口蓋音化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口蓋音化 (口蓋音化)는 硬口蓋音 이 아닌  子音 이  硬口蓋音 으로 變하는 現象이다. 卽 子音의 調音點이 硬口蓋와 가까워지는 現象을 의미한다. 普通은 /i/, /y/ 等의 前舌母音의 앞이나 硬口蓋 接近音 [j] , 良順 硬口蓋 接近音 [?] 앞에서 많이 일어난다. [1]

韓國語의 口蓋音化 [ 編輯 ]

韓國語 에서 口蓋音化는 닿소리 뒤에 , , , , , 로 始作하는 二重母音 이 올 때에 主로 發生한다.

본디 닿소리 바뀌는 닿소리
[n] ㄴ[?]
[t] / [d] [?] / [?]
[t'] [?']
ㄹㄹ [ll] ㄹㄹ[??]
[s] / [z] [?] / [?]
[s'] [?']
[t?] / [d?] [??] / [??]
[h] ㅎ/ㅅ [c]

例를 들어 ‘굳이’, ‘같이’는 各各 /九地/, /價値/로 發音한다. 韓國語의 口蓋音化는 一部 外來語에도 適用되어, 光復 以前에는 主로 라디오 (radio), 비디오 (video)를 /나지오/, /비지오/로 불렀고, 只今도 적잖은 사람들이 센티미터(centimeter)를 /센치미터/나, 스티로폼 (styrofoam)을 /스치로폼/으로 發音하지만, 네 個 모두 國語硏究院에서 定한 標準 發音法에 어긋난다.

또한 一部 地域 方言에서는 ‘ㅎ’이 ‘ㅅ’으로, ‘ㄱ’이 ‘ㅈ’으로 發音이 되는 口蓋音化 現象도 發見되는데, 例를 들어 ‘힘’을 /審/으로, ‘기름’을 /지름/으로 各各 소리내기度 하나, 이런 口蓋音化가 일어나지 않는 사투리도 있다.

위 表에서 ㄷ, ㅌ의 口蓋音化를 除外한, 나머지 子音의 口蓋音化한 子音들은 韓國語의 獨立的인 音韻 要素로 認識되지 않는 變異音 이므로, 實際 韓國語 話者들은 口蓋音化가 發生하는 것을 거의 認識하지 못한다.

韓國 標準 發音에서 認定되는 ㄷ, ㅌ의 口蓋音化에는 특정한 條件이 있는데, 뒤이어서 모음 ㅣ 또는 ㅑ,ㅕ,ㅛ,ㅠ,ㅖ,ㅒ 等의 半母音 [j] 로 始作하는 調査나 接尾辭 等의 從屬的 關係를 가진 形式 形態素가 나올 때 口蓋音化된 發音이 實現된다. 例를 들어 ‘디디다’와 ‘ 느티나무 ’ 等 한 形態素 안에서는 口蓋音化하지 않지만 ‘같이’와 ‘굳이’에서는 口蓋音化가 發生한다.

文化語 의 《朝鮮語의 어음 轉寫法》은 國際音聲記號에 依據한 文化語 表記에서 /ㄴ/, /ㄹ/義 口蓋音化를 認定한다. 나머지 닿소리의 口蓋音化를 認定하지 않는 代身 /ㅣ/義 口蓋音化가 實現되어 [ji]로 발음되는 現象을 別途로 取扱한다.

歷史 [ 編輯 ]

朝鮮 中期에 言語 全般的인 口蓋音化가 일어났는데, /ㄷ/와 /ㅌ/가 /i/나 /j/ 앞에서 /ㅈ/와 /ㅊ/로 소리나게 된 것이다. 그 時期는 여러 가지 文獻으로 볼 때 17世紀 에서 18世紀 로 넘어가는 時點인 것으로 보인다. 그 때에도 關西 地方 에서는 그러한 口蓋音化가 일어나지 않은 것을 示唆하는 記錄이 있지만, 文化語는 이 口蓋音化를 反映한다. [2]

街ㄴㆍㄴ 각시 본 듯도 ㅎㆍㄴ뎌이고
저기 가는 각시 본 듯도 하구나

? 送狀家事(1747)-續美人曲

됴ㅎㆍㄴ ㅄㅣ 審거든 됴ㅎㆍㄴ 여름 餘루미
좋은 氏 審거든 좋은 열매 열리니

? 月印釋譜(1459)

나某 플ㄱㆍ티 아로미 업고 ㅁㆍㅿㆍㅁㆍㄴ 섭섭ㅎㆍ野 眞實티 몯거니와
나무와 풀같이 앎이 없고 마음은 섭섭하여 眞實値 못하거니와

? 月印釋譜(1459)

하지만 綴字 慣習은 20世紀 初까지 그대로 남았는데, 例를 들어 /조/ · /치/ 等은 慣習的으로 ‘됴’ · ‘티’로 써 왔다. 이를 1933年 한글 맞춤法 統一案 에서 소리나는 대로 ‘朝’ · ‘치’로 밝혀적도록 하였지만, 慣習的으로 쓰였던 예전 表記法은 1970年代 까지 사라지지 않았다. 한便 口蓋音化해서 發音하는 것을 避하기 위해 意圖的으로 를 쓰는 境遇도 있었는데, ‘잔듸’, ‘늬우스’ 等이 그런 表記이다. 이는 오늘날의 ‘무늬’, ‘씌우다’, ‘희다’ 等의 表記에 남아 있다.

다른 言語에서의 口蓋音化 [ 編輯 ]

口蓋音化는 韓國語에서만 볼 수 있는 音韻 現象이 아니다. 다른 많은 言語에서도 口蓋音化 現象을 찾을 수 있다.

古代 英語에서 [sk] 는 大部分 [?] 로 變化한 적이 있다. Shirt의 옛 綴字는 <scyrt>였는데, 이 綴字를 보면 音韻變化가 完了된 後 流入된 外來語인 skirt는 shirt와 同一한 語源을 지님을 알 수 있다.

러시아語 에서 Д Т Е , Ё , И , Ю , Я 의 앞에 올 때 口蓋音化된다. 實際로 發音해 보면, 發音을 便하게 하기 위해 自然스럽게 혀가 올라감을 느낄 수 있다.

日本語의 た行 (tshi)와 (tsu)는 た行의 다른 글字의 た、て、と에 가까운 發音 方式의 破裂音 /t?i?/ 및 /tu/ [3] 로 발음되었으나, 中世 日本語 以來 現在의 發音으로 變化했다. 한便, 濁音(濁音)인 亦是 各各 /d?i/ 와 /dzu/ [4] 바뀌었다.(づ는 에도 時代에 이르러 ず(/zu/)와 區別이 없어진다 [5] ) 한便, 現代 日本語에서는 外來語의 借用語를 통해 /ti/, /di/ 音價의 發音이 復活하였으며, 이를 表記하기 위해 ティ와 ディ를 使用하는 境遇가 많다.

라틴語에서는 [ke] [ki] 였던 發音이 이탈리아語와 루마니아語에서는 [t?e] , [t?i] 로 발음되는 境遇가 있는데, 이탈리아語와 루마니아語에서는 그래서 [t?e] 發音을 < ce >로 表記하는 한便 [ke] / [ki] 發音은 口蓋音化가 일어나지 않는다는 表示로 < h >를 덧붙여 < che >/< chi >로 적는다. [6]

西洋의 일부 言語에서는 비슷한 音價人  [?] , [?] 로 口蓋音化 現象을 避한다. 口蓋音化가 發現되기 위해서는 傳說 모음, 그 中에서도 高母音人 [i] , [y] , [j] , [?] 이 必要하기 때문이다.

브라질 포르투갈語 에서는 / d /와 / t /가 / i , ? / 앞에서 [d?] [t?] 로 소리나는데, 이는 別途의 音韻을 차지하지는 않는 이음 이다.

폴란드語 에서 D T I 앞에 올 때 아예 D ? ? 로 소리난다.

表記 [ 編輯 ]

國際 音聲 記號 에서는 口蓋音化가 된 子音 뒤에  [?] 를 붙인다.

치硬口蓋音 은  齒莖音 後齒莖音 의 口蓋音化 音價가 별도의 音價로 分離된 것이다.

參考 文獻 [ 編輯 ]

  • 이기문, 《國語音韻學硏究(國語音韻史硏究)》, 韓國文化硏究所, 1973.

各州 [ 編輯 ]

  1. 韓國語의 口蓋音化랑은 다른 槪念이다.(아래 韓國語의 口蓋音化 參照)
  2. “새國語生活 第13卷 第1號(2003年 봄)” . 2021年 12月 29日에 確認함 .  
  3. (dzhi)와 (dzu)도 だ行의 다른 글字의 だ、で、ど에 가까운 發音 方式의 破裂音 /d?i?/ 및 /du/로 發音되었음
  4. 聽音(淸音)인 또한 各各 /t?i/ 와 /tsu/로 바뀌었다.
  5. つ도 마찬가지로 す(/su/)와 區別이 漸漸 없어지고 있다
  6. 라틴語에서는 [?e] [?i] 였던 發音이 이탈리아語와 루마니아語에서는 [d?e] , [d?i] 로 발음되는 境遇가 있는데, 이탈리아語와 루마니아語에서는 그래서 [d?e] 發音을 < ge >로 表記하는 한便 [?e] / [?i] 發音은 口蓋音化가 일어나지 않는다는 表示로 < h >를 덧붙여 < ghe >/< ghi >로 적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