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깨비 : 서울 청계천 영도교, 全南 羅州 等 全國 各地|新東亞

곽재식의 怪物餘地도

도깨비 : 서울 청계천 영도교, 全南 羅州 等 全國 各地

陰險한 鬼神일까, 귀여운 親舊일까

  • 곽재식 小說家

    gerecter@gmail.com

    入力 2019-04-08 10:00:02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史劇에 무던히 登場하는 朝鮮 英祖와 그 아들 思悼世子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곁가지에서 異常한 이야기를 하나 만나게 된다. 韓國 怪物 中에서 사람들이 가장 친숙하게 생각하는 도깨비 이야기다.
    [일러스트레이션·이강훈/ 워크룸프레스 제공]

    [일러스트레이션·이강훈/ 워크룸프레스 提供]

    朝鮮王朝實錄 1745年 2月 13日 記錄을 보자. 英祖가 罪人을 붙잡아 놓고 調査하는 內容이 나온다. 罪人 이름은 利得中, 兆徵, 유명복, 차섬 等. 이들이 思悼世子를 해치려 한 게 摘發돼 國文이 열렸다. 

    1745年이면 思悼世子 나이가 아직 滿 10歲 程度였다. 50代 初盤의 영조는 늦둥이 아들을 嚴格하고 徹底하게 가르치려 했다. 世子에 對해 지나칠 程度로 큰 期待를 갖고 있던 때이기도 했다. 그런데 몇몇 무리가 아들을 해치려 했다니, 영조는 크게 憤怒했을 것이다. 그는 잡힌 罪人들을 徹底히 다그쳤다. 그 問答이 朝鮮王朝實錄에 실려 있다. 

    그럼 이들은 大體 어떤 方式으로 임금의 아들을 해치려 한 것일까. 그 內容은 차섬에 對한 新聞 過程에서 드러난다. 무당이던 車섬이 詛呪를 거는 術法으로 思悼世子를 몰래 괴롭히려 한 것이다. 

    朝鮮王朝實錄에 따르면 車섬의 男便 유명복은 사람들이 아내를 ‘毒甲房(獨甲房)’이라고 불렀다고 말한다. 이때 ‘房’은 只今도 一部 方言에서 쓰이는 ‘心房’ 같은 語彙로 무당이라는 뜻으로 解釋된다. 그 앞의 ‘毒甲’은 ‘도깨비’를 漢字로 表記한 것으로 보인다.

    邪惡한 呪術의 對象

    같은 날 記錄에는 사람들이 차섬을 ‘魍魎房(房)’이라고 불렀다는 대목도 나오는데, 魍魎은 中國 古典에서 도깨비와 비슷한 느낌의 怪物을 일컫는 말이다. 그러니 앞의 ‘毒甲’李 도깨비를 漢字로 쓴 것임은 거의 確實하다. 차섬이라는 무당을 當時 사람들이 ‘도깨비房’이라고 불렀고, 朝鮮王朝實錄은 그것을 한 番은 말소리 그대로 옮겨 ‘毒甲房’으로, 다음엔 뜻으로 풀어 ‘魍魎房’으로 各各 表記했을 것이다. 



    그러니까 이 이야기 속에서 도깨비는 무당이 섬기거나 무당이 무엇인가를 付託하는 鬼神 같은 存在다. 그리고 賃金 아들을 해치는 것 같은 陰沈한 呪術을 들어주는 對象으로 돼 있다. 이날 記錄을 보면 사람들이 차섬을 처음에는 ‘虎口房(虎口房)’이라 하다가 後에 ‘毒甲房’이라고 불렀다는 內容도 있다. ‘虎口’는 ‘戶口媽媽’에서 알 수 있듯 天然痘나 傳染病을 내리는 鬼神을 일컫던 말이다. 그렇다면 英祖 時代, 무당과 무당을 믿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도깨비가 傳染病 鬼神 같은 位置에 있던 怪物이라고 斟酌해 볼만도 하다. 

    朝鮮王朝實錄에서 도깨비 이야기는 何必이면 이렇게 몰래 宮中에 浸透한 무당이 呪術로 賃金 아들을 해치려고 할 때 나온다. 童話로 도깨비 이야기를 接한 요즘 사람들이 도깨비를 장난스럽고 諧謔的이며 親近한 對象으로 여기는 것과는 제법 差異가 난다. 도깨비를 이렇게 呪術的으로 무엇인가 祈願하는 對象, 요사스럽고 陰沈한 對象으로 보는 視角은 朝鮮時代 다른 記錄에서 더 찾아볼 수 있다. 朝鮮 初期인 世宗 때 出刊된 冊 ‘釋譜詳節’에는 ‘돗가비’라는 말이 나온다. 이 冊은 世宗이 한글을 創製하고 몇 年 지나지 않은 時點에 刊行한 佛敎 書籍이다. 따라서 도깨비라는 말이 한글로 적힌 매우 初期 記錄으로 손꼽힌다. 

    釋譜詳節에 있는 돗가비, 그러니까 도깨비에 對한 內容은 이렇다. 사람들이 虛妄하게 非命橫死하는 것을 避하려고 부질없이 도깨비에게 壽命 延長을 祈願한다는 것. 卽 여기서도 도깨비는 사람들이 崇拜하거나 呪術的인 힘을 얻고자 도움을 請하는 對象이다. 佛敎 思想을 說明하는 冊인 釋譜詳節의 趣旨를 勘案할 때, 도깨비를 바람직한 것이 아니라 不吉하고 나쁜 것으로 描寫했음을 斟酌할 수 있다. 나는 이 또한 朝鮮時代 사람들이 도깨비를 陰沈한 呪術 對象, 어두운 所願을 빌 때 邪惡한 方式으로 도움을 주는 怪物로 여겼음을 보여주는 端緖라고 생각한다.

    사람을 富者로 만들어주는 장난꾸러기

    충남 부여 규암면 외리에서 출토된 무늬벽돌 위에 새겨진 도깨비 부조. [국립부여박물관 제공]

    忠南 扶餘 규암면 外吏에서 出土된 무늬甓돌 위에 새겨진 도깨비 扶助. [國立扶餘博物館 提供]

    現代 硏究者들이 도깨비에 關한 傳說을 硏究할 때 자주 參照하는 건 ‘한국구비문학대계’다. 1970年代 末 以後 蒐集된 說話를 集大成한 資料다. 바로 여기에 親近하고 우스꽝스러운 도깨비 모습이 많이 실려 있다. 도깨비를 素材로 한 童話는 日帝强占期 以後 出版物과 大衆媒體를 통해 反復的으로 流布되고 있었으니, 1970年代 末 사람들 사이에서는 이미 童話에 어울리는 도깨비가 剛한 印象을 갖고 있지 않았을까 싶다. 그 過程에서 옛날 도깨비 이야기에 나타나던 陰沈하고 呪術的이고 邪惡한 모습은 漸漸 사라져버리지 않았을까. 

    勿論 朝鮮時代 記錄에서 親近하고 장난스러운 도깨비를 全혀 찾아볼 수 없는 건 아니다. 親近한 도깨비 이야기를 담은 記錄도 分明히 存在한다. 代表的인 것으로 朝鮮 建國의 理論的 基盤을 세운 思想家 鄭道傳이 쓴 ‘舍利每文’이다. 

    鄭道傳은 젊은 時節 只今의 全南 羅州 地域 어느 외딴 마을에서 귀양살이를 했다. 그때 經驗을 素材로 쓴 글이다. 內容을 보면 鄭道傳은 當時 ‘낮은 길기만 한데 사람은 아무도 없는’ 외롭고 無聊한 狀況에서 完全히 失意에 빠져 지냈다. 그러던 中 언뜻 잠결에 ‘魑魅魍魎(魅)’이란 것이 떼거리로 自己 옆에 찾아와 뛰기도 하고 기대기도 하고 기뻐하기도 하고 슬퍼하기도 하며 騷亂을 떠는 것 같은 異常한 느낌을 받게 된다. 

    여기서 ‘魑魅魍魎’은 鬼神 비슷한 怪物의 通稱으로 中國 古典文學에서 흔히 使用하는 慣用語다. 朝鮮時代에는 이 말을 도깨비와 비슷한 느낌으로 쓸 때가 種種 있었던 것 같다. 앞서 紹介한 英祖時代 朝鮮王朝實錄에서 도깨비 무당을 漢字로 ‘魍魎房’이라고 쓴 게 한 事例다. 釋譜詳節 亦是 마찬가지다. 이 冊에서 ‘돗가비’가 나오는 대목은 元來 佛敎 文獻 ‘藥師經’에 나오는 이야기를 우리말로 옮긴 것으로, 藥師經에서 ‘돗가비’에 該當하는 單語가 바로 ‘魍魎’이었다. 그러니까 釋譜詳節 出刊을 主導한 首陽大君 等 朝鮮 初期 사람들은 漢字語 ‘魍魎’을 우리말 ‘도깨비’로 여긴 것이다. 

    朝鮮 末期에도 같은 事例가 보인다. 1908年 日本人 우스다 棧雲(薄田斬雲)李 朝鮮 風俗에 對해 쓴 冊 ‘暗黑의 朝鮮(暗黑なる朝鮮)’에는 朝鮮의 獨特한 妖怪鬼神을 다루며 ‘魑魅魍魎’과 ‘獨脚(獨脚)’을 묶어서 紹介하는 대목이 있다. ‘둘 다 姓을 金氏라고 한다’고 쓰여 있는데, 이것은 現代까지 傳來된 傳說인 ‘도깨비를 김첨지라는 別名으로 부른다’와 脈이 통한다. 그렇다면 ‘獨脚’도 도깨비를 漢字로 옮긴 말일 것이다. 

    ‘暗黑의 朝鮮’에서 ‘魑魅魍魎’은 偶然히 사람이 흘린 피가 變한 怪物로, 불덩이에 휩싸인 모습이며 사람보다 덩치가 큰 惡魔 같은 것으로 描寫된다. ‘獨脚’은 피 묻은 빗자루에서 생긴 怪物이라고 한다. 魑魅魍魎은 씨름을 하고, 獨脚은 사람에게 많은 돈을 가져다준다는 內容도 있다. 이런 대목은 장난치기를 좋아하고 사람의 親舊가 되기도 하는, 요즘 널리 알려진 도깨비 이야기와 그리 다르지 않게 느껴진다.

    알 수 없는 怪物의 通稱

    일본 에도시대 출간된 요괴 그림책 ‘금속화도속백귀’에 실린 망량(왼쪽)과 일본 도깨비 그림을 조각한 일본 기와. [위키피디아, 강우방 제공]

    日本 에도時代 出刊된 妖怪 그림冊 ‘金屬化徒屬百鬼’에 실린 魍魎(왼쪽)과 日本 도깨비 그림을 彫刻한 日本 기와. [위키피디아, 강우방 提供]

    우리 文獻에서 도깨비의 겉모습에 對한 描寫는 좀처럼 찾아보기 어렵다. 日帝强占期 以後 日本의 ‘汚泥(鬼·おに)’를 그린 揷畵가 도깨비 모습으로 대충 使用된 事例가 많았다는 事實이 요즘 널리 알려졌다. 그만큼 우리 先祖가 그린 도깨비賞을 찾는 게 쉽지 않다. 도깨비 모습을 具體的으로 적은 記錄도 드물다. 朝鮮 後期의 實學者 李瀷은 著書 ‘星湖僿說’의 ‘汽船(箕仙)’ 項目에서 우리나라 ‘獨脚(獨脚)’이란 것이 中國 文獻에 나오는 ‘汽船’과 비슷하다고 說明했다. 이때 獨脚 또한 도깨비를 漢字로 表記한 말로 보인다. 

    利益은 이 글에서 도깨비가 사람 흉내를 내고, 사람과 어울리기도 하는데, 그 正體는 오래된 빗자루나 절구공이이며, 모두 自己 姓을 金氏라고 한다고 밝혔다. 이처럼 도깨비의 特徵에 對해 제법 많은 것을 說明하면서도 그 形體에 對해서는 거의 說明하지 않았다. 사람 흉내를 낸다는 걸 보고 사람 形象과 닮은 點이 많을 것이라고 推測할 수 있는 程度가 全部다. 

    17世紀 末 朝鮮에서 出刊된 中國語 語彙 事前 ‘譯語類解’를 보면, 버드나무 定期에서 생긴 怪物이라는 뜻의 中國 單語 ‘유수정(柳樹精)’, 夜叉(夜叉)의 定期에서 생긴 怪物이라는 뜻의 ‘夜叉情(夜叉精)’, 여우나 살쾡이의 定期에서 생긴 怪物이라는 뜻의 ‘好里正(狐狸精)’ 等을 모두 우리말 ‘독갑이’, 卽 도깨비로 飜譯했음을 알 수 있다. 나무와 關聯된 怪物을 도깨비로 보았다는 點에서 ‘暗黑의 朝鮮’이나 ‘星湖僿說’과 脈이 통한다. 反面 여러 怪物을 區別 없이 모두 도깨비로 總稱한 것을 보면 겉모습에 크게 求愛치 않았던 것 같기도 하다. 

    參考로 朝鮮 初期에 刊行된 佛敎書籍 ‘月印千江之曲’에서도 부처의 弟子 舍利佛과 怒濤差가 妖術 對決을 하는 佛經 대목을 한글로 옮기면서 怒濤差가 夜叉로 變하는 대목을 怒濤差가 도깨비로 變했다고 飜譯한 事例가 있다. 

    일본 홋카이도 노보리베츠의 도깨비 오니상. [flickr@Paul tractor]

    日本 홋카이도 노보리베츠의 도깨비 誤니上. [flickr@Paul tractor]

    그러므로 도깨비가 특정한 모습을 한 具體的인 形態의 怪物이라기보다는, 鬼神과 사람 사이, 잘 알 수 없는 異常한 怪物을 두루두루 일컫는 말에 가깝지 않았나 싶다. 정도전 또한 ‘舍利每文’에서 自身이 만난 魑魅魍魎은 사람도 아니고 鬼神도 아니며 흐릿한 것도 아니고 또렷한 것도 아니라고 說明하고 있다. 그러니 요즘 一角에서 뿔이 두 個 달리면 日本 오니이고, 韓國 도깨비는 뿔이 하나라느니 아니면 아예 없다느니 하며 도깨비 모습을 嚴格하게 規定하려 하는 것은 오히려 옛글에 드러난 先祖들의 생각과 맞지 않는 것이 아닌가 생각해보기도 한다. 

    옛글 가운데서 도깨비의 獨特한 모습을 具體的으로 描寫한 事例를 굳이 찾아보면 19世紀 이야기冊 ‘機關(奇觀)’에 실린 ‘燕口취부(宴鬼取富)’라는 題目의 글이 있긴 하다. 念動이라는 사람이 이매(魅) 같은 部類를 만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여기서 염동이 만난 것은 金僉知라고 하는데, 패랭이갓 쓰고 베 홑옷을 걸치고 허리에 纏帶를 두르고 손에는 채찍을 쥐었다. 키는 8尺이고 걸음걸이는 허둥거리며 容貌는 아주 奇怪해 사람 비슷하면서 사람이 아니고 鬼神 비슷하면서 鬼神이 아니라고 쓰여 있다. 김첨지는 비슷한 存在들과 牌거리를 지어 어울리는데, 牌거리의 頭領을 夜叉라고 했다. 夜叉는 머리에 뿔이 하나 있고 붉은 털에 푸른 몸뚱이다. 

    ‘燕口취부’ 이야기에서 金僉知 牌거리는 사람에게 잔치를 열어달라고 하고, 잔치를 열어주면 많은 財物을 베풀어 富者가 되게 해준다. 이 牌거리 40名 程度가 무리 지어 光熙門과 영도교에서 번쩍거리며 나타난다는 대목도 있다. 이들은 두더지 고기 삶은 것 따위의 특정한 것을 먹으면 죽어서 本來 모습으로 돌아가는데, 本來 모습이란 오래된 빗자루에 뼈다귀 따위가 섞인 것이라고 한다.

    도깨비의 故鄕

    태국의 야차상. 방콕의 왕실 사원 
왓 프라깨우(Wat Phra Kaew)에 있다.

    泰國의 夜叉上. 방콕의 王室 寺院 왓 프라깨우(Wat Phra Kaew)에 있다.

    나는 ‘朝鮮時代 記錄으로 본 도깨비의 特徵’(107쪽 箱子 參考)을 整理했다. 作家로서 도깨비 이야기를 새롭게 짓는다면 나는 이런 特徵을 살리고 싶다. 도깨비를 專門的으로 부리거나 섬기는 ‘도깨비房’이라는 職業이 있었다는 朝鮮王朝實錄 이야기를 되살려보는 것도 재밌을 것 같다. 例를 들면 敎育 豫算 不足으로 數十 年 동안 冊걸床을 交替하지 못한 學校에 도깨비와 關聯해 天賦的 才能을 가진 學生이 入學한다. 그 學生이 敎室에 깃들어 있던 도깨비를 만나고 自由自在로 부리게 된다는 줄거리다. 

    或은 都心 再開發을 위한 옛 집터 解體 過程을 空間的 背景으로 삼을 수도 있다. 工事場 人夫가 數百 年 동안 땅 아래 묻혀 있던 빗자루나 절굿공이를 파냈다가 거기 붙어 있던 도깨비를 만나고 도깨비를 부리는 사람이 된다는 줄거리도 괜찮을 것 같다. 

    ‘舍利每文’의 背景이 되는 全南 羅州 한 마을이나, ‘機關’에 나오는 도깨비 이야기의 舞臺 淸溪川 영도교 等을 도깨비 關聯 名所로 좀 더 다채롭게 꾸며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도 해본다. 只今 韓國 怪物의 代表로 斷然 꼽을 만한 것이 도깨비이니, 이를 象徵하는 場所나 도깨비의 故鄕 같은 것을 한 군데 程度는 마련해놓는 게 마땅하지 않나 싶다. 

    마침 淸溪川 영도교는 황학동 벼룩市場에서 멀지 않다. 도깨비의 신비로운 童話를 떠올리기에 그럴듯하다. 오래된 木刻人形을 팔고 사는, 마치 도깨비 같은 사람이 나타났다 忽然히 사라지는데, 그 사람을 만나면 큰돈을 벌 수 있다는 式의 이야기 말이다.

    朝鮮時代 記錄으로 본 도깨비의 特徵

    (1) 鬼神은 아니지만 사람이나 짐승인 것도 아니다.
    (2) 사람 所願을 들어주거나 呪術을 行한다.
    (3) 사람이 富者가 되게 해줄 수 있다.
    (4) 中國 古典의 이매, 魍魎과 통하는 點이 있다.
    (5) 佛敎 文獻의 夜叉와 통하는 點이 있다.
    (6) 오래된 빗자루, 절굿공이, 나무가 그 本모습日 수 있다.
    (7) 불빛을 보이거나 불에 휩싸인 모습으로 나타난다.
    (8) 사람에게 親近하게 對할 때도 있다.
    (9) 自身을 金氏라고 한다.


    곽재식 | 1982年 釜山 出生. 大學에서 兩者工學, 大學院에서 化學과 技術政策을 工夫했다. 2006年 短篇小說 ‘토끼의 아리아’로 作家 生活을 始作했으며 小說集 ‘當身과 꼭 結婚하고 싶습니다’, 敎養書 ‘로봇 共和國에서 살아남는 法’ ‘韓國 怪物 百科’ 等을 펴냈다.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