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너의 모습 그대로 괜찮아|신동아

名士에세이

너의 모습 그대로 괜찮아

  • 김수련 小說家

    入力 2018-12-16 09:00:01

  • 글字크기 설정 닫기
    最近에 알게 된 한 知人이 그림을 보내줬다. 맨발의 집시 少女가 들판에 서 있는 그림이었다. 日前에 내 어릴 때 寫眞을 보고 부그로의 그림 ‘Pastorale’李 떠올랐다고 한다. 知人은 내게 물었다.

    “언제부터 이 모습을 잃어버린 거예요?”

    뜬금없는 質問에 나는 어떤 對答도 하지 못했다. 對答 代身 물었다.

    “이 모습이 어떤 건데요?”

    “穩全하게 自己 自身으로 살아가는 모습. 他人의 視線은 神經 쓰지 않고 오롯이 自己 自身에 集中해 있고, 얼굴에는 好奇心이 그득해서 生氣가 넘치는 모습. 맨발로 世上을 들판 삼아 맘껏 뛰어다니며 傷處 난 발은 아랑곳하지 않는 그런 모습. 하지만 只今은 世上에 잘 길든(tame) 모습을 하고 있어요.”



    나는 아무 말도 할 수가 없었다.

    昨年 가을에는 數十 年 知己인 親舊가 寫眞이 담긴 額子를 내게 膳物했다. 베트남에서 찍은 寫眞이라고 했다. 寫眞에는 작은 배에 앉은 맨발의 한 젊은 女子가 櫓를 저어 江을 거슬러 올라가고 있었다. 이 寫眞을 膳物해준 理由가 궁금했다. 冊欌에 세워놓은 寫眞을 한참 동안 바라봤다. 親舊에게 물었다.

    “或是, 原始林의 맨발인 女子처럼 本然의 모습을 찾으라는 뜻?”

    親舊는 내 質問에 아무런 對答 없이 빙그레 웃기만 했다.

    그의 意味深長한 微笑를 接했을 때도, 知人의 말을 들었을 때도 나는 어떤 否定도 할 수가 없었다. 알고 있었다. ‘어릴 때의 나’와 ‘只今의 나’는 다르다는 것을. 그들에게 받은 그림과 寫眞을 보며 생각했다. 나는 언제부터 내 모습을 잃은 걸까. 그리고 그래서였을까? 살면서 늘 안 맞는 옷을 입은 不便함을 느껴야 했던 것이. 그 옷을 입은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었다고 말해왔다. 하지만 나의 選擇이었음을 認定해야만 했다. 世上이 나를 힘들게 한다고 恨歎했지만, 實은 내가 아닌 나로 살아가려고 選擇했기에 힘들었는지도 모른다. 나의 에고는 그런 부대낌 속에서 漸漸 强해져 過剩됐을 것이다. 내가 願하는 것이 아닌, 世上이 내게 願하는 것을 하려고 애쓰다 보니 結局 지치고 주저앉으면서 짙은 敗北感에 괴로워하는 일이 反復됐다.

    언제부터였을까. 왜 그랬을까.

    昨年 가을 그 親舊의 意味深長한 微笑를 본 以後로 1年餘 동안 내게서 떠나지 않는 質問을 부그로의 그림을 받고 다시 던져본다. 道路 위를 달리는 自動車의 摩擦音만 들리는 깊은 밤이다.


    다르다(different)와 틀리다(wrong)

    3年 前 쓴 위의 日記를 다시 읽다가 더는 페이지를 넘기지 못했다. 오랜 時間 동안 持續된 質問이었고, 이 日記를 쓴 以後로도 意識의 表面 아래에서 質問이 끊임없이 꿈틀대고 있었다. 부그로의 집시 少女 그림과 冊欌에 있는 寫眞을 번갈아 본다. 그들에게는 흐트러진 머리, 맨발, 그리고 어린 女子라는 共通點이 있다. 그림과 寫眞을 膳物해준 이들이 내가 맨발로 散髮을 하고 自然 속을 뛰어다니는 것을 願하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나는 이 그림과 寫眞이 象徵하는 것이 무엇인지 어렴풋이 알고 있었다.

    어른이 돼서 아이를 낳고 그 아이가 크자 氣質과 性向이 나와 비슷한 아이를 보며 어머니께서 말씀하셨다.

    “○○(아이 이름)은 좋겠다. 엄마가 理解해줄 테니까. 나는 너를 키울 때 理解하지 못해서 너를 참 힘들게 했는데.”

    어머니의 이런 告白은 不正當한 內 어린 時節이 뒤늦게라도 理解받는 느낌이었기에 무척 感動的이었다. 나의 어린 時節 記憶은 그런 것이었다. 사랑은 듬뿍 받지만, 理解는 받지 못하는 느낌. 내가 좋아하고, 願하고, 하고 싶은 일이 番番이 否定당하는 느낌이었다. 田惠麟의 表現을 빌자면 ‘誤植 活字처럼 世上에 거꾸로 있는 느낌’을 늘 느끼며 살았다. 다르다는 것이 틀리다는 것으로 認識되고, 終乃에는 다르기 때문에 잘못됐다는 생각에 이르렀을 것이다(우리는 얼마나 자주 ‘다르다(different)’를 ‘틀리다(wrong)’라는 單語로 代替해 쓰고 있는가). 다른 것이 잘못된 것이라고 강요당하면서 어느 瞬間 지쳐 스스로 잘못된 거라고 認定해버렸을지도 모른다. 그리고 이제 다르지(wrong) 않기 위해 삶의 方向을 轉換한다. 내 人生에서 나는 더는 主體가 아닌 客體가 돼버렸다. 내가 眞正 願하는 것이 아니라 父母님과 先生님, 그리고 親舊들이 願하는 것을 한다. 그들에게 理解받고 認定받고 稱讚받을 수 있는 일이 行爲의 指向點이 됐다. 自尊感은 弱해지고, 自尊心만 剛해지는 것이다. 내가 나를 認定하고 사랑하지 않으면서 世上은 나를 認定하고 내가 願하는 모습대로 봐달라고 强要하는 셈이다.


    Answer : Love Myself

    高等學校 때 나와 葛藤을 겪은 親舊가 마흔이 되던 해에 말했다.

    “高等學校 때는 너를 正말 理解하지 못했어. 네가 잘못됐다고 생각했지. 그런데 只今 생각해보니까, 네가 무척 勇氣 있었던 거 같아.”

    左衝右突하던 그때가 흔히들 말하는 疾風怒濤를 겪는 彷徨의 時期였다고 여기면서 줄곧 부끄러워했는데, 이제는 오히려 그 以後가 彷徨이었다고 생각한다. 내 人生의 主語를 다시 ‘나’로 바꾸려고 한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나 自身을 사랑하지 않으면 어느 무엇도 사랑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닫는다. 缺乏을 채우기 위한 熱情은 眞正한 사랑이 될 수 없을 터이다. 自身이 本人 삶의 主語가 되지 않으면, 그 삶은 他人의 基準과 視線에 從屬되고 만다. 때로는 그것이 配慮와 親切처럼 보일 때도 있다. 하지만 眞正한 配慮와 親切, 他人에 對한 理解는 各各의 主體들이 만났을 때야 可能할 것이다.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서 니체는 이렇게 말한다.

    *Mann muss noch Chaos in sich haben, um einen tanzenden stern gebaeren zu koennen(춤추는 별을 낳기 위해서는 自身 안에는 混沌을 지녀야 한다).

    逆으로 말하면 自身의 混沌을 認定하고, 다름을 認定하고, 그리고 그 모습 그대로 괜찮다는 것을 받아들일 때 眞正한 자유로움을 얻고 춤추는 별을 낳을 수 있다. 그 混沌을 否定하면서 들키지 않으려 애쓰게 된다면 他人에게 從屬돼 잘 길들여질 수밖에 없다.

    몇 해 前 예전에 쓰던 筆名으로 ‘너의 모습 그대로 괜찮아’라는 題目의 童話冊을 飜譯한 적이 있다. 獨逸語 原題는 ‘꼬마 唐나귀가 이렇게 컸어요’. 題目을 바꿔 붙이고 싶었다. 한 農場에 멋진 울음소리를 내는 말들과 山등성을 잘 올라가는 山羊들, 그리고 唐나귀 한 마리가 있다. 이 꼬마 唐나귀는 말의 近似한 울음소리를 흉내 내보려고 했지만 異常한 소리밖에 나오지 않는다. 山羊처럼 山등성을 올라가려 하지만 每番 굴러 떨어지기 일쑤였다. 그런 꼬마 唐나귀는 農場에서 놀림거리가 됐다. 하지만 唐나귀가 말처럼 멋진 울음소리를 내지 않아도, 山羊처럼 山등성을 잘 올라가지 않아도 그만이 할 수 있는 일을 해내면서 自身의 價値를 찾아가는 內容이었다. 動畫였지만, 어른인 내게 들려주는 이야기처럼 다가와 선뜻 飜譯하겠다고 했다. 그러고는 題目을 ‘너의 모습 그대로 괜찮아’라고 붙였다. 그 冊을 처음 읽었을 때 내게도 “너의 모습 그대로 괜찮아”라고 말해주는 이가 單 한 名이라도 있었다면, 하는 아쉬움이 있었지만, 이제는 괜찮다. 스스로 이렇게 말한다.

    “너의 모습 그대로 괜찮았어.”

    그리고 나의 아이와 世上 모든 親舊에게도 말해주고 싶다.

    “너의 모습 그대로 괜찮아.”

    * BTS의 ‘Wing’ 앨범에 收錄된 노래인 ‘피·땀·눈물’ 뮤직비디오에도 이 句節이 나온다. BTS는 ‘Love Yourself’ 앨범을 시리즈로 냈는데, 그 마지막 앨범에 ‘Answer: Love Myself’가 收錄돼 있다.


    김수련
    ● 1971年 慶北 尙州 出生
    ● 연세대 哲學과
    ● 베를린자유대 哲學과·교육학과 마이스터 過程 數學
    ● 小說家, 칼럼니스트
    ● 小說 ‘호텔 캘리포니아’ 外





    에세이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