菩薩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菩提薩埵 에서 넘어옴)

大韓民國 國寶 彌勒菩薩 半跏思惟像

菩薩 (菩薩, 산스크리트語 : ?????????? bodhisattva 보디사트바 , 팔리어 : ???????? bodhisatta 보디삿따 )은 部處 (깨달은 사람 또는 存在)가 되기 위해 遂行하는 사람(初期佛敎 經典-니까야에서의 正義), 또는 여러 生을 거치며 善業을 닦아 높은 깨달음 의 境地에 다다른 偉大한 사람을 뜻한다. 特히 大乘佛敎 에서 强調되었다. 菩提薩埵   · 菩薩摩訶薩   · 各유정 等으로도 불린다. 大乘佛敎가 發達하면서 初期佛敎의 菩薩의 意味가 變化되었다.

大乘佛敎 는 元來 裁可(在家)의 信者들 이 中心이 되어 일으킨 것으로, 從來의 部派佛敎 出家修行者 (出家修行者)의 獨占物이었던 것을 널리 全 佛敎徒의 것으로 만드는 데 目的이 있었다. [1] 部派佛敎 時代에서 菩薩이라 하면 前生時代(前生時代)의 고타마 붓다 한 사람만을 指稱하는 것이었는데, 大乘佛敎 가 일어난 後로는 모든 사람이 다 部處 가 될 수 있다는 立場에서 佛敎의 修行者 모두가 部處 의 候補者로서 菩薩이라고 稱해지게 되었다. [1]

大乘佛敎 에서는 聲聞乘 緣覺乘 2勝 (二乘: 두 가지 탈것, 두 種類의 가르침, 두 種類의 길)에 對하여 이들 2가지 길보다 더 뛰어난 길로서의 菩薩乘 菩薩의 길 을 包含시켜 3勝 (三乘: 세 가지 탈것, 세 種類의 가르침, 세 種類의 길)의 敎義를 主張하였다. 3勝 의 敎義의 文脈에서는 菩薩은 菩薩乘의 修行者 大乘佛敎의 修行者 를 뜻한다. [2] [3] 이런 趣旨에서 2勝 의 遂行自認 城門   · 緣覺 과 比較하여, 大乘佛敎 經典 人 《 解深密經 (解深密經)》에서는 "微細하고 아주 깊고 通達하기 어려워 凡夫 2勝 은 理解할 수 없는 勝義諦 를 理解할 수 있는 사람"을 菩薩이라 하고 있다. [4]

菩薩行 (菩薩行)은 部處 의 候補者로서의 菩薩의 修行, 또는, 높은 깨달음 을 成就한 偉大한 사람으로서의 菩薩이라는 境地에 다다르기 위한 修行을 뜻하는데, 菩薩行의 具體的인 實踐 項目으로 6波羅蜜 (六婆羅蜜)이 세워졌다. [1] 以後 大乘佛敎 의 敎學이 發達하면서 10바리밀 10持說 이 成立되었고, 《 華嚴經 》에서 說하고 있는, 10持說 을 中心으로 하는, 41位 菩薩 修行階位 에 基盤하여 大乘佛敎 에서 널리 採擇하여 使用하고 있는 10信   · 10週   · 10行   · 10回向   · 10址   · 等角   · 妙覺 52位 菩薩 修行階位 가 成立되었다. [5] [6]

이름의 뜻 [ 編輯 ]

菩薩은 菩提薩埵(菩提薩唾)의 줄임말로 菩提薩埵는 산스크리트語 "보디사트바(bodhisattva)'"를 音에 따라 飜譯한 것이다. 산스크리트語 "보디(bodhi: 보리 )"는 깨닫다 는 뜻이며 "사트바(sattva)"는 存在 또는 유정 (有情)을 뜻한다. 卽 菩提薩埵는 깨달은 存在라는 뜻으로 各유정(覺有情)이라 意譯되기도 한다. 유정 中生 이라 불리기도 한다.

  • 菩薩은 빠알리어 의 보디삿따(Bodhisatta, 菩提薩唾)라는 말을 淫祀(音寫)한 것으로 깨달음을 向해 나아가는 사람이란 뜻이다.

大乘佛敎에서는 깨달음을 이룬 存在라는 뜻으로 使用되고 있지만 初期佛敎에서는 깨달음을 向해 나아가는 사람이란 뜻으로 使用되었다.

大乘佛敎 [ 編輯 ]

菩薩의 性格 [ 編輯 ]

菩薩은 大乘佛敎 의 主要 特徵이다. 個人의 깨달음과 涅槃 뿐 아니라 中生 과 함께 涅槃에 이르는 것을 가장 큰 價値로 삼기 때문이다. 菩薩의 四弘誓願 은 이러한 特徵을 잘 드러낸다. 地藏菩薩 은 地獄에서 苦痛받는 모든 衆生이 救援받기 前에는 부처가 되지 않겠다고 誓願하고, 法藏比丘 (法藏菩薩이라고도 불리며 阿彌陀佛 이 부처가 되기 前인 前生의 遂行 比丘)는 괴로운 衆生에게 깨달음을 주기 前에는 決코 부처가 되지 않겠다고 서원한다. [7]

菩薩의 修行 [ 編輯 ]

大乘佛敎 에서는 修行者로서의 菩薩은 6波羅蜜 을 닦아야 한다고 말한다. [8] 이 中에서도 般若波羅蜜 은 나머지 다섯 波羅蜜 의 成立 根據가 되는 無分別智 (無分別智)로서, [8] 特히 重要視되고 있다. 例를 들어, 大乘佛敎 의 논서人 《 大智度論 (大智度論)》에서는 肉眼 (肉眼)  · 天安 (天眼)  · 慧眼 (慧眼)  · 法案 (法眼)  · 不安 (佛眼)의 五眼 (五眼)을 얻고자 한다면 般若波羅蜜 을 닦아야 한다는 佛敎 經典 의 陳述을 引用해 이를 解說하고 있다. [9]

大乘佛敎 6波羅蜜 은 單純히 재가 信徒 (在家信徒)를 爲한 것이라기보다는 出家   · 裁可 를 不問하고 前佛敎度의 基本的인 德目으로서 8程度 (八正道)에서는 說明되어 있지 않는 利他行 (利他行)으로서의 布施 (布施)가 第1次的으로 取扱된 點에 特色이 있다. [1] 또한 後에는 6波羅蜜 方便 (方便)  · (願)  · (力)  · (智)의 利他的인 內容을 가진 4個의 德目이 追加되어 十波羅蜜설 (十婆羅蜜說)李 出現했다. [1] 大乘佛敎 에서는 利他 (利他)가 그대로 자리 (自利)로 되는 곳에 大勝 의 實踐度의 玄妙함이 있다고 主張한다. [1]

文化的 用語 [ 編輯 ]

韓國의 佛敎 에서는 女性 平信徒를 가리키는 用語로도 쓰인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宗敎·哲學 > 世界의 宗敎 > 불 校 > 佛敎의 思想 > 初期 大乘佛敎의 思想 > 菩薩行 , 《 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
  2. 宗敎·哲學 > 世界의 宗敎 > 불 校 > 佛敎의 思想 > 初期 大乘佛敎의 思想 > 三乘 , 《 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
    "三乘: 三乘 三升이란 3種의 탈것이라는 뜻으로 大乘佛敎가 일어난 後 부처를 目標로 하는가 阿羅漢을 目標로 하는가의 差異에 따라 타는 것도 달라진다는 생각에서 大勝 篇에서 主張하기 始作한 것이다. 스스로는 부처를 目標로 하는 불菩薩乘(佛菩薩乘)이며 少僧은 聲聞乘(聲聞乘)·緣覺乘(緣覺乘)의 2勝(二乘)으로서 阿羅漢은 될 수 있어도 部處로는 永遠히 될 수 없다고 하여 區別한 것이다. 于先 城門(聲聞)이란 부처의 가르침을 듣고서 道에 精進하는 者라는 뜻으로서 佛弟子를 가리킨다. 따라서 聲聞乘이란 佛弟子의 道路서 具體的으로는 부처의 敎法에 依해서 4體(四諦)의 이(理)를 보고 스스로 阿羅漢으로 될 것을 理想으로 하는 낮은 修行者라고 한다. 緣覺乘의 緣覺(緣覺)은 獨脚(獨覺)이라고도 하며, 元來 고타마가 스승에 依하지 아니하고 혼자서 깨달음을 얻은(無師獨悟) 面을 나타낸 말인데 敎理(敎理)上으로는 12延期를 觀察하여 美(迷)를 끊고 理法(理法)을 깨닫는다(斷惑證理)는 뜻으로 使用되었다. 그러나 具體的으로는 獨脚은 弟子도 없고 說敎하지도 않으므로 이념적인 것에 不過한 것이다."
  3. 耘虛 , " 三乘(三乘) ". 2013年 4月 8日에 確認
    "三乘(三乘):
    [1] 城門ㆍ緣覺ㆍ菩薩에 對한 세가지 敎法(敎法). 勝(乘)은 物件을 실어 옮기는 것을 目標로 하니, 부처님의 敎法도, 衆生을 실어 涅槃의 언덕에 이르게 하는데 比喩. (1) 聲聞乘. 4題(諦)의 法文이니, 부처님이 말씀하는 소리를 듣고, 이를 關하여 解脫을 얻음. (2) 緣覺乘. 12因緣의 法文이니, 스승에게 가지 않고, 스스로 잎이 피고, 꽃이 지는 따위의 理致를 關하여 깨닫는 것. (3) 菩薩乘. 6波羅蜜의 法文이니, 菩薩은 이 法文에 依하여 스스로 解脫하고, 남을 解脫케 하여 부처를 이룸.
    [2] 3乘法에 依하여 各其 修行을 마치고, 얻은 城門과ㆍ연각과ㆍ보살과를 말함."
  4. 이봉순, 〈解深密經의 菩薩思想〉, 《佛敎學 硏究 第 15卷》, 273쪽 以下. 佛敎學硏究會, 2006.
  5. 高麗大藏經硏究所 & K1513 (T.1733) , 華嚴經 탐현기 解除
    "[《화엄경탐현기》는] 60卷 본 華嚴經을 解釋한 주석서인데, 열 가지 範疇 卽 10門(門)로 이루어져 있다. 第1卷은 탐현기 全體의 열 가지 範疇 中에서 아홉 가지 範疇를 다루고 있다. ... 以上의 아홉 가지 範疇가 모두 제1권에서 說해지고 있으니, 제1권을 玄談(玄談)이라 부른다. 열째 範疇는 經文을 따라서 解釋하는 것(隨文解釋)이다. 第2卷 以下 全體에 걸치고 있는데, 法匠은 스스로 華嚴經 全體를 어떻게 理解하고 있는지 밝힌다. 그는 크게 華嚴經을 서분(序分)과 正宗分(正宗分)으로 나누고 있으니, "華嚴經은 法界에 契合하는 法文이기 때문에 總體的으로 流通分(流通分)이 없다."라고 하였다. ... 第4卷 以下는 正宗分을 註釋하는 것이니, 各 品마다 반드시 이름을 解釋하는 석명(釋名), 그 품이 그 位置에 있어야 할 論理的 理由를 앞뒤의 품과 關聯하여 論하는 內의(來意), 그 품의 主題를 分析하여 밝힌 種取(宗趣), 本文의 句節 句節을 解釋하는 石門(釋文) 等의 넷으로 나누어서 煩瑣하다 할 程度로 徹底히 註釋한다. 그의 스승 至嚴(智儼)이 그에게 門址(文持)라는 號를 하사할 程度이다. 第4卷 以下의 正宗分 中에서 가장 仔細하게 註釋하고 있는 것은 十指品과 立法啓稟이다. 立法啓稟은 元來 本文이 厖大하기 때문이지만 十指品은 제9권부터 第14卷에 이르기까지 總 5卷에 이르는 分量으로 詳細하게 註釋하고 있음을 통해서 볼 때, 華嚴 敎學에 있어서 10址 思想이 차지하는 比重을 알 수 있다."
  6. 耘虛 , " 菩薩瓔珞本業經(菩薩靈落本業鏡) ". 2013年 4月 10日에 確認
    "菩薩瓔珞本業經(菩薩靈落本業鏡):
    K-530, T-1485. 軸불念(竺佛念)李 前震(前秦)時代인 374年에서 要津(姚秦)時代(384-417) 사이에 飜譯하였다. 줄여서 『菩薩靈樂境』ㆍ『本業頃』ㆍ『零落頃』ㆍ『零落本業頃』이라고 한다. 菩薩의 本業인 10週(住)ㆍ10行(行)ㆍ10回向(廻向)ㆍ10址(地)ㆍ等角(等覺)ㆍ妙覺(妙覺)의 42顯性(賢聖)의 行業(行業)과 因果(因果)를 說한 經典이다. 『梵網經』과 함께 大乘의 戒律을 說한 經典으로, 全體 8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第1 「集中品(集衆品)」에는 부처님이 발하신 42가지의 빛이 零落이 되어 不信(佛身)을 莊嚴하고 法界에 가득 하자, 時方 一切의 國土에서 수많은 菩薩들이 몰려오는 光景이 說해져 있다. 第2 「縣聲明資稟(賢聖名字品)』에서는 부처님께서 42現聲明文(賢聖名門)과 10원명자(願名字) 菩薩, 10種 不可會計(不可悔戒)에 對해 說하신다. 第3 「현성학官品(賢聖學觀品)』에서는 菩薩 명자(名字)의 衣裳(義相)을 배우고 觀察하는 것에 對하여 說하시는데, 習種性(習種性)ㆍ성종성(性種性)ㆍ도종성(道種性)ㆍ성종성(聖種性)ㆍ等覺醒(等覺性)ㆍ妙覺性(妙覺性)의 6終聲과 桐ㆍ은ㆍ금ㆍ유리ㆍ마니ㆍ수정의 여섯 가지 零落을 連結지어 말씀하신다. 第4 「釋義品(釋義品)」에서는 10株부터 墓各地의 衣裳(義相)에 對해 說하신다. 의(義)는 功德을 가리키며, 菩薩의 체(體)로부터 나온다. 第5 「不毛品(佛母品)」에서는 2題(諦)와 中道第一義諦(中道第一義諦)에 對해 설하시고, 제6 「因果品(因果品)」에서는 3歲의 모든 부처님이 行하신 人(因)인 10波羅蜜에 對해 說하신다. 第7 「對中數學品(大衆受學品)에서는 一切의 衆生이 3褓의 바다에 들어와서는 믿음으로 根本을 삼고 不可(佛家)에 들어와서는 界(戒)로써 根本으로 삼는데, 契는 一切行 功德藏의 根本이고 一切의 惡을 없애는 정法의 밝은 거울이라고 말씀하시고, 攝善法戒(攝善法戒)ㆍ攝衆生戒(攝衆生戒)ㆍ섭律儀界(攝律義戒)와 3種의 水系(受戒)에 對해 說하신다. 第8 「集散品(集散品)」에서는 부처님께서 大衆들에게 42현성의 因果法文을 들었으니 모두 3菩提心을 일으키고 받아 지닐 것을 當付하신다. 이 經典의 42顯性은 60卷 『華嚴經』에 依據한 것이며 , 部分的으로는 『菩薩本行徑』ㆍ『梵網經』ㆍ『仁王般若經』ㆍ『菩薩支持論』ㆍ『優婆塞季經』 等과 密接한 關聯을 갖는다. 수(隋)의 天台大師와 黨(唐)의 賢首 法匠이 이 經典을 重視하였으며, 註釋書로는 元曉의 『소(疏)』 下卷만이 日本續藏經에 傳해지고 있는데 『醫天籙(義天錄)』에 依하면 이 소(疏)는 本來 3卷이었다고 한다. 이 敬意 飜譯者에 對해서는 異說(異說)이 있으며, 中國에서 만들어진 胃經(僞經)일 것이라는 學說도 있다."
  7. 서재원의 佛敎 基礎講座 .
  8. 世界史上 > 사 上 龍 어 > 東洋思想 關係 > 佛敎 關係 > 波羅蜜 , 《 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
  9. "大智度論(大智度論)" Archived 2010年 6月 21日 - 웨이백 머신 》, 第33卷, 對精神수大藏經. Vol. 25, No. 1509, CBETA, T25n1509_p0305c17(00) - T25n1509_p0305c19(01). 2011年 4月 4日에 確認.
    【經】 「復次,舍利弗!菩薩摩訶薩欲得五眼者,當學般若波羅蜜!」 【論】 何等五?肉眼、天眼、慧眼、法眼、佛眼。

參考 文獻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