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肥大해진 自意識이 問題 좋은 過去를 蓄積하라”|주간동아

週刊東亞 867

..

“肥大해진 自意識이 問題 좋은 過去를 蓄積하라”

‘살아야 하는 理由’ 펴낸 강상중 도쿄대 敎授

  • 이혜민 記者 behappy@donga.com

    入力 2012-12-17 10:36: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비대해진 자의식이 문제 좋은 과거를 축적하라”

    ● 1950年 日本 규슈 구마모토현 出生<br>● 1970~79年 日本 와세다대 政治經濟學部 學部, 碩士, 博士<br>● 1979~81年 獨逸 뉘른베르크大學 遊學(政治學, 정치사상사 專攻)<br>● 1998年 在日 韓國人 最初로 도쿄大學 正敎授 赴任<br>● 著書 ‘苦悶하는 힘’ ‘내셔널리즘’ ‘오리엔탈리즘을 넘어서’ 等

    “소가 되는 것은 꼭 必要한 일일세. 우리는 어떡하든 말이 되고 싶어 하지만, 소는 웬만해선 될 수 없네. 나같이 늙고 狡猾한 사람이라도, 소와 말이 交尾하여 孕胎한 아이 程度일 걸세. 서둘러서는 안 되네. 머리를 너무 써서는 안 되네. 참을性이 있어야 하네. 世上은 참을性 앞에 머리를 숙인다는 것을 알고 있나? 불꽃은 瞬間의 記憶밖에 주지 않네. 힘차게, 죽을 때까지 밀고 가는 걸세.”

    -나쓰메 소세키, ‘소가 되어 人間을 밀어라’ 中에서

    강상중(62) 도쿄대 敎授가 最近 ‘살아야 하는 理由’를 펴냈다. 이 冊을 읽자 “소가 되어야 한다”는 나쓰메 소세키의 글이 생각났다.

    姜 敎授는 1998年 在日 韓國人으로는 처음으로 도쿄大 正敎授가 된 人物로, 에세이 ‘苦悶하는 힘’ 等을 펴낸 베스트셀러 作家이기도 하다. 最近 아들을 잃어 살아갈 힘조차 없을 법한 그가 “살아야 한다”고 말하는 理由는 뭘까. 전남대 講演 次 韓國에 온 그를 12月 10日 光州에서 만났다. 다음은 그와 나눈 對話에 冊 內容을 더해 再構成한 것이다.

    ▼ 글을 왜 쓰나. 정치사상사 專攻 敎授가 에세이나 小說을 쓰는 理由가 궁금하다.



    “처음엔 在日韓國人으로서 내 삶을 記錄하고 싶었다. 只今은 大衆과 疏通하려고 大衆에게 친숙한 글쓰기를 한다. 特히 이 冊(‘살아야 하는 理由’)은 序文에 밝힌 것처럼 個人的 아픔 때문에 썼다. 不治病이라고도 하는 極度의 神經症에 걸린 아들은 살아生前 自身의 出生을 詛呪했다. 그리고 “이 世上에 살아가는 모든 것, 언제까지고 健康하기를, 안녕”이라는 말을 남기고 돌아올 수 없는 사람이 됐다. 아들이 죽고 몇 달이 지나 日本 도호쿠 地方에서 大地震이 일어났는데, 그것을 지켜보면서 ‘이렇게 悲慘한데도 꼭 살아야 하는 걸까’ 苦悶했다.”

    아들 잃은 뒤 삶 苦悶

    그는 日本뿐 아니라 韓國 亦是 學歷, 所得, 地位 隔差가 甚해 사람들의 삶이 不安定해 보인다고 指摘했다. 이런 社會에서 意味를 찾지 못해 삶을 놓아버리는 사람이 많은 것은 어쩌면 자연스러운 現象이 아닐까. 그런데 姜 敎授는 이런 現象이 나타난 背景에 注目한다.

    ▼ 많은 사람이 自殺을 擇한다.

    “요즘 사람은 먹고사는 데 곤란하지 않을 程度의 輸入을 바라고, 小小한 趣味 活動이나 交際를 할 수 있는 餘裕가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그러려면 職場에 다녀야 하는데, 已往 다닐 바에는 보람 있는 일을 하길 願한다. 熱愛까지는 아니더라도 다투지 않을 程度의 關係를 維持할 伴侶者가 있기를 바란다. 아이도 몇 名 있었으면 하고, 健康도 챙긴다. 老後 準備도 어느 程度 돼 있길 바란다. 그런 것이 充足돼야만 幸福한 삶이라고 느낀다. 하지만 얼마 前만 해도 그런 價値를 모두 享有하는 사람은 그다지 많지 않았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그런 條件이 充足되지 않으면 不幸하다고 여기고 世上을 등진다.”

    ▼ 그런 것을 바라는 게 危險한가.

    “條件은 平凡해 보이지만 이를 充足하면서 사는 사람은 많지 않다. 日本만 해도 年間 3萬 名 以上이 自殺하고 100萬 名 以上이 憂鬱症으로 苦痛 받는 건 그런 條件을 充足할 수 없어서일 것이다. 사람 數만큼 幸福을 느끼는 方式도 다양해야 좋은데, 언제부턴가 그런 것이 없어져버려 안타깝다. 自由競爭이라는 規則에 따라 不適應者가 생기는 건 當然하다고 여기는 視角은 危險하다. 많은 사람이 이에 對해 問題意識조차 갖지 않는 것 같아 견딜 수 없다. 事實 幸福은 人生의 目的이 아니고, 目的으로 救할 수도 없다. 幸福을 손에 넣으려고 뭔가를 한다는 생각 自體가 처음부터 成立할 수 없다.”

    ▼ 그렇다면 어떤 姿勢로 살아야 하는가.

    “自意識을 줄여야 한다. 나쓰메 소세키의 小說 속 主人公들처럼 自意識에 갇혀 있으면 앞으로 나아가기 어렵다. 예전 사람들은 神과 自身이 連結돼 있다 생각했고, 人間은 이 世界의 一員이었기 때문에 自我 槪念이 確實치 않았다. 하지만 近代에 그 連結이 끊어지면서 個人이 自我에 意味를 附與하지 않으면 안 되게 됐다. 그런 意味에서 ‘苦悶하는 사람(호모 파티엔스)’은 이 時代의 本質的 人間 類型이다.”

    그는 이런 狀況에서는 個人이 不安할 수밖에 없는데, 資本主義 社會는 이런 不安을 解消하는 治療法도 만들어냈다고 했다. “사람들의 머리를 실컷 두들겨 패놓고 그다음 鎭痛劑를 파는 惡德商術 같은 文化가 蔓延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에게 “當身 冊도 慰安을 준다는 點에서 自己啓發書와 비슷하지 않느냐”고 묻자 “世俗的인 慰安을 준다는 意味에서 비슷할 수 있다”고 認定했다. 그럼에도 그는 自身의 冊은 過去를 重視한다는 點에서 旣存 自己啓發書와 다르다고 덧붙였다. 그는 “過去를 重視하는 것은 人生을 重視한다는 意味고, 可能性이라는 말만 連發하면서 未來만 보려는 것은 人生에 無責任한 態度”라고 說明했다.

    언제든 좋은 人生으로 바뀔 可能性

    ▼ 肥大해진 自意識을 줄이려면 어떤 努力을 해야 하나.

    “나쓰메는 ‘眞짜 自己를 찾으라’고 하지 않고 反對로 ‘自身을 잊어라’고 말했다. ‘幸福論’을 쓴 버트런드 러셀도 ‘自己에게만 興味를 갖지 마라’고 했다. 人生에서 얼마間의 意味를 찾을 수 있느냐 없느냐는 그 사람이 眞心으로 믿을 수 있는 어떤 것을 가졌는지 아닌지에 달렸다. 當場은 뭐라도 괜찮다. 愛人, 親舊, 아내, 新, 日, 어느 것에라도 意味를 두는 것이 必要하다. 왜냐하면 뭔가를 믿는다는 것은 믿는 對象에 自身을 내던지는 일이자, 그 對象을 肯定하고 받아들이는 것이기 때문이다. 人生은 自己 世界만으로는 完成되지 않도록 만들어졌다. 나만 해도 進步하는 歷史와 聖經을 믿으며 살아간다.”

    그가 强調하는 것은 언제 어느 때나 마음만 있으면 發揮할 수 있는 ‘態度’였다. 그 亦是 自己 힘만으로는 바꿀 수 없는 狀況과 아픔을 끌어안고 힘을 내는 ‘態度’로 熱心히 살아간다. 幸福하지 않다며 生을 놓으려는 이들에게 그는 어떤 態度를 勸할까. 冊 末尾에 그 答이 있다.

    “좋은 未來를 追求하기보다 좋은 過去를 蓄積해가는 마음으로 살아가야 한다. 두려워할 必要도 없고 氣가 죽을 必要도 없다. 있는 그대로의 自身으로도 괜찮다. 只今이 괴로워 견딜 수 없어도, 시시한 人生이라 생각돼도 人生이 끝나기 1秒 前까지는 언제든 좋은 人生으로 바뀔 可能性이 있다. 特別히 積極的으로 일을 할 수 없어도, 特別히 創造的인 일을 할 수 없어도 只今 거기에 있는 것만으로도 當身은 充分히 當身답다. 그러니 녹초가 될 때까지 自身을 찾을 必要 같은 건 없다. 마음이 命令하는 것을 淡淡하게 쌓아 나가다 보면, 나중에 돌아봤을 땐 저절로 幸福한 人生이 되어 있을 것이다.”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