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혼밥判事] 濟州島에 가면 豆腐를 드세요|신동아

[혼밥判事] 濟州島에 가면 豆腐를 드세요

豆腐 같은 사람이 되고 싶다

  • 정재민 前 判事, 作家

    .

    入力 2020-05-10 10:00:01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裁判은 傷處로 始作해서 傷處로 끝난다. 當事者들 傷處에 비할 순 없지만 判事도 傷處를 입는다. 그럴 때면 나는 혼자서 맛있는 飮食을 먹으러 가곤 한다. 정갈한 밥 한 끼, 뜨끈한 탕 한 그릇, 달달한 빵 한 조각을 천천히 먹고 있으면 鬱寂함의 조각이 커피 속 角雪糖처럼 스르륵 녹아버리고 慰勞를 받는다. 그러면서 “判事는 判決로 말한다”고 해서 法廷에서 하지 못했던 이야기를 맞은便 빈자리에 앉은 누군가에게 한다.
    [GettyImage]

    [GettyImage]

    일곱 살 때였나. 크리스마스가 가까운 겨울날이었다. 나는 親舊 집에서 어린이 프로그램을 보고 있었다. 손으로 채널을 돌려야 하는 黑白 텔레비전 안에서 대여섯 名의 산타클로스가 閻羅大王 앞에 左右로 앉아 있었다. 그들은 正色하고 火를 냈다. 世上에 나가 보니 到底히 膳物을 줄 수 없는 나쁜 아이가 많다고 했다. 어떤 아이는 膳物은커녕 地獄에 던져 넣어야 한다고 했다. 이어서 아이들이 地獄 불 속에서 悲鳴을 지르는 場面이 나왔다.

    恐怖의 산타클로스와 豆腐의 위로

    저럴 수가. 人心 좋고 푸근하고 仁慈한 할아버지로만 알았던 산타클로스의 突變한 모습에 서운함과 背信感을 넘어 衝擊을 받았다. 나도 地獄에 갈까봐 덜컥 怯이 났다. 아버지 몰래 사서 冊床 밑에 숨겨놓았던 500원짜리 身檢 엑스칼리버度 떠올랐다. 도깨비나 저승使者가 그런 말을 했다면 別로 놀라지 않았을 것이다. 그들은 虛構의 存在인 줄 알았으니까. 그러나 산타클로스라면 말이 달라진다. 그가 存在한다는 證據, 그러니까 산타클로스로부터 받은 膳物이 있으니까. 先物이 現實에 存在하는 것만큼 地獄도 存在할 것 같았다. 堪當할 수 없는 두려움과 슬픔에 눈물이 왈칵 쏟아지려고 했다. 

    나는 親舊 家族에게 제대로 人事도 하지 않고 부랴부랴 親舊 집을 뛰쳐나왔다. 찬바람이 부는 밤거리를, 참았던 눈물을 흘리면서 걸었다. 울면서 집에 들어오니 父母님이 놀라서 무슨 일이냐고 물었다. 나는 理由를 말할 수 없었다. 率直히 말하면 父母님이 내가 두려워하는 罪가 무엇인지 追窮할 것 같았다(책상 밑에 엎드려 있는 身檢 엑스칼리버가 내 良心을 쿡쿡 찌르기도 하고). 나는 더 크게 울었다. 

    아버지는 어머니에게 “얘 뭐 좀 먹이라”고 하셨다. 어머니는 부엌에 들어가 뭔가를 가져왔다. 그 飮食이 무엇이었는지는 只今 正確히 기억나지 않는다. 내가 좋아하던 부추煎日 수 있고, 洞네 런던製菓에서 사온, 와이셔츠같이 하얀 기름종이 封紙에 담긴 고로케였을 수도 있다. 그냥 밥이었을 수도 있다. 가장 有力한 飮食은 豆腐 浮沈이다. 어머니는 直四角形으로 납작하게 자른 豆腐를 기름을 두른 프라이팬에 구워서 간醬을 곁들여 주시곤 했다. 겉은 튀김처럼 바삭거리고 告訴하지만 속은 軟하고 부드러웠다. 어머니가 준 飮食을 먹으면서 나는 回復했다. 恐怖로 萎縮된 마음이 조금씩 펴지고 졸음을 느끼고, 그러다 까무룩 잠이 들었다.

    콩밥과 豆腐

    그날 以後 아무 關聯 없는 산타클로스와 豆腐가 나에게만은 늘 結付돼 떠올랐다. 산타클로스를 보면 豆腐가 떠오르고 豆腐를 보면 산타클로스가 떠오르는 式이다. 그날의 산타클로스 이미지는 머리가 희끗희끗하고 겉으로는 印字해 보이지만 實은 冷靜하게 處罰하는 判事 이미지와도 連結됐다. 職業이 判事다 보니 남의 잘못을 후벼 波高, 指摘하고, 입바른 소리를 하는 짓을 每日같이 했다. 하루하루, 한 해 한 해 살아가면서 나 自身도 숱한 잘못을 저지르는 別 볼일 없는 사람임을 깨달을수록 判事 일을 할 때마다 마음이 不便해졌다. 그럴 때는 種種 法廷에서 산타클로스가 되는 想像을 하게 된다. 빨간 帽子를 쓰고 빨간 法服을 입은 채 善行을 한 사람에게 賞을 주는 것이다. 被告人의 善行이 지나쳐서 해도 해도 너무한다 싶으면 사정없이 루돌프 사슴 썰매에 태워 몰디브에 보내버리는 것이다. 



    그러나 實際는 한 달에도 數十 名씩 監獄에 보낸다. 그들도 出所하면 豆腐를 먹었을 것이다. 出所者가 豆腐를 먹게 된 由來는 分明치 않다. 다른 나라에는 없는 慣習이다. 或者는 이런 慣習이 日帝强占期에 監獄에서 나온 獨立運動家들로부터 비롯됐다고 主張한다. 監獄에서 제대로 먹지 못해 營養 狀態가 極度로 좋지 않고 消化 能力도 損傷된 獨立運動家들에게 應急處置로 豆腐를 먹였다는 얘기다. 

    懲役살이를 속된 말로 “콩밥을 먹는다”고 하는 것과 關聯 있다는 이야기도 있다. 豆腐는 콩으로부터 풀려난 狀態며 다시는 콩으로 돌아갈 수 없는 飮食이다. 出所 後 豆腐를 먹는 것은 다시는 獄살이를 하지 않는다는 意味라고 한다. 희고 깨끗한 豆腐가 過去를 지운다는 意味를 갖는다는 말도 있다. 하얀 豆腐 앞에 謙遜하게 고개를 숙이고 豆腐 조각을 삼키면 누구라도 몸과 마음에 쌓인 過去의 잘못과 傷處가 지워질 것만 같다.

    豆腐의 由來

    [GettyImage]

    [GettyImage]

    1960年頃 中國 허난省 美(密)縣이라는 곳에서 動한 末期 墓碑가 發見됐는데 여기에 豆腐 만드는 過程이 彫刻돼 있다고 한다. 늦어도 漢나라 時代에는 豆腐가 流行했다고 볼 수 있다. 傳하는 말에 따르면 豆腐를 처음 만든 사람은 漢高祖 劉邦의 孫子인 硫安이라 한다. 硫安은 道敎思想의 代價로 오랫동안 山에서 道를 닦았다. 그러던 어느 날 8人의 神仙을 만났다. 그가 不老長生 祕法을 묻자 神仙들이 豆腐 만드는 法을 알려줬다는 것이다. 또 다른 이야기에 따르면 劉安이 營養 補充을 위해 소금으로 간을 한 콩국물을 마시곤 했는데 어느 날 다 먹지 못하고 놓아뒀더니 나중에 굳어서 豆腐가 됐다고 한다. 

    豆腐는 蛋白質 덩어리라 뼈 없는 고기라고 한다. 그래서 고기를 먹지 못하는 僧侶가 發展시켰다. 豆腐가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도 佛敎 傳播와 關聯 있다는 말이 있다. 우리 古文獻에서도 豆腐에 關한 記錄을 찾을 수 있다. 高麗 末期 代學者 李穡이 쓴 牧隱集에는 “豆腐가 새로운 맛을 돋워줘 늙은 몸 養生하기에 좋다”고 적혀 있다. 牧隱은 元나라에서 壯元及第를 한 天才이자 鄭夢周와 鄭道傳의 스승이다. 李舜臣의 ‘亂中日記’에도 豆腐 이야기가 나온다. 비 오는 날 아침 慶南 陜川의 한 官吏가 豆腐국을 끓여 바쳤는데 그의 行動이 점잖지 못해 속으로 火를 삼켰다는 記錄이다. 

    豆腐는 性格이 느긋해야 잘 만들 수 있다고 한다. 콩을 물에 거듭 씻고, 물에 넣어서 묵히고, 퉁퉁 불은 콩을 맷돌 구멍에 한 숟갈씩 넣어 半나절 以上 갈고, 그것을 가마솥에 부어 오랜 時間 저어주면서 삶고, 다시 자루에 넣어 주리를 틀 듯 쥐고 꾹꾹 짜내고, 溫度에 맞추어 간수를 쳐야 한다.

    順하디순하고 착하디착한

    나는 豆腐가 좋다. 아무리 먹어도 질리지 않는 飮食이 몇 있는데 鷄卵프라이나 豆腐가 그에 屬한다. 따지자면 豆腐가 아주 맛있다고 할 수는 없다. 飮食 맛은 大部分 香이 左右하는데(혀보다 코가 主로 맛본다고 할 수 있다) 豆腐에 香이 있는지도 모르겠다. 아주 조금 고소하고, 달짝지근할 때도 있기는 한데 아주 조금일 뿐이다. 물컹물컹하고 부드럽고 쉽게 허물어지는 質感도 꼭 즐기고 싶다는 생각이 들 만큼 좋은 건 아니다. 

    그래도 나는 豆腐가 좋다. 좀 더 正確히 내 마음을 살펴보면 豆腐를 좋아하는 사람이 되고 싶다. 그건 마치 나에게 아무런 利益을 가져다주지 않지만, 톡 쏘는 魅力이나 個性은 없지만, 그저 順하디순하고 착하디착한 사람을 그 自體로 좋아할 줄 아는 사람이 되고 싶은 마음이다. 나는 그런 사람이 못 되지만 그런 사람을 좋아할 줄 아는 사람이라도 되고 싶은 마음이랄까. 裁判을 하면서 갖가지 貪慾을 봤지만 豆腐를 훔치거나 豆腐를 더 가지려고 다투는 境遇는 한 番도 보지 못했다. 아무리 欲心을 내도 貪慾으로 認定받지 못하는 存在가 바로 豆腐다. 

    나는 豆腐를 飯饌으로 먹거나 生態湯 等 국물料理에 넣어 먹는 것을 좋아하지만 豆腐만 먹는 것도 좋아한다. 집에 있을 때도 출출하면 찌개用 豆腐를 꺼내 프라이팬에 한쪽 面 折半만 데워 먹곤 한다. 어릴 적 市場에서 본 風景이 있다. 箱子 가득 따끈한 김이 서린 豆腐가 나오면 넓적한 칼을 들고 直四角形으로 잘라주던 風景. 只今도 그것을 먹고 싶지만 맛보기는 쉽지 않다. 

    그러다 얼마 前 濟州에 있는 豆腐專門店에 다녀왔다. 豆腐로 만들 수 있는 各種 料理가 있었다. 가장 基本이 되는 豆腐는 동그란 그릇에 담긴 誤報로 豆腐다. 豆乳에 간水를 넣고 굳혀 물을 빼지 않고 만든 것이다. 이 가게에서 만드는 모든 頭部 看守는 日本 바다 深層水라고 한다. 

    이 집 豆腐는 담백하면서 生크림보다 보드랍고 달다. 가장 내 마음에 든 것은 四角形으로 角진 모豆腐다. 작은 波로 섬세하게 그린 얼굴이 먹는 내내 방긋한 웃음을 잃지 않는다. 함께 나오는 全羅道에서 空輸한 김치와 된醬도 絶妙하게 어울린다. 濟州産 암퇘지의 三겹 部位를 간醬 소스에 넣어 삶은 수肉도 豆腐와 이렇게 잘 어울릴 줄 몰랐다. 이 가게에서 가장 人氣 많은 건 아게다시 豆腐라고 한다. 誤報로 豆腐에 澱粉을 입힌 다음, 主人 말로는 “크리스避하게” 튀긴 것이다. 달콤짭조름한 소스에 적셔 먹으니 頭部, 튀김, 간醬의 서로 다른 맛과 溫度가 하모니를 이루면서 입안에서 交響曲을 연주한다.

    神의 한 모

    [문근찬 제공]

    [문근찬 提供]

    이 豆腐 專門店의 誕生 由來도 豆腐처럼 부드러우면서 魅力的이다. 가게 主人은 서울 이태원에서 ‘天下노 門打로’라는 有名 이자카야(日本式 선술집)를 運營하던 이계훈, 문근찬 氏다. 이계훈은 홍대 쪽에 있던 ‘天下’라는 이자카야 社長이고, 문근찬은 ‘門打로’라는 또 다른 이자카야 社長인데 두 사람이 意氣投合해 가게를 연 것이다. 어느 날 이곳에 日本人 손님이 찾아와 日本 센다이에 있는 200年 된 豆腐집 ‘모리도쿠 誤報로도후’ 이야기를 했다. 그 얘기를 듣고 두 社長은 豆腐를 손수 만들어보고 싶어졌다. 이자카야 단골손님이자 돈부리 가게를 運營하고 있던 김태윤 氏까지 同參해 셋이 日本 센다이 와쿠와현에 있는 豆腐 工場으로 留學을 떠났다. 終日 豆腐 만드는 일은 생각보다 힘들고 고단했다. 이들은 서로 依支하고 激勵하면서 하루하루를 보냈다. 그러자 처음에는 半信半疑하던 豆腐 工場 사람들이 漸次 마음을 열고 認定해 주기 始作했다. 甚至於 와쿠와현 地域 新聞이 이들의 頭部 배우기 挑戰을 記事로 紹介하고, 와쿠와현 現場이 直接 豆腐 工場을 訪問해 激勵하고 宴會를 열어주기도 했다. 

    日本에서 돌아온 이들은 濟州島에 頭部 가게를 열기로 했다. 豆腐 맛을 決定하는 것은 물과 콩이다. 콩은 配達이 쉽지만 물은 그렇지 않다. 콩을 無數히 씻어야 하기 때문에 물이 좋은 地域에서 豆腐를 만드는 게 유리하다. 이들은 豆腐 한 모를 만드는 데 바둑 對局에서 프로棋士가 오랜 苦悶 끝에 한 手를 두는 것처럼 精誠이 들어간다고 했다. 豆腐를 한 某, 한 모 熱心히 만들다 보면 언젠가는 사람의 限界를 뛰어넘어 神의 솜씨로 만든 것 같은 豆腐를 만들 수 있을 거라고 꿈꿨다. 濟州 下귀마을 바닷가에 豆腐집 ‘神의 한 모’가 誕生한 來歷이다. 

    豆腐에 對한 글을 쓰고 있으니 濟州에서 먹은 豆腐가 다시 그립다. 껍데기와 속살이 하나같이 順하게 몽글몽글한 豆腐가 그립다. 和暢한 어느 봄날에는 따뜻한 햇살을 온 얼굴로 받으며 작은 陶瓷器 그릇에 담긴 豆腐를 흰 自己로 만든 뭉툭한 숟가락으로 달그락달그락 소리를 내면서 떠먹고 싶다. 입속에 넣고 고개를 들고 눈을 감고 입을 천천히 오물거리며 豆腐의 體溫과 感觸을 느끼고 싶다. 豆腐 같은 글을 쓰고 싶다. 될 수만 있다면 豆腐 같은 사람이 되고 싶다.



    정재민 | 혼밥을 즐기던 前職 判事이자 現 行政府 公務員. ‘사는 듯 사는 삶’에 關心 많은 作家. 쓴 冊으로는 에세이 ‘只今부터 裁判을 始作하겠습니다’, 小說 ‘보헤미안랩소디’(第10回 世界文學賞 大賞作) 等이 있다.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