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맞춤法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한글 맞춤法 ( - 法)은 韓國語 맞춤法 으로, 맞춤法은 大韓民國 에서 通用되는 韓國語를 한글 로 表記할 때의 基準을 定한 것이다.

歷史 [ 編輯 ]

朝鮮 時代에는 軟鐵 理라 하여 글을 소리 나는 그대로 썼다. 例를 들면 '잡히다'를 소리나는 대로 '자피다'로 썼다.

1933年 10月 29日 朝鮮語學會 에서 《 한글 맞춤法 統一案 》을 만들면서 말의 原形을 밝혀 쓰는 (잡-히-다) 方式이 標準으로 定해졌다.

分斷 以後 [ 編輯 ]

한글 맞춤法 統一案은 分斷 直後에도 繼續 쓰이다가 挑戰을 받았다. 1948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은 統一案의 表音主義的 要素를 剛하게 批判하며 極端的인 形態主義의 朝鮮語 新綴字法 을 만들었다. 이는 韓國 戰爭 以後 緩和되었지만, 아직 北側의 綴字法은 南韓보다는 形態主義的인 要素를 띠고 있다. 이와는 反對로 1953年 大韓民國 에서는 한글 簡素化 波動 이 있었다. 李承晩 當時 大統領이 韓國語를 소리 나는 대로 적는 表記法으로 바꾸려고 했지만, 學界의 反對로 그러지 못한 것이다.

1980年 한글學會 에서 《한글맞춤法》을 내었고, 現在는 문교부(只今의 文化體育觀光部 , 敎育部 )에서 1988年 1月 19日 高視하여 1989年 3月 1日 부터 施行하는 規定을 따른다.

1988年 改正의 主要 內容으로는, 漢字語에서는 사이시옷 을 붙이지 않음을 原則으로 하였고(다만 두 音節로 된 6個 漢字語만 例外로 사이시옷을 붙이기로 函), "家庭欄/家庭亂" 等으로 混用되어 쓰이던 것을 頭音法則 規定을 具體化하면서 "家庭欄"으로 적도록 하였다. 띄어쓰기 規定에서 補助 用言은 띄어 씀을 原則으로 하되, 붙여 씀도 許容하였고, 姓과 이름은 붙여 쓰도록 하였다. 數를 表記할 때도 從前에는 十進法 單位로 띄어 쓰던 것을 만 單位로 띄어 쓰도록 하였다. 따라서 123456은 '十二萬 삼천사百五十六'이다(종전에는 '十 二萬 三千 四百 五十 陸'이라고 썼음).

現行 맞춤法의 構成 [ 編輯 ]

한글 맞춤法은 6個의 腸, 15個의 節, 57個의 港으로 構成되어 있으며 附錄(文章 符號)도 있다 [1] .

  • 第1張: 總則(總則)
  • 第2張: 字母(字母)
  • 第3張: 소리에 關한 것
    • 第1節: 된소리
    • 第2節: 口蓋音化(口蓋音化)
    • 第3節: 'ㄷ'소리 받침
    • 第4節: 모음(母音)
    • 第5節: 頭音 法則(頭音 法則)
    • 第6節: 겹쳐 나는 소리
  • 第4張: 形態에 關한 것
    • 第1節: 體言과 調査
    • 第2節: 語幹과 語尾
    • 第3節: 接尾辭가 붙어서 된 말
    • 第4節: 合成語 및 接頭辭가 붙은 말
    • 第5節: 준말
  • 第5張: 띄어쓰기
    • 第1節: 調査
    • 第2節: 依存 名詞, 單位를 나타내는 名詞 및 列擧하는 말 等
    • 第3節: 補助 用言
    • 第4節: 固有 名詞 및 專門 用語
  • 第6張: 그 밖의 것
  • 附錄

한글 맞춤法과 朝鮮말規範집의 差異 [ 編輯 ]

  • 한글 맞춤法에서는 補助 用言을 띄어 쓰는 것이 原則인 데 反해, 朝鮮말規範집에서는 붙여 쓴다.
  • 한글 字母의 名稱과 事前에서의 配列 順序가 서로 다르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保管된 寫本” . 2017年 2月 23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7年 2月 17日에 確認함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