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西方敎會 大分裂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西方敎會 大分裂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西區 代離敎 에서 넘어옴)

西方敎會 大分裂

西方敎會의 分裂을 象徵化한 14世紀의 細密畫.
날짜 1378?1417年
場所
西方 基督敎 國家 (主로 유럽 )
結果 敎皇 마르티盧 5歲 의 任期와 그 後 몇 年間인 1417?1429年 동안 安定化.
交戰國

西方敎會 大分裂 ( 라틴語 : Magnum schisma occidentale )은 14世紀 아비뇽 有數 가 終了된 直後에 로마와 아비뇽에 두個의 合法的인 敎皇廳과 두 名의 正統 敎皇이 存在하게 되면서 西方敎會 가 分裂하고 西유럽 全域에 걸쳐 大混亂이 펼쳐졌던 事件을 말한다. 敎皇 우르바노 6歲 와 프랑스 出身 樞機卿들 사이에서 發生한 葛藤 끝에 樞機卿들이 旣存 콘클라베 에 對해 無效를 宣言한 뒤 새로운 敎皇을 選出하면서 觸發되었다. [1]

로마와 아비뇽의 敎皇은 自身에게 正統性이 있다고 서로 主張하였으며 西유럽 各國은 政治的인 利害關係에 따라 支持하는 敎皇을 달리하였다. 두 名의 敎皇이 人事權을 濫發하자 各 地域 敎會는 두 名의 大主敎, 두 名의 修道院長, 두 名의 本堂神父를 갖게 되었다. 이들은 서로 相對方을 破門하였기 때문에 理論的으로는 西유럽의 모든 聖職者와 信者들이 波紋 狀態에 놓이게 됐다. [2] 敎會와 修道院과 家庭의 平信徒들까지 支持하는 敎皇이 달랐으며 이로 인해 유럽社會는 一帶 大混亂이 펼쳐졌다.

事態를 收拾하고자 피사公議會(1409年)가 召集되어 두 敎皇을 廢位하고 새로운 敎皇을 選出하였으나 로마와 아비뇽 敎皇이 公議會의 決定을 認定치 않으므로 인해 史上 初有에 合法的인 3名의 正統 敎皇이 存在하는 事態가 벌어졌다. 이러한 混亂은 最終的으로 콘스탄츠 公議會 (1414~1418)에서 解決되었으며 이로 因해 公議會 水位설 이 浮上하면서 敎皇의 權威는 弱化되었다.

歷史的 背景 [ 編輯 ]

時代의 變化 [ 編輯 ]

敎皇權은 카노사 屈辱 (1077年)과 보름스 協約 (1122年) 以後 漸次 上昇하더니 인노첸시오 3歲 때 絶頂에 達하였다. [3] 그러나 神의 이름으로 進行되었던 200年間의 十字軍 戰爭 (1095-1272)李 別所得없이 終了되자 宗敎에 對한 會議가 澎湃해졌다. 敎會의 權威는 墜落하고 있었으나 敎皇은 如前히 時代錯誤的인 發想을 하며 反省을 할 줄 몰랐다. 商工業이 發達하며 中産層 階級을 이룬 市民勢力의 社會的 地位는 向上되어 갔고 土地를 基盤으로 한 封建 貴族들의 힘은 漸次 弱化되어 갔다.

敎會 中心的인 封建制가 瓦解되는 過渡期가 始作되면서 各國의 王과 領主들은 더 以上 敎皇의 눈치를 볼 必要 없이 市民勢力과 合心하여 勢力을 擴張하며 새로운 時代的 흐름에 便乘하였다. 領主들과 競爭할 수밖에 없었던 프랑스 王 필리프 4世에게 있어서 中央集權을 通한 國王 中心의 새로운 國家體制 整備는 時代的 使命이었다. 필리프 4歲 는 부르주아지 또는 下位貴族 出身의 知識人들을 重用하여 中央集權的 官僚制와 機構를 整備했다. 이런 그의 努力은 좋은 結實을 거두기는 하였으나 組織擴張으로 인해 王室財政을 악화시키는 原因이 되기도 했다.

아나니 事件 [ 編輯 ]

아나니 事件 (1303年 9月 7日)

制度와 行政機構 改編으로 中央集權과 王權을 强化한 프랑스 王 필리프 4歲 는 不足한 財源마련을 위해 聖職者에게 課稅를 하면서 敎皇 보니파시오 8歲 와 對立하였다. [4] 敎皇의 讓步로 봉합되는 듯하던 葛藤은 再發하더니 及其也 極端的인 狀況으로 치달았다. 1303年 9月 7日 필리프 4歲 가 보낸 프랑스 軍人들이 이탈리아 아나니에 머물고 있던 敎皇을 逮捕, 監禁하고 暴言을 일삼으며 退位를 强要하는 事件이 벌어졌다. [5] 作戰은 電擊的으로 이루어져 敎皇別宮이 있는 아나니를 急襲하였다. 이렇게 迅速하게 作戰이 이루어진 理由는 敎皇이 새로운 勅書를 통해 필리프 4世를 波紋하려 했기 때문이다. [6] 波紋이라는 靈的 武器를 濫發하는 敎皇에 對해서, 世俗君主로서 武力을 動員한 實力 行使로 맞對應을 한 것이다.

奇襲作戰의 指揮는 프랑스 貴族 '기욤 드 노가레'가 하였으며 로마 土着 貴族 '시아라 콜로나'가 그의 士兵들을 動員하여 함께 事件에 加擔하였다. 시아라 콜로나는 敎皇을 生捕한 後 빰을 때렸다고 傳해지기는 하는데 正確한 內幕은 알 수 없다. [7] 다만 敎皇이 暴行을 當한 것만큼은 事實이다. 노가레는 프랑스로 押送하여 [6] 宗敎裁判에 回附하길 願했고 [8] 콜로나는 卽決 處刑을 主張하며 [9] 意見이 좁혀지지 않는 동안에 敎皇은 3日間 굶주린 채 獨房에 放置되었다. 사흘째 되던 날 아나니 市民들이 侵入者들을 몰아내고 敎皇을 求해냈으나 [10] 이 事件의 衝擊으로 인해 敎皇은 한 달 동안 食飮을 全廢하고 死境을 헤매다 死亡하고 말았다. [11] 카노사 屈辱 (1077年)을 世俗君主가 맛본 代表的인 屈辱事件이라 한다면 '아나니 事件'은 敎皇이 屈辱을 맛본 象徵的인 事件이라 할 수 있다.

아비뇽 有數 [ 編輯 ]

아나니 事件을 통해 敎皇權을 꺽은 필리프 4世는 優位를 차지할 수 있었다. 보니파시오 8歲 의 後任으로 選出된 베네딕토 11歲 가 8個月 만에 死亡한 後 콘클라베가 召集되었으나 1年 동안 새로운 敎皇을 選出하지 못했다. 樞機卿들이 필리프 4世와 和解를 摸索하는 親프랑스派와 復讐를 要求하는 反프랑스波로 나뉘었기 때문이다. [12] 1305年이 되어서야 親프랑스派의 意見이 貫徹되어 프랑스 出身 베르트랑이 敎皇 클레멘스 5歲 로 被選되었다. 新任 敎皇은 프랑스 王室의 支持를 받던 大主敎 出身으로 리옹에서 卽位式을 擧行하였다. [12]

敎皇 클레멘스 5世는 프랑스 王의 强力한 干涉을 받았으며, 로마로 들어가지 못한 채 프랑스에 滯留하게 되었다. 또한 1309年 필리프 4歲의 要求에 따라 敎皇廳이 프랑스 아비뇽으로 移住하였다. 以後 1377年까지 70年間 敎皇廳은 아비뇽에 머무르며 7名의 프랑스 出身 敎皇을 輩出하였다. 樞機卿들도 大部分 프랑스 出身들이 任命되었다. 아비뇽의 敎皇들은 프랑스 王의 影響 속에서 프랑스에 依存하게 되었고 敎皇權은 더욱 衰退하였다.

敎皇廳의 歸還 [ 編輯 ]

敎皇들이 아비뇽에 머무는 동안 樞機卿들이 敎皇領은 統治했으나 權力空白으로 混亂스러웠다. 强大國들의 領土 擴張, 都市國家들의 自治權 獲得 等이 이어졌고 都市 로마는 廢墟에 가깝게 變해 버렸다. 敎皇廳의 로마 歸還은 여섯 番째 아비뇽 敎皇 우르바노 5歲 (1362~70)에 依해 처음으로 試圖되었다. 그는 알보르노스 樞機卿을 통한 軍事作戰을 遂行하였고 밀라노와는 多少 屈辱的인 平和條約을 맺으며 [13] 로마 歸還 作業을 推進하였다.

周邊의 激烈한 反對가 있었으나 1368年 10月 皇帝 카를 4歲 가 보낸 軍隊의 護衛를 받으며 우르바노 5歲 는 로마에 入城했다. 敎皇은 荒廢해진 聖堂들과 敎會 建物을 復舊하고 都市를 整備하며 熱情을 불태웠다. 그러나 로마인들이 合勢한 페루자의 叛亂과 밀라노 傭兵들의 國境 威脅 等 이탈리아 政局이 漸漸 不安해졌고 비테르보에 避身하는등 苦楚를 겪다가 1370年 9月에 아비뇽으로 歸還하며 敎皇廳의 로마 以前은 물거품이 되고 말았다. [14]

일곱 番째 아비뇽 敎皇 그레고리오 11歲 (1370~78)는 '敎皇의 자리는 로마'라는 信念下에 로마 以前을 再推進하였다. [15] 밀라노 비스콘티 家門의 膨脹主義 政策에 맞서 戰爭을 進行했고 피렌체와도 8星인 戰爭 을 치렀다. 볼로냐의 叛亂을 鎭壓하며 敎皇領軍이 체세나에서 數 千 名의 民間人을 虐殺하는 副作用도 發生했다. 1376年 9月에 아비뇽을 出發한 敎皇은 1377年 1月 17日에 바티칸 入城에 成功하였다. [15] 그러나 로마에서 生活은 順坦치 않았다. 敎皇廳의 財務와 行政組織은 아비뇽에 남아있었고 피렌체와의 戰爭은 繼續 이어졌으며 체세나 虐殺 事件으로 인해 로마인들이 反撥이 거세지자 아나니로 居處를 옮기기도 했다.

西方 敎會의 分裂 [ 編輯 ]

콘클라베(1378年) [ 編輯 ]

1377年 아비뇽 有數 를 종식시키고 敎皇廳의 로마 歸還을 실현시킨 敎皇 그레고리오 11歲 는 이듬해 死亡하였다. 로마市民들은 프랑스 出身 敎皇이 選出될 境遇에 아비뇽 有數 가 再現될 것을 憂慮하였다. [16] 그래서 大規模 示威를 일으키며 콘클라베에 參席한 樞機卿들을 强하게 壓迫하였다. [17] 多數의 프랑스 出身 樞機卿들은 로마市民들에 依해 示威가 暴動으로 번질것을 念慮하게 되었고, 1378年 4月 8日에 開催된 콘클라베 에서 南部 이탈리아 바리의 大主敎 바르톨로메오를 敎皇 우르바노 6歲 로 選出하였다. [17] 로마인을 敎皇으로 選出하기는 싫었고 프랑스 出身을 選出할 境遇에 暴動의 威脅 때문에 中立的인 人士를 서둘러 選擇한 것이었다. 로마 市民들은 로마 出身이 敎皇에 오르기를 希望했지만 프랑스 出身이 아닌 이탈리아人이 選出된 것을 아쉬운대로 받아들였다.

새로운 敎皇 選出 [ 編輯 ]

敎皇 우르바노 6歲 는 就任 後 樞機卿들과 深刻한 葛藤을 일으켰다. 權威主義的이었던 그는 暴言과 暴行을 일삼으며 樞機卿들에게 服從을 强要했다. [17] 敎皇廳의 아비뇽 歸還 提案에 對해 激忿하며 이탈리아人 樞機卿을 임명하는 것으로 應酬했다. 多數의 프랑스 出身 樞機卿들은 로마 生活 適應에 어려움이 많이 생기면서 新任 敎皇과 事事件件 衝突했다. 葛藤이 持續되자 樞機卿들은 아나니에 모여 論議 끝에 우르바노 6歲의 敎皇 選出 無效를 宣言하였다.

樞機卿들은 敎皇 選擧가 外部의 不當한 干涉을 排除한다는 콘클라베의 基本 精神을 거스르며 로마 市民들의 强壓에 依해 進行되었다고 主張하였다. [18] 그런 다음 나폴리 朝飯나 1歲 女王의 保護를 받을 수 있는 폰디로 場所를 移動한 後 1378年 9月 20日 제네바 出身 로베르 樞機卿을 새로운 敎皇으로 選出하였다. [19] 그러나 敎皇 우르바노 6世는 退位할 수 없다고 버티며 새로 選出된 敎皇을 認定하지 않았다.

兩大 分裂과 波紋 [ 編輯 ]

새로운 敎皇으로 選出된 로베르는 클레멘스 7歲 로 卽位는 하였으나 우르바노 6歲를 로마에서 逐出하는 데 失敗하였다. 두 敎皇은 서로를 破門하였고 1379年 4月 마리노 隣近에서 兩側이 雇用한 傭兵 間에 戰鬪가 벌어졌다. 戰鬪에서 勝利한 우르바노 6世는 로마를 完全히 掌握했으며 樞機卿들이 大擧 離脫함에 따라 24名의 樞機卿을 임명하여 敎皇廳을 새로 組織하였다. 클레멘스 7世는 로마에서의 狀況이 自身에게 不利하게 돌아가자 1379年 5月에 나폴리 女王 朝飯나 1歲의 도움을 받아 아비뇽으로 逃避하였고, 그곳에서 새로운 敎皇廳 機構를 組織하였다. [20] 結果的으로 두 個의 敎皇廳과 두 名의 敎皇이 同時에 共存하게 되면서 西方 敎會는 分裂하기 始作하였다.

正統敎皇 竝立時代 [ 編輯 ]

西유럽은 이제 우르바노 6歲 클레멘스 7歲 中에 한 名을 選擇해야 했으며 두 敎皇은 유럽의 君主들, 大學, 都市國家에 自身이 正統 敎皇이라고 主張하는 書翰을 보냈고 大使를 派遣했다. [20] 유럽國家들은 政治的인 利害關係에 따라 支持하는 敎皇이 나뉘며 둘로 갈라졌다. [21] 두 敎皇은 各自의 影響力을 擴散시키기 위해 人事權을 濫發하였고 이 때문에 分裂은 敎區와 修道院과 家庭에까지 擴大됐다. 各 地域 敎會는 두名의 大主敎, 두 名의 修道院長, 두 名의 本堂神父를 갖게 되었고 [22] [2] 信者들마저 兩側 追從者로 分裂됐다. 聖職者들은 서로 合法性을 主張하며 相對方을 破門하며 유럽社會에 一大 混亂이 펼쳐졌다. 理論的으로는 西유럽의 모든 聖職者와 信者들이 波紋 狀態에 놓이게 됐다. [2] 두 個의 敎皇廳을 따로 運營하였기 때문에 財政 所要가 增加했고 [22] 이를 책임져야 하는 信者들은 負擔이 加重되었다.

아비뇽 敎皇 을 支持한 國家 로마 敎皇 을 支持한 國家
프랑스 , 아라곤 , 카스티야레온 , 부르고뉴 , 키프로스 , 나폴리 , 사보이아 , 스코틀랜드 덴마크 , 잉글랜드 , 플랑드르 , 神聖로마帝國 , 헝가리 , 北部 이탈리아 , 아일랜드 [23] , 노르웨이 , 폴란드 , 스웨덴

우르바노 6世는 클레멘스 7世에게 好意的인 나폴리의 朝飯나 1歲 女王을 1380年 波紋韓 後 그女의 四寸 두라초 家門의 카를로에게 王冠을 넘겨주었다. [24] 카를로는 朝飯나 1歲를 殺害하고 卽位한 後에 背恩忘德 하게도 우르바노 6歲 에게 對敵하였고 兩側은 衝突하였다. 우르바노 6歲 는 제노바로 避身하였고 1386年 카를로가 헝가리에서 死亡한 後에도 나폴리와 葛藤속에 살다가 1389年 로마에서 毒殺된 것으로 傳해진다. [25]

아비뇽에 定着한 클레멘스 7歲 는 1384年 이탈리아 遠征을 實施했으나 悲慘하게 끝나 버렸다. 우르바노 6歲 가 1389年에 死亡하자 로마의 樞機卿들과 接觸하여 分裂의 早期 終熄을 위해 自身을 敎皇으로 推戴해달라고 提案했다. 그러나 로마 側 樞機卿들은 새 敎皇으로 보니파시오 9歲 를 選出하였고 兩側은 서로를 破門하였다. 클레멘스 7世는 1394年 9月 아비뇽에서 죽었다. 末年에는 사치스러운 生活을 하여 非難을 많이 받았다.

두番째 아비뇽 敎皇으로 베네딕토 13歲(在位1394-1417)가 卽位했다. 아비뇽 樞機卿들은 選擧戰에 누가 選出되든지 分裂終熄을 위해 努力할것과 必要時 自進 退位할 것을 誓約했으나 卽位 直後 베네딕토 13世는 約束履行을 拒否했다. [26] 유럽君主들이 支持를 撤回하고 여러 어려움을 겪은 끝에 생각을 바꾸었다. 그러나 로마 敎皇 보니파시오 9歲(1389~1404)는 非妥協的이었고 [27] 그의 後任 인노첸시오 7歲 (1404~06)의 짧은 任期 中에는 어떤 進展도 없었다. 새로운 로마 敎皇 그레고리오 12歲(1406~1415)와 直接 面談이 合意되기는 했으나 會同直前 갑작스럽게 그레고리오 12歲가 變心하여 不發되었다. [28]

分裂의 終熄 [ 編輯 ]

파리大學의 提案 [ 編輯 ]

1394年 파리大學은 事態 解決을 위해 세 가지 提案을 하였다. 兩側 敎皇이 自發的으로 同時 辭任하거나, 獨立된 敎會裁判所에서 어느 한쪽 敎皇을 廢位시키거나, 公議會를 통하여 解決策을 摸索하는 方案이었다. [29] 그동안 讓步와 折衝을 통해 西方 敎會 分裂 事態를 收拾하고 敎會 一致를 위한 努力은 繼續되었지만 큰 成果를 거두지 못했다. 敎皇들은 恒常 相對方의 辭任을 主張했으므로 同伴 辭任과 仲裁를 통한 方法으로는 더 異常 狀況을 打開할 수 없다는 結論에 到達했다. 忍耐心이 限界에 達한 아비뇽과 로마의 樞機卿들은 서로에 對한 競爭心을 내려놓고 파리대학이 提示한 마지막 方法인 公議會를 통해 事態를 解決하고자 試圖했다. 이들은 1408年 6月 리보르노에서 會同하였고 다음해 3月에 피사에서 公議會 開催를 合意하였다. [28]

피사 公議會 [ 編輯 ]

兩陣營의 樞機卿들은 呼訴文 發表와 더불어 招請狀을 發送하여 유럽의 諸侯들과 여러 高位聖職者들에게 피사 公議會 參席을 要請하였다. 두 名의 敎皇도 招請하였으나 두名 모두 拒絶하였고 그外 招待를 받은 사람들의 反應은 뜨거웠다. [28] 1409年 3月 23日에 開催된 公議會에는 [30] 大主敎 4名, 24名의 樞機卿, 80名의 主敎, 102名의 主敎가 보낸 代表團, 修道院長과 大學의 著名한 神學者들이 參席하였다. 公議會는 15次에 걸쳐 10週 以上 繼續되었다. 6月 5日 第 15次 會期에서 그레고리오 12世와 베네딕토 13歲에 對해 退位와 성좌 公席이 決定되었으며 樞機卿들은 6月 26日에 新任 敎皇으로 알렉산데르 5世(1409~10)를 選出하였다. 그러나 아비뇽과 로마 敎皇이 公議會의 決定을 受容하지 않음으로 인해 史上 初有에 事態가 벌어졌다. 合法的인 3名의 敎皇이 存在하게 된 것이다. [31]

콘스탄츠 公議會 [ 編輯 ]

3名의 敎皇이 存在하는 異常한 事態를 解決하기 위해서 皇帝 지기스문트의 要請을 알렉산데르 5歲의 後任인 요한 23歲(在位 1410~15)가 受容하여 獨逸 콘스탄츠에서 公議會가 열렸다. [32] 公議會는 1414年 11月 5日에 첫 會議가 열렸고 1418年 4月 22日까지 繼續되었는데 300名 以上의 主敎, 100名 以上의 大修道院長, 多數의 高位 聖職者들, 神學者, 敎會法學者, 統治者들이 參席하였다. [33] 公議會를 召集한 요한 23歲 敎皇이 自身에게 敵對的 雰圍氣로 會議가 進行되자 1415年 3月 20日 逃走하였고 [34] 지기스문트 皇帝가 會議를 主管하는 迂餘曲折이 있었다. 公議會에서는 3名의 敎皇 그레고리오 12歲, 베네딕토 13歲, 요한 23歲를 모두 廢位시키고 1417年 11月 새로운 敎皇에 로마의 名門家 出身의 樞機卿 코론나를 마르티盧 5歲 (在位 1417~31)로 選出했다. 이로써 西유럽 敎會의 大分裂을 종식시키고 難局이 收拾되었다.

影響 [ 編輯 ]

公議會 水位설 [ 編輯 ]

콘스탄츠 公議會를 통해서 西方 敎會 大分裂 事態가 解決되자 公議會 權威가 교황권보다 優位에 있다는 公議會 至上主義 學說이 힘을 받게 되었다. 콘스탄츠 公議會는 第4回期(1414年 3月 30日)와 第5回期(1414年 4月 6日)에서 公議會 至上主義와 關聯된 主要 命題를 決定하였다. 公議會 權威는 하느님으로부터 直接 附與받기 때문에 敎皇보다 優位에 있으므로 敎皇이라 할지라도 信仰에 關한 問題, 敎會 再一致 問題 그리고 敎會의 改革 問題와 關聯해서 公議會의 決定에 服從해야 한다는 것이다. [35] 公議會에서는 敎皇의 聖職賣買 行爲 等 不正과 非理 그리고 그 處罰에 對한 論議를 進行할 수 있게 되었고 公議會가 敎皇을 廢位시킬 수도 있게 되었다. 이같은 理論은 16世紀에 宗敎改革을 불러온 直接的인 要因 中 하나가 되었다. [36]

敎皇 首位權과 公議會 [ 編輯 ]

敎皇 首位權은 敎皇 레오 1歲 (在位 440~461)때에 理論化되었다. [37] 後代 敎皇들의 努力으로 로마 主敎의 敎皇으로서 位相은 上昇하였으며 後代에 影響을 주었다. 800年에 皇帝로 登極한 샤를 大帝 는 로마 貴族들에 依해 敎皇 레오 3歲 에게 提起된 여러 告訴件 處決 때문에 곤란함을 겪였다. 充分한 證據와 疑惑이 있었지만 그보다 더 重要한 것은 '그리스도의 代理者'를 審判할 資格과 權力이 地上에 存在하는가 하는 것이었다. [38] [39] 하인리히 4歲 에게 카노사의 屈辱 을 안겨 주었던 그레고리오 7歲 敎皇 은 1075年 敎皇 訓令(Dictatus papae)을 통해 '敎皇의 審判받지 않을 權利, 敎會의 戊午流星, 敎皇 首位權'을 明示한 적이 있다. [40] 이는 敎皇權 水位說에 根幹이 되었는데 콘스탄츠 公議會 에서 採擇된 公議會 水位說은 이를 뒤집는 決定이었다. 콘스탄츠 以前에 公議會가 敎皇을 審判한 先例가 없는것은 아니다. 1046年에 하인리히 3世는 敎會 시노드(會議)를 통해 2名의 敎皇 要求者와 1名의 敎皇을 廢位시킨 歷史가 있다. [41]

1431年 바젤 公議會 가 開催되었으나 敎皇 에虞祭니오 4歲 는 參席率이 低調하다는 名分을 내세워 一方的으로 公議會 場所를 볼로냐로 變更하였다. [42] 바젤 公議會는 이에 反撥하며 公議會 至上主義 宣言과 對立敎皇 選出로 맞서면서 敎皇과 葛藤하였다. 疫病 危險性 때문에 場所를 옮겨 피렌체에서 1439年 召集된 公議會에서는 東方 正敎會 로부터 敎皇 首位權을 인정받으며 東方과 西方敎會의 一致를 이끌어내었고 公議會 水位說을 누르고 교황권의 優位를 達成했다. [43]

敎皇 바오로 2歲(1464~71)와 식스吐 4歲(1471~84)는 選擧 公約으로 公議會 召集을 約束했으나 지키지 않았다. [44] [45] 敎皇 율리오 2歲 亦是 公約 履行을 미루다가 캉브레 同盟戰爭의 敵對國인 프랑스 王 루이 12世가 프랑스의 樞機卿들과 1511年 9月 10日 피사 公議會를 開催하자 이에 對應하기 위해 1512年 5月 3日 라테라노에서 公議會를 開幕하였다. [44] 라테라노 公議會에서는 公議會 至上主義를 斷罪하였다. 그 後의 敎皇들은 公議會 至上主義者들의 勢力이 剛해지는 것을 두려워하며 公議會 開催를 몹시 忌避했다. 이러한 不安은 16世紀에 宗敎改革이 일어났을 때, 이에 對應하기 위한 公議會가 適時에 開催되지 못하여 宗敎改革의 흐름이 유럽으로 넒리 퍼지게 만들었다. [46]

宗敎改革 (1517年)에 따른 敎會 分裂을 收拾하기 위해 트리엔트 公議會 가 召集된것은 1545年이 되어서였고 그나마 改新敎徒들은 參與하지 않았다. 루터의 宗敎改革 以後 敎會 改革을 위한 公議會 開催 要求는 꾸준히 있었다. 皇帝 카를 5歲 (生沒 1500~58)도 敎皇 클레멘스 7歲 (1523~34)에게 公議會 召集을 數次例 要求했다. [47] 그러나 敎皇은 이를 政治的인 壓迫으로 받아들였고 교황권이 公議會에 從屬되는 것을 꺼리며 回避했다.

콘클라베 [ 編輯 ]

平信徒와 聖職者에게 있던 敎皇 選出權을 1059年 樞機卿團에게 一任함으로 [48] 不當한 外部 干涉은 遮斷되었으나 樞機卿間 派閥다툼으로 對立敎皇이 생기는 問題가 벌어졌다. 最少 得票數를 全體投票의 3分의 2로 定함으로 解決되는 듯했으나 이番에는 選出 遲延으로 敎皇 空席 期間이 길어지는 弊端이 생겼다. 選擧人團을 外部와 고립시키는 콘클라베 方式을 13世紀에 導入하며 解決되었다. 이番 西方 敎會 大分裂 事件의 原因中에 하나가 로마 市民들의 不當한 壓力이었던 [17] 만큼 콘클라베 中에는 어떠한 壓力과 干涉도 없어야 된다는 事實에 對해 큰 共感帶가 形成되었다.

參考 [ 編輯 ]

  • 두산百科 '公議會水位說'
  • 宗敎學大辭典 '콘스탄츠 公議會'

各州 [ 編輯 ]

  1. 존 노먼 데이비슨 켈리 <옥스퍼드 敎皇事前> 분도출판사 2014.1月 初版 p345
  2. 카톨릭 新聞 [世界敎會史 100代 事件 - 歷史의 現場을 찾아서] (55) 西區 代離敎
  3. 김홍기 <世界基督敎의 歷史 이야기> 예루살렘 1993.9.25 p59
  4. 앙드레 모로아 <프랑스史> 홍성사 1980.9.10 p67
  5. 앙드레 모로아 <프랑스史> 홍성사 1980.9.10 p68
  6. 존 줄리어스 노리치 <敎皇年代記> 바다出版 2014.8.5 p391
  7. 호르스트 푸어만 <敎皇의 歷史> 圖書出版 길 2013.9.25 p178
  8. 존 노먼 데이비슨 켈리 <옥스퍼드 敎皇事前> 분도출판사 2014.1月 初版 p321
  9. 호르스트 푸어만 <敎皇의 歷史> 圖書出版 길 2013.9.25 p178
  10. 호르스트 푸어만 <敎皇의 歷史> 圖書出版 길 2013.9.25 p179
  11. 호르스트 푸어만 <敎皇의 歷史> 圖書出版 길 2013.9.25 p180
  12. 존 노먼 데이비슨 켈리 <옥스퍼드 敎皇事前> 분도출판사 2014.1月 初版 p324
  13. 존 노먼 데이비슨 켈리 <옥스퍼드 敎皇事前> 분도출판사 2014.1月 初版 p340
  14. 존 노먼 데이비슨 켈리 <옥스퍼드 敎皇事前> 분도출판사 2014.1月 初版 p341
  15. 존 노먼 데이비슨 켈리 <옥스퍼드 敎皇事前> 분도출판사 2014.1月 初版 p342
  16. 카톨릭 新聞 [世界敎會史 100代 事件 - 歷史의 現場을 찾아서] (55) 西區 代離敎...會議에 參席한 樞機卿 16名中 11名이 프랑스人(스페인 1名 이탈리아人 4名)이어서 로마 사람들은 또다시 프랑스 出身의 敎皇이 選出돼 아비뇽으로 돌아가지 않을까 두려워했다. 當時까지도 로마의 政治 社會的 狀況이 安定的이지 않아서 그레고리오 11世도 腺腫直前 아비뇽으로 돌아가려고 했을 程度였다.
  17. 존 노먼 데이비슨 켈리 <옥스퍼드 敎皇事前> 분도출판사 2014.1月 初版 p344
  18. 존 줄리어스 노리치 <敎皇年代記> 바다出版 2014.8.5 p438
  19. Seeking Legitimacy:Art and Manuscripts for the Popes in Avignon from 1378 to 1417, Cathleen A. Fleck,A Companion to the Great Western Schism (1378?1417), ed. Joelle Rollo-Koster, Thomas M. Izbicki, (Brill, 2009), 241.
  20. 존 노먼 데이비슨 켈리 <옥스퍼드 敎皇事前> 분도출판사 2014.1月 初版 p347
  21. [네이버 知識百科] 敎會 大分裂의 始作 (죽기 前에 꼭 알아야 할 世界 歷史 1001 Days, 2009. 8. 20., 마이클 우드, 피터 퍼打倒, 박누리, 김희진)
  22. 존 줄리어스 노리치 <敎皇年代記> 바다出版 2014.8.5 p440
  23. 잉글랜드 國王 아일랜드 榮州 를 겸하였기 때문.
  24. 존 노먼 데이비슨 켈리 <옥스퍼드 敎皇事前> 분도출판사 2014.1月 初版 p345
  25. 존 노먼 데이비슨 켈리 <옥스퍼드 敎皇事前> 분도출판사 2014.1月 初版 p346
  26. 존 노먼 데이비슨 켈리 <옥스퍼드 敎皇事前> 분도출판사 2014.1月 初版 p351
  27. 존 노먼 데이비슨 켈리 <옥스퍼드 敎皇事前> 분도출판사 2014.1月 初版 p350
  28. 존 줄리어스 노리치 <敎皇年代記> 바다出版 2014.8.5 p447
  29. 카톨릭 新聞 [世界敎會史 100代 事件 - 歷史의 現場을 찾아서] (55) 西區 代離敎
  30. G.F.令 <메디치 家門 이야기> 現代知性 2020.7.9, p52
  31. 존 줄리어스 노리치 <敎皇年代記> 바다出版 2014.8.5 p448
  32. [네이버 知識百科] 콘스탄츠 公議會 (宗敎學大辭典, 1998. 8. 20.)
  33. G.F.令 <메디치 家門 이야기> 現代知性 2020.7.9, p53
  34. 존 줄리어스 노리치 <敎皇年代記> 바다出版 2014.8.5 p451
  35. [네이버 知識百科] 公議會 至上主義 [Konziliarismus, 公議會至上主義] (敎皇事前)
  36. [네이버 知識百科] 公議會水位說 [conciliarism, 公議會首位說] (두산百科)
  37. [네이버 知識百科] 敎皇首位權 [Primatus Romani Pontificis, 敎皇首位權] (두산百科)
  38. 존 줄리어스 노리치 <敎皇年代記> 바다出版 2014.8.5 p121
  39. 존 노먼 데이비슨 켈리 <옥스퍼드 敎皇事前> 분도출판사 2014.1月 初版 p164
  40. 존 노먼 데이비슨 켈리 <옥스퍼드 敎皇事前> 분도출판사 2014.1月 初版 p244
  41. 호르스트 푸어만 <敎皇의 歷史> 圖書出版 길 2013.9.25 p74
  42. 존 노먼 데이비슨 켈리 <옥스퍼드 敎皇事前> 분도출판사 2014.1月 初版 p364
  43. Stieber, Joachim W., Pope Eugenius IV, the Council of Basel and the Secular and Ecclesiastical Authorities in the Empire: The Conflict Over Supreme Authority and Power in the Church , Brill, 1978 ISBN   9789004052406
  44. [네이버 知識百科] 第5次 라테라노 公議會 - 열여덟 番째 公議會 (敎皇事前)
  45. 존 노먼 데이비슨 켈리 <옥스퍼드 敎皇事前> 분도출판사 2014.1月 初版 p374
  46. [네이버 知識百科] 公議會水位說 [conciliarism, 公議會首位說] (두산百科)
  47. [네이버 知識百科] 트리엔트 公議會 [Council of Trient] (두산百科)
  48. 존 노먼 데이비슨 켈리 <옥스퍼드 敎皇事前> 분도출판사 2014.1月 初版 p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