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入養의 風俗圖 兩者는 언제부터 相續權 가졌나|신동아

相續의 歷史

入養의 風俗圖 兩者는 언제부터 相續權 가졌나

  • 백승종 韓國技術敎育大 待遇敎授

    chonmyongdo@naver.com

    入力 2018-12-12 17:00:02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비록 自身의 핏줄은 아니지만 한 生命의 父母가 되고자 入養을 決心하는 이가 적지 않다. 하지만 歷史的으로 入養을 認定하지 않거나, 入養을 하더라도 養子에게 相續의 權限을 附與하지 않은 나라가 많았다. 한 時代의 風習이자 文化인 入養 節次를 時代別, 國家別로 살펴보자.

    전세기로 미국에 도착한 입양아들.

    傳貰機로 美國에 到着한 入養아들.

    1980年代 後半, 筆者가 獨逸로 留學을 떠날 때였다. 當時 나는 벨기에 家庭으로 入養되는 아이 6名을 데리고 飛行機에 올랐다. 그것은 實로 偶然이었다. 브뤼셀 空港에는 파란 눈의 梁父母님들이 서너 時間이나 延着한 우리 飛行機를 애타게 기다리고 있었다. 그들은 기쁨에 넘치는 얼굴로 두 눈에 눈물을 글썽이며, 아이들을 쓰다듬고 품에 안았다. 親父母가 無色할 程度의 애틋한 情이었다. 그 光景이 오랫동안 잊히지 않았다.

    서로 피 한 방울 섞이지 않았으나 벨기에 父母들은 까만 머리의 韓國 아이들을 기꺼이 子息으로 받아들였다. 反面 아이들의 祖國인 韓國에서는 가엾은 아이들의 父母가 되겠다고 나서는 이가 거의 없었다. 20世紀에는 많은 韓國 아이가 美國과 유럽으로 入養됐다. 그中에는 後날 이름을 떨친 運動選手도 있고, 高位 官僚로 成功한 이들도 있다. 우디 앨런 監督의 아내 순이도 入養兒다.


    入養을 몰랐던 時代

    過去에는 入養이란 風習과 아예 距離가 먼 나라도 있었다. 英國이 바로 그렇다. 유럽大陸과 바다를 사이에 두고 떨어져 있어 ‘로마法’의 影響이 微弱했던 때문인지 19世紀 末까지도 英國人은 入養을 하지 않았다.

    이슬람 社會도 入養을 正式으로 認定하지 않기는 마찬가지였다. ‘코란’의 影響 때문이었다. 그들은 데려다 기른 아이라도, 決코 피를 나눈 親族으로 認定하지 않았다. 實質的으로는 入養된 아이라도 반드시 生父의 姓(姓)을 따라야 했다. 그 아이는 自身을 데려다 기른 養父母로부터 아무 것도 相續받을 수 없었다.

    萬若 女子아이를 데려다 기른 境遇라면, 아이는 少女가 되기가 무섭게 養父 앞에서 제 얼굴을 가려야 했다. 마찬가지로 養母 亦是 自身의 養아들에게 맨얼굴을 보여서는 안 됐다. 要컨대 養父母와 養子女는 家族이 아니라는 理由로 內外의 法을 嚴格히 지켜야 했다.



    이슬람에서는 孤兒를 거두어 기르는 일을 善行으로 믿어 勸奬했다. 그러나 그것은 家系 繼承과는 無關한 일이었다. 따라서 그들이 서로 相續人과 被相續人 關係가 될 수는 없었다.

    로마帝國은 入養을 法的인 慣行으로 정착시켰다. 그 時節에는 入養이 成風을 이루었다. 有名한 ‘유스티니아누스 法典(Codex Justinianus. 529年)’에는 入養의 節次와 方法이 詳細하게 記錄돼 있다. 假令 入養이 決定될 時點에, 養父의 年齡은 60歲 以上이어야 했다. 量子의 나이도 成年에 이른 境遇가 많았다. 兩者는 곧 養父의 家門을 穩全히 繼承해야 했기 때문이다. 그때는 嬰幼兒의 入養이 存在하지 않았다.

    父母가 버린 아이들은 남이 거두어 길렀다. 그러나 修養子女인 그 아이들은 將次 그 집안의 奴隸가 됐다. 朝鮮時代에도 비슷한 法이 있었다. 로마의 奴隸 가운데는 修養子女가 차지하는 比重이 꽤 높았다고 한다. 法律的으로는 多少 複雜한 問題가 생길 수도 있었던 것 같다. 法的으로 보면, 入養兒는 一次的으로 生父의 財産으로 取扱됐다.

    入養은 로마 貴族層의 政治 및 經濟 側面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그들은 入養을 통해 特定 家門과 政治的 連帶를 强化했다. 더러는 最高 權力者인 皇帝 자리까지 入養을 통해 決定됐다.


    兩者, 養孫子, 陽症孫子에게로 이어진 카이사르의 權力

    초대 로마 황제 아우구스투스가 군장을 하고 연설하는 모습을 조각한 대리석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위키피디아]

    招待 로마 皇帝 아우구스투스가 軍裝을 하고 演說하는 모습을 彫刻한 大理石像.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위키피디아]

    紀元前 44年 2月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로마의 終身 독재관이 됐다. 그로부터 한 달 後, 그는 암살당했다. 共和政을 지키려는 一部 貴族들의 反撥이 그처럼 强했다. 부질없는 일이었다.

    카이사르의 遺言狀이 公開되자 그의 莫大한 財産은 當年 열여덟 살의 養子에게 돌아갔다. 옥타비아누스라는 無名의 젊은이였다. 옥타비아누스는 어릴 적에 生父를 잃었다. 社會 慣習에 따라 그의 어머니 아티아는 再婚했다. 그女로 말하면 카이사르의 조카였다. 正確히 말해, 女同生 율리아의 딸이었다. 옥타비아누스는 카이사르의 孫子뻘이었다. 그럼에도 그들 사이는 養父와 養子가 됐다.

    카이사르는 兩者 옥타비아누스가 軍事的으로는 無能하다고 判斷했다. 그래서 아그리파라는 名將과 함께 파르티아를 遠征하게 했다. 카이사르가 암살당했을 때 兩者는 遠征 中이었다. 옥타비아누스는 悲報를 듣고 서둘러 로마로 돌아왔다.

    그의 政治的 手腕은 참으로 대단했다. 野心家 안토니우스를 물리치고 카이사르의 權力과 富를 穩全히 相續받았다. 當時 元老院의 貴族들은 옥타비아누스의 莫强한 軍事力을 두려워했다. 反面에 그는 相對가 自身을 決코 危險한 사람으로 보이지 않게 만드는 재주가 있었다. 그 때문에 貴族들은 野心이 없어 보이는 옥타비아누스를 後援했다.

    結局 그는 富豪들로부터 莫大한 後援金을 끌어모았다. 그 돈으로 옥타비아누스는 카이사르를 記念하는 盛大한 스포츠 大會를 열었다. 그러자 人心이 그에게로 쏠렸다. 人氣몰이에 成功한 옥타비아누스는 無難히 執政官에 뽑혔다. 以後 競爭者들을 잇달아 물리치는 데도 成功했다.

    그는 共和政을 守護하겠다는 確固한 意志를 밝히며 元老院을 안심시켰다. 甚至於 로마의 最高貴族들은 그에게 ‘아우구스투스’, 卽 尊嚴자라는 稱號를 바쳤다(기원전 27年). 그러나 約束은 지켜지지 않았다. 그는 元老院을 無力化했다. 로마의 모든 權力은 옥타비아누스의 손끝에서 나왔다.

    옥타비아누스는 病弱했으나 76歲까지 權座를 維持했다. 當時로서는 무척 長壽한 便에 屬한다. 그에게는 親아들이 없었다. 代身에 그의 配偶者 리비아가 前男便 사이에서 낳은 아들이 있었다. 그 이름은 티베리우스였다. 옥타비아누스가 리비아를 처음 만났을 때 그女는 有夫女였고, 세 살짜리 티베리우스가 딸려 있었다. 옥타비아누스는 리비아의 美貌에 反해 어떻게 해서든 그女를 차지하려고 했다. 마침내 그女의 男便을 壓迫해, 리비아와 티베리우스 帽子를 빼앗았다.

    나중에 옥타비아누스는 迂餘曲折 끝에 티베리우스를 養子로 삼았다. 當時 티베리우스에게는 親아들 소(小) 드루수스가 있었다. 그러나 티베리우스는 조카 게르마니쿠스를 養아들로 삼았다. 게르마니쿠스는 옥타비아누스의 누나 옥타비아의 外孫子였다. 要컨대 티베리우스는 옥타비아누스의 宗孫(從孫)을 入養한 터였다. 德分에 다른 競爭者를 따돌리고, 옥타비아누스의 後繼者로 選定됐다. 참으로 어지러운 族譜라 할 수 있다.

    紀元前 13年, 티베리우스는 로마軍 總司令官이자 終身 護民官에 任命됐다. 兩部 옥타비아누스와 함께 事實上 로마의 共同 皇帝가 되었다. 그 뒤 養父가 老患으로 政務를 볼 수 없게 되자 홀로 大權을 거머쥐었다.

    執權에 成功한 티베리우스는 變更에 防禦網을 構築하기도 했다. 또 財政 危機를 克服하기 위해 超豪華판 電車 競技大會와 劍鬪士 競技 等을 中斷했다. 德分에 로마는 財政 健全性을 回復할 수 있었다. 하지만 善心性 支出을 抑制한 까닭에 皇帝는 人氣를 잃었다.

    要컨대 카이사르의 모든 것은 兩者 옥타비아누스에게 相續됐고, 이것이 다시 옥타비아누스의 兩者 티베리우스에게로 이어졌다. 티베리우스의 모든 것은 다시 옥타비아누스 집안의 子孫에게로 고스란히 되돌아가는 構造였다.


    兩者 出身의 로마 皇帝들

    이 밖에도 로마 皇帝들 가운데에도 兩者가 여럿 있었다. 惡名 높은 네로 皇帝가 바로 그렇다. 그는 클라우디우스 皇帝의 의붓아들이자 兩者였다. 또 티베리우스 2世와 유스티니아누스 1世도 兩者였다.

    유스티니아누스 1世는 法典으로 後世에 이름을 남긴 成功한 皇帝다. 그는 本디 유스티누스 1歲의 조카였으나 그의 養子가 됐다. 유스티누스 1世는 이른바 軍人皇帝였다. 自信感이 넘치는 것까지는 좋았으나, 學識이 不足했다. 나라를 다스릴 만한 智慧가 不足한 皇帝 곁에는 多幸히도 智慧로운 조카 유스티니아누스가 있었다. 527年 4月, 三寸은 조카를 養子로 삼아 共同 皇帝로 만들었다. 넉 달 뒤 유스티누스 皇帝는 世上을 떠났다. 이제 조카 유스티니아누스는 名實相符한 最高 權力者로 登極했다.

    그의 治世에는 許多한 業績이 쌓였다. ‘하기아 소피아 大聖堂(콘스탄티노폴리스)’李 建設된 것도 그때였다. 또 皇帝는 트리보니아누스를 起用해 로마법을 集大成했다(529). 이른바 ‘유스티니아누스 法典’이었다. 그의 治世에 確立된 法典을 後世는 ‘로마법大全(Corpus Juris Civilis)’이라 한다. 旣存의 여러 勅令과 法律에 存在하는 矛盾을 없앴다는 點에서 好評을 받았다.

    유스티니아누스 皇帝는 西方에 있던 로마의 領土도 相當 部分 回復했다. 그는 基督敎의 發展에도 寄與해, 이른바 東方正敎會의 發展에 큰 足跡을 남겼다는 評價를 받는다. 여러 名의 養子 出身 皇帝 가운데서 斷然 돋보이는 存在가 그였다.

    게르만족과 슬라브족 等 中世 유럽의 主人公들은 로마의 入養制度에 反感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에게는 血統의 純粹性이 重要했다. 中世가 되자 로마의 入養制度는 자취를 감추었다. 貴族 家門이든 王室이든 뒤를 이을 子女가 없으면 歷史의 舞臺에서 退出됐다.

    假令 英國의 慣習法(Common Law)만 해도 入養制度의 必要性을 認定하지 않았다. 英國 社會의 風習과는 距離가 멀었기 때문이다. 프랑스와 獨逸 等 유럽 帝國에서도 事情은 비슷했다.

    入養制度가 다시 登場한 것은 19世紀였다.‘나폴레옹 法典’(1804)은 制限된 範圍에서나마 入養을 制度化했다. 로마법을 復舊한 셈이었다. 以後 다른 유럽 國家도 하나둘씩 프랑스의 先例를 좇았다.

    ‘나폴레옹 法典’李 定한 入養 條件은 相當히 까다로웠다. 于先 入養 當時 養子는 이미 成年에 到達해 있어야 했다. 入養 時點에 養父의 나이는 高齡(50歲 以上)으로서 生殖 能力을 이미 喪失했다는 事實을 醫學的으로 證明해야 했다. 養父와 兩者는 나이 差異가 15歲 以上이라야 相續者의 資格을 갖춘 것으로 보았다.

    또 兩者는 養父의 목숨을 救한 生命의 恩人이든지, 아니면 그와 反對로 未成年 時節에 後날 養父母가 될 어른에게 長期間(6年 以上) 生計를 依存한 적이 있어야만 했다. 要컨대 養父母와 養子는 어느 한쪽이 다른 쪽의 生命을 救한 特別한 關係라야 했다. 歷史家들의 硏究에 따르면, 이처럼 까다로운 入養條件이 穩全히 充足되지 못한 境遇도 적지 않았다.


    近代 敎會의 새로운 役割

    1419년에 설계된 유럽 최초의 고아원 인노첸티. 1445년부터 공식적으로 고아원으로 사용됐으며, 현재는 아이들을 돕는 기관과 작은 박물관이 들어서 있다. [위키피디아]

    1419年에 設計된 유럽 最初의 孤兒院 人奴첸티. 1445年부터 公式的으로 孤兒院으로 使用됐으며, 現在는 아이들을 돕는 機關과 작은 博物館이 들어서 있다. [위키피디아]

    近代 유럽 社會에는 兪飢餓와 孤兒 問題가 深刻했다. 많은 사람이 갓난아이를 敎會 門 앞에 내다 버렸다. 가난 때문이기도 했고, 不倫 等의 理由로 願하지 않는 妊娠이 많았기 때문이다.

    聖職者들은 할 수 없이 이 아이들을 直接 맡아서 길렀다. 더러는 入養이 可能한 家庭을 찾아보기도 했다. 時日이 갈수록 關聯 規定이 차츰 整備됐다. 一旦 大勢는 버려진 아이들을 平生 동안 修道院에 머물게 하는 것이었다. 그들은 修道院의 일꾼으로 各種 任務를 擔當했다. 나중에는 敎會의 救恤 制度가 發展해 孤兒院도 設立됐고, 兪飢餓를 돌볼 病院도 세워졌다. 近代社會는 宗敎로부터 나날이 멀어졌으나 宗敎機關은 오히려 社會問題를 발 벗고 解決하는 樣相을 보였다.

    産業이 發達함에 따라, 兪飢餓 가운데서도 相當數 男子아이는 見習工을 거쳐 技術職 勞動者가 됐다. 女子아이들은 成年이 되면 敎會 및 關聯 機關의 周旋으로 家庭을 꾸렸다. 非公式的으로 有機兒童을 入養하는 機關 및 團體도 늘어났다. 값싼 勞動力을 제공받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것이 17~18世紀 유럽의 事情이었다.

    19世紀가 되자 兪飢餓 入養이 制度的으로 자리 잡았다. 美國 社會가 새로운 變化를 主導했다. 美國人은 兪飢餓와 孤兒를 正式으로 入養했다. 成年이 된 入養兒는 養父母의 遺産을 合法的으로 相續받았다. 勿論 그들에게는 年老한 養父母를 扶養할 義務도 있었다. 中世에 사라진 로마時代의 入養制度가 19世紀 美國에서 穩全히 復活한 셈이다. 그 後 美國의 入養制度는 유럽으로도 傳播됐다.


    入養 天國은 朝鮮 社會

    朝鮮 後期에는 入養制度가 發達했다. 貞操도, 哲宗도, 高宗도 入養을 통해 王位에 올랐다. 兩班 家門에서는 入養이 非一非再했다. 6部의 하나인 禮曹는 入養에 關한 事務로 분주했다.

    入養은 身分, 地域 및 階層을 超越했다. 身分 高下를 莫論하고 모두들 家計의 斷絶을 막기 위해 心血을 기울였다. 性理學 理念이 社會 全般에 깊이 파고든 結果로, 禮曹에는 入養 申請이 殺到했다. 禮曹는 年度順으로 審議 結果를 整理해 ‘계후등록(繼後謄錄)’이란 冊子를 만들었다. 그 一部가 아직도 남아 있는데 分量이 厖大하다.

    入養을 둘러싼 親族 間의 葛藤도 적지 않았다. 入養을 했다가 取消하는 騷動도 자주 벌어졌다. 또 生前에 當事者가 어렵게 朝廷의 許諾을 얻어 庶子를 赤字로 바꾸어(승적·承嫡) 自身의 後繼를 마련했어도 事後에 親族들의 反撥로 入養이 問題視되기도 했다. 1669年(玄宗 10), 윤선도 家門에서 일어난 한 가지 事件을 略述하면 다음과 같다.

    實錄에 따르면 國王 玄宗도 入養 問題에 깊은 關心을 가졌던 것 같다. 南人의 尊敬을 한 몸에 받던 尹善道의 兄嫂 元氏(尹宣言의 아내)는 自身의 곤란한 處地를 글로 呼訴한 바 있다. 當時 司憲府가 임금에게 報告한 內容을 간추려 보겠다.

    生前에 尹宣言(元氏의 男便)은 親조카 尹意味(尹善道의 次男)를 養子로 定했다. 그런데 尹意味는 命이 짧아 일찍 죽고, 두 아들을 남겼다. 그中 큰아들은 또 일찍 죽었다. 次男 尹爾厚(當年 18歲)가 唯一한 血孫이다. 그런데 집안에 複雜한 問題가 생겼다. 尹예미(尹善道의 3男)도 代가 끊길 판이라, 胤裔미는 尹爾厚를 自身의 養子로 삼으려 했다.

    元氏는 이 問題를 媤同生 尹善道와 相議했다. 그들은 尹爾厚를 胤裔美의 養子로 줄 수 없다는 立場을 確認했다. 그러나 1668年 겨울, 胤裔美가 問題를 일으켰다. 그는 過去試驗을 치러 서울에 올라온 김에, 玄宗에게 거짓 內容으로 呼訴해 尹爾厚를 養子로 만들어버렸다.

    猝地에 孫子 尹爾厚를 빼앗긴 元氏는 抑鬱함을 참지 못해 司憲府에 事件의 顚末을 알리고 잘못된 入養을 是正해달라고 請願했다. 報告를 받은 玄宗은 事實關係를 確認해 尹爾厚를 尹宣言의 使孫(嗣孫, 代를 이을 孫子)으로 確定했다.

    朝鮮 社會에서는 家門의 代를 잇는 것이 社會的 責務였다. 老齡에도 不拘하고 조카(尹예미)의 잘못을 告發하기 위해 서울까지 올라간 元氏의 心情이며, 아버지(尹善道)의 命을 어기고 世上을 속여서라도 自身의 代를 이으려 했던 아들(尹예미)의 懇切함이 皮膚에 와닿는다.

    要컨대 入養의 風習에 가장 決定的인 것은 文化였다. 한 社會의 理念이었다. 家門의 繼承이 꼭 必要한 것은 아니라는 생각이 널리 共有된 곳에서는, 入養이 制度로 定着하지 못했다. 그러나 家門의 永續性이 神聖한 義務로 여겨지던 文化圈에서는 正反對였다. 21世紀 韓國 社會는 어디쯤에 서 있을까.


    백승종
    ● 1957年 全北 全州 出生
    ● 獨逸 튀빙겐대 哲學博士
    ● 서강대 史學科 敎授, 獨逸 튀빙겐대 韓國 및 中國學과 敎授, 프랑스 國立高等社會科學院 招聘敎授
    ● 現 韓國技術敎育大 待遇敎授
    ● 著書 : ‘백승종의 逆說’ ‘마흔 歷史를 알아야 할 時間’
    ‘禁書, 時代를 읽다’ ‘正朝와 不良선비 강이천’ ‘朝鮮의 아버지들’ 等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