佛敎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佛敎 萬字. 韓半島에서 主로 使用된다.

佛敎 (佛敎, 英語 : Buddhism , 산스크리트語 : ????? ???? )는 紀元前 6世紀 印度 고타마 싯다르타 [1] 에 依해 創始된 印度 系統의 宗敎 이다. 佛敎는 그가 펼친 가르침이자 또한 眞理 를 깨달아 部處 ( 붓다   · 깨우친 사람 )가 될 것을 가르치는 宗敎 이다. [2] 具體的으로는 苦痛에서 벗어나는 것 또는 苦痛이 없는 狀態에 이르는 것이 가르침의 目的인데 이는 老子가 具體的으로 表現될 수 있는 件 道가 아니라고 한 가르침과 다르다. 上座部 佛敎 大乘佛敎 로 나눌 수 있다. [3]

오늘날까지 2,500年의 歲月이 흐르는 동안 佛敎는 다양하고 複雜한 宗敎的 傳統을 지니게 되었다. 그러나, 佛敎는 一般的으로 改造(開祖)로서의 部處 , 가르침으로서의 , 그리고 이를 따르는 共同體인 삼보 로 이루어져 있다고 說明할 수 있다. [4]

佛敎의 가르침을 般若 또는 보리와 混同하는 主張이 있다. 解脫 또는 涅槃은 위 說明과 같이 벗어나는 것을 뜻하고 반야 等은 智慧를 뜻하므로 이들은 다르다. 깨달음 에 到達하는 것은 涅槃 에 到達하는 것과 同一하다. [5] [6] 佛敎經典 人 《 涅槃經 》에는 이러한 見解가 뚜렷이 나타나 있다.

韓國의 佛敎는 三國時代에 中國을 통해 傳來되었다. 中國의 佛敎는 後漢 때에 傳來되어 以後 佛敎의 經典이 個人 或은 國家的 事業으로 漢文飜譯되었다. 阿含經 뿐만 아니라 般若, 大乘經典이 多量 同時代에 飜譯되어 流通되었다. 漢譯된 經典을 基本으로 한 佛敎는 中國, 韓國, 日本 等 東아시아佛敎(北方佛敎)의 根本이라 할 수 있다.

韓國의 佛敎徒들은 傳統的으로 漢譯된 經典, 卽 大藏經을 수지讀誦해 왔다. 近來에 南方에 傳來된 初期의 佛敎經典의 한글飜譯度 活潑하게 進行되고 있다. 이미 英國에서는 約 한 世紀 前부터 刮目할 만한 水準의 니카野 飜譯 作業이 이뤄지고 있다. [ 出處 必要 ]

간다라 樣式의 釋迦牟尼 불入賞, 紀元後 1世紀

佛敎의 歷史 [ 編輯 ]

釋迦牟尼 의 誕生地인 룸비니 (Lumbini): 네팔 의 가운데 아래쪽의 印度 와 接境 地域 가까이에 位置한다
紀元前 5世紀 마가다 (Magadha) 王國의 大略的인 範圍

歷史的 觀點의 起源 [ 編輯 ]

歷史的으로 佛敎는 紀元前 6世紀 샤카族 의 王子로 태어난 싯다르타 고타마 (Siddh?rtha Gautama)에 依해 創始되었으며 現 네팔과 印度 北東部 地方에 있던 마가다 (Magadha) 王國을 中心으로 成立되었다. 싯다르타의 出生地는 룸비니 (Lumbini)였고, 그의 成長地는 迦毘羅 性(迦毘羅城, Kapilavastu)이었으나 그의 宗敎 活動인 수도(修道), 正刻(正覺), 布敎(布敎)는 마가다를 中心으로 展開되었기 때문에 그의 出生地나 成長地보다는 마가다 王國이 佛敎 發生의 中心地로 생각된다. 싯다르타는 갠지스江 周邊의 나라였던 슈라바스티 (Sr?vast?) 王國의 祇園精舍 와 마가다 王國의 竹林精舍 같은 곳에서 많은 弟子를 이끌었다. 釋迦牟尼 生前의 主要 弟子로는 舍利佛 , 目犍連 , 迦葉 , 아난 과 같은 十大弟子 가 알려져 있다. [4] 싯다르타의 人生과 關聯된 主要한 場所는 八大姓地 라고 부른다.

佛敎의 傳播 [ 編輯 ]

佛敎 人口 分布
佛敎의 傳播
紀元前 1世紀 西域

印度 마우리아 王朝 ( 紀元前 4世紀 - 2世紀 )의 3代 王이었던 아소카 는 征服 戰爭을 일으켜 勝利하였으나 戰爭의 慘狀에 큰 衝擊을 받고 佛敎로 귀의 하였다. 이에 依해 印度 全域에 佛敎가 傳播되었으며 印度 以外의 地域으로 佛敎가 傳해지는 契機가 되었다.

  • 北方 經路

印度에서 發生한 佛敎는 간다라 를 거쳐 티베트   · 페르시아   · 아프가니스탄   · 타클라마칸 地域으로 傳播 되었다. 이들 地域은 中國 에서 西域 이라 불리던 곳으로 貸越氏 (大月氏)  · 安息 (安息)  · 康居 (康居) 等의 이 地域 僧侶 들에 依해 佛經 佛像 이 傳來되고 經典이 漢譯되었다. 中國 에 傳해진 佛敎 는 中國 固有의 道敎 思想과 많은 融合이 일어났다. 韓國 日本 에 傳來된 佛敎 中國 漢譯 佛經 이 根幹을 이루었으나 산스크리트語 로 된 佛經 亦是 持續的으로 傳播되었다. 티베트 에 傳來된 佛敎 는 獨自的인 發展을 거쳐 라마교 라 불리게 되었으며 몽골 에 傳播되었고 元나라 時期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元나라 滅亡 後 中國 韓國 등에서는 衰退하였으나 以後 淸나라 時期에 皇宮의 宗敎가 되기도 하였다. 西쪽으로 傳播된 佛敎는 유럽 에까지 傳播되어 칼미크 共和國 은 佛敎를 國敎로 삼기도 한다. 北方 經路를 거쳐 傳播된 佛敎는 北方佛敎 또는 大乘佛敎 라 불리기도 한다.

  • 南方 經路

한便, 東南아시아 地域에도 佛敎가 傳播되었으며 스리랑카   · 泰國   · 캄보디아   · 미얀마   · 베트남 地域의 絶對多數 사람들이 佛敎를 믿는다. 東南아시아 地域에는 부처님 當代의 口語인 빠알리어 經典을 갖춘 上座部 佛敎 가 있는데, 上佐란 곧 長老라는 뜻이다. 또는, 南方佛敎 라고 부르기도 하며, 元來 名稱 그대로 테라와다 또는 테라바다 (Theravada) 佛敎라고도 부른다. 上座部 佛敎 地域에서는 上座部 佛敎를 '테라바다'로, 大乘佛敎를 '마하야나'라고 부른다.

年表: 佛敎 傳統의 成立과 發展 (紀元前 450年頃부터 紀元後 1300年頃까지) v   ?   d   ?   e   ?   h

  450 BCE 250 BCE 100 CE 500 CE 700 CE 800 CE 1200 CE

 

印度

원시佛敎

 

 

 

部派佛敎 大乘佛敎 密敎 · 金剛乘

 

 

 

 

 

스리랑카   ·  
東南아시아

  上座部 佛敎

 

 
 

 

 

 

中央아시아

 

그레코 佛敎

 

티베트 佛敎

 

緋緞길을 通한 佛敎 傳播

 

東아시아   ·  
· ·

  天台宗   ·   淨土宗   ·   一連種

密敎   ·   眞言宗

 

 

  450 BCE 250 BCE 100 CE 500 CE 700 CE 800 CE 1200 CE
  凡例:   = 上座部 佛敎 傳統   = 大乘佛敎 傳統   = 密敎 · 金剛乘 傳統

佛敎의 思想 [ 編輯 ]

佛敎는 敎祖인 고타마 싯타르타의 가르침을 따르는 宗敎 이며, 깨달음을 얻어 窮極的으로 붓다가 되는 것을 目標로 한다. 印度에서 佛敎는 原始 佛敎, 剖破 佛敎, 大乘 佛敎, 密敎의 巡으로 展開되었는데 佛敎의 思想도 이러한 展開와 密接한 關聯을 가지고 있다.

싯다르타는 當時 印度에서 廣範圍하게 論議되고 있던 形而上學的 問題가 涅槃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여 答하지 않았다. 싯다르타는 (다르마)을 認定하였으나, 그 안에서의 總合的인 (아트만)의 存在는 認定하지 않았으며, ( 無我 ) 오히려 永遠한 나에게 執着하기 때문에 煩惱가 따른다고 하였다. ( 一切皆苦 ) 싯다르타는 修行에 依해 眞理를 體得하고 妄執을 斷絶한다면 一切의 束縛으로부터 벗어나 涅槃 (니르바나)의 境地에 이를 수 있다고 主張하였다. 佛敎에는 여러 個의 天國이 있으며, 모두 自身이 지은 業의 結果이다. 좋은 業을 쌓은 사람들은 다시 태어날 수 있다. [7]

孝道 [8] 나 因緣처럼 私的인 것을 重視하며 俗世나 公的인 것에 關心을 덜 갖는다. 業說에서는 百姓들이 賤하고 고통스럽게 사는 것은 貴族들의 탓이 아닌 自業自得에 事必歸正이라 主張하기도 해서 貴族들에게 儒敎보다 歡迎받기도 했다. 또한 貴族들은 佛敎를 利用하여 王卽佛 思想과 함께 世界征服에 對한 意志와 正當性을 主張한 佛塔 따위를 建設하기도 했다.

佛敎의 主要槪念 [ 編輯 ]

  • 니르바나 Nirvana - 輪廻에서 完全히 벗어나 解脫한 境地. 涅槃 (涅槃)이라고 淫奢한다.
  • 디아나 Dhyana - 冥想. 갈수록 精神을 淸淨하게 해나가는 여덟 段階가 흔히 擧論된다. 禪那(禪那)라고 陰事하고, 줄여서 線(禪)이라고도 한다.
  • 보디사트바 Bodhisattva - 菩提薩埵 (菩提薩?)라고 淫祀(音寫)하고, 그것을 줄여서 普通 ‘菩薩’(菩薩)이라고 한다. 修行을 쌓아 언제라도 부처가 될수 있는 境地이나 衆生을 濟度하기 위하여 마지막 解脫을 스스로 뒤로 미루고 있는 存在. 가장 널리 알려진 菩薩로 亞發로키테슈바라 Avalokitesvara, 卽 觀世音菩薩(觀世音菩薩)을 꼽을 수 있다.
  • 붓다 Buddha - 眞理를 깨달은 이. 불타(佛陀)라고 陰事하였고, 줄여서 불(佛)이라고 한다.
  • 삼사라 Samsara - 나고 죽음을 끝없이 거듭하는 끝없는 過程으로 存在의 實相이 그렇다고 한다. 輪廻 (輪廻)라고 飜譯한다.
  • 上下 Sangha - 部處가 세운 出家 修行者들의 共同體. 僧伽 (僧伽)라고 淫奢한다.
  • 數냐타 Sunyata - 公(空). 모든 事物과 現象은 自省(自性), 卽 固有하고 恒久的인 實體가 없고 相對的이라는 意味에서 공이라 한다.
  • 쉴라 Sila - 倫理的 美德, 또는 그것을 奬勵하는 戒律. 佛敎의 가장 基本的인 道德律로 五戒(五戒)가 있다. 界(戒), 戒律(戒律)이라 飜譯한다.
  • 스투파 Stupa - 有害를 保管하는 塔.
  • 탄트라 Tantra - 密敎(密敎). 佛敎 中에서도 이른바 바즈라야나(Vajrayana)의 儀禮집이나 神通力을 얻기 위한 비의的(秘儀的)인 方法을 가리키는 말로, 大槪는 구루 (guru)의 가르침을 통해 傳承된다. 바즈라야나는 只今의 主로 티베트에서 信奉하며, 金剛乘 (金剛乘)이라고 飜譯한다.
  • 프라즈냐 Prajna - 眞理를 깨달은 智慧. 般若(般若)라고 淫奢한다.
  • 프라티티아사뭇播多 Pratityasamutpada - 모든 現象과 事物은 서로 依存的으로 생겨난다는 法則으로, 이로 인하여 輪廻하는 世上 속의 모든 일이 서로 聯關된다는 것. 延期(緣起)라고 飜譯한다. [9]

國家別 佛敎의 特徵 [ 編輯 ]

世界佛敎徒友誼會 에서 定한 佛敎氣 .

20世紀에 들어서부터 佛敎가 아메리카 大陸과 유럽 地域으로 活潑하게 傳播되고 있다.

印度 [ 編輯 ]

印度에는 現在 8,000名 程度의 僧侶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公式的인 僧侶 敎育 機關은 없다고 한다. 第14代 달라이 라마 티베트 亡命 政府 를 印度 北部 다람살라 에 세워서, 티베트 僧侶가 많아짐에 따라 印度人들에게도 佛敎가 傳播되고 있다고 한다. 普通, 人道에서 平等을 追求하는 佛敎를 믿으면, 不可觸賤民 으로 認識한다고 한다.

아메리카 [ 編輯 ]

美國에서 知識人들과 有名人士들 사이에 參禪 修行과 佛敎가 널리 擴散되고 있다. 美國에서 佛敎를 널리 傳한 人物로는 日本人 스즈키 다이세츠, 韓國人 嵩山 行員 船社 等이 손꼽힌다.

유럽 [ 編輯 ]

쇼펜하우어 等 佛敎를 理解하고 受容한 哲學者, 思想家들이 있었다. 티베트 亡命 政府의 政治 指導者이자 世界的 佛敎 指導者인 第14代 달라이 라마 의 影響으로 티베트 佛敎가 널리 알려져 있다.

平和를 위해 獻身해 온 베트남 出身의 佛敎指導者 틱낫한 (釋一行, Thich Nhat Hanh) 스님이 이끄는 遂行共同體인 Plum Village가 프랑스 보르도에 所在하고 있으며, 유럽과 美國, 베트남 等地의 스님들과 在家佛子들이 主로 모여 있다. 大都市에는 韓國 寺刹이 運營하는 布敎堂이 있는데 僑民 中心의 布敎 活動을 하고 있다.

러시아 [ 編輯 ]

러시아 聯邦을 構成하는 共和國 中 칼미키야 共和國 투바 共和國 이 佛敎를 國敎로 定하고 있다. 그 밖에 부랴트 共和國 도 佛敎를 믿는다.

佛敎 文化 [ 編輯 ]

建築 [ 編輯 ]

金堤 금산사 幢竿支柱
榮州 浮石寺 幢竿支柱

韓國 寺刹 建築

  • 黨間(幢竿): 절에서 佛敎 儀式이 있을 때 불(佛), 菩薩(菩薩)의 功德을 기리거나 魔鬼를 물리칠 目的으로 달았던 "黨"이라는 旗발의 旗대를 말하며, 이 旗대를 固定시켜 주기 위해 세우는 돌기둥을 幢竿支柱라 한다.
  • 一柱門
  • 金剛門  : 절에서 一柱門(一柱門)다음에 位置하는 門이된다. 이곳에는 不法의 守護神인 金剛力士를 모신다. 代身 天王門(天王門)李 建築되기도 한다
  • 四天王門  : 査察 지키는 四天王을 모시는 門이다. 卽 天王門에 모셔져 있는 四天王像은 東쪽을 지키는 持國天王 을 비롯해 西쪽을 지키는 廣目天王 , 南쪽을 지키는 增長天王 , 北쪽을 지키는 多聞天王 이 모셔진 곳이다.
  • 不二門/解脫門 : 속된 마음을 돌려서 解脫의 世界에 이르게 한다는 意味를 갖는 門이다. 卽 窮極的으로 人間이 欲心과 欲望으로 인해서 發生된 여러 가지 모든 煩惱와 解脫이 둘이 아니기 때문에 不二門이라고 일컫는 것이다.
  • 大雄殿 : 敎祖이신 釋迦牟尼佛을 大熊(큰 英雄)으로 모신 法堂을 말한다.
  • 大寂光殿: 華嚴經 에 依한 法身佛 毘盧遮那佛 (毘盧遮那佛, 永遠한 眞理의 빛 그 自體)을 駐佛로 모신 殿閣을 말한다
  • 智障殿: 冥府殿이라고도 한다. 名簿란 閻魔가 다스리는 幽冥界 이르는 말로 冥府殿은 地藏菩薩 을 모시고 죽은 이의 넋을 引導하여 곳이다.
  • 寮舍채: 僧侶 들의 日常生活을 위해 지어진 절집을 이른다. 여기에는 該當되는 空間은 參禪 을 하는 船房이나, 僧坊은 勿論 庫間 , 부엌 , 化粧室(廁間)까지도 包含된다

佛敎 關聯 世界文化遺産 [ 編輯 ]

  • 布達拉宮 : 中國 티베트 시짱 에 所在한 달라이 라마의 宮殿으로 붉은 建物인 홍궁과 흰 建物인 백궁으로 나눈다. 포탈라는 라마교(티베트佛敎)의 觀世音菩薩이 사신다는 곳을 의미한다.
  • 호류지 : 쇼토쿠 太子 때 백제에서 지었다. 日本 성덕종(쇼토쿠 太子 關聯 種) 總本山이 된다.
  • 긴카쿠지 : 日本 교토부 교토 에 所在한 金으로 鍍金한 3層 事理戰이다. 예전에 學僧이 金閣에 火災 내서 그 後 市民들의 參與로 復元되었다. 흔히 금각사로 알려진 것 그 火災를 背景으로 小說 금각사로 잘 알려져 로쿠온지가 금각사라고 불리게 된다.
  • 佛國寺 : 大韓民國 慶尙北道 慶州 에 所在한 절이다. 佛國寺 境內에 있는 흔히 金大城이 세운 줄 알지만 書記 528年( 법흥왕 15年) 法興王의 어머니 영제부인의 發源으로 세워졌다고 佛國寺古今娼妓에 記載되어 있고, 또는 이 보다 앞선 訥祗王(訥祗王) 때 아도화상(阿道和尙)이 創建되었다고 하고 김대성(金大城)李 크게 3窓 했다고 佛國寺 私的에 記載되어 있다.
  • 石窟庵 : 佛國寺 境內에 있는 石佛이다. 統一新羅 時代 김대성(金大城)李 石窟庵을 重唱하던 中 끝내 完工을 하지 못하고 死亡하였지만 新羅가 國家事業으로 完工하였다. 사서 記錄으로는 '石佛寺(石佛寺)'라고 하였다.

美術 [ 編輯 ]

  • 不和(佛畵):佛敎의 繪畫로, 佛菩薩, 敎理 같은 것을 그림으로 比喩한 것으로 高麗의 不和 가 有名하다. 스님들의 머리에서 빛이 나는 것도 美術의 한 部分이다. (대머리 때문이 아님)

主要 査察 [ 編輯 ]

韓國 [ 編輯 ]

江原, 札을 叢林 이라고 하며, 海印寺 해인叢林, 松廣寺 阼階叢林, 修德寺 덕숭叢林, 通度寺 영축총림, 白羊寺 古佛叢林의 5代 叢林이 있다.

主要 經典 [ 編輯 ]

般若心經   · 華嚴經   · 妙法蓮華經   · 父母恩重經   · 金剛經   · 法句經   · 阿含經   · 숫타니파타   · 공덕경   · 觀音經   · 楞嚴經   · 目連經   · 無量壽經   · 밀란多왕문경   · 彌勒상생경   · 彌勒하생경   · 백유경   · 불遺敎經   · 四十二章經   · 阿彌陀經   · 藥師經   · 涅槃經   · 圓覺經   · 천수경   · 잡아함경   · 維摩經 等이 있다.

같이 보기 [ 編輯 ]

出處 및 註解 [ 編輯 ]

  1. 編輯者 週: 깨달은 者 고타마를 뜻하는 "고타마 붓다"와 석家族의 聖者라는 "釋迦牟尼"와 같은 呼稱法은 예수 를 稱할 때 "메시아"라는 뜻인 그리스도 를 더하여 " 예수 그리스도 "라고 부르는 것과 同一하다. 또한 孔子   · 孟子 等을 元來의 이름인 工具   · 孟哥 로 부르지 않고 "先生"을 뜻하는 "자(子)"를 붙이는 것과 同一하다.
  2. 東洋思想 > 東洋의 思想 > 印度의 思想 > 佛敎 > 佛敎 , 《 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
  3. 손민규. 梵日 스님 “釋迦牟尼 外 다른 가르침에는 關心 없어” . 채널예스. 2014年 8月 28日.
  4. 송현주, 〈佛敎의 歷史〉, 한국종교문화연구소,《世界 宗敎學 入門》, 청년사, 2008
  5. " Enlightenment in Buddhism and Advaita Vedanta: Are Nirvana and Moksha the Same? ", by David Loy. Consulted on January 9, 2010.
  6. " Buddhist Enlightenment vs Nirvana Archived 2015年 2月 9日 - 웨이백 머신 " (3/2008), by Kusala Bhikshu. Consulted on January 9, 2010.
  7. Raju, P. T. (1985). 《Structural Depths of Indian Thought》 .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47?151쪽. ISBN   978-0-88706-139-4 .  
  8. https://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2758
  9. [世界의 宗敎ㅣ니니안스마트 지음, 윤원철 知音ㅣ2004年ㅣ圖書出版 禮敬ㅣp,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