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한글?朝鮮글
元來 이름 訓民正音 (訓民正音)
類型 [[ 音素文字 , 表音文字 ]]
表記 言語 韓國語 , 祭主語 , 찌아찌아어 , 카리어 , 꽈裸芽에어 , 臺灣어 ( 臺灣어 한글 )
使用 時期 1446年 ~ 現在
創製者 世宗

한글 (韓? [1] , 英語 : Hangeul [2] 또는 Hangul [3] ), 朝鮮글 (朝鮮?, 英語 : Joseon'geul 또는 Choson'gul )은 韓國語의 公式文字로서, 世宗 이 韓國語를 表記하기 위하여 創製한 文字인 ' 訓民正音 '(訓民正音)을 20世紀 初盤 以後 달리 이르는 名稱이다. [4] [5] 한글이란 이름은 주시경 先生과 國語硏究學會 會員들에 依해 지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6] [7] [8] [9] 그 뜻은 '으뜸이 되는 큰글', '오직 하나뿐인 큰글', '韓國人의 글字'이다. [6] [10] 한글의 또 다른 別稱으로는 正音(正音), 諺文(諺文) [11] , 蝘鼠(諺書), 半切(反切), 암클, 亞햇글, 가갸글, 國文(國文) [12] 等이 있다. [5]

音素文字 人 한글은 홀소리(모음)와 닿소리(子音) 모두 소리틀 을 본떠 만들었으며 [13] 創製된 初期에는 닿소리 17個에 홀소리 11個, 總 28個였으나, 漸次 4字(ㅿ, ㆁ, ㆆ, ㆍ)를 使用하지 않게 되어 現在는 홀소리 10字, 닿소리 14字만 쓰고 있다. 한글은 表音文字 ( 소리글字 )二字 資質文字 로서 表意文字 漢字 에 비해서 배우기 쉽고 읽고 쓰기가 便한 長點을 가지고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에서는 '朝鮮글'이라 부른다.

한글( 訓民正音 )은 創製된 以後 約 450年 동안 많은 試鍊을 겪었다. 朝鮮의 선비들은 한글을 無視하고 忽待했으며 연산군 은 한글 使用을 彈壓下祈禱 했다. [14] [15] [16] 朝鮮의 公式文字는 如前히 漢字였으며, 甲午改革 이 斷行된 1894年이 되어서야 形式的이나마 제1공용문자의 地位를 獲得했다. 以後 日帝强占期에는 一齊 에 依해 朝鮮語學會 事件 (1942)李 造作되는 等 日帝는 韓國語와 한글 使用을 禁止하는 民族精神 抹殺政策 을 펼쳐졌다. 그러나 이런 어려움 속에서도 주시경 , 崔鉉培 等 많은 先覺者들이 한글을 體系的으로 硏究하여 한글의 優秀性을 알리고 널리 普及하려는 努力은 꾸준히 이어졌다.

1908年 國語硏究學會 가 創立된 以來 여러 試鍊에도 不拘하고 한글硏究의 命脈은 꾸준히 이어졌으며, 한글날 制定, 辭典編纂, 맞춤法 制定 等 많은 成果들을 일구어냈다. 光復後 ' 朝鮮語學會 '가 活動을 再開하였고 1949年에 ' 한글學會 '로 改稱되면서 한글 標準化 事業等 많은 努力이 있었다. 그 結果 한글은 韓國語를 表記하는 國語로서의 位相을 지키게 되었다.

歷史 [ 編輯 ]

創製 以前 [ 編輯 ]

韓國은 三國 時代부터 吏讀 (吏讀)와 口訣 (口訣)을 써 왔다. 口訣은 本來 漢文에 구두(句讀)를 떼는 데 쓰기 위한 一種의 補助 便法에 지나지 않았고, 吏讀는 비록 韓國語를 表記하는데 使用되었지만 韓國語를 自身의 自由自在로 적을 수 없는 限界가 있었다. 그 表記法의 一元性(一元性)이 없어서 泄瀉 吏讀로써 足하다 해도 漢字敎育이 先行되어야 했다. 이러한 文字 生活의 不便은 배우고 使用하기 쉬운 새로운 글字의 出現을 切實히 要求하고 있었다.

한글 創製 [ 編輯 ]

創製 理由 [ 編輯 ]

이러한 思潮가 世宗 때에 特히 두드러져 드디어 1443年 陰曆 12月에 文字 革命의 結實을 보게 되었다. [17] 訓民正音 創製 趣旨는 世宗이 손수 著述한 《訓民正音 解例本》 禮儀便(例義篇) 첫머리에 잘 나타나 있다. 韓國語는 中國 말과 다르므로 漢字를 가지고는 제대로 表記하기 어렵고 우리는 固有한 글字가 없어서 文字 生活의 不便이 매우 甚했다.

‘訓民正音’은 “百姓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으로 [18] , 世宗의 어제 序文과 鄭麟趾 서(序)에서 分明히 밝히고 있는바, 當時까지 漢文 依存에 따른 어려움을 根本부터 克服하기 위해 韓國語의 固有 文字로서 創製되었다.

한便 訓民正音(以下 한글) 創製 5年 뒤에 《 東國正韻 (東國正韻)》이 刊行되는데, [19] 當時 朝鮮 에서 通用되던 漢字音을 中國語 原音으로 矯正後 統一하기 위한 冊으로서, [20] 한글을 使用하여 이 冊에 收錄된 漢字의 發音을 表記하였다. 따라서 世宗의 한글 創製의 目的이 漢字 및 漢文의 廢止를 위한 것은 아니라고 보이며, 한글의 活用 範圍가 相當히 넓었음을 斟酌할 수 있다.

臣下들의 反對 [ 編輯 ]

集賢殿 副提學 최만리 는 신석조, 金汶 , 하위지 , 송처검, 朝槿, 정창손 과 함께 1444年 2月 20日에 延命上訴(甲子上疏)를 [21] 올려 한글 頒布를 反對했다. [22] 이들은 새로운 文字를 製作, 普及하는 일은 事大의 慣例에 어긋나는 일로 오랑캐의 所行에 該當하며, 한글이란 시골村婦나 使用할만한 상스러운 文字이고, 吏讀와는 달리 出世에만 汲汲한 벼슬아치들을 量産하여 學問의 發展을 衰退시킬것이고, 한글使用은 가벼운 재주를 부리는 것과 같아 政治에도 無益하고, 抑鬱한 獄살이의 原因은 文盲(文盲)李 아니라 管理의 公正性에 있으며, 새로운 文字使用이란 널리 議論하고 매우 愼重하고 거듭 신중해야 하는일이라 等等의 主張을 펼치며 反對했다. [22]

이에 對해 世宗은 吏讀와 한글의 使用은 모두 百姓을 이롭게 한다는 點에서 同一하다고 反駁했고, 言語學와 音韻學을 擧論하며 이들의 主張을 모두 물리쳤다. 그러나 世宗의 反駁과 說得에도 不拘하고 최만리를 비롯한 連名上疏를 올린 7名이 持續的인 反對가 極甚瑕疵 世宗은 정창손 을 罷職시킴 [23] 과 同時에 7名 全員을 義禁府에 하루동안 가두어 버렸다. [22] 下獄된 7名은 다음날 釋放되었으나 최만리는 이내 벼슬에서 물러난후 落鄕하였다. [24] 다만 金汶(金汶)은 釋放된후 棍杖 100대를 맞았는데 [25] 이는 한글 頒布에 對해 贊成하던 旣存 立場을 飜覆하여 反對했음에 對한 處決이었다.

正餐손이 罷職된 것은 世宗의 뜻을 正面으로 거슬렀기 때문이다. 世宗은 지난 1428年에 發生하여 衝擊을 준 悖倫犯罪 [26] 의 再發을 막고자, 배우고 使用하기 쉬운 한글을 普及한후, 過去에 編纂했던 < 三綱行實圖 >를 한글로 飜譯, 베포하여 百姓들을 敎化하고 啓蒙하고자 했다. 그러나 鄭昌孫은 過去에 < 三綱行實圖 >를 베포했음에도 不拘하고 큰 變化가 없었음을 擧論하며, 三綱行實(三綱行實)의 實踐 與否는 個人의 性品과 資質에 따른 問題이지 쉬운 文字로 쓴 冊을 普及한다하여 달라질게 없다고 하며 한글 使用을 反對했다. [27] 정창손 의 發言은 儒學的 가르침에 違背되는 것으로 [28] 激怒한 世宗은 罷職을 命했던 것이다. [22]

野卑하고 상스러운 文字라는 等의 表現을 使用하며 反對하는 것에 火가난 世宗은 平素답지 않게 王으로서의 權威를 내세워 剛하게 對處하는 失手를 하고 말았다. 그러나 이런 强勁策 德分인지 以後로는 積極的으로 한글에 對해 反對하는 臣下가 없었으며 [29] 1446年 正式 頒布 以後 單 한 件의 反對 上訴도 남아 있지 않다. [30] 世宗은 최만리를 비롯한 一部 學者들과 달리 革新的인 思考方式을 가지고 있었고 한글에 對한 自負心과 文字改革 政策의 推進이 널리 百姓들을 두루 이롭게 할 것이라는 信念이 있었다. [31] 따라서 大小臣僚들의 反對를 무릅쓰고 이들을 下獄해가면서까지 自身이 創製한 새로운 글字를 더욱 硏究하며 한글頒布 作業을 推進하였다.

한글 頒布 [ 編輯 ]

訓民正音 諺解 》의 書頭
龍飛御天歌 卷1 (1445年 編纂)

1446年 9月에 한글이 頒布되었다. [32] 世宗은 한글을 創製한후에 約 3年間 實際 宮中에서 한글을 直接 使用하면서 問題點을 補完하고 다듬어 왔다. 성삼문 , 신숙주 , 崔沆 , 정인지 , 박팽년 集賢殿 學者들에게 命하여 解說書人 『 訓民正音 解例本 (訓民正音 解例本)』을 發刊하도록 했으며 1444年 2月에 崔沆과 박팽년에게 < 古今韻會擧要 >의 한글飜譯을 命했다. [33] 頒布하기도 前에 < 古今韻會擧要 > 飜譯을 시켰다는 것은 이미 '한글'의 完成度는 매우 높았으며 새 文字에 對한 自信感이 있었다는 뜻으로 보인다. [34] 1445年(世宗 27) 4月에는 한글을 처음으로 使用하여 樂章(樂章)인 《 龍飛御天歌 》를 編纂하고 1447年(世宗 29) 5月에 刊行하였다. 木版本 10卷 5冊 모두 125張에 達하는 敍事詩로서, 한글로 엮어진 冊으로는 韓國 最初의 것이 된다.

한글을 頒布한후에는 下級 官吏를 뽑을 때 한글을 試驗 科目에 追加하였고, [35] [36] 三綱行實 ’과 같은 國家 倫理를 한글로 풀어 百姓들에게 가르치도록 하였는데 이 두가지 事項을 朝鮮 最高의 法典인 經國大典 에 明文化하였다. [37] 四書(四書)를 한글로 飜譯하게했고 [38] 百姓들이 官家에 提出하는 書類를 한글로 作成토록 했으며 刑律 適用 過程에서 그 內容을 한글로 飜譯하여 알려 주도록 했다. 宮中의 女人들에게 모두 한글을 익히도록 하고 世宗 自身은 朝廷의 大臣과 機關에 한글로 글을 내리기도 했다. [39] 以後로 民間과 朝廷의 一部 文書에서 한글을 使用하였다. 이러한 한글 普及 政策에 따라 한글은 漸次 퍼져 나갔다. [40]

中國의 反應 [ 編輯 ]

1539年 中宗때 주양우(朱良佑)라는 者가 한글을 中國人에게 가르쳐 준 事實이 發覺되어 處罰을 받았다는 것으로 [41] 보아 當代에는 새 文字 創製 事實을 中國에 積極的으로 알리지 않았던 것으로 보여진다. [42] 東國正韻 (1448)과 洪武正韻譯訓(1455)을 編纂하는등 여러事業을 進行했지만 世宗은 한글 頒布式을 擧行하지 않았으며, 後날 中國에 보내는 世宗의 訃告에도 訓民正音을 世宗의 業績으로 言及하지 않았다. [42] 새로운 文字 創製란 '文化的 獨立'을 意味하는데, [43] 이는 弱小國이었던 朝鮮이 當代 東아시아의 霸權國家인 中國을 無視하고 漢字 中心 世界를 公開的으로 拒否하는 行爲에 該當한다. 外交的으로 深刻한 問題를 惹起할 素地가 있어 조심스럽게 進行했던 것이다.

中國(明나라)은 朝鮮의 새로운 文字 創製에 對해서 政治的으로나 學問的으로나 公式的인 反應을 보이지 않았다. [42] 徹底히 無視한 것이다. 明나라의 內政도 그리 便치만은 않았다. 1368年에 太祖 朱元璋 이 名(明)을 建國한 以來 3代 永樂帝에 이르러 國力이 크게 隆盛하였으나 1435年에 正統제가 9살의 어린나이에 卽位한후 漸次 침제되기 始作했다. [44] 先代의 忠臣들이 死亡하고 1442年에 攝政인 性酵素皇后 마저 죽자 宦官 往診 이 權力을 잡고 專橫을 일삼으며 國政을 壟斷했다. [45] 1449年에 정통제 가 直接 參戰했다가 皇帝가 敵國에 生捕당하는 中國歷史上 前例없는 事件이 벌어지기도 했다. [46] 정통제는 生還後 太上皇이 되어 幽閉된채 지내다가 [46] 1457年에 쿠데타( 脫文의 便 )를 통해 復位하는 等에 一連의 事件들이 있었으며 以後의 皇帝들도 治世가 그리 順坦치만은 못했다. [44]

姿貌 낱자 名稱 [ 編輯 ]

訓民正音 制定 當時에 字母 낱자의 名稱을 무엇이라 했는지는 알 수 없다. <訓民正音 解例本>에는 이에 對한 言及이 없기 때문이다. [47] 文書나 敎材를 통해 한글을 敎育할때에는 個別 名稱이 굳히 必要없지만 말로 說明하고자 할때는 名稱이 必要하게 된다. 그러나 이에 對해서 特別히 言及한 當代의 文獻이 存在하지 않는다. 처음으로 字母 名稱에 對해 言及한 文獻은 1527年에 崔世珍이 쓴 《 訓蒙字會 》이다. [48]

이 冊은 兒童들의 漢字 工夫를 위해 著述한 學習書인데 이 冊의 말머리에 〈諺文字母(諺文字母)〉란 題目 아래 한글字母에 關한 說明과 字母의 運用 原理에 對한 說明이 있으며, 한글 字母 낱자의 名稱을 漢字의 陰과 훈을 利用하여 달아놓았고 字母낱자의 順序等도 記錄해놓았다. 姿貌 낱자의 名稱은 各 글字 밑에, 기역 其役, 니은 尼隱, 디귿 池○末, 리을 梨乙, 米飮 眉音, 비읍 非邑, 시옷 時○衣, 이응 異凝”, “키 ○箕, 티 治, 피 皮, 지 之, 치 齒,  而, 이 伊, 히 屎”, “아 阿, 野 也, 어 於, 與 余, 오 吾, 요 要, 禹 牛, 有 由, 으 應 不用終聲, 이 伊 只用中聲,  思 不用初聲”과 같이 表記되어 있다. [49]

崔世珍이 字母 낱자의 名稱과 字母의 順序를 처음으로 定한 것인지 아니면 全代로부터 傳해 내려온 것을 整理한 것이지를 判斷할 수 있는 어떠한 言及도 이 冊에는 없다. 또한 한글 字母 낱자가 모두 27個라고 紹介하고 있다. 그 사이에 文字 體系의 變化가 생겨서 ' (여린히읗)'에 使用이 廢止되었음을 알 수 있다. 아무튼 《訓蒙字會》에 記錄된 字母 낱자 名稱은 오늘날까지 그대로 使用되고 있다. [50]

한글의 受難 [ 編輯 ]

한글이 ‘訓民正音’이라는 이름으로 頒布된 初期에는 '正音(正音)' 또는 '諺文(諺文)'이라고도 불렸다. [51] '正音'은 訓民正音을 略稱한 것이고, '諺文'이란 《世宗實錄》에서 '上親弟諺文이十八子(上親製諺文二十八字)'라고 한 것에 비롯되었다. 그런데 當代의 兩班들은 漢字를 除外한 한글을 ‘諺文’이라 稱하며 常것들이나 쓰는 글이라 하며 下待하였다. [52] 또한 한글을 '假짜글'이라는 意味를 附與하여 '蝘鼠(諺書)'라고 부르며 낮추어 보았는데, 이는 漢字(漢字)를 眞짜 글이라는 意味의 '陳書(眞書)'라 부른데서 연유하였다. [53]

‘半折(反切)’이라는 말을 쓰기도 했는데, 中國 音韻學의 半切法에서 初·中·終聲을 따로 分離하는 方法을 쓰기 때문에, 정음이 超·中·終聲을 分離하여 表記하는 點에서 이와 비슷하다고 보아 붙인 이름인 듯하다. [54] 그러나 一部에서는 '半토막 글'이라는 意味로 ‘半折(反切)’이라 하였다. [52] '암클'이라고도 불렸는데 少數에게 불린 名稱이며 이것은 女性이 쓰기 때문에 붙은 이름은 아니고 한글은 男性, 女性 모두 使用했으나 '癌'은 女性이라는 뜻 말고도 不足하다라는 뜻도 있기 때문에 글을 배우지 못한 境遇 쓰는 不足한 글씨 卽 '암클'로 불리기도 하였다. [ 出處 必要 ] 또한 아직 글을 배우지 못한 아이들이나 쓰는 글이라 하며 '亞햇글'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12] 僧侶나 中인(中人)이하에서나 쓰는 글字라는 下待하는 뜻을 가진 '중글'은 [55] 절의 僧侶들이 한글로 佛經을 飜譯하고 信徒들에게 敎理 敎育에도 使用하였다고 해서 비롯된 말이다. [56] '나랏글'이라는 意味의 '國文(國文)'으로 불린 것은 1894年 甲午改革 때이나 日帝强點으로 오래 가지 못했고 '한글'이라 불리게 된 것은 1910年 頃부터이다.

이와 같이 한글이 頒布된 以後 朝鮮의 兩班들은 한글 使用 自體를 反對하지는 않았으나 한글을 달갑게 생각하지 않았고 漢字와 달리 얕잡아 보며 2流 文字 取扱하면서 徹底히 無視했다. [57] 이는 오랫동안 中國에 對한 事大主義에 젖어있었기 때문이다. [58] 知識人 社會로부터 忽待를 받은 한글은 主로 農서나 醫書 같은 實用 書籍을 飜譯하거나 佛經을 飜譯, 編纂하는데 限定됐다. 四書三經 諺解本이 나왔지만 漢文에 對한 基本 知識이 없는 百姓에게는 如前히 어려웠고 過去 試驗을 準備할 餘裕가 없는 이들이나 資格이 없던 平民들에게는 不必要한 冊이었을 뿐이다. 高級 情報를 담은 冊은 如前히 漢文으로 刊行되었다.

임금이 百姓에게 내리는 글인 綸音을 한글로 펴내기도 했으나 漢文 中心의 國家 政策이나 社會 雰圍氣가 바뀐 건 아니었다. 朝鮮 後期 實學者였던 정약용 , 朴智元 , 박제가 等도 한글 使用을 外面하고 100% 漢文으로만 著述을 남겼다. 特히 厖大한 著述을 남긴 丁若鏞은 家族과 주고받은 便紙조차 漢文만 使用했다. 實學者였던 이들조차 漢字보다 實用的인 한글을 外面하고 漢字를 優待하는 兩班 士大夫의 限界를 벗어나지 못했다. [59]

兩班들에 依해 우리글인 한글이 무시당하는 風潮는 19世紀 後半까지 꾸준히 이어졌다. 育英公院 배재學堂 의 敎師로 活動하던 美國人 헐버트 의 回顧錄에는, "朝鮮人들은 偉大한 文字인 한글을 無視하고 있으며 [60] 士大夫들에게 한글을 아느냐고 물으면 그들은 알고 있으면서도 입에 거품을 물고 모른다고 答했다." [61] 고 적혀 있다. 또한 그는 1889年에 《 士民必知 》라는 우리나라 最初의 純한글 地理 敎科書를 執筆하였는데, 冊의 序文에 "한글이 中國 글字에 비하여 크게 要緊하건만 사람들이 要緊한 줄도 알지 아니하고 업신여기니 어찌 아깝지 아니하리오"라고 썼다. [62] [63] 이를 통해 當時 支配階層이 優秀한 한글을 두고 如前히 漢字 를 重視했다는 事實을 알 수 있다.

燕山君의 迫害 [ 編輯 ]

1504年(燕山君 10年) 7月에 그의 悖倫的인 行爲에 對해 叱責하는 한글 投書가 發見되었다. [64] [65] 犯人 索出 作業을 했으나 잡아내지 못하자 燕山君은 그해 7月 20日附로 百姓들의 한글 使用을 禁하도록 命했다. [66] [67] [68] 한글로 口訣을 단 冊을 불사르게 했고 배우거나 쓰지 못하게 했는데, 違反者는 '基훼第서율(棄毁制書律)'을 [69] 適用하여 棍杖 100代부터 斬首刑 에 處하도록 했다. [70] 使用하는 者를 알고도 告發하지 않은 이웃도 잡아들여서 '制書有違律(制書有違律)', 卽 賃金의 指示를 違反한 사람을 다스리는 法을 [71] 適用하여 棍杖 100臺를 때리라 命했다. [72] [73] 그러나 朝廷 안에서 한글을 使用하는 것은 部分的으로 許容하였다. 한글로 曆書를 飜譯하도록 했으며, [74] 宮人의 祭文을 한글로 飜譯하여 醫女를 시켜 읽도록 하기도 했다.

朝鮮 中期 [ 編輯 ]

한글이 支配 階層으로부터 蔑視를 받았음에도 不拘하고 宮中과 一部 兩班層, 百姓들, 特히 婦女子들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널리 使用되었다. [52] 1490年 忠淸道 회덕에 사는 신창 孟氏는 咸鏡道에 勤務하는 軍人인 男便 裸身걸 로부터 한글로 쓰인 便紙 를 받았다. 便紙에는 咸鏡道에서 漢城으로 轉勤되었으니 옷을 보내달라는 內容이 적혀 있었다. [75] 1586年 慶尙道 安東에 一線 文氏는 世上을 먼저 떠나 男便 이응태에게 怨望 섞인 便紙를 썼다. 便紙에는 '둘이서 머리 하얗게 되도록 살다 함께 죽자더니 먼저 가냐. 이 便紙를 읽으면 꼭 꿈에 나와 말을 걸어달라’고 적혀 있다. [76] 이와 같이 百姓들이 한글로 된 書信을 주고받을 수 있었던 것은 한글이 漢文에 비해 매우 單純하여 읽고 쓰기가 너무나도 쉬웠던 까닭에 누구나 짧은 時間內에 배우고 익힐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栗谷 李珥 가 《 大學 》에 口訣을 달고 諺解한 《大學栗谷諺解》는 1749年에 刊行되었다. [77]

朝鮮 中期 以後로 歌詞 文學 , 한글 小說 等 한글로 創作된 文學이 流行하였고, 書簡 에서도 한글/정음이 種種 使用되었다.

近代 [ 編輯 ]

띄어쓰기 導入 [ 編輯 ]

獨立新聞 初版 (1896.4.7)

한글은 創製 以來 約 400 餘年이 넘도록 띄어쓰기를 하지 않았다. 한글에 띄어쓰기를 最初로 適用한 사람은 스코틀랜드 出身 長老敎 宣敎師 존 로스 이다. [78] 그는 19世紀 末에 中國에서 宣敎活動을 하던 中에 聖經을 韓國語로 飜譯하고자 韓國人 이응찬으로부터 韓國語를 배운 後 韓國語 學習 敎材인 《Corean Primer》(韓國語 첫걸음)을 1877年에 펴냈는데, 이 冊에서 처음으로 한글 띄어쓰기를 適用하였다. [79] 이는 英語의 띄어쓰기가 自然스레 反映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한글 띄어쓰기는 大衆化 되지 못했다.

以後 배재學堂 敎授로 活動하던 美國 出身 言語學者이자 宣敎師 호머 헐버트 博士가 한글에 띄어쓰기 導入을 積極的으로 勸奬함에 따라 1896年에 創刊된 < 獨立新聞 > 한글版에 띄어쓰기 가 本格的으로 導入되었다. [80] 아울러 이 時期에 '마침標'와 '쉼標'도 처음으로 使用되기 始作했다. 1906年 大韓國民敎育會가 發刊한 <初等小學>에는 單語와 調査들을 모두 띄어 쓰는 일도 있었다. 그러다가 1933年 朝鮮語學會 가 한글 맞춤法 統一案을 制定하면서 띄어쓰기의 語文規定이 하나씩 定立되기 始作했다.

國文 硏究所 [ 編輯 ]

1894年 (朝鮮 高宗 31年) 甲午改革 에서 마침내 한글을 ‘國文’(나랏글)이라고 하여, 1894年 11月 21日 勅令 第1號 公文式(公文式) 第14條 [81] 및 1895年 5月 8日 勅令 第86號 公文式 第9條 [82] 에서 法令을 모두 國文을 바탕으로 삼고 漢文 飜譯을 붙이거나 國漢文을 섞어 쓰도록 하였다. 이와 더불어 한글 使用이 漸次 늘자, 한글 表記法에 關한 問題가 提起되었다. [83] 共同硏究에 依한 統一된 文字體系의 必要性을 느끼던 中 1905年 지석영 이 上訴한 〈新訂國文(新訂國文)〉李 高宗皇帝 의 裁可를 얻어 한글 맞춤法으로서 公布되었다. [84]

그러나 그 內容上에 여러 問題點이 指摘되면서 1906年 5月에 이능화 가 〈鞠問일鄭意見〉을 提出하는 等 論難이 되자 當時 學部 代身 이재곤의 建議로 1907年 7月 8日 大韓帝國 學部에 統一된 文字 體系를 確立하기 위한 韓國語 硏究 機關으로 國文 硏究所 가 設置되었다. [84] 1506年 中宗 諺文廳 이 廢止된 以後로는 [85] 처음으로 한글을 硏究하는 國家機關이 만들어진 것이다. [86] [87] 國文 硏究所 의 硏究 成果는 1909年 12月 28日 學府에 提出한 報告書로서 〈國文硏究議定案〉 및 어윤적 , 이종일, 二億, 윤돈구, 송기용, 유필근, 지석영 , 이민응의 8委員 硏究안으로 完決되었다.

國語 硏究 活動 [ 編輯 ]

한글과 漢文이 混用되어 쓰인 每日申報 1944年 記事

한便 民間에서는 1906年 주시경 이 《대한국어문법》을 著述하여 1908年에 《國語文典音學(國語文典音學)》으로 出版하였으며, 1908年 최광옥 의 《大韓文典(大韓文典)》, 1909年 유길준 의 《大韓文典(大韓文典)》, 김희상의 《初等國語御殿》, 1910年 周時經의 《國語文法(國語文法)》等이 出刊되고, 以後에도 1911年 김희상의 《朝鮮語展(朝鮮語典)》, 1913年 남궁억 의 〈朝鮮文法(朝鮮文法)〉, 이규영(李奎榮)의 〈말듬〉, 1925年 이상춘 의 《朝鮮語文法(朝鮮語文法)》 等으로 이어지면서, 1937年 崔鉉培 의 《우리말본》으로 集大成된다.

우리말과 글의 硏究.統一.發展을 目的으로, 1908年 8月31日 주시경 先生이 뜻을 같이하는 사람들과 서울 奉元寺에서 創立總會를 열고 ‘國語硏究學會’를 創立하였다. [88] 그러나 1910年 韓日合倂이 이루어지며 國語라는 말이 日本語를 뜻하게 되면서 1911年 9月3日 ‘배달말글몯음’(朝鮮諺文會)으로 이름을 變更하였다. [89] 1913年 3月 23日에 ‘한글모’로 바꾸었으며, 1921年 12月3日 ‘朝鮮語硏究會’로 다시 變更하였다. [90] 그동안 많은 講演, 學術大會를 연 바, 1926年에 한글날 을 制定하였고 1927年에는 同人誌 ‘한글’을 創刊하였다. 1931年 1月 10日 ‘朝鮮語學會’로 이름을 고쳐 活動하며 學會誌 ‘한글’ 創刊(1932), 한글맞춤法 統一案 制定(1933), 標準말 事情(1936), 外來語 表記法 統一案 制定(1940)等 活潑한 活動을 展開하였다. 그러던중에 1942年 日帝에 依해 恣行된 朝鮮語學會 事件 으로 國語硏究가 中斷되는 큰 試鍊을 맞게 되었다.

한글 普及 運動 [ 編輯 ]

韓日强制合邦以後 日帝는 强壓的인 武斷統治 를 일삼았다. 3·1 運動 以後 宥和的인 文化統治 를 實施했으나 허울뿐이었으며 彈壓과 監視, 民族抹殺과 皇國植民化 敎育, 愚民化 政策에 따른 單純 實業 敎育, 日本語 學習 擴大, 韓國語 敎育 縮小를 斷行했다. 이런 日帝의 差別 敎育政策으로 因해 1930年 무렵 文盲率은 約 70%程度에 達하였다. [91] 같은 歷史를 가지고 같은 言語를 使用해야 民族의 同質性과 一體感을 確保하고 團結할 수 있으며 民族精神을 高陽시킬수 있는데, [92] 當時 朝鮮人의 文盲率은 너무 높았다. 深刻性을 깨달은 民族 指導者들은 文盲退治를 위해 積極的으로 한글普及運動에 나섰다.

言論社들도 이 運動에 同參했다. 1931年 동아일보가 農村啓蒙運動人 브나로드 運動 을 展開하여 大學生으로 組織된 啓蒙大家 地方으로 내려가 한글을 가르쳤다. 조선일보는 1929年 여름부터 1934年까지 6年間 "아는 것이 힘, 배워야 산다"라는 標語아래 文盲退治運動을 했다. [93] 朝鮮語學會度 全國巡廻 朝鮮語 講習會를 열었다. 文字普及運動 이 民族意識 鼓吹와 啓蒙運動으로 擴大되어가자 日帝는 1934年에 이 運動을 强制로 禁止시켰다. [91] 또한 1930年代 末부터 民族抹殺統治를 實施하며 韓國語 敎育을 廢止하고 우리말 使用도 彈壓하였다. [94]

解例本意 發見 [ 編輯 ]

訓民正音 解例本

世宗大王은 한글을 創製한후에 集賢殿 學者들에게 命하여 解說書人 『 訓民正音 解例本 (訓民正音 解例本)』을 發刊하도록 했다. 그러나 不幸하게도 '訓民正音 解例本'은 記錄에만 存在할 뿐 한 卷도 傳해지지 않았었는데, 1940年 安東에서 처음 發見되었다. [95] 이冊을 전형필 이 큰 기와집 10채 값에 該當하는 1萬원을 支拂하여 入手한 後 保管하였다. [96] 光復 後 전형필 은 解例本意 存在 事實을 學界에 알렸고 影印本을 製作·配布하여 冊의 內容을 公開하였다. [97]

解例本이 發見되기 前에는 한글 窓體 原理와 起源에 對하여 古代글字 模倣說, 苦戰(古篆) 起源說, 梵字(梵字) 起源說, 몽골文字 起源說, 甚至於는 窓살 模樣의 起源說까지 나올 程度로 學者들 사이에서 여러 學說들이 亂舞하며 獨創性이 否定當했다. [98] 그러나 이 冊의 出現으로 모두 一掃되고 調音器官 象形說이 弟子原理(制字原理)였음이 分明히 밝혀졌다. [98] 또한 한글의 優秀性, 獨創性을 올바로 알릴 수 있는 좋은 根據 資料가 되고 있다.

現代 [ 編輯 ]

한글學會의 主要活動 [ 編輯 ]

光復後 活動을 再開한 朝鮮語學會는 初.中等 敎科書 編纂(1945), 訓民正音 元本 英人 (1946), 世宗 中等 國語敎師 養成所 設置(1948) 하였다. 아울러 1949年 9月 25日 ‘한글學會’로 이름을 바꾸게 되었다. 以後 큰 辭典 編纂(1957), 한글 打字機 統一 글字板 發表(1962), 쉬운말 辭典(1967), 月刊誌 ‘한글새消息’ 創刊(1972), 우리말의 로마字 適期 發表(1984), 第1回 우리 말글 練修會(1985), 한국지명총람 編纂(1986), 文學한글 創刊(1987), 한힌샘 주시경 硏究/敎育한글 創刊(1988)等의 일을 했다. [99]

또한, 韓國 땅이름 큰辭典 編纂(1991), 우리말 큰辭典 編纂(1991), 第1回 外國人 韓國語 發表 大會(1999), 學會 發行 論文集 學術情報 製作(2000), 첫 番째 우리말글 지킴이 委囑(2000), 우리 土박이 말 辭典 編纂(2001), 첫 番째 아름다운 우리말 가게이름 選定(2001), 第1回 全國 한말글이름 가진 이 글짓기 大會(2004), 한글 무늬옷 입기 運動(2005), 한글날 큰잔치 組織委員會 結成(2006), 한글을 빛낸 자랑스러운 人物 4篇(한힌샘 주시경, 외솔 崔鉉培, 健在 정인승, 고루 이극로) 編纂(2008, 2009) 等의 일을 하였다. 1996年에는 非營利 學術團體로는 처음으로 누리집(홈페이지)을 만들어 누리그물(인터넷)을 통하여 갖가지 情報를 提供하고 情報 交換의 마당을 마련해 놓고 있으며,정기 刊行物 『한글』,『文學한글』, 『敎育한글』, 『한힌샘 硏究』, 『한글 새消息』 等을 누리집에서 提供하고 있다. [99]

한글 簡素化 波動 [ 編輯 ]

文化 遺産 指定 [ 編輯 ]

澗松美術館에서 保管中인 《 訓民正音 解例本 》, 卽 澗松本은 1962年에 國寶 70號로 指定되었으며 1997年에 유네스코 世界記錄遺産 으로 指定되었다. [100] [101] 한글의 옛 이름이자 解說書의 題目이기도한 訓民正音 은 解例本, 禮儀本, 諺解本 으로 區分된다. 이 中에 解例本만 單行本으로 發刊되었으며 禮儀本과 諺解本은 單行本이 아니고 《 世宗實錄 》과 《 月印釋譜 》에 실려있는 것을 말한다. 또한 解例本과 禮儀本은 漢文으로 쓰여져 있고 諺解本은 漢文과 함께 한글로 飜譯되어 있다.

解例本은 全權 33張 1冊의 木版本으로 冊의 規格은 가로 20cm, 세로 32.3cm이며 禮儀, 解例, 西門으로 構成 되어있다. 禮義 部分은 世宗이 直接 썼으며 4張 7面으로 面마다 7行에 每行 11字로 되어 있다. 解例 部分은 26張 51面 3行으로 面마다 8行에 每行 13者로 되어 있고 申叔舟 等 集賢殿(集賢殿) 學士가 執筆하였다. [100] 鄭麟趾가 代表하여 쓴 序文은 3張 6面에 한 字씩 낮추어서 每行 12者로 構成되어 있다.

世宗大王 문해상 [ 編輯 ]

유네스코(UNESCO)는 1946年부터 文盲 退治 運動을 展開해왔다. 또한 9月 8日을 '世界 文解의 날(International Literacy Day)'로 指定하여 每年 記念行事를 하며 文盲 退治의 重要性을 알리는데 앞장서고 있다. [102] 文解의 날이란, 文字를 읽고 쓰는 일의 重要性을 다시 생각해보게 하는 날로서, 人間다운 삶을 누리기 위해서는 最小限 읽고 쓸줄 알아야 하며, 이는 알권리와 表現의 自由를 保障받기 위한 必須的인 要素가 된다.

韓國政府는 文解力이 낮은 百姓들을 위해 쉽게 익히고 使用할 수 있도록 科學的인 文字를 만든 세종대왕의 한글 創製精神과 業績을 全 世界에 알림과 同時에 世界 文盲 退治에 이바지 하고자 '世宗大王 문해상' 制定을 유네스코에 提案하였다. [103] 이런 趣旨에 共感하여 賞을 制定한 유네스코는 1990年부터 文盲退治에 앞장선 個人이나 團體를 選定하여 '유네스코 世宗大王 문해상'을 每年 世界 文解의 날에 授與하고 있다. 受賞者에게 支給되는 賞金은 韓國政府가 全額 支援하고 있다. [103] [104] [105]

그밖의 일들 [ 編輯 ]

韓國에서는 한글專用法이 施行되어 漢字의 使用이 줄어들면서 1990年代 그 使用이 絶頂을 이루었다. [106] 以後 政府 次元에서의 英語 優待 政策으로 한글의 使用이 漸次 줄고 있다는 指摘이 있다. [107]

2009年 에는 文字가 없어 意思疏通에 困難을 겪었던 인도네시아 의 少數 民族인 찌아찌아族이 自身들의 言語 찌아찌아어 의 表記 文字로 示範으로 한글을 採擇, 導入하였다. 그러나 州 政府의 反對와 少數만 배우는 問題 等으로 인해서 이 方法은 使用되지 않고 있다. 그리고 2012年 솔로몬 諸島 에 있는 一部 州가 모어 表記 文字로 한글을 導入하였다. [108]

多樣한 創製學說 [ 編輯 ]

調音器官 模倣說 [ 編輯 ]

訓民正音 解例本에는 子音과 母音 各各의 創製 原理가 詳細히 說明되어 基本 子音 5字(ㄱ, ㄴ, ㅁ, ㅅ, ㅇ)는 發音 器官의 模樣을 抽象化하고, 基本 母音 3字(ㆍ, ㅡ, ㅣ)는 天地人 3齋를 象徵하여 創製되었고 다른 글字들이 劃을 덧붙이는 方式으로 만들어졌다고 밝히고 있다. 『 訓民正音 解例本 (訓民正音 解例本)』을 바탕으로 한글과 陰陽五行 의 關係를 記錄하였다.

가. 母音 陰陽 의 原理를 基本으로 만들어졌다.

  • 基本 母音'ㆍ, ㅡ, ㅣ'를 보면 'ㆍ'(아래아)는 量(陽)인 하늘(天)을 본떠 만들고, 'ㅡ'는 음(陰)인 땅(地)을 본떠 만들었으며, 'ㅣ'는 陰과 陽의 中間子인 人間(人)의 形象을 본떠 만들었다. 天地人 (天地人)은 하늘(·)과 땅(ㅡ), 사람(ㅣ)을 나타낸다.
  • 『訓民正音 解例本』에 따르면 'ㅏ, ㅑ, ㅗ, ㅛ'는 'ㆍ'(아래아) 系列의 글字이다.

'ㆍ'(아래아)의 屬性은 量이다. 量의 特性은 慰勞의 上昇, 바깥으로의 擴張이다. 따라서 點을 위, 바깥쪽에다 찍은 것.

  • 'ㅓ, ㅕ, ㅜ, ㅠ'는 그 反對로 'ㅡ' 系列의 글字이기 때문에 陰의 屬性을 따라, 下降, 收縮의 뜻으로 點을 안쪽, 아래로 찍은 것.

나. 子音 五行 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 『訓民正音 解例本』에선 各 方位와 發音 器官을 連結시키고, 該當 發音 器官에서 나는 소리 또한 防衛와 聯關시키고 있다. 防衛는 또 季節과 連結이 되므로, 結局 소리는 季節과 連結된다.

(소리=防衛=季節, 소리=季節) 季節은 봄, 여름, 늦여름, 가을, 겨울 順이므로, 소리 亦是 어금닛소리(ㄱ, 봄), 혓소리(ㄴ, 여름), 입술소리(ㅁ, 늦여름), 잇소리(ㅅ, 가을), 목소리(ㅇ, 겨울) 巡으로 配列한다.

  • 『訓民正音 解例本』에서 基本 子音을 ㄱ, ㄴ, ㅁ, ㅅ, ㅇ, ㄹ 巡으로 配列한 것은 五行 原理와 聯關이 있다.
子音과 五行의 關係 程里表
屬性 季節 防衛 陰性 音階
목(木, 나무) 춘(春, 봄) 桐(東, 東녘) 어금닛소리 ( , , ) 各(角)
禍(火, 불) 下(夏, 여름) 南, (南, 南녘) 혓소리 ( , , , ) 치(徵)
土(土, 흙) 季夏 (季夏, 늦여름) 中央(中, 無定) 입술소리 ( , , , ) 宮(宮)
金(金, 쇠) 秋(秋, 가을) 서(西, 西녘) 잇소리 ( , , , , ) 上(商)
수(水, 물) 桐(冬, 겨울) 北(北, 北녘) 목구멍소리 ( , ) 禹(羽)

파스파 文字 由來說 [ 編輯 ]

世宗實錄 》에 최만리 가 訓民正音이 “苦戰(古篆)을 본떴다(倣)”라고 말한 記錄이 있는데, [109] [110] 이 말이 模糊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解釋이 있다. 이 '苦戰'의 解釋에는 漢字의 篆字體 (篆字體)라는 說과 當時에 '蒙古電子(蒙古篆字)'로도 불렸던 파스파 文字 를 말하는 것이라는 說이 있다. 또한 ‘본떴다’에도 그 생김새만이 닮았을 뿐이라는 풀이와 만드는 데에 參考를 했다, 또는 모두 본떴다 等의 여러 가지 解釋이 있다.

파스파 文字와 한글의 比較

파스파 文字 由來說에 따르면 한글의 基本者는 ㄱㄴㅁㅅㅇ이 아닌 ㄱㄷㅂㅈㄹㅇ이며 調音 機關을 模倣한 것이 아니라 發音이 恰似한 파스파 文字의 子音들을 簡略化한 것이다. 破裂 및 破擦音인 ㄱㄷㅂㅈ를 減畵하여 비음 및 摩擦音人 ㆁㄴㅁㅅ가 生成되었으며 街劃하여 有氣音人 ㅋㅌㅍㅊ이 生成되었다는 理論이다. 이 假說의 長點 中 몇 가지는 다음과 같다.

  • ㄱㄴㅁㅅ은 破裂音(ㄱ), 비음(ㄴㅁ), 摩擦音(ㅅ)으로 되어있어 非一貫的이나 ㄱㄷㅂㅈ은 모두 破裂音(ㄱㄷㅂ) 乃至는 破擦音(ㅈ)이라서 音韻論的으로 一貫的이다. ㄱㄴㅁㅅㅇ이 基本者라면 ㄱ이 ㄴㅁ처럼 鼻音을 나타냈었어야 자연스럽다.
  • 解例本은 ㄹ이 혀의 모습을 본떴다고 說明하나 ㄹ과 같은 舌側音이나 설탄音을 發音할 때 혀 模樣이 ㄹ처럼 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파스파 文字의 /l/에 該當하는 子音과 그 形態가 類似하다.
  • 또한 軟口蓋 鼻音을 나타내는 ㆁ의 模樣도 調音器官 模倣說로는 說明할 수 없는데 파스파 文字 由來說에 따르면 鼻音을 나타내는 ㄴㅁ은 破裂音을 나타내는 ㄷㅂ의 上段을 減畵한 模樣인데 ㄱ을 마찬가지로 減畵하면 ㅣ模樣이 되며 이 아래에 ㅇ을 덧붙였다고 하면 ㆁ의 模樣이 說明 可能하다.

기타 學說 [ 編輯 ]

1940年 訓民正音 解例本 이 發見되기 以前에는 訓民正音의 創製 原理를 說明한 文獻이 없어 그 由來로 여러 理論이 提起되었다. 그 以前에 提起되었던 主要 學說은 다음과 같다.

  • 發音 器官 象形說: 發音 機關을 象形했다는 說. 신경준 , 홍양호 , 崔鉉培
  • 電子 起源說: 漢文 碑石 等에 쓰이는 電子體에서 由來되었다는 說. 황윤석(黃胤錫), 이능화
  • 梵字(梵字) 起源說: 佛經과 함께 古代 印度 文字가 傳해져 그것에서 由來했다는 說. [111] 成俔 , 이수광
  • 古代 文字 傳來說: 訓民正音 移轉 民間에서 傳해지던 古代 文字로부터 由來했다는 說.
  • 窓門 象形說: 韓屋의 窓살 模樣에서 由來했다는 說. [112] 에카르트(P. A. Eckardt)
  • 署長(西藏)글字·五行(五行)理論. [113]

救助 [ 編輯 ]

한글의 構造

한글은 낱소리 文字 에 屬하며, 낱자 하나는 낱소리 하나를 나타낸다. 낱소리는 닿소리 (子音)와 홀소리 (母音)로 이루어진다.

소리마디 는 첫소리(初聲), 가운뎃소리(中性), 끝소리(鐘城)의 낱소리 세 벌로 이루어지는데, 첫소리와 끝소리에는 닿소리 를 쓰고 가운뎃소리에는 홀소리 를 쓴다. 한글은 낱자를 하나씩 풀어쓰지 않고 하나의 글字 마디로 모아쓰는 特徵을 가지고 있다.

姿貌 낱자 [ 編輯 ]

처음 한글 낱자는 닿소리 17字와 홀소리 11字로 總 28가지였다. 오늘날 한글 낱자에 쓰이지 않는 없어진 글字를 消失子(消失字)라 하는데, 닿소리 ㅿ(半시옷), ㆁ(옛이응), ㆆ(여린히읗)과 홀소리 ㆍ(아래아)의 네 글字이다. 이로써 현대 한글은 모두 24者로서 닿소리 14字와 홀소리 10字로 되어 있다.

各 字母의 소릿값을 살펴보면 첫소리 아·설·순·치·후(牙舌脣齒喉)와 反舌·반치(反舌半齒)의 7音으로 區別하였고 母音은 따로 區別하지 않았다. 이러한 7音과 各 字母의 獨特한 配列順序는 中國 韻書(韻書)를 그대로 模倣한 것이라고 여겨진다. 그리고 實際로 쓸 적에는 各 낱자를 독립시켜 소리 나는 次例대로 적지 않고 반드시 닿소리와 홀소리를 어울려 쓰기로 하였으니 곧 <· ㅡ ㅗ ㅜ ㅛ ㅠ >는 子音 아래에 쓰고, <ㅏ ㅓ ㅑ ㅕ>는 子音 오른쪽에 붙여 쓰기로 하였다. 卽 音節文字(音節文字)로 하되, 그 模樣이 네모꼴이 되도록 하였으니 이는 漢字의 꼴에 影響을 받았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닿소리
기역 니은 디귿 리을 米飮 비읍 시옷 이응 지읒 치읓 키읔 티읕 피읖 히읗
홀소리

이 스물네 가지를 바탕으로 하는데, 모두 홑소리(單音)이고, 홑소리로 나타낼 수 없는 겹소리(福音)는 두세 홑소리를 어울러서 적되, 그 이름과 順序는 다음과 같다.

겹닿소리
雙기역 雙디귿 雙비읍 雙시옷 雙지읒
겹홀소리
消失子 닿소리
半시옷 옛이응 여린히읗
儒城 治經 摩擦音 軟口蓋 비음 城門 破裂音

半시옷 알파벳 z 에 該當하는 音價를 가진 것으로 推定되며, 여린히읗 은 1을 强하게 發音할 때 목구멍이 막히며 나는 城門 破裂音 으로 推測된다.

현대 한글에서는 끝소리가 없으면 받침을 쓰지 않고 끝소리가 있을 때에만 홑받침 또는 겹받침을 쓰는데, 홑받침에는 모든 닿소리가 쓰이며, 겹받침에는 홑홀소리 아래에만 놓이는 겹닿소리 ㄲ(雙기역)과 ㅆ(雙시옷)과 따로 이름이 없지만 모든 홀소리 아래에 놓일 수 있는 겹받침으로만 쓰이는 겹닿소리가 있다. 모든 받침의 소릿값은 끝소리 規則에 따라 8갈래로 모인다. [114]

겹받침
받침의 소릿값

事前에 올릴 때에는 첫소리 > 가운뎃소리 > 끝소리의 順으로 整列하되, 그 整列 順序는 다음과 같다.

整列 順序
첫소리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가운뎃소리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
끝소리 (없음) ㄱ ㄲ ㄳ ㄴ ㄵ ㄶ ㄷ ㄹ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ㅁ ㅂ ㅄ ㅅ ㅆ ㅇ ㅈ ㅊ ㅋ ㅌ ㅍ ㅎ

모아쓰기 [ 編輯 ]

한글의 모든 낱자는 한데 모아쓰도록 하고 있으며, 닿소리를 가장 먼저 쓰고 그 오른쪽이나 아래에 홀소리를 적으며, 모든 받침은 닿소리와 홀소리 밑에 놓인다. 따라서 글字 마디로 모아쓸 때는 다음과 같은 틀에 맞추어 쓴다.

  • 中性이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ㅣ日 때는 中性을 初聲의 오른쪽에 붙여 쓴다.
초성 中性
초성 中性
宗姓
  • 中性이 ㅗ, ㅛ, ㅜ, ㅠ, ㅡ日 때는 中性을 아래쪽에 붙여 쓴다. 終聲이 있으면 그 아래 붙여 쓴다.
초성
中性
초성
中性
宗姓
  • 中性이 ㅘ, ㅙ, ㅚ, ㅝ, ㅞ, ㅟ, ㅢ와 같이 아래쪽에 붙이는 母音과 오른쪽에 붙이는 母音의 複合일 때는 다음과 같이 아래쪽에 먼저, 그 다음 오른쪽에 붙여 쓴다. 終聲은 마찬가지로 아래쪽에 붙여 쓴다.
초성 中性
中性
초성 中性
中性
宗姓

表記 可能한 글字 數 [ 編輯 ]

현대 한글은 낱자를 엮어 11,172(첫소리 19 × 가운뎃소리 21 × (끝소리 27 + 끝소리 없음 1))글字 마디를 쓸 수 있다. 11,172字 中 399자는 받침이 없는 글字이며 10,773자는 받침이 있는 글字이다. 使用 頻度는 KS X 1001 完成型 한글 코드에 選別된 2,350글字가 上位 99.9%로 알려져 있다. [ 出處 必要 ]

소리 나는 音節 個數 [ 編輯 ]

語文 規定에 따라 現代 韓國語 標準語에서 實際 使用하는 音節은 이보다 적다. 韓國語의 소리는 첫소리+가운뎃소리(+끝소리)로 이루어지는데, 標準語에서 첫소리에는 19가지 닿소리가 모두 쓰이되, 첫소리에 놓인 ㅇ은 소리 나지 않는다. 끝소리는 7終聲法에 따라 7갈래로 모이며 끝소리가 없는 것까지 더하여 모두 8갈래이므로 現代 韓國語의 發音은 첫소리 19 × 가운뎃소리 21 × 끝소리 8 = 3,192가지 소리가 된다.

그런데 標準 發音法을 따르면 口蓋音 ㅈ, ㅉ, ㅊ 뒤의 이中 母音 ㅑ, ㅒ, ㅕ, ㅖ, ㅛ, ㅠ는 單母音 ㅏ, ㅐ, ㅓ, ㅔ, ㅗ, ㅜ로 소리 나므로 첫소리 3 × 가운뎃소리 6 × 끝소리 8 = 144소리가 빠지고, 아울러 소리 나는 첫소리 (ㅇ이 아닌 첫소리 뒤에 오는)를 얹은 가운뎃소리 (ㅢ)는 ㄴ을 除外하면(ㄴ은 口蓋音化에 따른 다른 音素로 認定하고 있다.) [ㅣ]로 소리 나므로(한글 맞춤法 第9項 및 標準 發音法 第5項 端緖 3) 첫소리 17 × 가운뎃소리 1 × 끝소리 8 = 136 소리가 다시 빠진다. 따라서 現在 韓國語 標準語에서 實際 使用하는 소리마디는 3192 ? 144 ? 136 = 2,912가지가 된다.

한글 맞춤法 [ 編輯 ]

韓國語 로마字 表記法 [ 編輯 ]

한글이 國際的으로 通用되는 文字가 아니기 때문에 때로는 로마字로 表記해야 할 必要性이 있다. 한글 表記를 읽을 수 없는 外國人이나 그들을 對象으로 韓國語를 알려야 하는 境遇, 韓國語를 로마字로 表記해 意思疏通하는 것이 必要하다. 特히 指名, 人名, 相互名 等과 같은 固有 名詞를 로마字로 表記할 때 로마字 表記 規定에 따르면, 表記가 統一되어 意思疏通이 원활해지고, 情報 檢索 等이 便利해진다. [115]

韓國語 로마字 表記法은 1832年 獨逸人 지볼트(Siebold, P.F.), 1895年 美國人 호머 헐버트 를 비롯하여 [116] 西洋의 東洋學者나 宣敎師·外交官들이 만든 方案들이 있고, 정인섭, 崔鉉培, 박창해 等의 國內 學者들이 만든 方案도 여럿이 있다. 또한 1940年 朝鮮語學會 의 眼科 1948, 1959, 1984年에 나온 文敎部의 方案 等이 있다. 이들 여러 方法 中에 가장 널리 알려지고, 또 흔히 쓰이는 것은 매큔·라이샤워體系(The McCune-Reischauer System for the Romanization of Korean)와 마틴(Martin)이 提案한 예일體系(The Yale System), 2014年에 나온 文化體育觀光部 안이다.

로마字表記法이 統一되지 않고 多少 無秩序하게 使用되어 왔던 것은 韓國語의 特性上 로마字로 表記하는 데 있어서 여러 問題點이 있었는데, 그 解決 方案이 各其 만족스럽지 않았기 때문이다. 2000年에 인터넷時代에 맞지 않는 半달標와 어깨點을 없애고 韓國人과 外國人 모두에게 便利한 方向으로 改正한 文化관광부安易 告示되었는데, [117] 이것을 一部 改正하여 2014年에 文化體育觀光部가 「國語의 로마字 表記法」을 告示되어 [118] 現在까지 施行되고 있다.

한글의 優秀性 [ 編輯 ]

‘科學性’과 ‘體系性’에 있다. 글字를 發音 器官의 模樣을 본떠 만들었다는 點에서 한글은 科學的이다. ‘ㅁ’은 입술의 模樣, ‘ㅇ’은 목구멍 模樣, ‘ㅅ’은 이빨 模樣에서 본뜨고, ‘ㄱ’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模樣, ‘ㄴ’은 혀가 윗잇몸에 닿는 模樣을 본떠 만들었다. 한글이 體系的이라는 것은 字母를 따로따로 만들지 않고 基本 글字를 먼저 만들고 나머지는 그것을 바탕으로 만들었다는 點이다. 卽 基本自認 ㄱ에 劃을 더해 ㅋ을 만드는 式이다. 母音의 境遇도 ‘하늘, 땅, 사람’을 形象化한 ‘ㆍ, ㅡ, ㅣ’를 基本 글字로 하고, 나머지는 基本者에 劃을 하나씩 더하거나 組合해서 만들었다.

用途廢棄된 4글字 [ 編輯 ]

  • (여린히읗, 된이응) : 하고 의 中間 글字로, 이것도 ㅎ으로 簡素化 되면서 使用할 必要가 없게 되었다.
  • (옛이응, 꼭지이응) : 아음으로, '앙'이라는 소리를 낼 때 본 글字의 종성이응, 卽 有聲音 이응이 옛이응이다. 只今은 使用할 때 하고 混同하기 쉬으므로 使用하지 않게 되었다. 例를 들어 '솅種(世宗)' 할 때 솅(세)의 ㅇ은 그냥 '李'이고, 鐘 할때는 ㆁ, 卽 옛이응이 된다.
  • (半시옷) : ㅆ, ㅉ의 中間 글字로, 하고 의 中間 發音이 난다. 只今은 이 글字가 漸次 ㅅ하고 ㅈ 소리로 漸次 簡素化 되면서 使用할 必要가 없게 되었다. 알파벳의 /z/ 소리를 띈다. 半齒音 으로 分類하기도 한다.
  • (아래아) : 본 글字는 初聲의 밑에 쓰는 ㅏ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아)하고 (으)의 中間 發音이다. 亦是 ㅏ로 簡素化 되면서 使用할 必要가 없게 되었다.

유니코드 [ 編輯 ]

유니코드 에서 한글은 다음 領域들에 配當돼 있다.

  • 한글 글字 마디(Hangul Syllables): U+AC00 ~ U+D7AF
  • 한글 字母(Hangul Jamo): U+1100 ~ U+11FF
  • 한글 字母 擴張-A(Hangul Jamo Extended-A): U+A960 ~ U+A97F
  • 한글 字母 擴張-B(Hangul Jamo Extended-B): U+D7B0 ~ U+D7FF
  • 한글 互換 字母(Hangul Compatibility Jamo): U+3130 ~ U+318F
  • 半角 한글 字母: U+FFA0 ~ U+FFDC

現在 유니코드에 包含돼 있는 옛한글 字母의 總 個數는 初聲 124個, 中性 94個, 終聲 137個와 채움 文字 2個(初聲, 中性)이다. 傍點을 除外하고 總 組合 可能한 글字 마디 個數를 求한다면 다음과 같다.

  • 組合 可能한 한글: 125×95×138 = 1,638,750個
  • 完成된 한글: 124×94×138 = 1,608,528個
  • 組合 可能한 非標準 한글: 總 16,989個
    • 채움 文字로만 構成된 한글: 1個
    • 初聲과 終聲으로만 이루어진 非標準 한글: 124×137 = 16,988個
  • ∴ 標準 한글 總 個數(組合 可能한 한글 코드 ? 非標準 한글): 1,639,011個

傍點 2個 또한 유니코드에 U+302E (?)와 U+302F (?)로 登錄돼 있다.

다른 言語에서의 한글 使用 [ 編輯 ]

한글은 2009年 에 처음으로 인도네시아 의 少數 民族인 찌아찌아族 의 言語인 찌아찌아어 를 表記하는 데 使用되었다.

이밖에도 韓國에서는 한글을 表記 文字로 普及하기 위하여 努力하고 있으며 2012年 솔로몬 諸島 의 土着語를 한글로 表記하여 敎育하는 活動이 始作됐다. [119] 2012年 10月부터 施行된 것은 2個 言語이며 結果에 따라 솔로몬 諸島 全域으로 擴大할 豫定이다. [120]

間或 英語 發音을 正確하게 表記하기 위해 옛한글 等을 復活시킨 表記法을 硏究하는 일도 있으나 이 亦是 個人 硏究者에 따른 것이다. 그리고 韓國人이 아닌 사람이 만든 人工語 618-Vuro 人工 文字 井卜文(Jingbu Script) 等에서 一部 한글 또는 한글을 動機로 한 文字를 個人 水準에서 使用한 例를 볼 수 있다.

誤解와 事實 [ 編輯 ]

  • 한글은 漢字의 部數로 이루어 지거나 그 어떠한 나라의 글字에서도 본따온것이 아닌, 우리 民族의 固有 글字이다.
  • 유네스코 世界記錄遺産 에 登載된 것은 "한글"李 아닌 冊 《 訓民正音 解例本 》이다. [42] [121]
  • 유네스코 世界記錄遺産은 記錄物이 담고 있는 內容이 아니라 記錄物만을 登錄 對象으로 한다.
  • 한글날이란 한글 創製日(陰曆 12月 30日)을 記念하는 날이 아니라 한글 頒布일을 記念하는 날이다.
  • 世宗大王이 創製한 것은 韓國語(말)가 아니라 우리말을 表記하는 文字(글字)를 創製했다.
  • 한글은 言語 의 이름이 아니라 文字 의 이름이다.
  • 創製 當時의 이름인 '訓民正音'과 그 略稱인 '正音'도 本來 글字의 이름이었다.
  • 實際의 한글은 모든 言語의 發音을 表記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또한 現在의 한글은 創製 當時의 訓民正音보다 表現할 수 있는 發音 數가 적다.
  • 모든 소리를 表現할 수 있다는 것은 元來 言語學 命題가 아니고 創製 當時에 모든 소리는 基本 5音의 調和로 이루어진다는 思想을 背景으로 한 哲學的 表現이다.
  • 한글 낱자는 모두 소릿값이 確定되어 있고 實際 한글 쓰임에서는 모아쓰기의 規則도 定해져 있으므로 한글로 表現되는 소리의 數字는 本來 有限하며, 한글의 基本은 韓國語에 맞추어져 있다.
  • 現在 한글은 韓國語 發音에만 使用하고 있으나 元來의 訓民正音에서는 모아쓰기가 좀 더 다양하며, 아울러 《東國正韻》에 따르면 實際의 韓國語 發音뿐만 아니라 理論的 漢字音度 訓民正音으로써 表現하고 있다.
  • 찌아찌아族의 찌아찌아어 의 表記에는 使用되나 公式은 아니다.

한글 낱자 目錄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한글” (英語). 2022年 4月 3日.  
  2. [네이버 英語辭典] Hangeul
  3. 民衆書林編輯局 <엣센스 英韓辭典> 民衆書林 1971年 p1132
  4. [네이버 知識百科] 朝鮮語硏究會 [朝鮮語硏究會] (두산百科) ...國語硏究學會는 1911年 9月 3日 '배달말·글모음'으로 이름을 바꾸었고, 1913年 3月 23日 '한글모'로 改稱하였다가..(중략)..1927년 3月부터는 機關紙 《한글》을 刊行하여 한글의 普及과 宣傳에 힘썼으나..(이하생략)
  5. [韓國民俗 大百科事典] 한글날 (文化體育觀光部, 國立民俗博物館) ...한글이라는 이름은 諺文, 半切, 가갸글 等으로 불러 오던 訓民正音을 1910年代에 周時經(周時經)을 中心으로 한 國語 硏究家들이 으뜸가는 글, 하나 밖에 없는 글이라는 뜻으로 지어서 쓰게 된 것이다. 그러나 그때까지만 해도 그 쓰임이 普遍化되지 않았다.
  6. [네이버 知識百科] 한글 價値의 再發見, 주시경 (우리말의 수수께끼, 2002. 4. 20., 박영준, 시정곤, 정주리, 최경봉) ...'한글'이라는 名稱은 周時經에게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이에 對한 明確한 記錄은 없으나.....(중략)...'한글'은 '韓(韓) 나라의 글', '큰글', '世上에서 첫째가는 글' 等으로 解釋될 수 있다.
  7. 정재환 <나라말이 사라진 날> 생각庭園 2020 p55....崔鉉培는 '한글'이란 말을 周時經이 지었다고 했다.
  8. [네이버 知識百科] 訓民正音 - 世界가 認定하는 우리글 (醬콩 先生님과 함께 묻고 答하는 世界文化遺産 이야기(韓國篇), 2011. 3. 15., 張龍峻(醬콩), 조성덕, 양희석, 株狀態) ....한글學者 周時經 先生은 1913年 어린이 雜誌 〈아이들보이〉에 글을 쓰면서 ‘한글’이라는 이름을 最初로 使用하여 ≪訓民正音≫의 現在 이름인 ‘한글’을 탄생시켰어요.
  9. 이이화 <韓國史 이야기 9> 한길사 2009.4.10 p261
  10. [네이버 知識百科] 한글 - 世上에서 가장 神祕한 文字 (偉大한 文化遺産, 최준식) ....‘한글’이라는 이름은 1910年代 初에 周時經 先生을 비롯한 한글學者들이 쓰기 始作한 것입니다. 여기서 ‘韓’이란 크다는 것을 뜻하니, 한글은 ‘큰 글’을 말한다고 하겠습니다.
  11. 中華圈 에서 한글을 指稱하는 單語이다.
  12. 코리아 스토리 企劃委員會 <한글, 自然의 모든 소리를 담는 글字> 許願미디어 2006 p112
  13. 김태민(2020),「한글! 온 누리에 나르샤」,『한글 새消息』 569號, 한글 學會
  14. [네이버 知識百科] 訓民正音은 모든 百姓이 使用하였을까? (우리말의 수수께끼, 2002. 4. 20., 박영준, 시정곤, 정주리, 최경봉)
  15. 신병주 <朝鮮을 움직인 事件들> 새文士 2009年 p102
  16. [네이버 知識百科] 訓民正音 [訓民正音] - 百姓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 (韓國史 槪念事前, 2010. 6. 4., 공미라, 김수옥, 김애경, 김지수, 盧貞姬) ...연산군 10年인 1504年에 燕山君의 잘못을 指摘하는 한글로 쓰인 글이 發見되었어. 燕山君은 이 글을 보고 매우 火가 나서 글을 쓴 사람을 告發하면 賞金과 벼슬을 주겠다고 約束했지. 漢陽의 百姓들 中 한글을 아는 사람을 불러 글씨體를 比較할 程度였어. 하지만 燕山君은 글을 쓴 사람을 찾을 수가 없었지. 그러자 燕山君은 “앞으로는 諺文을 가르치지도 배우지도 말고, 배운 者는 쓰지 못하게 하라.”는 稀罕한 命令을 내렸어.
  17. [世宗實錄 102卷] 世宗 25年 12月 30日.....是月, 上親制諺文二十八字, 其字倣古篆, 分爲初中終聲, 合之然後乃成字, 凡于文字及本國俚語, 皆可得而書, 字雖簡要, 轉換無窮, 是謂訓民正音
  18. “訓民正音은 百姓(百姓) 가르치시는 鄭(正)韓 소리라”(현대어 表記로 옮김), 〈世宗御製訓民正音〉, 《 月印釋譜 》. 1459年 .
  19. [世宗實錄 117卷] 世宗 29年 9月 29日.....是月, 《東國正韻》成, 凡六卷, 命刊行
  20. [네이버 知識百科] 동국 정운 [東國正韻] (韓國 字典의 歷史, 2012. 11. 19., 박형익) ...李 冊은 題目 그대로 우리나라의 바른 音을 收錄한 韻서로 中國의 「紅무 정운(洪武正韻)」과 對比된다. 「동국 정운」은 世宗 때에 혼란스러웠던 우리 漢字音을 統一하여 標準音을 定하려는 意圖로 編纂되었다.
  21. 김슬옹 敎授 [우리文化新聞] 최만리 外 6人 諺文 盤浦 反對 上訴의 眞實.....李 上疏文은 當時 集賢殿 副提學이었던 최만리 공 外 6人(신석조, 金汶, 정창손, 하위지, 송처검, 朝槿)의 聯合 上疏임을 分明히 할 必要가 있다. 上疏文은 이 해의 年度에 따라 甲子上疏라 부르기로 한다.
  22. [世宗實錄] 世宗 26年, 1444年 2月 20日
  23. [네이버 知識百科] 정창손 [鄭昌孫] (두산百科) ....1444年 應敎(應敎) 때 한글制定을 反對하여 罷職, 投獄되었다가 이듬해 풀려나와 應敎에 復職, 1446年 집의(執義) 때 王室의 佛敎崇尙을 反對하여 再次 罷職되었다.
  24. [네이버 知識百科] 최만리 [崔萬理] - 한글 創製에 反對 上疏를 올린 集賢殿의 首長 (人物韓國史, 金範, 장선환) ...世宗은 최만리를 비롯해 上疏에 參與한 사람들을 義禁府에 下獄시켰다가 다음날 釋放하라고 命令했다. 하루 만에 풀려났지만 崔萬理의 公式的 經歷은 이것으로 마감되었다. 그는 다시 官職에 나아가지 않았고 이듬해(世宗 27年. 1445) 10月 23日에 世上을 떠났다.
  25. 《世宗實錄》 103卷, 世宗 26年(1444) 2月 21日
  26. [네이버 知識百科] 三綱行實圖 [三綱行實圖] (韓國民族文化大百科, 韓國學中央硏究院) .....1428年 晋州(晉州)에 사는 金化(金禾)가 아버지를 殺害한 事件에 對하여 綱常罪(綱常罪:사람이 지켜야 할 道理에 어긋난 罪)로 嚴罰하자는 主張이 論議되었을 때...(省略)
  27. [世宗實錄] 世宗 26年, 1444年 2月 20日 ....정창손(鄭昌孫)은 말하기를, ‘三綱行實(三綱行實)을 頒布한 後에 忠臣·孝子·烈女의 무리가 나옴을 볼 수 없는 것은, 사람이 行하고 行하지 않는 것이 사람의 資質(資質) 女下(如何)에 있기 때문입니다. 어찌 꼭 諺文으로 飜譯한 後에야 사람이 모두 본받을 것입니까.’..(이히생략)
  28. 김슬옹 敎授 [우리文化新聞] 世宗은 언제부터 訓民正音 創製를 苦悶했을까? .....冊으로 成人의 道를 깨우치고 自身들의 正體性을 지켜나가는 士大夫 學者로서는 앞뒤가 안 맞는 말이었다. 그래서 世宗은 “이 따위 말이 어찌 선비의 理致를 아는 말이겠느냐. 아무짝에도 쓸 데 없는 庸劣한 선비이다.”라고 조금 過激해 보이는 말로 꾸짖었다. 웬만하면 罰을 잘 안 주는 世宗의 政治 스타일로 볼 때 크게 火를 냈음이 분명하다.
  29. 博文局 <韓國史에 對한 거의 모든 知識, 朝鮮의 王 이야기(上)> 소라週 2015年 p73
  30. 김슬옹 敎授 [우리文化新聞] 한글 28問題로 나는 한글博士
  31. 허웅 <한글과 民族文化>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9年 p63
  32. [朝鮮王朝實錄] 世宗實錄 113卷, 世宗 28年, 1446年 9月 29日 ....是月, 訓民正音成
  33. [世宗實錄] 世宗 26年, 1444年 2月 16日
  34. 김슬옹 敎授 [우리文化新聞] 최만리 外 6人 諺文 盤浦 反對 上訴의 眞實
  35. [世宗實錄 114卷] 世宗 28年 12月 26日....李朝에 電池(傳旨)하기를, "今後로는 理科(吏科)와 移轉(吏典)의 取材(取才) 때에는 《訓民正音(訓民正音)》도 아울러 試驗해 뽑게 하되, 비록 義理(義理)는 통하지 못하더라도 능히 合資(合字)하는 사람을 뽑게 하라." 하였다.
  36. [世宗實錄 116卷] 世宗 29年 4月 20日....다른 것은 없으니, 이제부터는 咸吉道 子弟로서 理科 試驗에 凝視하는 者는 다른 道의 例에 따라 6齋(六才)를 試驗하되 點數를 갑절로 주도록 하고, 다음 式年(式年)부터 始作하되, 먼저 《 訓民正音(訓民正音)》을 試驗하여 入格한 者에게만 다른 試驗을 보게 할 것이며, 各 官衙의 理科 試驗에도 모두 《訓民正音》을 試驗하도록 하라." 正統(正統) 9年 1444 世宗 26年. 하였다.
  37. 김슬옹 敎授 [우리文化新聞] 한글 28問題로 나는 한글博士 (2015.01.08)
  38. [世宗實錄 119卷] 世宗 30年 3月 28日....상주사(尙州使) 金九(金鉤)를 驛馬로 부르다. 區(鉤)는 상주사(尙州使)가 된 지 半年도 못되었는데, 集賢殿(集賢殿)에서 御命을 받들어 諺文(諺文)으로 《사서(四書)》를 飜譯하게 하였다. 直提學 金汶(金汶)이 이를 맡아 했었으나, 門(汶)李 죽었으므로, 集賢殿에서 舊(鉤)를 薦擧하기에 特命으로 부른 것이며, 곧 判宗簿寺事(判宗簿寺事)를 除授하였다.
  39. 朴榮圭 <한卷으로 읽는 朝鮮王朝實錄> 熊進知識하우스 1996年 p110
  40. '라랴러려' 粉靑沙器..."16世紀 地方 下層民도 한글 使用" .YTN.2011-09-08.
  41. [中宗實錄 92卷] 中宗 34年 11月 22日
  42. 김슬옹 敎授 [우리文化新聞] 한글 28問題로 나는 한글博士 (2015.01.08)
  43. 안영환 <우리가 몰랐던 開放의 歷史> 다솜커뮤니케이션 2010年 p233
  44. [네이버 知識百科] 名 [明] (두산百科 )....永樂帝 以後 名은 退潮의 幾微를 보이기 始作했으며 政治的으로는 宦官이 다시 得勢하여 皇帝는 政事를 돌보지 못했고 奢侈와 享樂에 빠졌다...(중략)...관리는 漸次 腐敗하고 土地를 잃은 流民이 續出하여 明나라의 命運이 기울기 始作하면서 全國 各地에서 民亂이 일어나기 始作하였다. 對外的으로는 몽골族과 倭寇의 侵入으로 混亂을 겪었으며 後期에는 滿洲族이 세운 後金(後金 : 以後 淸나라가 됨)이 明나라를 壓迫하였다.
  45. 강정만 <明나라 歷代皇帝評傳> 走流性出版社 2017年 p165
  46. [네이버 知識百科] 정통제 [正統帝] (두산百科) ....1449年 東西 몽골統一에 成功한 오이라트(Oir?t)族의 族長 에센[也先]李 쳐들어옴에 따라, 往診의 勸告에 따라 親히 이를 맞아 싸웠으나 토목보(土木堡) 싸움에서 大敗하여 捕虜가 되었으며, 이 事件을 두고 土木의 變異라고 부르게 되었다. 이듬해에 釋放되었으나 이미 동생 경태제(景泰帝)가 卽位하여 있었으므로, 太上皇帝로서 南宮(南宮)에 幽閉되었다.
  47. [네이버 知識百科] 世宗大王은 28者에 어떤 이름들을 붙였을까? (우리말의 수수께끼, 2002. 4. 20., 박영준, 시정곤, 정주리, 최경봉)
  48. [네이버 知識百科] 새로운 始作, 訓蒙字會 (우리말의 수수께끼, 2002. 4. 20., 박영준, 시정곤, 정주리, 최경봉)
  49. [네이버 知識百科] 訓蒙字會 [訓蒙字會] (韓國民族文化大百科, 韓國學中央硏究院)
  50. [北녘말] 기윽 디읃 시읏 / 김태훈 : 칼럼 : 社說.칼럼 : 뉴스 : 한겨레
  51.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民族文化 大百科事典> 한글 ....‘訓民正音’을 줄여 ‘正音’이라고도 하였는데, 이 이름은 訓民正音 解例의 끝에 있는 鄭麟趾의 글에 이미 나타나 있다. ‘諺文(諺文)’이라는 이름은 最近까지 쓰였는데, 이것은 그 由來가 오래된 말이다. 元來 ‘언’이란 ‘우리말’ 또는 ‘正音’을 가리키는 말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52. [네이버 知識百科] 訓民正音 - 世界가 認定하는 우리글 (醬콩 先生님과 함께 묻고 答하는 世界文化遺産 이야기(韓國篇), 2011. 3. 15., 張龍峻(醬콩), 조성덕, 양희석, 株狀態) .....그들은 ≪訓民正音≫을 常것들이나 쓰는 글이라 하여 言文 또는 蝘鼠라고 했고, 兒女子들이 主로 쓰는 글이라 하여 암클, 半토막 글이라 하여 半切, 아이들이나 쓰는 글이라 하여 아햇글이라고 卑下했지요. ≪訓民正音≫은 朝鮮 最高의 名君主 世宗 大王이 만든 글字지만, 朝鮮 時代 내내 知識人들에게 受侮를 當했어요.
  53. [네이버 知識百科] 訓民正音은 모든 百姓이 使用했는가 - 訓民正音과 '어린' 百姓 (우리말의 수수께끼, 2002. 4. 20., 박영준, 시정곤, 정주리, 최경봉) .....漢文의 名稱을 '眞짜글[陳書(眞書)]'이라고 부르는 것은 그들의 身分을 드러내는 데 걸맞았다. 그들은 남부럽지 않은 水準 높은 文字 生活을 누리고 있었다. 그들에게 假짜글에 지나지 않는 새로운 文字는 全혀 必要치 않았던 것이다.
  54. [네이버 知識百科] 한글 (韓國民族文化大百科, 韓國學中央硏究院)
  55. 권광욱 <漢字도 우리글> 해돋이 2008年, p179
  56. [네이버 國語辭典] 중글
  57. 김슬옹 敎授 [우리文化新聞] 한글 28問題로 나는 한글博士 (2015.1.8) ....朝鮮時代 兩班들이 한글 自體를 反對하지는 않았다. 1446年 正式 頒布 以後 單 한 件의 反對 上訴도 남아 있지 않다.
  58. 코리아 스토리 企劃委員會 <한글, 自然의 모든 소리를 담는 글字> 許願미디어 2006 p110
  59. 김슬옹 敎授 [우리文化新聞] 丁若鏞이 한글을 쓰지 않은 까닭은? (2016.10.30)
  60. 김동진 <헐버트의 꿈, 朝鮮은 피어나리> 참좋은친구 2019年 p74
  61. 김동진 <헐버트의 꿈, 朝鮮은 피어나리> 참좋은친구 2019年 p89
  62. 공병설 記者 [ 聯合뉴스 2010-10-03 ] 115年 前 한글 로마字表記法 發表한 外國人 ...헐버트 博士는 그 序文에서 "朝鮮 諺文이 中國 글字에 비하여 크게 要緊하건만 사람들이 要緊한 줄도 알지 아니하고 업신여기니 어찌 아깝지 아니하리오"라고 썼다.
  63. 유재규 記者 [ SBS 뉴스, 2010.10.5 ] 한글 사랑한 美國人…'한글學者' 헐버트 再照明 .....序文에서는 한글이라는 훌륭한 글字를 두고도 漢字만 重視하던 當時 世態를 아쉬워하고 있습니다. 1908年까지 모두 15卷의 한글 敎科書를 펴냈습니다.
  64. 燕山君日記 54卷, 演算 10年 7月 19日
  65. 함규진 <韓國人의 運命을 바꾼 歷史的 選擇, 108가지 決定> 페이퍼로드 2008年 p204
  66. 신병주 <朝鮮을 움직인 事件들> 새文士 2009年 p102
  67. [燕山君日記 54卷] 演算 10年 7月 20日...且今後諺文勿敎勿學, 已學者亦令不得行用。 凡知諺文者, 令漢城五部, 摘告。 其知而不告者, 幷隣人罪之。 昨日捕罪人節目, 城內則已通諭, 城外及外方亦諭之
  68. 朴榮圭 <한卷으로 읽는 朝鮮王朝實錄> 熊進知識하우스 2004年 初版175刷 p218
  69. [네이버 知識百科] 基훼第서율 [棄毁制書律] (두산百科)...賃金이 發行한 文書를 망가뜨린 罪를 다스리는 法.
  70. 燕山君日記 54卷, 演算 10年 7月 22日
  71. [네이버 知識百科] 制書有違律 [制書有違律] (韓國古典用語辭典, 2001. 3. 30., 세종대왕기념사업회).....임금의 敎旨(敎旨)와 世子(世子)의 領地(令旨)를 違反한 者를 다스리는 율. ≪大明律(大明律)≫ 理由(吏律) 制書有違條(制書有違條)에 依하면 違反한 사람은 腸 1百에 處한다고 規定하였음. [類似語]第위率(制違律). [參考語]제서(制書).
  72. “燕山君의 한글 彈壓과 陵이 되지 못한 燕山君墓” . 우리文化新聞. 2017年 5月 24日.  
  73. [네이버 知識百科] 訓民正音은 모든 百姓이 使用하였을까? (우리말의 수수께끼, 2002. 4. 20., 박영준, 시정곤, 정주리, 최경봉)
  74. [燕山君日記 56卷] 1504年(연산 10年) 12月 10日 3番째記事
  75. 배영환 <‘現存 最古의 한글便紙 ‘신창孟氏墓出土언間’에 對한 國語學的人 硏究’> 國語史硏究 15卷 15號, 國語史學會, 2012年
  76. <安東 정상동 一線文氏와 이응태墓 發掘調査 報告書’> 안동대博物館, 2000年
  77. 大學栗谷諺解 - 디지털한글博物館
  78. [國立 한글博物館 消息紙 2017年 2月號] 最初로 한글 띄어쓰기, 존 로스 宣敎師로부터 始作되다 ...로스는 이응찬의 도움을 받아 最初의 한글 띄어쓰기가 導入된 韓國語敎材 ‘朝鮮語 첫걸음(Corean Primer, 1877)’을 만들었다. 이는 로스가 自身과 같은 宣敎師나 外國人들이 한글을 배울 수 있도록 만든 冊으로, 한글 아래 發音記號를 表記하는 方式으로 記錄됐다. 여기에 最初의 한글 띄어쓰기가 導入된 것은 로스가 使用하던 英語의 띄어쓰기가 自然스레 反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79. [국민일보 2013年 10月 8日] 한글 띄어쓰기 첫 導入은 로스 宣敎師 ...한글 出版物 가운데 처음으로 띄어쓰기가 導入된 文獻은 스코틀랜드 出身의 존 로스(1841∼1915) 宣敎師가 쓴 韓國語 敎材 ‘朝鮮語 첫걸음(Corean Primer)’이다.
  80. [네이버 知識百科] 호머 헐버트 [Homer Bezaleel Hulbert] (두산百科) ...한글의 優秀性과 科學性에 魅了돼 美國 言論과 英文 雜誌에 寄稿를 통해 弘報했으며..(중략)..1896년 서재필, 周時經 等과 함께 우리나라 最初의 民間 新聞인 〈獨立新聞〉을 發刊하였고, 當時 周時經과 함께 國文硏究所를 設立하고 한글을 硏究하며 띄어쓰기를 導入하였다.
  81. 第十四條 法律勅令總以國文爲本漢文附譯或用國漢文
  82. 第九條 法律命令은 다 國文으로써 本을 三꼬 漢譯을 附하며 或國漢文을 混用홈
  83. 한동완《國文硏究議定案》 신구문화사 2006 p17
  84. [네이버 知識百科] 國文硏究所 [國文硏究所] (두산百科)
  85. 中宗實錄 1卷, 中宗 1年 9月 4日
  86. [네이버 知識百科] 國文硏究所 [國文硏究所] (두산百科)
  87. [네이버 知識百科] 國文硏究所 [國文硏究所] (韓國民族文化大百科, 韓國學中央硏究院).....學部大臣 이재곤(李載?)의 靑衣로 閣議를 거쳐 그해 7月 8日에 設置되었다. 訓民正音 創製 當時의 正音廳(正音廳) 設置 以後 한글을 硏究하기 위한 最初의 國家機關이라 할 수 있다.
  88. [네이버 知識百科] 國語硏究學會 [國語硏究學會] (韓國民族文化大百科, 韓國學中央硏究院) ....創立總會는 1908年 8月 31日 敦義門 밖 奉元寺(奉元寺)에서 夏期國語講習所 卒業生들과 國語硏究에 뜻이 있는 사람들이 모여 열었다. 이날 김정진(金廷鎭)을 會長으로 뽑고, 私立청년학원(私立靑年學院)에 學會의 位置를 定했다. 周時經의 履歷書에 依하여 ‘國文硏究會(國文硏究會)’ 或은 ‘國文硏究學會(國文硏究學會)’로 알려져 왔으나, 이규영(李奎榮)이 編纂한 『한글母竹보기』가 發見됨으로써, 이 團體의 正確한 名稱과 沿革이 밝혀졌다.
  89. 한글學會 <한글學會 100年史> 2009年 p31 ....1911年 9月 3日 (일) 下午 2時에서 4時까지, 周時經 先生 宅에서 가진 1911年 總會에서 學會이름을 "배달말글 몯음(朝鮮言文會)"으로 바꾸었다. 가장 直接的인 理由는 庚戌國恥를 當한뒤 "國語"가 一般的으로 日本語를 가르키는 것이 되었기 때문이다.
  90. [네이버 知識百科] 朝鮮語硏究會 [朝鮮語硏究會] (두산百科).....先驅的 한글學者인 주시경(周時經)의 影響을 받은 임경재(任璟宰), 최두선(崔斗善), 이규방(李奎昉), 권덕규(權悳奎), 장지영(張志映), 신명균(申明均), 이상춘(李常春), 김윤경(金允經), 이승규(李昇圭) 等 15, 16名이 1921年 12月 3日 徽文義塾에서 國語의 正確한 法理(法理)를 硏究할 目的으로 組織하였다. 幹事長은 임경재, 幹事는 장지영·최두선이었다. 歷史上 最初의 國語硏究學會로 學問硏究뿐 아니라 周時經의 學問과 精神을 이어 말과 글을 통해 民族精神을 鼓吹하고자 努力하였다. 이 團體는 1908年 8月 31日 주시경·김정진 等을 中心으로 우리 말과 글의 硏究·統一·發展을 目標로 組織된 國語硏究學會를 母體로 하여 誕生하였다.
  91. [네이버 知識百科] 文字普及運動 [文字普及運動] (두산百科)
  92. [네이버 知識百科] ‘가갸날’ 만드니 世宗大王님 울지 마옵소서 : 한글 普及 運動 (高校生이 알아야 할 韓國史 스페셜, 2009. 2. 5., 金아네스, 최선혜)
  93. 새마을運動의 始作은…장준하? 朴正熙? , 노컷뉴스, 卞相昱
  94. [네이버 知識百科] 朝鮮語學會事件 [朝鮮語學會事件] (두산百科).....韓國人이 韓國말을 자유롭게 하지 못하게 하고 日本語를 使用토록 하는 日本語敎育政策이었다. 學校에서도 朝鮮語 敎育을 廢止하고, 日本語로 講義하고 日本語를 基本科目으로 가르치고, 學生들의 學校生活에서도 日本語만을 使用토록 强制하였다. 이와 같이 物質이 아닌 精神的 側面에서 韓國人을 日本人化하려는 政策을 推進해나가는 가운데, 韓國의 知識人層의 抵抗을 彈壓하지 않으면 그 뿌리를 뽑을 수 없다고 생각하였다.
  95. 코리아 스토리 企劃委員會 <한글, 自然의 모든 소리를 담는 글字> 許願미디어 2006, p38
  96. [澗松美術文化財團] 보성 中學校 引受과 訓民정음 購入
  97. [네이버 知識百科] 訓民正音 解例本 - 한글의 創製 目的과 原理를 밝히다 (偉大한 文化遺産, 이진명, 澗松美術文化財團) ...禮儀와 解例가 모두 실려 있는 訓民正音 正本이 1940年에야 發見되었다. 그것이 이 『訓民正音 解例本』이다. 이 『訓民正音 解例本』이 大衆에게, 그리고 한글學會 幹部들에게 公開된 것은 解放 後에 이르러서였다..(중략)..해방 後 朝鮮語學會 幹部들을 불러 한글 硏究를 위해 影印本을 만들며 世上에 公開된다.
  98. [네이버 知識百科] 訓民正音 [訓民正音] (두산百科)
  99. (한글學會) 學會消息 (발돋음)
  100. [네이버 知識百科] 訓民正音 [訓民正音] (두산百科)
  101. 송명석 外 2名 <우리나라의 世界文化遺産 1> 盤石出版社 2013年 p179
  102. [United Nations Homepage] International Literacy Day 8 September -- Background .... The 8th of September was proclaimed International Literacy Day by UNESCO in 1966 to remi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of the importance of literacy for individuals, communities and societies, and the need for intensified efforts towards more literate societies. The issue of literacy is a key component of the UN'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nd the UN's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103. [네이버 知識百科] 세종대왕賞 [King Sejong Prize, 世宗大王賞] (두산百科)
  104. [文化體育觀光部 報道資料] 第32回 유네스코 世宗大王 문해상 受賞
  105. [UNESCO Homepage] UNESCO International Literacy Prizes ....Since 1967, UNESCO International Literacy Prizes have rewarded excellence and innovation in the field of literacy. Over 500 projects and programmes undertaken by governments,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around the world have been recognized. Through these prestigious Prizes, UNESCO seeks to support effective literacy practices and encourages the promotion of dynamic literate societies. Currently there are two UNESCO International Literacy Prizes: +The UNESCO King Sejong Literacy Prize (3 awards) : Established in 1989, with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t gives special consideration to mother anguage-based literacy development. Each of the three UNESCO King Sejong prizewinners receives a medal, a diploma and US$20.000.
  106. 世界는 只今 '言語戰爭' 中
  107. “한글 忽待하는 社會” . 2012年 11月 30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0年 2月 2日에 確認함 .  
  108. 솔로몬諸島 一部 州(州)서 表記文字로 한글 採擇
  109. 其字倣古篆分爲初中終聲合之然後乃成字 : (그 글字는 옛 電子(篆字)를 模倣하고, 初·中·終聲으로 나뉘어 그것을 合한 然後에 글字를 이룬다.) 《 世宗實錄 》 25年 12月 30日.
  110. 象形而字倣古篆因聲而音?七調 (物件의 形象을 본떠서 글字는 苦戰을 模倣하고, 소리(聲)로 人(因)하여 音(音)은 七調(七調)에 맞아). 《世宗實錄》28年 9月 29日. 이 記事는 《訓民正音》의 정인지 〈서(序)〉를 옮겨 놓은 것이다.
  111. 이성규 <UFO가 놀고 트랜스젠더 닭이 울었사옵니다> 살림출판사 2010年, p225
  112. 함규진 <韓國人의 運命을 바꾼 歷史的 選擇, 108가지 決定> 페이퍼로드 2008年 p198
  113. 글로벌稅契對百科 , 〈兩班官僚의 文化〉, 한글 創製.
  114. 然ㄱㆁㄷㄴㅂㅁㅅㄹ八字可足用也如ㅂ·ㅣㅅ곶爲梨花餘ㅿ醫갗爲狐皮而ㅅ字可以通用故只用ㅅ字 ,訓民正音 解例 終聲解
  115. [ 네이버 國語辭典 ] '로마字 表記法'의 必要性
  116. 공병설 記者 [ 聯合뉴스 2010-10-03 ] 115年 前 한글 로마字表記法 發表한 外國人
  117. [네이버 知識百科] 로마字表記法 [Romanization] (두산百科)
  118. [네이버 知識百科] 로마字表記法 [─字表記法] (韓國民族文化大百科, 韓國學中央硏究院)
  119. 차지연 [聯合뉴스] 솔로몬諸島 一部 州, 表記文字로 한글 採擇 (2012.10.08)
  120. 김희영 記者 [머니투데이] 솔로몬諸島 一部 州, 表記文字로 한글 採擇 (2012.10.09)
  121. [世宗소리] 우리가 모르는 한글이야기 (4分 13秒)

參考 文獻 [ 編輯 ]

읽을거리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兩班官僚의 文化" 項目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