四聖諦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佛敎의 遂行 에서 넘어옴)

四聖諦 (四聖諦, 산스크리트語 : ??????????????? catv?ri ?ryasaty?ni , 英語 : Four Noble Truths ) 또는 私製 (四諦)는 《 阿含經 (阿含經)》에 나오는 原始 佛敎 가르침으로 佛敎 基本 敎義 가운데 하나이다. "第(諦  · Satya)"는 眞理 또는 깨우침 을 뜻한다. 四聖諦는 "네 가지 높은 깨우침(?rya: 높은, Satya: 깨우침)" 또는 "4가지 高貴한 眞理(Four Noble Truths)"라는 뜻인데, 高弟 (苦諦)  · 集諦 (集諦)  · 滅諦 (滅諦)  · 徒弟 (道諦)의 4가지 眞理 또는 깨우침 을 의미한다. 흔히 이 네 가지를 簡單히 苦集滅道 (苦集滅道)라고 부른다.

苦集滅道(苦集滅道)는 라는 演技하는 項目과 이라는 延期 (緣起)하는 項目을 合하여 나란히 늘어놨다. [1] 여기에서 의 原因 또는 因緣이 되며, 의 原因 또는 因緣이 된다. 苦集滅道 苦痛 의 原因이 執着 또는 渴愛 이며 苦痛 消滅 시키는 原因 또는 手段이 라는 演技關係 를 밝힌 것이다.

한便, 고타마 붓다 는 "宇宙는 永遠한가? 永遠하지 않은가?"와 같은 形而上學的 質問들인 十四武器 (十事無記)는 四聖諦와는 달리 智慧 (智)  · 깨달음 (覺)  · 涅槃 (涅槃)으로 나아가게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가르치거나 배울 것이 아니라고 하였다. [2]

十四武器와 四聖諦 [ 編輯 ]

고타마 붓다 十四武器 (十事無記)와 같은 形而上學的 質問들은 涅槃 으로 나아가게 하는 실다운 길이 아니며, 反面 四聖諦는 涅槃 으로 나아가게 하는 實際 길이라고 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自身은 四聖諦에 對해 늘 말하고 가르친다고 말하고 있다. 또한 弟子들에게도 十四武器 와 같은 形而上學的 質問들에 얽매이지 않아야 하며 四聖諦라는 實際 길을 걸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이런 고타마 붓다 見解는 十四武器 줄거리가 들어 있는 《 중아함경 第60卷 전유경(箭?經) 제10》에 잘 나타나 있다. [2]

「世有常者,有生、有老、有病、有死,愁?、啼哭、

憂苦、懊惱,如是此淳大苦陰生。如是, 世無常,世有底,世無底,命?是身,?命異身異, 如來終,如來不終,如來終不終, 如來亦非終亦非不終者,有生、有老、有病、有死, 愁?、啼哭、憂苦、懊惱,如是此淳大苦陰生。

「世有常,我不一向說此。以何等故, 我不一向說此?此非義相應,非法相應, 非梵行本,不趣智、不趣覺、不趣涅槃, 是故我不一向說此。如是,世無常,世有底, 世無底,命?是身,?命異身異,如來終, 如來不終,如來終不終,如來亦非終亦非不終, 我不一向說此。以何等故, 我不一向說此?此非義相應,非法相應,非梵行本, 不趣智、不趣覺、不趣涅槃, 是故我不一向說此也。

何等法我一向說耶?此義我一向說,苦、苦習、苦滅、苦滅道跡,我一向說。 以何等故,我一向說此?此是義相應, 是法相應,是梵行本,趣智、趣覺、趣於涅槃, 是故我一向說此。是?不可說者則不說, 可說者則說,當如是持,當如是學。」

"宇宙 時間은 永遠하다"는 見解를 가진 사람에게도 남이 있고 늙음이 있으며 病이 있고 죽음이 있으며, 슬픔  · 울음  · 근심  · 괴로움  · 煩悶이 있으니, 이리하여 이 純全히 괴로움뿐인 큰 무더기가 생긴다. 이와 같이 "宇宙 時間은 永遠하지 않다. 宇宙 空間은 有限하다. 宇宙 空間은 無限하다. 自我와 肉體는 같다. 自我와 肉體는 다르다. 如來는 肉體가 죽은 뒤에도 있다. 如來는 肉體가 죽은 뒤에는 여기 없다. 如來는 肉體가 죽은 뒤에는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한다. 如來는 肉體가 죽은 뒤에는 없는 것도 아니고 없지 않는 것도 아니다"는 見解를 가진 사람에게도 태어나고, 늙고, 병들고, 죽으며, 슬픔  · 울음  · 근심  · 괴로움  · 煩悶이 있으니, 이리하여 이 純全히 괴로움뿐인 큰 무더기가 생긴다.

"世上 時間은 永遠하다"는 말을 나는 언제나 하지 않는다. 무슨 까닭로 언제나 이런 말을 하지 않는가? 이런 말을 하는 까닭은, 理致(義)에 맞지 않고 法(法)에 맞지 않으며 또한 犯行(梵行) 根本이 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智慧(智)로 나아가게 하는 것이 아니며 깨달음(覺)으로 나아가게 하는 것이 아니며 涅槃(涅槃)으로 나아가게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나는 언제나 이런 말을 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宇宙 時間은 永遠하지 않다. 宇宙 空間은 有限하다. 宇宙 空間은 無限하다. 自我와 肉體는 같다. 自我와 肉體는 다르다. 如來는 肉體가 죽은 뒤에도 있다. 如來는 肉體가 죽은 뒤에는 없다. 如來는 肉體가 죽은 뒤에는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한다. 如來는 肉體가 죽은 뒤에는 있는 것도 아니고 없는 것도 아니다"느 따위 말을 나는 언제나 하지 않는다. 무슨 까닭으로 언제나 이런 말을 하지 않는가? 이런 말을 하는 것은, 理致(義)에 맞지 않고 法(法)에 맞지 않으며 犯行(梵行) 根本이 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智慧(智)로 나아가게 하는 것이 아니며 깨달음(覺)으로 나아가게 하는 것이 아니며 涅槃(涅槃)으로 나아가게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나는 언제나 이런 말을 하지 않는다.

그러면 나는 어떤 法을 언제나 말하는가? 나는 다음과 같은 理致(義)를 언제나 말하는데, 그 理致란 괴로움 (苦)과 괴로움의 原因 (苦習)과 괴로움의 消滅 (苦滅)과 괴로움의 消滅에 이르는 길 (苦滅道跡)이다(사성제). 나는 언제나 이것들(四聖諦)을 말한다. 무슨 理由로 나는 언제나 이것들(四聖諦)을 말하는가? 이것들(四聖諦)을 말하는 것은, 이것들(四聖諦)은 理致 (義)에 合當하고 (法)에 合當하며 犯行 (梵行)의 根本이 되기 때문에, 智慧 (智)로 나아가게 하고 깨달음 (覺)으로 나아가게 하며 涅槃 (涅槃)으로 나아가게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나는 언제나 이것들(四聖諦)만을 말한다. 이와 같은 것이 바로 말하지 않아야 할 것은 말하지 않고 말하여야 할 것은 말한다고 하는 것이다. 너희들은 마땅히 이러한 態度를 가짐으로써, 이와 같이 眞正 가져야 할 것을 가지고 鎭靜 배워야 할 것을 배워야 한다.

四聖諦 [ 編輯 ]

高弟 [ 編輯 ]

高弟 (苦諦, Duhakaha Satya )는 凡夫(凡夫), 卽 깨치지 못한 사람의 삶은 (苦)라고 하는 眞理이다. [3] 卽, 人間은 色  · 수  · 上  · 行  · 式의 五蘊 으로 이루어진 存在인데, 깨치지 못한 사람, 卽 아직 部處 가 되지 못한 사람에게 있어서 그의 삶은 苦痛 이라는 洞察이다.

三古와 팔고 [ 編輯 ]

苦痛 은 크게 누구나 苦痛 으로 느낄 수 있는 生老病死의 고고(苦苦), 變化하고 무너지는 괴고(壞苦), 五蘊으로 이루어진 存在에 實體가 있다고 執着함에 依해 비롯되는 行苦(行苦)等의 3高 (三苦)로 分類된다. 3高는 8高 (八苦)로 細分되기도 한다.

고고 [ 編輯 ]

고고 (苦苦)는 누구나 苦痛 으로 느낄 수 있는 苦痛 人 生老病死의 苦痛 을 말한다. 生老病死 中 特히 生과 社는 아직 깨달음 을 成就하지 못한 狀態에서는 輪廻 를 벗어나지 못하며, 깨달음 을 成就할 때까지는 배움을 爲해 다시 世上에 태어나는 일이 反復된다는 것을 뜻한다.

  1. 生苦(生苦): 태어나는 苦痛
  2. 勞苦(老苦): 늙는 苦痛
  3. 病苦(病苦): 병드는 苦痛
  4. 事故(死苦): 죽는 苦痛

壞苦 [ 編輯 ]

壞苦 (壞苦)의 文字 그대로의 뜻은 "무너지는 苦痛 "인데, 모든 것이 에 依해 發生한다는 演技의 法則 因果의 法則 과 모든 存在가 固定됨이 없이 恒常 變化한다는 無償 (無常)의 法則에 바탕하여 일어나는 "變化하고 무너지는 苦痛 "이다.

  1. 愛別離苦(愛別離苦): 사랑하는 것과 헤어지는 苦痛
  2. 怨憎會苦(怨憎會苦): 미워하는 사람과 만나야 하는 苦痛
  3. 求不得苦(求不得苦): 願하는 것을 成就하지 못하는 苦痛

行苦 [ 編輯 ]

行苦 (行苦)는 五蘊 (五蘊) 또는 五趣온 (五取蘊)으로 이루어진 存在인 人間 自身에 對하여 "나"라고 할 수 있는 實體가 있다고 執着함에 依해 비롯되는 苦痛으로 五趣온고 (五取蘊苦) 또는 五陰盛苦 (五陰盛苦)라고도 한다.

  1. 五趣온고(五取蘊苦) 또는 五陰盛苦(五陰盛苦)

五蘊 (五蘊: Pa?ca Sakandha) 또는 五趣온 (五取蘊)은 다음과 같다.

  • (色: R?pa  · 壘빠)
  • (受: Vedan?  · 웨다나)
  • (想: Sann?  · 싼야)
  • (行: Sankh?ra  · 雙카라)
  • (識: Vinn?na  · 윈냐나)

集諦 [ 編輯 ]

集諦 (集諦, Samudaya Satya)는 苦痛 의 原因에 關한 眞理로, 凡夫(凡夫), 卽 깨치지 못한 사람이 겪는 고고  · 괴고  · 行苦 等 모든 苦痛 의 原因은 業(業)과 煩惱(煩惱)에서 비롯됐다는 洞察이다. 南方上座部 佛敎 에서는 煩惱 中에서 人間의 渴愛 (渴愛, 渴望함) 또는 妄執 (妄執) [3] 을 核心的인 苦痛의 原因으로 본다. 反面 大乘佛敎 에서는 "나" 또는 "나의 것"李 實際로 存在한다는 無知 (無知)  · 無名 (無明)에서 비롯된 我執 (我集) 또는 妄執 (妄執) [3] 苦痛 의 主 原因으로 본다.

滅諦 [ 編輯 ]

滅諦 (滅諦, Nirodha Satya)는 苦痛 의 消滅에 關한 眞理, 或은 苦痛 의 原因의 完全한 消滅에 關한 眞理다. 苦痛 의 原因인 渴愛 (渴愛)  · 我執 (我集) 또는 妄執 (妄執)李 完全히 消滅될 수 있음을 洞察하는 것이다. [3] 苦痛 의 原因이 完全히 消滅된 狀態를 涅槃 (涅槃) 또는 解脫 (解脫)이라 한다. [3]

徒弟 [ 編輯 ]

徒弟 (道諦, M?rga Satya)는 苦痛 을 消滅시키는 行을 하는 眞理를 말한다. 卽, 道制를 行함으로써 實際로 滅諦("苦痛의 原因을 除去할 수 있다는 것")를 成就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하는데, 이런 面에서 道制는 滅諦의 原因이 되는 實踐 또는 隨行 을 의미한다. 佛敎의 모든 敎義는 事實上 徒弟라고 해도 過言이 아니다.

具體的으로, 原始 佛敎 에서는 道制를 政見(正見)  · 情事(正思)  · 정어(正語)  · 正業(正業)  · 正名(正命)  · 正精進(正精進)  · 情念(正念)  · 訂正(正定)의 八正道 (八正道)인 것으로 說明한다. [3]

南方上座部 佛敎 에서는 道制를 八正道 를 包含하는 四念處 (四念處)  · 四正勤 (四正勤)  · 賜與義足 (四如意足)  · 五根 (五根)  · 오력 (五力)  · 七覺支 (七覺支)  · 八正道 (八正道)의 37照度品 (三十七助道品)인 것으로 說明한다.

大乘佛敎 에서는 道制를 37照度品 外에 菩薩의 遠行 (菩薩의 願行: 菩薩 의 書院과 隨行, 簡單히 菩薩行 또는 菩薩도 )을 담은 布施 (布施)  · 持戒 (持戒)  · 人慾 (忍辱)  · 精進 (精進)  · 選定 (禪定)  · 般若 (般若: 智慧)의 六波羅蜜 (六波羅蜜) 또는 六波羅蜜 方便 (方便)  · (願)  · (力)  · (智)의 네 가지를 追加한 十波羅蜜 (十波羅蜜)을 包含하는 것으로 說明한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