(외로워서 그래요), 音樂 들으면 글이 머리에 들어가니(다 들어가요), 그렇게 늦게 자니까 낮에 疲困하지(일이 많아서 그래요), 걸을 때 쿵쿵 딛는 버릇 좀 고치렴(이 덩치에 사뿐사뿐 걸으면 더 異常해요), 貯蓄은 얼마나 했니(…). 



    모자란 아들에 對한 關心은 漸漸 增幅된다. 洑물 터지듯 다양한 方式으로 表出되는 父母님의 잔소리는 스무고개와 같은 수수께끼의 境地에 이르게 된다. 얼마 前, 내가 放送에 나가 인터뷰한 모습을 보시며 아버지와 어머니가 對話를 나누신다.

    子息 된 道理

    어머니: 네가 저렇게 自己 管理 안 하고 못생겼으니까…. 그걸, 못하는 거야.
    아버지: 結婚?
    어머니: 그거 말고.
    아버지: 아이 낳기?
    나: 그건 結婚 안 해도 自身 있어요.
    모두: (沈默)
    아버지: 成功?
    어머니: 그것도 못 했지만!
    아버지: 出世?
    어머니: 그것 말고 또!
    아버지: 富者?
    어머니: 또 다른 거!
    아버지: 내 집 마련?
    어머니: 더 寒心한 거! 

    끝내 어머니는 그것이 무엇인지 알려주지 않으셨고, 아버지는 즐거워하시며 내가 이루지 못한 몇 가지를 繼續 끄집어내셨다. 나이가 들어서인지, 아니면 뻔뻔해져서인지, 예전 같으면 울컥했을 법한 핀잔에도 그다지 神經이 쓰이지 않는다. 甚至於 마음이 便安해지고 슬며시 웃음조차 나온다. 막상 내가 每事에 正確하고 行實이 바르다면 어땠을까. 그래서 自己 管理도 잘하고, 工夫하거나 冊을 읽을 때는 TV나 라디오를 듣지 않는다면, 크게 成功해 結婚도 하고 아이도 셋이나 낳고,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난다면. 게다가 걸을 때 사뿐사뿐 걸으면서 貯蓄도 相當히 해두었더라면…. 

    아마도 父母님은 무척 심심하지 않으셨을까. 父母와 子息 間 對話가 斷絶되지는 않았을까. 나무랄 데 없는 子息이라는 存在는 뜨거운 아이스아메리카노 같이 不可能한 것이 아닐까. 父母님의 눈에 限없이 어리석게 보여야 모름지기 子息 된 道理가 아니겠느냐 말이다. ‘歸去來辭(歸去來辭)’라는 作品으로 널리 알려진 위진南北朝 時代의 陶淵明(陶淵明)도 子息을 責望하는 時, ‘冊子(責子)’를 남겼다. 그의 詩를 읽어보자.

    아버지의 술

    白髮被兩? 肌膚不復實
    (白髮은 兩쪽 귀밑을 덮고, 皮膚의 彈力도 예전같지 않아) 

    雖有五男兒 總不好紙筆
    (비록 내게 아들이 다섯이나 있지만, 모두 글工夫를 좋아하지 않네) 

    阿舒已二八 懶惰故無匹
    (舒라는 녀석은 벌써 열여섯이 되었건만, 게으름은 애初에 따를 者가 없을 地境이고) 

    阿宣行志學 而不愛文術
    (宣이라는 녀석은 열다섯이 다 돼가는데, 學問을 싫어하네) 

    雍端年十三 不識六與七
    (雍과 端는 나이가 열세 살이지만, 6과 7을 區別하지 못하고) 

    通子垂九齡 但覓梨與栗
    (通 녀석은 아홉 살이 다 돼가는데도, 그저 배와 밤만 찾는구나) 

    天運苟如此 且進杯中物
    (하늘의 뜻이 丁寧 이러하다면, 거푸 술盞 속을 비울 수밖에) 

    只今 陶淵明의 詩를 읽어보니 子息인 내가 보기에도 눈물이 앞을 가린다. 다섯이나 되는 아들이 죄다 게으르고 工夫에는 뜻이 없고, 多少 덜떨어졌으며, 그저 食貪만 있다면 어느 아버지가 속이 便하겠는가. 

    勿論 아버지가 바라본 다섯 아들의 모습이 全的으로 이러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父母 눈에 子息들은 늘 어리석게 보이고 不足해 보일 테니까. 斟酌건대 게으른 舒(徐)는 代身 敏捷했을 것 같고, 宣(先)은 工夫는 싫어해도 音樂을 잘했을 수 있지 않겠는가. 雍(옹)과 端(單)도 數字에는 弱해도 感受性이 豐富했을 것 같고, 아직 어린 通(桶)도 成熟한 어른이 됐을 것 같다. 

    적어도 나는 詩人의 아들들처럼 모자란 子息은 아니지 않으냐고 생각하다가도 곰곰 따져보면 늦게 잠들고 빈둥거리기를 좋아하니 게으르기 짝이 없고, 事物의 理致를 區別하지 못하며, 늘 배고파하니 食貪이 줄지 않았다. 甚至於 學問을 職業으로 擇했음에도 글工夫를 싫어하고 지겨워한다. 옛사람들의 歎息에서 決코 자유롭지 않은 것이다. 그러고 보니 며칠 前에도 아버지가 홀로 막걸리 한 甁을 비우셨다. 아차!


    김대근
    ● 1975年 出生
    ● 高麗大 法學科 卒業 高麗大 大學院 法學博士
    ● 韓國刑事政策硏究院 硏究委員, 腐敗·經濟犯罪硏究室 室長
    ● 曆書 : ‘差別이란 무엇인가’ ‘롤스의 政治哲學社 講義’(近間) ‘正義論’ 外




    에세이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