有爲와 武威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佛敎에는 一切法 (一切法) 또는 제법 (諸法)을 分類하는 여러 方式이 있는데, 그 中에는 크게 有爲法(有爲法)과 無爲法(無爲法)의 두 가지로 分類하는 方式이 있다. 이 分類 方式은 一切法 을 크게 유루法 (有漏法)과 無漏法 (無漏法)의 두 가지로 分類하는 方式과 더불어 佛敎 全般에서 널리 使用되는 分類法이다. [1]

柳湋 (有爲, 산스크리트語 : sa?skrta , 팔리어 : savkhata , 英語 : created, formed, conditioned )에서 위(爲)는 僞作(爲作)  · 造作(造作: 만들다)의 뜻으로, 有爲는 만들어진 것, 造作된 것, 多數의 要素가 함께 作用된 것, 여러 因緣 이 함께 모여서 지은 것, 因緣 으로 말미암아 造作되는 모든 現象 을 가리킨다. 또는 이렇게 하여 드러난 生成과 消滅의 世界, 卽 우리가 經驗하는 現象 의 世界를 뜻한다. [2] [3] 有爲法 (有爲法, 산스크리트語 : sajskrta-dharma , 英語 : Karmic existence, conditioned existence )은 柳湋 (有爲)의 世界, 卽, 여러 因緣 의 和合에 依해 만들어진 生成과 消滅의 現象世界의 모든 個別 存在( · 法)를 統稱한다. 또는 그러한 個別 存在( · 法)를 가리킨다. [2] [3]

武威 (無爲, 산스크리트語 : asa?skrta , 팔리어 : asavkhata , 英語 : uncreated, unformed, unconditioned )는 造作(造作: 만들다)의 뜻이 없는 것으로 柳湋 의 臺(對)가 되며, 操作되지 않은 世界, 卽 因緣 의 和合에 依해 만들어진 것이 아닌 世界, 卽 生滅變化를 떠난 絶對的이며 恒常 存在하는 眞理 또는 眞理의 世界를 뜻한다. [2] [4] [5] 無爲法 (無爲法, 산스크리트語 : asa?skrta-dharma , 英語 : non-Karmic existence, unconditioned existence )은 無爲의 世界, 卽 因緣 의 和合에 依해 만들어진 것이 아닌 眞理 의 世界의 모든 個別 存在( · 法)를 統稱한다. 또는 그러한 個別 存在( · 法)를 가리킨다. [2] [4] [5] 元來 武威 或은 無爲法은 涅槃 (涅槃)의 다른 名稱이었는데, 後代의 阿毘達磨佛敎 大乘佛敎 에 依해 3武威 (三無爲), 6武威 (六無爲), 9武威 (九無爲) 等의 설이 생겼다. [4]

有爲의 다른 이름 [ 編輯 ]

설일체유부 의 논사들인 비바私私 (毘婆沙師)의 傳統에 따르면, 5溫 (五蘊)  · 세로 (世路)  · 언의 (言依)  · 有利 (有離)  · 類似 (有事)는 모두 柳湋(有爲)의 다른 이름들로, 各各 有爲法의 한 側面을 보여준다. [6] 5溫 (五蘊)은 의 空間的 側面 卽 法體系 를, 세로 (世路)는 의 時間的 側面을, 언의 (言依)는 의 言語的 側面 卽 說法 의 可能性을, 有利 (有離)는 涅槃 과의 關係의 側面 卽 眞理 의 側面을, 類似 (有事)는 因果法則 現象 의 側面을 보여준다.

五蘊 [ 編輯 ]

설일체유부 에서는 有爲法을 또한 5溫 (五蘊, 팔리어 : panca khandha , 산스크리트語 : panca-skandha )이라고도 한다. 설일체유부 에 따르면, 5溫 , 卽 (色: 몸, 物質)  · (受: 遲刻)  · (想: 表象)  · (行: 欲求, 意志)  · (識: 마음, 意識)의 다섯 가지 法[五法]은 여러 因緣 이 모여서 함께 만든 것, 卽 造作(造作)된 것이기 때문에 이들은 모두 柳湋(有爲)이다. 卽, 個人의 ( 色蘊 )뿐만 아니라 마음 (識蘊)과 마음作用 들( 水溫   · 常溫   · 行蘊 ) 또한 한 個의 鳶(緣)에 依해 생겨난 것은 없으며 多數의 年[衆緣]에 依해 造作되어 形成된 것이다. [7]

세로·時間 [ 編輯 ]

설일체유부 에서는 有爲法을 또한 세로 (世路, 산스크리트語 : adhvan )라고도 한다. 세로 는 一切의 有爲法이 이미 作用하였고, 只今 바로 作用하고 있으며, 應當 作用할 性質을 가지고 있다는 뜻으로, 卽 一切의 有爲法이 刹那刹那 生滅變遷하면서 過去  · 現在  · 未來의 모습을 이루어가는 過程(過程) 또는 經路(經路) 中에 있다는 것을 말한다. [7]

설일체유부 의 敎學에 따르면, 時間 (時間, k?la) 卽 過去  · 現在  · 未來의 三稅 (法), 卽 客觀的으로 獨立된 實體가 아니며 生滅變遷하는 一切의 有爲法을 根據로 하여 假說(假說)된 槪念일 뿐이다. 時間 이란 生滅變遷의 過程 또는 經路를 假說的으로 指稱하는 것으로, 따라서 時間 銀 세로(世路)와 柳湋(有爲)의 다른 이름일 뿐이다. [7]

언의 [ 編輯 ]

설일체유부 에서는 有爲法을 또한 언의 (言依, 산스크리트語 : kathavastu )라고도 한다. 언의(言依)는 [語言]의 根據 [所依]라는 뜻으로, 冊床 或은 하늘과 같은 名詞的 單語[名, 산스크리트語 : n?ma , 英語 : name ]에 依해 드러나는 意味를 말한다. 卽 冊床 或은 하늘 等의 온갖 名士 그 自體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이들 온갖 名詞가 가리키는 存在 (法)를 말한다. 따라서 언의(言依: 말의 根據)는 一切의 有爲제법(有爲諸法)을 모두 包攝한다. [7]

한便, 傳統的인 用語로는, 名士 그 自體를 능전의 命 (能詮의 名)이라 하며, 名詞가 가리키는 存在 (法)을 小典儀 法 (所詮의 法)이라 한다. [7] [8] 능전의 命(能詮의 名)을 水泄 (隨說)이라고도 하며, 水泄 을 飜譯하여 따르는 말 이라고도 한다.

解深密經 》 第5卷에서는 寬大道理 (觀待道理)를 定義하면서 水泄 (隨說)을 言及하는데, (因)이나 或은 (緣)李 능히 모든 (行: 有爲法 )을 생겨나게 하며 또한 該當 (行: 有爲法 )에 따르는 말 [隨說] 卽 關聯된 槪念도 일으키는 것을 寬大道理라 定義하고 있다. [9]

有利 [ 編輯 ]

설일체유부 에서는 有爲法을 또한 有利 (有離, 산스크리트語 : sani?sara )라고도 한다. 文字 그대로의 뜻은 '떠남이 있다'는 것이다. 비바私私 의 解釋에 따르면, 리(離)는 一切의 有爲法을 永遠히 떠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것은 곧 涅槃 (涅槃)을 말한다. 卽 各各의 有爲法에는 이와 같이 '그것으로부터 永遠히 떠남[離]'의 意味가 들어있기[有] 때문에, 一切의 有爲法을 有利(有離)라고도 이름할 수 있다. [10] [11] 卽, 有利(有離)라는 다른 이름은 모든 有爲法은 반드시 그것을 떠난 (또는 擇滅 , 涅槃 )의 狀態가 있으며, 그 狀態를 成就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類似 [ 編輯 ]

설일체유부 에서는 有爲法을 또한 類似 (有事, 산스크리트語 : savastuka )라고도 한다. 文字 그대로의 뜻은 "일[事]이 있다"는 것이다. 비바私私 의 解釋에 따르면, 社(事)는 原因[因]을 意味한다. [7] 卽, 一切의 有爲法은 因果의 法則 의 結果物, 卽 因緣 和合에 依해 만들어진 結果物이므로 類似(有事)라 부르기도 한다.

有·武威 分別 [ 編輯 ]

四聖諦 [ 編輯 ]

四聖諦 를 柳湋(有爲)와 武威(無爲)로 分別하면, 滅諦 만이 武威이며 나머지 高弟   · 集諦   · 徒弟 는 모두 有爲이다. [1]

한便, 一切法 유루 (有漏)와 無漏 (無漏)로 分類하는 方式이 있는데, 이를 適用하면 高弟   · 集諦 유루 이고 徒弟   · 滅諦 無漏 이다. [1] [12]

따라서, 高弟   · 集諦 는 有爲이고 유루이며, 滅諦 는 武威이고 무루이며, 徒弟 는 有爲이고 무루이다. [1] [2] 佛敎에서는, 武威이고 무루人 滅諦 , 卽 涅槃 은 有爲이고 무루人 徒弟 에 依해 생겨나는 것, 卽 因緣 和合에 依해 生成되는 것이 아니라 有爲이고 무루人 徒弟 에 依해 證得(證得)되는 것이라고 말한다. [13] [14]

五蘊 [ 編輯 ]

色  · 수  · 上  · 行  · 式의 5溫 은 모두 有爲法에 屬하며, 無漏法 유루法 에 모두 통한다. 無爲法은 5溫 에 屬하지 않는다. [15] [16]

5온이 無漏法 에 통한 境遇가 四聖諦 中의 徒弟 로, 徒弟 卽 八正道 (八正道)는 有爲이면서 無漏 이다. 5온이 유루法 에 통한 境遇 5온은 煩惱 를 낳는데, 이러한 狀態의 5온을 特히 5取온 (五取蘊)이라 한다. 이 때의 取(取)는 煩惱의 다른 이름이다. 5取온은 有爲이면서 유루 로, 四聖諦 高弟 集諦 에 該當한다. [15] [17]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

各州 [ 編輯 ]

  1. 世親 지음, 現場 漢譯, 권오민 飜譯 , 6-13 / 1397 쪽.
  2. 권오민 2003 , 45?49쪽.
  3. 星雲 , " 有? ". 2012年 9月 7日에 確認.
  4. 星雲 , " 無? ". 2012年 9月 7日에 確認.
  5. 耘虛 , " 無爲(無爲) ". 2012年 9月 7日에 確認.
  6. 世親 지음, 現場 漢譯, 권오민 飜譯 , 10-12 / 1397 쪽.
  7. 世親 지음, 現場 漢譯, 권오민 飜譯 , 11 / 1397 쪽.
  8. 世親 지음, 現場 漢譯, 권오민 飜譯 , 257 / 1397 쪽.
  9. 現場 漢譯, 김달진 飜譯 & K.154, T.676 第5卷. pp. 79-81 / 86 . 4宗도리(四種道理)
  10. 世親 兆, 現場 漢譯 & T.1558 第1卷. p. T29n1558_p0002a17 - T29n1558_p0002a18 . 有利(有離)
    "或名有離。離謂永離。?是涅槃。一切有?有彼離故。"
  11. 世親 지음, 現場 漢譯, 권오민 飜譯 & K.955, T.1558 第1卷. pp. 11-12 / 1397 . 有利(有離)
    "或은 有爲를 '琉璃(有離, sani?sara)'라고도 이름한다. 여기서 '里(離)'란 永遠히 떠나는 것으로, 바로 涅槃을 말한다. 卽 一切의 有爲法은 바로 그 같은 '里'를 지녔기 때문에 이같이 이름한 것이다."
  12. 宗敎·哲學 > 世界의 宗敎 > 불 校 > 佛敎의 思想 > 根本佛敎의 思想 > 無漏 , 《 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
  13. 권오민 2003 , 90?94쪽.
  14. 世親 지음, 現場 漢譯, 권오민 飜譯 , 9 / 1397 쪽.
  15. 耘虛 , " 五取蘊(五趣온) ". 2012年 9月 13日에 確認.
  16. 世親 지음, 現場 漢譯, 권오민 飜譯 , 42 / 1397 쪽.
  17. 世親 지음, 現場 漢譯, 권오민 飜譯 , 11-13 / 1397 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