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둘기號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비둘기號
槪要
現況 運行 中止
期間 1957年 2月 27日 ~ 2000年 11月 14日
路線
運行 路線 京釜線

비둘기號 (비둘기號)는 2000年 11月 14日 까지 大韓民國 에서 運行한 緩行 列車의 等級 이름이다. 거의 大部分의 驛에 停車하였으며, 中, 末年은 中斷거리 通勤/通學用 運送 手段으로 活躍했다.

歷史 [ 編輯 ]

旣存 '普通列車' 等級으로 運行되어 모든 驛에 停車하던 緩行列車의 이름을 1984年 列車 名稱 改正視에 비둘기號로 變更하였으며, 最下位 等級의 列車로 運行되었다. 1990年代 들어 車輛이 老朽化하고 運賃을 現實化할 必要性이 생겨, 그에 對한 經營 改善策으로 비둘기號 等級 廢止가 擧論되었다. 1996年 12月 京義線 京元線 에 運行되던 비둘기號 列車가 統一號 로 昇格된 것을 始作으로 漸次 많은 列車가 統一號로 昇格·交替되었다. 結局 1998年 旌善線 을 除外한 모든 비둘기號를 廢止하고 統一號를 緩行列車 等級으로 낮추게 되었다. [1] 그 以後 2000年 11月 14日 旌善線 에 運行되던 마지막 비둘기號 列車를 끝으로 退役하였다.

車輛 [ 編輯 ]

鐵道博物館 의 비둘기號 客車 (12061號)
果川科學館 디젤機關車는 파키스탄 으로 輸出 賣却 되었다.

固定椅子 客車 [ 編輯 ]

1957年 2月 27日 서울工作窓에서 12001~12002號를 生産해 1959年 8月 20日 運行式을 했다. 이 車輛은 大韓民國 最初의 國産 客車이다. 繼續해서 1960年 에 12003~12016號를, 1961年 에 12017~12023號를 生産했다. 仁川工作廠에서 비둘기號 客車 1962年 에 154輛, 1963年 에 115輛, 1964年 에 40輛, 1965年 에 114輛, 1966年 에 30輛, 1968年 에 50輛, 1969年 에 41輛, 1970年 에 90輛, 1971年 에 10梁을 製作했다. [2]

座席은 總 108名分이 있으며, 直角으로 固定되어 등받이를 轉換할 수 없는 크로스 시트(박스 시트)가 設置되었다. 門은 手動으로 操作할 수 있으며, 內部에는 白熱燈 및 扇風機 程度의 冷房 裝置가 設備되어 있었다. 車輛 下部에는 簡單한 照明이나 冷房을 爲한 배터리가 裝着되어 있으며, 貸借의 옆에는 배터리에 充電을 目的으로 하는 發電機가 車輪 안쪽에 別途로 붙어 있는 벨트 回轉 바퀴로 驅動하는 構造로 되어 있다. 貸借는 草創期의 軸스프링 및 판스프링 貸借를 適用하였으며, 制動 方式은 畓面 兩壓式 패드 制動 方式이었다.

車輛 種類나 軟式別로 客室 窓門의 配列이 若干씩 差異가 있는데, 이것으로 客車를 더욱 細部的으로 區別한다. 窓門이 日 模樣으로 된 車輛, 正四角形 模樣의 窓門이 一定 間隔으로 떨어진 車輛, 正四角形 模樣의 窓門이 두 個마다 넓은 間隔으로 떨어지고 두 個 사이는 좁은 間隔으로 떨어진 車輛 等으로 나뉜다. 또한 別途의 洗面室과 化粧室 窓은 不透明 琉璃를 썼으며, 下部는 換氣를 目的으로 하는 나무 그릴 形式으로 되어 있었다.

座席은 앞의 1番부터 10番 座席 뒤의 나머지 10個 座席 等은 座席 配定이 안되어 있어서 先着順으로 立席 乘客들이 使用할 수 있다.

長椅子 客車 [ 編輯 ]

이 車輛은 全國 大都市에서 運行하고 있는 地下鐵 車輛과 同一하게 롱 시트를 座席 配置로 삼았다. 따라서 이런 種類의 客車는 週로 短距離 地選 비둘기號 列車로 運行하였다. 1965年 부터 1970年 까지 仁川工作廠에서 製作했다. 最高 速力은 110km/h이며, 車輛 重量은 34톤이다. 116名分의 座席이 設置되었으며, 天障에 6個의 扇風機 가 취부되었다. 發電車 없이 車軸의 回轉에 依해 電力을 生産해 暖房했다.

客車의 出入門은 手動式 미닫이門이었고, 化粧室은 設置되었으나 洗面場은 없었다. 다만 一部 車輛의 境遇 化粧室 맞은便에 放送室이 設置된 車輛도 存在하였다. 客室 窓門은 日 模樣으로 된 1:1 分割로 上部 窓門을 내리거나 下部 窓門을 끌어올리는 式으로 開閉가 可能하였다. 貸借는 軸스프링 및 판스프링 貸借를, 照明은 白熱燈을, 發電 方式은 車輛 바퀴가 回轉하면서 電氣를 얻는 車軸 發展을 採擇하였다.

非冷房 統一號 客車 [ 編輯 ]

座席이 72人乘인 點이 위의 것과 큰 差異이다. 1986年 以後로 統一號 客車 를 冷房 施設을 갖추도록 改造하면서, 冷房化 改造를 進行하지 않은 車輛을 비둘기號로 格下시켜 運用한 것이다. 따라서 統一號 나 改造 全義 無窮花號 客車 와 內部 構造가 類似하다. 化粧室 및 洗面臺 設備가 있으며, 格下 當時의 化粧室 및 洗面設備 等은 改良 事業에서 除外됨으로써 草創期 統一號 의 것과 同一하다. 冷房 改造도 되어 있지 않았으며, 貸借는 統一號의 것과 同一한 量壓 제동식 프레스江 鎔接貸借(HHBT型)로 運行하였다.

디젤 同次形 비둘기號 車輛 [ 編輯 ]

特異點 [ 編輯 ]

  • 108人乘 客車와 72人乘 客車엔 洗面場과 化粧室(東洋式)을 設備하였고, 化粧室에서 發生한 汚物이 鐵길 위로 바로 떨어진 '砒酸式'을 適用하였다. 따라서 驛 構內의 衛生的인 管理 等을 事由로 비둘기號 客車의 化粧室 出入門은 '停車 中 使用을 禁함'이라는 文句가 標示되어 있다. 客車 出入門은 手動이며 여닫이型이 많이 쓰였고 미닫이型은 少數 있다.
  • 驛의 停車時間은 約 1分이었으나 急行列車( 統一號 , 無窮花號 , 새마을號 )를 먼저 보내줄때에는 約 5分間 停車하였다.
  • 退役이 가까워지던 1990年代 中盤은 客車를 단 2칸만 달고 運行하기도 하였다.
  • 冷房裝置는 回轉扇風機였다.

保存 [ 編輯 ]

客車의 保存 現況으로, 同次形 비둘기號의 保存 現況은 니가타 디젤 動車 文書를 參考바람.

列車 運行 [ 編輯 ]

旅客 [ 編輯 ]

비둘기號는 韓國鐵道의 모든 路線에서 두루 運行되어, 旅客이 乘下車한 모든 驛에 停車하여 主로 短距離 通勤/通學 需要를 擔當하였고, 서울 ( 龍山驛 )에서 釜山 ( 부산진역 ) 이나 光州 , 木浦 區間 等 長距離를 運行한 列車도 더러 存在하였다. 單 湖南線 채운역 이나 歌手員役 같은 極少數의 選擇停車驛은 있지만 基本的으로 乘降場을 갖추고 驛이라고 지어진역은 모두 停車하였다. 1984年 列車等級改正 以前은 '普及'와 '普通'으로 列車等級이 나뉘어 있으나, '普及'列車의 機能을 '特級'과 統合하여 統一號 로 變更하고 純粹한 '普通'等級이 비둘기號로 定着되었다.

小貨物 [ 編輯 ]

當時 宅配産業이 發達하기 前에는 驛에서 짐을 부칠 수 있는 小貨物制度가 運營 中이었고, 京釜線 等 主要幹線에는 小貨物專用列車가 運行되기도 했었으나 그렇지 않은 境遇 비둘기號 列車에 郵便車輛이나 小貨物客車를 함께 連結하여, 各 驛 乘降場에서 짐을 싣고 내리곤 하는 方式으로 運營되었다. 이러한 運營方式을 混合列車라고 하였다.

運賃 [ 編輯 ]

市內버스 料金이 120원이었던 1987年 當時 龜浦驛 에서 22킬로미터 떨어진 원同役 까지의 料金은 180원이었다. 1996年 當時 長距離 비둘기號 列車料金은 中央線 全區間 釜田驛 에서 서울 淸凉里驛 까지는 6500원이었고 運行時間은 12時間이었다. 釜山 龜浦驛에서 光州廣域市 까지의 料金은 4500원이었다.

1992年 基準

  • 江陵-청량리: 3480원
  • 江陵-楊平: 3030원
  • 江陵-原州: 2570원
  • 江陵-堤川: 2170원
  • 江陵-丹陽: 1970원
  • 江陵-風紀: 1750원
  • 江陵-安東: 1950원
  • 江陵-義城: 2190원
  • 江陵-永川: 2690원
  • 江陵-慶州: 3010원
  • 江陵-蔚山: 3340원
  • 江陵-海雲臺: 3800원
  • 江陵-釜田: 3970원
  • 江陵-大邱: 3010원
  • 江陵-凍大口: 2990원

主要 運行 區間 [ 編輯 ]

비둘기號가 運行하였던 區間은 一一이 列擧하기 힘들 程度로 다양하고 많다. 다만 主要 幹線에서는 두 據點驛 間을 運行하는 境遇가 많았다.

  • 서울-天安
  • 馬山-大邱
  • 大戰-凍大口/大邱
  • 凍大口-釜山/釜山鎭
  • 天安/大田-金泉
  • 龍山/天眼-張沆
  • 淸凉里-春川
  • 淸凉里-釜田
  • 淸凉里-原州
  • 金泉-榮州
  • 도계-江陵
  • 龍山-부산진
  • 釜山鎭-浦項
  • 釜山鎭-蔚山
  • 釜山鎭-光州
  • 木浦-順天/麗水
  • 서울/용산-문산
  • 서울-議政府
  • 議政府-신탄리
  • 龍山 - 光州(89年에는 龍山 - 木浦는 運行하지 않음)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오세균 記者 (1998年 11月 30日). “비둘기號 庶民과함께 30年” . 《KBS》.  
  2. 김상기 記者 (1988年 3月 14日). “千臺 받는 비둘기號 列車” . 《MBC뉴스데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