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東大門 네팔 타운요? 이젠 ‘나마스테’ 代身 ‘新 짜오’입니다|신동아

東大門 네팔 타운요? 이젠 ‘나마스테’ 代身 ‘新 짜오’입니다

  • 이슬아 記者

    island@donga.com

    入力 2022-08-29 10:00:01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20 →7, 3年 새 折半 넘게 사라진 네팔 食堂

    • “돈벌이 안 되니 떠날 수밖에”

    • 不法이지만… “人件費 올라서” “8個月値 月給 버니까”

    • “네팔타운 變化는 景氣沈滯 때문”

    서울 종로구 창신2동 베트남 식재료 상점. 베트남인 비중이 높아지면서 동네에 등장했다(위). 동대문역 인근에서 베트남인이 운영하는 유명 쌀국수 가게. 지난해 세 번째로 확장 · 이전했다. [이슬아 기자]

    서울 종로구 창신2棟 베트남 食材料 商店. 베트남人 比重이 높아지면서 洞네에 登場했다(위). 東大門驛 隣近에서 베트남人이 運營하는 有名 쌀국수 가게. 지난해 세 番째로 擴張 · 移轉했다. [이슬아 記者]

    붉은 三角形을 위아래로 이어붙인 模樣의 國紀, 언뜻 落書처럼 보이는 데바나가리 文字, 눈 덮인 에베레스트山 그림. 서울地下鐵 1號線 東大門驛 3番 出口로 나가면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네팔의 象徵’ 세 가지다. 東大門驛 3番 出口 一帶는 ‘서울 종로구 창신2棟’이라는 正式 名稱 外에 ‘네팔타운’이라는 또 다른 이름을 갖고 있다. 골목 사이사이로 네팔 國旗와 네팔語 看板을 내건 가게가 보인다.

    이들 店鋪 大部分은 食堂이다. 十中八九는 印度, 티베트 飮食도 함께 판다. 地理的으로 이웃한 세 나라 飮食 文化가 비슷하게 發達한 德分이다. 흔히 알려진 메뉴는 ‘커리’지만 네팔人에게 더 친숙한 건 ‘달(綠豆를 비롯해 여러 種類 콩으로 만든 수프)·바트(쌀밥)·타르카리(감자, 콜리플라워 같은 菜蔬를 姜黃가루에 볶은 飯饌)’다. 韓國 飮食으로 치면 白飯이라 할 수 있는 이 메뉴를 맛보기 위해 地方에서 일하는 네팔印度 쉬는 날이면 네팔타운을 訪問하곤 했다.

    近來 네팔타운 命脈이 끊어지고 있다. 過去 네팔人은 크게 産業硏修生(中小企業에서 合法的으로 일하며 先進 技術을 傳受받던 低開發國 外國人)과 不法 滯留者(以下 未登錄 外國人)로 나뉘었다. 後者 中 相當數가 身分이 不分明해도 일자리가 있던 ‘창신동 縫製골목’ 隣近에 터를 잡은 게 네팔타운의 起源이다. 縫製産業이 沈滯期에 접어들며 네팔人은 다른 일자리를 찾아 하나둘씩 東大門을 떠나갔다.

    7月 5日 基準 東大門驛 近處에 네팔 食堂 일곱 곳이 남아 있다. 2019年 스무 곳에 達하던 食堂 數가 3年 사이 折半 넘게 쪼그라들었다. 남은 일곱 곳 中 하나도 올해 안으로 廢業할 豫定이다. 1990年代 末~2000年代 初 韓國으로 넘어온 ‘1世代 네팔人’李 東大門에서 자취를 감추며 생긴 變化像(像)이다.

    서울 종로구 창신2동 베트남식 커피 전문점에 붙어 있는 메모지. 대부분 베트남어로 쓰여 있다. [이슬아 기자]

    서울 종로구 창신2棟 베트남式 커피 專門店에 붙어 있는 메모紙. 大部分 베트남語로 쓰여 있다. [이슬아 記者]

    ‘네팔’의 빈자리를 채우는 건 ‘베트남’이다. 창신2洞 所在 한 公認仲介事務所에 따르면 2~3年 前부터 東大門驛 一帶에 베트남 食堂, 카페, 食材料 商店이 잇달아 門을 열었다. 쌀국수 가게만 아홉 곳이다. 7月 4日 東大門의 베트남式 커피 專門店에서 만난 아르바이트生 圓光닝 氏는 “요즘 東大門에 베트남 (사람) 많아요. 길에서 ‘新 짜오(베트남 人事말)’ 많이 들려요”라며 웃었다.



    生業(生業)의 變化는 곧 生(生)의 變化다. 只今, 네팔타운의 變遷은 오래된 것이 저물고 새로운 것이 떠오르는 交叉 地點에 서 있다. 徐徐히, 그리고 조용히 國籍 交替가 이뤄지는 네팔타운에선 時代의 흐름이 읽힌다. 7月 4日, 5日 이틀에 걸쳐 머지않아 이름이 바뀔 네팔타운을 찾아 變化 樣相을 살폈다.

    運命 共同體 : 네팔타운 - 縫製産業

    봉제골목에서는 옷감과 완성된 옷을 실어 나르는 배달용 오토바이를 자주 볼 수 있다. [이슬아 기자]

    縫製골목에서는 옷감과 完成된 옷을 실어 나르는 配達用 오토바이를 자주 볼 수 있다. [이슬아 記者]

    7月 4日 午後 2時께 訪問한 縫製골목은 고요했다. 間間이 裁縫틀 돌리는 소리와 옷감을 配達하는 오토바이 轟音이 들렸지만 全般的으로 潛潛한 雰圍氣였다. 한 縫製 工場에서 完成된 옷을 收去하던 한 配達 記事는 “縫製産業 自體가 斜陽産業이지 않으냐”면서 “20年 前에도 일감 줄었다고 우는 소리가 나오긴 했지만 그땐 오토바이로 物件을 한 番에 못 옮겼다. 이제는 이것뿐”이라며 오토바이에 실린 검정 封止 더미를 가리켰다.

    1990年代 末~2000年代 初와 比較하면 昌信洞 縫製 工場 일감은 크게 줄었다. 같은 날 찾은 完成品業體에서는 하루 平均 1000張의 옷을 만들어 去來處에 넘긴다. 縫製 工場은 賃加工業體(천을 裁斷하고 가봉海 옷의 形態를 만드는 곳)와 完成品業體(다림질, 워싱 넣기를 비롯해 옷 製作 마무리 段階를 擔當하는 곳)로 나뉘는데, 外國人 勞動者는 특별한 技術 없이도 일할 수 있는 完成品業體에서 主로 일한다. 이 完成品業體 社長 A氏는 “그때(20餘 年 前)娘 只今은 比較가 안 된다. 當時에는 每日 4000~5000張씩 注文이 들어왔다”라고 말했다.

    縫製産業이 내리막길을 걸으면서 注文量이 줄자 工場은 가장 먼저 職員을 整理했고, 네팔人이 東大門에 머무를 理由도 함께 사라졌다. 大部分 未登錄 外國人 身分이던 네팔人 勞動者 相當數가 故國으로 돌아가거나 滯留 資格을 얻어 地方의 工業地帶에서 새로운 일자리를 찾았다. A氏는 “前에는 이 近處 工場 大部分이 職員을 10名 以上 두고 있었다. 只今은 半토막 났다. 우리 工場만 해도 5名이 일하는데, 그中 2名은 時間制”라고 說明했다.

    럭스미 구릉 씨가 20년째 운영하는 서울 종로구 창신동 네팔 식당 ‘뿌자’. [이슬아 기자]

    럭스美 丘陵 氏가 20年째 運營하는 서울 종로구 창신동 네팔 食堂 ‘뿌자’. [이슬아 記者]

    같은 날, 東大門驛 隣近에서 20年 가까이 네팔 食堂을 運營하며 네팔타운의 터主大監 구실을 해온 럭스美 丘陵(韓國 이름 나민경) 氏는 ‘1世代 네팔人’이 이곳을 떠난 理由에 對해 이렇게 말했다.

    “쉽게 말해 돈벌이가 안 돼요. 工場 事情이 안 좋아지니 하나둘씩 다른 살길을 摸索한 거죠. 그間 번 돈을 들고 네팔로 돌아가거나 登錄 外國人으로 再入國해 宿食까지 다 解決하는 脂肪 工場으로 가는 게 낫다고 判斷한 것 같아요. 그러면서 水原, 平澤 쪽에 네팔 食堂이 많이 생겼어요. 예전처럼 地方에서 일하는 네팔人이 東大門으로 故鄕 맛을 찾아올 理由도 없어진 거죠.”

    共生 : 베트남 留學生 - 工場主

    봉제골목 끝자락에 위치한 한 봉제 공장에서 직원들이 다림질하고 있다. [이슬아 기자]

    縫製골목 끝자락에 位置한 한 縫製 工場에서 職員들이 다림질하고 있다. [이슬아 記者]

    縫製産業이 衰退하며 全日制 일자리는 時間制로 徐徐히 바뀌었다. ‘알바’ 자리를 두고 工場主와 用돈벌이라도 하려는 外國人 留學生의 利害關係가 맞아떨어졌다. 韓國 內 外國人 留學生(17萬6186名) 中 가장 높은 比重을 차지하는 베트남人(6萬7948名)李 이곳으로 大擧 流入했다(법무부 ‘6月 出入國·外國人政策 統計月報’). ‘네팔타운’이 ‘베트남타운’으로 變貌한 理由다.

    7月 5日 東大門에서 만난 베트남 留學生 팜後怡蕩(假名·22) 氏는 1年 가까이 縫製골목의 한 工場에서 ‘알바’를 하고 있다. 後怡蕩 氏가 屬한 곳 亦是 完成品業體다. 이곳에서는 通商 午後 3~4時부터 다음 날 午前 1~2時까지 作業이 이어진다. 늦은 午後부터 일할 수 있어 學校生活에 支障을 주지도 않는다. 留學生이 일하기 便한 環境이다.

    工場 일과는 單純하다. 새벽까지 일하고자 午後 4時 30分쯤 모든 職員이 모여 밥을 먹는다. 밥과 국, 飯饌 서너 가지로 構成된 韓食 한 끼를 提供한다. 5時부터는 作業에 本格 突入한다. 이날 食事를 마친 後怡蕩 氏는 作業臺에 쌓인 베이지色 男性用 바지를 하나씩 다리는 일부터 始作했다. 强한 蒸氣를 뿜어대는 뜨거운 다리미를 다루는 솜씨가 能熟했다. 하루에 10時間 넘게 週 6日 일하고 그가 받는 돈은 200萬 원 程度다.

    現行法上 外國人 留學生이 縫製 工場에서 일하는 건 不法이다. 法務部가 外國人 留學生에게 許容한 ‘時間制勤勞 일자리’에 製造業은 包含되지 않는다. 通·飜譯, 販賣業 等 法務部가 許可한 分野이더라도 勞動時間이 週當 最長 30時間을 넘어서는 안 된다. 그럼에도 後怡蕩 氏는 每週 60時間 넘게 縫製 工場에서 땀을 흘린다. 法定 勤勞時間인 週 52時間마저 한참 超過한 水準이지만 縫製골목에서 이러한 알바 자리는 公公然하다.

    後怡蕩 氏는 베트남 家族에게 每달 100萬 원 假量을 送金한다. 베트남 貨幣 單位 1洞은 韓國 돈으로 約 0.06원이다. 換率 差異가 큰 탓에 100萬 원(1800萬 桐)은 베트남 現地에서 職場人 4個月値 月給에 該當할 程度로 큰 金額이다. 雇傭勞動部에 따르면 지난해 베트남 最低月給은 가장 富裕한 地域으로 꼽히는 호찌민, 하노이 等을 基準으로 420萬 桐(藥 23萬 원)이다. 베트남은 地域別로 金額에 差等을 둔 ‘最低月給制’를 施行한다.

    縫製 工場의 베트남 留學生은 未登錄 네팔人이 그랬듯 大部分 勤勞契約을 맺지 않고 勞動한다. 工場主가 契約 內容을 違反하더라도 不法으로 일하는 處地에 申告하기가 어렵다. 去來處에서 맡긴 作業量에 따라 하루에 15時間 넘게 일하는 날도 있지만 給與가 늘眞 않는다. 夜間手當度 받지 못한다. 作業臺 옆에 놓여 있는 ‘박카스’ 한 箱子만이 고된 勞動에 따른 補償, 어쩌면 休息이다.

    工場主에게도 理由는 있다. 後怡蕩 氏가 일하는 完成品業體는 하루 平均 옷 800張을 製作한다. 每달 1500萬 원假量 純收益을 올린다. 1人當 300萬 원假量을 받는 韓國人 職員 2名, 200萬 원假量을 받는 베트남 勞動者 1名에게 月給을 주고나면 社長의 手中엔 300萬~400萬 원이 남는다. 工場 維持費와 稅金은 別途다. 100萬 원臺에 形成돼 있던 人件費가 2倍 以上 오르면서 이를 堪當할 餘力이 없는 社長에게 低賃金으로 부릴 外國人 알바生은 拒否하기 힘든 誘惑이다.

    國籍 交替? 景氣沈滯!

    서울 종로구 ‘창신동 봉제골목’에 위치한 한 봉제 공장. [이슬아 기자]

    서울 鍾路區 ‘창신동 縫製골목’에 位置한 한 縫製 工場. [이슬아 記者]

    昌信洞 住民들은 “네팔타운은 이제 옛말”이라고 입을 모은다. 縫製골목 隣近에서 便宜店을 運營하는 尹某 氏는 “네팔타운, 네팔타운 하지만 이제 네팔人은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고 밝혔다. 近方에서 美容室을 하는 崔某 氏도 “外國人 손님 80~90%는 베트남 사람”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變化가 縫製골목 特性에서 起因했다는 意見도 있다. 창신2洞에서 公認仲介事務所를 運營하는 정문일 氏의 說明이다.

    “縫製工場은 大部分 零細해요. 職員 雇傭 形態가 바뀌면서 그에 맞게 外國人 國籍, 身分이 바뀐 겁니다. 처음에는 朝鮮族(韓國系 中國人), 그다음은 네팔人, 數年 前부터는 베트남人. 앞으로는 몽골이나 其他 低開發國 사람들이 들어와 있을 것 같아요.”

    ‘東大門 네팔타운의 희노애락’(2018, 서울硏究院) 著者인 육성철 國家人權委員會 弘報協力과 書記官은 景氣沈滯가 네팔타운 變化의 原因이라고 分析했다.

    “冊을 쓰기 始作한 2016年 무렵 네팔타운을 取材하러 갔을 때 1年, 2年 지나면서 이곳 競技가 더 안 좋아질 것 같다는 느낌이 들었어요. 當時에도 東大門, 청계천 평화시장, 昌信洞 縫製골목으로 이어지는 産業이 크게 萎縮되고 있었거든요. 實際로 그 後 찾아갔을 때 50坪 工場을 運營하던 사람은 30坪으로, 30坪에서 하던 사람은 그보다 더 작은 곳으로, 그것도 아니면 남의 工場에서 일하며 月給을 받더라고요.”

    육성철 書記官은 이 같은 問題가 縫製골목에만 局限한 게 아니라고 덧붙였다.

    “韓國人이 忌避하는 3D(Difficult, Dirty, Dangerous) 業種에 低開發國 外國人이 들어오고, 그 자리가 또 다른 나라 勞動者로 代替되는 樣相은 東大門뿐 아니라 여러 地域에서 發見됩니다. 農業, 製造業이 衰退하면서 發生하는 全方位的 現象이에요. 昌信洞 골목의 變化에는 韓國 縫製産業의 興亡盛衰가 담겨 있습니다.”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