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大 强國에 꽉 막힌 大韓民國 宗敎 外交로 活路 뚫어야”|주간동아

週刊東亞 1081

..

인터뷰 | 박종화 경동敎會 元老 牧師

“4大 强國에 꽉 막힌 大韓民國 宗敎 外交로 活路 뚫어야”

宗敎改革 500周年, 나부터 돌아보는 意識改革運動 必要

  • 윤융筋 記者 yunyk@donga.com

    入力 2017-03-28 11:31:49

  • 글字크기 설정 닫기
    “敎皇廳의 墮落과 免罪符 販賣를 批判한 마르틴 루터의 ‘95個組의 反駁文’은 종이 한 張의 告發狀이었다.

    하지만 이 告發狀은 宗敎改革의 始發點이 됐고, 當時 宗敎改革은 宗敎의 自由를 얻으려는 사람들과 旣得權을 지키려는 사람들 間 싸움이었다.

    하지만 只今의 宗敎改革은 協議體的 改革, 卽 平平한 民主主義고 政治的으로는 主權在民 思想이다.”

    3月 20日 만난 박종화 경동敎會 元老 牧師(寫眞)는 “1517年 始作된 宗敎改革이 世界 歷史를 完全히 뒤집어놓았듯 只今 韓國 社會 亦是 歷史的 轉換期에 놓여 있다”고 말했다.

    이어 “獨逸은 政府와 國會, 敎會가 하나 돼 宗敎改革事業委員會를 組織하고 宗敎改革 500周年 事業을 展開하고 있다”면서 “나부터 돌아보는 意識改革運動이 必要하다”고 强調했다.



    ▼ 宗敎改革 500周年이 우리에게 던지는 意味는 무엇인가.
    “루터는 敎皇廳의 잘못을 고치자고 했다. 그러나 當時 가톨릭이 政權을 잡고 있었기 때문에 宗敎改革이라는 말은 政治改革과 통하게 됐다. 旣得權 勢力은 反對했지만 市民은 贊成했다.

    宗敎改革은 産業革命과 함께 近代 始作의 礎石을 놓은 事件이다. 우리도 宗敎改革 500周年을 契機로 나부터 돌아보는 意識改革運動을 해야 한다.”

    ▼ 南北이 꽉 막혔다. 宗敎界의 活動은?
    “迂廻的으로 北韓에 醫藥品을 보내고 있다. 政府는 民間交流까지 틀어막지 말고 ‘투트랙’ 政策을 펼쳐야 한다. 김정은 體制는 政府가 相對하고, 北韓 住民은 民間人이 相對해야 하는 것이다. 北韓 住民에게 醫藥品과 食糧을 支援하는 일은 間接的인 意味로 北韓體制에 對한 抵抗이다. 이를 통해 北韓 住民의 意識을 바꿀 수 있다.

    獨逸이 統一될 때 東獨 住民은 ‘우리가 어려울 때 도와준 것은 西獨밖에 없다’고 생각했다고 한다. 東獨의 民心을 얻는 데 決定的 구실을 한 것이다. 北韓 住民을 돕는 데는 크게 세 가지 理由가 있다. 人道的 次元, 北韓 政權에 對한 間接的 抵抗, 北韓 民心을 얻는 未來 投資다. 政府가 이런 일을 못 하면 民間에 맡기면 된다.”



    ▼ 宗敎가 民間外交에서 어떤 구실을 해야 한다고 보나.
    “只今 韓半島 周邊 狀況을 한番 봐라. 美·中·日·러 4大 强國의 新帝國主義 時代다. 어떻게 보면 舊韓末 때보다 더 어렵다. 中國은 사드(THAAD·高高度미사일防禦體系) 配置를 理由로 우리를 발로 차고 있다. 外交街 꽉 막혀 있기 때문이다. 이럴 때는 民間外交를 活性化해야 한다. 民間外交의 한 軸이 宗敎 外交다. 利害關係가 없는 宗敎 交流는 價値觀과 正義를 共有할 수 있기에 엄청난 效果를 낼 수 있다.

    政府는 안 통해도 民間끼리는 통하는 것이 많다. 政府 혼자 하는 外交는 限界가 있다. 改新敎 信者가 約 1000萬 名, 가톨릭 信者가 約 500萬 名이다. 이들을 活用하는 外交를 해야 한다. 只今 政府의 韓國國際協力團(KOICA) 豫算과 맞먹는 돈이 敎會를 통해, 宣敎師를 통해 海外로 나가고 있다. 政府가 民間外交를 하찮게 여기는 認識을 바꿔야 한다. 宗敎가 民間外交의 尖兵으로 非政府機構(NGO) 구실을 얼마든 할 수 있다.”

    ▼ 宗敎의 政治 參與를 어떻게 생각하나.
    “宗敎의 政治 參與에는 原則이 있어야 한다. 政治가 道德性을 發揮할 수 있도록 助言하고 政治를 政治답게 하는 채찍 구실을 하는 것이 宗敎의 政治 參與다. 그렇지만 宗敎人이 政治人이 되는 것은 안 된다. 聖職의 이름을 걸고 政治에 關與해서는 안 된다.”

    ▼ 韓國 敎會의 世襲 問題는 어떻게 보나.
    “敎會는 個人의 것이 아닌 公益團體다. 基本的으로 世襲은 안 된다. 하지만 敎會 構成員 모두가 願하고 民主的 節次를 거쳐 決定한 일이라면 그것은 또 다른 問題라고 생각한다.”

    ▼ 信者 數가 繼續 줄고 있다.
    “韓國이 漸漸 世俗化하면서 宗敎에 依支할 必要性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그럼에도 精神的 空虛함은 宗敎가 메워야 한다. 宗敎人 統計는 增加했지만 實際 敎會에 나오는 사람은 減少했다. 信仰을 갖고 싶어도 現在 敎會가 이런 欲求를 充足해주지 못하는 것이다. 이를 ‘敎會를 改革하라’는 뜻으로 理解하고 있다. 이제 敎會改革은 生存의 問題다.”

    ▼ 韓國 敎會는 어떻게 變해야 하나.
    “韓國 敎會는 大企業과 비슷하다. 只今까지는 큰 敎會가 갖는 所任이 있었지만 이제는 健康한 中小 敎會가 活性化돼야 한다. 大型敎會의 獨占을 바꿔야 한다. 敎會가 模範을 보여야 한다.”

    ▼ 平素 多樣性을 强調하는 理由는?
    “사투리와 地域文化를 積極 育成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文化는 多樣性을 가져야 더 아름답고 魅力 있다. 先進國이란 多元化가 잘 調和된 나라를 말한다. 우리나라를 찾는 觀光客을 한番 봐라. 그들은 差別化된 그 무엇을 願한다. 뭔가 다른 魅力이 있어야 觀光客을 불러 모을 수 있다. 다른 것이 모여야 和音이 생긴다. 民主主義는 和音이다.”

    ▼ 學校 制度의 改革 必要性도 말씀하시는데.
    “敎育制度를 革新的으로 바꿔야 한다. 왜 모두가 大學에 가려 하는지 모르겠다. 똑같은 길은 幸福이 아니다. 스스로 名品을 만드는 마음 姿勢가 必要하다. 獨逸처럼 마이스터가 돼 確固한 信念으로 사는 것이 重要하다. 마이스터 製빵師는 스스로 빵을 굽는 사람이 아니라 生命을 먹여살리는 哲學者라고 생각하며 일한다. 나도 다시 태어나면 마이스터를 꼭 한番 해보고 싶다.”

    ▼ 經濟難으로 苦痛받는 사람이 많다.
    “힘들지만 挫折하지 말았으면 한다. 大企業도 이番 機會를 통해 조금 바뀐 모습을 보였으면 한다. 所有하려고만 하지 말고 어떻게 共生해야 할지 苦悶하기를 바란다. 特히 機會의 公正性을 宣言했으면 좋겠다. 그것이 正義 아니겠는가.”

    ▼ 요즘 祈禱 題目은 무엇인가.
    “우리나라가 땅은 작지만 强(强)小菊이 되게 해달라고 祈禱한다. 中國은 大國이지만 强大國은 아니다. 美國도 트럼프가 大統領에 就任한 以後 그저 大國일 뿐이다. 江(强)은 腕力이 아닌, 文化로서 江이다. 國民도 各自 位置에서 自强(自强)李 무엇인지 생각하고 努力했으면 좋겠다.”

    ▼ 앞으로 어떤 活動을 計劃하고 있나.
    “統一 以後 北韓 社會 再建을 위한 文化, 心理, 宗敎 分野의 代案을 만드는 硏究를 하고 있다. 어느 날 準備 없이 갑자기 統一되면 正말 큰일이다. 北韓 體制가 漸進的으로 改善될 수 있는 緩衝地帶가 必要하다. 微力하나마 畢生의 課題라 생각하고 있다.” 



    박종화 元老 牧師는
    1945年 忠南 保寧에서 出生했다. 한신대 神學科와 연세대 聯合神學大學院(ThM)을 卒業하고 獨逸 튀빙겐대에서 神學博士 學位를 받았다. 世界敎會協議會 中央委員(1991?2006)과 韓國基督敎長老會 總務(1994?99), 경동교회 擔任(1999?2015), 韓國國際保健醫療財團 總裁, 大韓基督敎敍懷 理事長을 歷任했다. 現在 國民文化財團 理事長 等을 맡고 있다. 國民勳章 모란장과 獨逸十字功勞勳章 等을 授勳했다. 著書로는 ‘平和神學과 에큐메니칼 運動’ ‘칼 바르트’, 飜譯書로는 ‘人間化’ 等이 있다.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