寺刹飮食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韓國의 寺刹飮食

査察 料理 또는 寺刹飮食 은 佛敎 寺刹에서 傳해지는 料理를 말한다. 절밥 으로도 부른다.

가장 代表的인 査察飮食의 特徵은 肉食과 人工 調味料를 全혀 넣지 않을 뿐만 아니라 飮食 만드는 過程을 오로지 또 다른 修行의 한 方法으로 여긴다는 點에 있다. 北方佛敎卷(韓國, 中國 , 日本 , 티베트 等)에서는 寺院의 發達과 함께 僧侶들의 健康 [1] 을 위해 다양한 飮食이 開發됐다. 이때 菜蔬의 境遇 파나 마늘처럼 香이 지나친 材料( 五辛菜 (五辛菜))는 修行者 服用을 禁한다. [2]

는 特히 菜食主義者 를 위한 補助 食單으로서 빠지지 않는다.

韓國의 寺刹飮食 [ 編輯 ]

韓國의 寺刹飮食 韓國 의 佛敎 料理이다. 寺刹에서 傳해지는 飮食이 이에 該當하는데 大槪는 이나 나물 을 해서 信者들이 나눠먹는다.

또한 頭部 김치 , 나물로 한데 비벼서 만든 비빔밥 은 가장 代表的인 査察飮食의 種類이다. 뿐만 아니라 媒妁과 나 버섯 雜菜 , 純나물, 칼국수 等 [3] 단촐한 飮食이 査察飮食의 白眉이다. 佛敎에서 肉食을 許容하는 國家는 肉食을 않으면 生存이 不可能한 文化圈이기 때문이다는 見解도 있었다. [4] 日帝 時代에는 日本 佛敎의 影響으로 僧侶의 肉食이 擴散하기도 하였다. [5]

를 마시는 行爲는 韓國 寺刹 內에서도 다른 國家에서처럼 重視되는 便이다.

査察 飮食이 發達하지 못한 南方 佛敎 [ 編輯 ]

小乘佛敎를 믿는 南方佛敎 文化圈인 泰國이나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 等에서는 托鉢한 飮食으로 供養을 해서 査察 飮食이 發達하지 않았다. [6] 托鉢 飮食을 가리지 않고 먹는 것이 遂行의 方便으로 자리 잡았기 때문에, 托鉢文化가 남아 있는 南方 佛敎에서는 五辛菜를 禁하지 않는다. [7]

肉食을 制限的으로 許容한 釋迦牟尼 [ 編輯 ]

釋迦牟尼 는 托鉢 中에 肉食이 들어오면 그걸 그대로 許容하였다. [8] 그러나 그는 殺生을 통해서 얻은 고기는 正肉이 아니라며 拒否하였고, 아플때는 오히려 正肉을 勸하기까지 하였다. [8] 肉食을 禁하는 것은 苦行이었는데 釋迦牟尼가 살던 當時의 印度 에서는 苦行하는 사람들이 尊敬받고 인정받고 있었다. [8]

南方佛敎에서 肉食 許容 [ 編輯 ]

南方佛敎 몽골 네팔 티베트 等의 國家들에서 出家者의 肉食 을 許容하고 있다. [4] 티베트 스님들은 遂行을 잘하는데 고기를 먹는다. [5] 高麗 時代에 肉食이 發達한 元나라로부터 高麗를 訪問한 元나라 스님이 肉食을 즐기기도 하였다. [9]

日本 佛敎의 飮酒, 肉食 許容 [ 編輯 ]

中國의 스님들은 飮酒나 肉食을 許容하지 않고 結婚을 할 수 없는 等 지켜야 할 戒律이 아주 많다. [10] 하지만 日本에서는 이 모든것들이 問題가 아니다. [10] 日本人들은 마음이 眞正으로 부처님을 向한다면 飮酒나 肉食, 結婚, 生育이 모두 佛祖에 對한 스님의 忠誠에 影響을 주지 않는다고 認定하고 있다. 日本의 現實生活에서 스님이 그렇게 絶對的으로 便한 職業만은 아니라고 評價 한다. [10]

하지만 日本 에서 조차 메이지維新 前까지 肉食을 禁하기도 하였다. [4] 日本 스님들이 精進 할 때 먹는 精進料理 가운데는 長魚 料理가 包含되어 있다. [4]

같이 보기 [ 編輯 ]

  • 五辛菜 (五辛菜: 마늘·파·달래·부추·興渠)를 넣지 않아 맛이 담백하고 정갈하며, 營養이 優秀하다. 불교의 基本 精神을 바탕으로 하여 簡單하고 素朴한 材料로 自然의 風味가 살아 있는 獨特한 맛의 境地를 이루었다.

各州 [ 編輯 ]

  1. “韓國傳統寺刹飮食文化硏究所” . 2008年 3月 24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8年 7月 5日에 確認함 .  
  2. “食生活/飮食 [食生活 / 飮食] : 査察飮食의 精神과 由來, 査察飮食의 特徵 및 種類에 關한 情報” . 2011年 12月 16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8年 7月 5日에 確認함 .  
  3. “韓國査察飮食硏究所 寺刹飮食目錄 參照” . 2016年 3月 6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8年 7月 5日에 確認함 .  
  4. ““出家者 肉食, ‘고기맛’ 執着 與否에 달려?”” . 佛敎닷컴. 2015年 1月 13日.  
  5. “무엇이 아니라 어떻게, 먹고 먹일 것인가” . 佛敎포커스. 2017年 8月 16日. 2021年 5月 5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21年 5月 5日에 確認함 .  
  6. “‘佛敎 國家’ 泰國에도 없는 韓國의 寺刹 飮食 5가지 特徵은?” . 한겨레. 2015年 5月 19日.  
  7. “[宗敎와 飮食](2) 스님 隨行 害치는 5가지 매운 材料…왜 마늘은 包含하고 고추는 뺐을까” . 京鄕新聞. 2017年 3月 9日.  
  8. “생각(生)生活 속의 깨달음 23回 묘장스님-데바닷타 이야기” . BTN불교방송. 2021年 3月 30日.  
  9. 유애령 蒙古가 考慮의 肉類 食用에 미친 影響 國史編纂委員會 국사관論叢 第87輯 (1999年12月28日) 221쪽
  10. “日本의 스님들 家族 浮揚하기 위해 바쁘다” . China Radio International Online. 2017年 4月 14日.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