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J·노무현의 革新 사라진 民主黨|週刊東亞

週刊東亞 1332

..

DJ·노무현의 革新 사라진 民主黨

[김수민의 直說] 非對委體制 뒷받침할 새로운 非主流 안 보여

  • 김수민 時事評論家

    入力 2022-03-27 10:00:01

  • 글字크기 설정 닫기
    노무현 전 대통령(오른쪽)과 김대중 전 대통령이 2003년 12월 15일 서울 강남구 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열린 동아시아포럼 창립총회에 입장하고 있다. [동아DB]

    盧武鉉 前 大統領(오른쪽)과 金大中 前 大統領이 2003年 12月 15日 서울 강남구 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열린 東아시아포럼 創立總會에 入場하고 있다. [東亞DB]

    大選 敗北 後 出帆한 더불어民主黨(民主黨) 非常對策委員會(非對委)는 ‘靑年’ ‘女性’ ‘所信波’의 負傷으로 關心을 받고 있다. 하지만 非對委라는 배를 띄울 물결이 보이지 않는다. 主流가 책임지고 물러나려면 튼튼한 非主流가 있었어야 한다. 민주당은 지난 5年間 ‘非主流 滅種’ 狀態였다.

    民主黨 歷史를 代表하는 象徵的 人物은 두말할 나위 없이 ‘金大中’과 ‘盧武鉉’이다. 하지만 그런 政治人이 오늘날 民主黨에 돌아가면 어떻게 될까. 金大中 前 大統領은 1950年代 中盤까지 獨自的인 進步 路線을 志向하다 ‘保守 野黨’에 들어가는 妥協을 했다. 그 뒤 經濟·平和에서 進步的 비전을 提示하고 世代交替論을 더해 黨 體質을 바꿨다. 그는 1965年 韓日修交 當時 糾彈 一色인 黨論과 달리 贊成 立場에 섰다 黨內에서 ‘사쿠라’로 몰렸다. 고통스러운 瞬間이었다지만 6年 뒤 大選 候補가 됐다. 現 민주당이었다면 振作 總選 公薦에서 탈락했을 것이다.

    盧武鉉 前 大統領은 金 前 大統領과 같은 黨 同志였지만 ‘總裁 權力’에 ‘螳螂拒轍’로 맞서기도 했다. 金 前 大統領이 1995年 政界에 復歸하면서 민주당을 깨고 새로 黨을 創黨하자 이를 따르지 않고 獨自路線으로 抵抗했다. 1997年 政權交替라는 大義下에 金 前 大統領과 再結合했고, 5年 뒤 本人이 後任 大統領이 됐다. ‘김대중 勢力’李 黨內 非主流인 그에게 길을 열어준 德도 있었다. 現 민주당이었다면 노무현 같은 人事는 어떻게 됐을까. 유튜브나 팟캐스트에서 黨 總裁를 따르는 ‘스피커’들로부터 悽慘하게 조리돌림을 當하고, 黨 競選에서 相對 黨 候補 以上으로 攻擊받고 떨어졌을 것이다.

    創業家·革新家 리더십 必要

    “只今의 민주당은 김대중과 盧武鉉의 민주당이 아니다”라는 指摘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김대중과 노무현은 ‘相續者’가 아니라 ‘創業家’이자 ‘革新家’였다. 非主流인 所屬 政黨을 執權勢力으로 만들었을 뿐 아니라, 黨內 非主流에서 主流로 떠오르는 過程에서 사람들에게 感動과 힘을 안겨줬다. 이番 大選에서 민주당 딴에는 ‘中央政治에서 邊方’인 京畿道知事 出身의 李在明 前 大選 候補를 통해 드라마를 演出할 수 있으리라 믿었을 것이다. 그러나 지난 5年 내내 政權 核心의 눈치를 본 이 前 候補에게서 ‘非主流 逆轉劇’을 읽어낸 有權者는 적다.

    民主黨에게 提示할 수 있는 解法은 하나밖에 없다. 黨을 갈아엎는 鬪爭이 나오고 그 속에서 새로운 리더십이 出現하는 것이다. 2020年 總選에서 誕生한 初選議員들은 先輩 極性分子를 凌駕하거나, 아니면 눈치 보기와 沈默이 몸에 배어 있다. 이들과 全혀 다른 政治人이 事實上 再創黨에 該當하는 過程을 밟아나가야 한다.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