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與件 (三國志)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與件 (三國志)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與件 (潮位) 에서 넘어옴)

與件(呂虔)
出生 임성군
死因 兵士
性別 男性
國籍 後漢 위나라
別稱 者: 自覺
經歷 陽比較位 → 泰山태수 → 兼 祈禱위 → 飛將軍 → 서주자社 兼 慰勞將軍
職業 將軍
關聯 活動 長期間의 태산군 統治
作爲 益修正後 → 萬年정후

與件 (呂虔, ? ~ ?)은 中國 後漢 말 ~ 위나라 將軍 利子 政治가 는 自覺(子恪)이며 連奏 임성군(任城郡) 사람 이다. 曹操 를 섬겼으며 十數 年間 泰山 태수 로 있으면서 고을을 잘 다스렸다.

生涯 [ 編輯 ]

演奏의 有能한 人材 [ 編輯 ]

膽力과 智略이 있어 連奏 를 掌握하고 있던 曹操 에게 從事(從事)로 登用되고 山羊群 好六縣(湖陸縣)을 지켰다. 陽比較位(襄賁校尉) [1] 杜松(杜松)의 部下 輕侮(炅母, 繼母) 等이 反旗를 들고 唱戱 와 통하였다. 曹操는 杜松 代身 與件을 陽比較위로 임명했다. 與件은 飮食 을 차려놓고 輕侮 等 首腦級 數十 名을 招請해 그들이 醉한 사이 모두 處斷하고 남은 무리를 振武하였다.

長期間의 泰山태수 在任 [ 編輯 ]

泰山태수 가 되었다. 태산군은 바다 를 接하고 있어 動亂을 避해 숨은 者들이 많았다. 元素 中郞將 곽조 와 恭遜毒(公孫犢) 等 數十 印度 山에 依據해 盜賊질을 벌였다, 與件이 에 이르러 恩惠와 信義를 보이자 곽조 等이 服從하고 山속으로 도망갔던 者들도 下山하였다. 그中에 剛한 者는 戰死(戰士)로 편입시켜 精銳兵으로 키우니 軍(州郡)에서도 이름 이 났다. 第南軍 黃巾賊 書畫(徐和) 等이 城邑을 攻擊하므로 下後燕 과 함께 討伐에 나섰다. 前後로 數十 番을 싸워 數千 名을 죽이거나 生捕하였다. 동래군 의 盜賊떼 李朝(李條) 等을 擊破할 때도 功을 세워 無財(茂才)로 薦擧되고 祈禱위 를 겸했다. 20年이 좀 안 되는 期間 태산군을 보살폈고 그 威嚴과 恩惠가 두터웠다.

魏나라 建國 後 [ 編輯 ]

220年 ( 軟鋼 元年), [2] 조비 위를 잇자 泰山태수에 飛將軍(裨將軍)李 더해지고 益修正後(益壽亭侯)에 封해졌다. 以後 西周 自社 兼 慰勞將軍(威虜將軍)으로 昇進하였다. 낭야군 사람 왕상 을 別加(別駕)로 삼았는데 世上 에서는 賢人을 任用할 줄 안다고 하였다. 225年 ( 黃초 6年), [2] 이성군(利城郡)의 叛亂을 討平할 때도 功을 올렸다. 226年 , [3] 造詣 가 卽位하면서 萬年정후(萬年亭侯)로 이봉되고 食邑 은 2百 戶가 늘어나 總 6百 號가 되었다. 事後 아들 餘番(呂?)李 뒤를 이었다.

일화 [ 編輯 ]

與件에게는 霸道(佩刀, 車는 )가 있었는데 丈人(匠人)李 칼의 像을 보더니 三貢 에 올라야 알맞은 칼이라 하였다. 與件은 왕상에게 “資格이 없는 者가 이 칼을 차면 해가 될지 모르오. 公報(公輔)의 器量이 있는 卿에게 드리겠소.”라 하였다. 왕상이 限死코 拒絶하는데도 期於이 주었고, 果然 왕상은 三貢을 지냈다. 왕상이 臨終에 이르러 異腹同生 王람(王覽)에게 “너의 後世는 반드시 興할 것이니 이 칼이 어울릴 것이다.”라 하며 칼을 건넸다. 王람의 後孫들 亦是 代代로 現在가 많아 江東에서 繁昌하였다. [4]

評價 [ 編輯 ]

無財로 薦擧될 때 曹操 가 말하길, “무릇 뜻이 있으면 일은 반드시 成事되기 마련으로 烈士 들이 行하던 바이다. 與件은 태산군에 赴任하여 亂을 鎭壓하며 百姓들을 안정시켰다. 몸소 화살 도 무릅써 늘 勝利를 거뒀다. 光武帝 때도 九旬(寇恂)李 여남군 永川郡 一帶에 이름을 남겼고, 輕減(耿?, 경엄)은 淸州 連奏 에서 戰略을 樹立했듯이 古今이 매한가지로다.”라 하였다. 《 三國志 》의 著者 진수 移通 , 將牌 , 文憑 , 與件이 主君을 지키며 威嚴과 恩惠까지 드러냈다고 하였다. [5]

三國志演義 [ 編輯 ]

司書가 아닌 小說 三國志演義 》에서는 無性(武城) 사람이 되었다. 曹操가 演奏에 있을 때 幼葉 萬總 과 與件을 推薦한다. 曹操의 宗師가 된 萬銃과 與件은 모개 를 推薦한다. 복양 戰鬪 에 參加한다. 連奏性을 奪還할 때는 거야현(鉅野縣)으로 달아나려던 舌爛 로 射殺한다. 曹操와 長壽 戰鬪 남陽性 戰鬪 에선 浮上 을 입는다. 呂布 의 侵略을 받은 小敗(小沛)의 劉備 하후돈 , 下後燕 , 移轉 과 같이 돕지만 敗北한다. 예형 이 曹操의 手下들을 非難할 때 與件은 칼이나 벼리라고 嘲弄받는다. 硏眞 戰鬪 에서 食糧 과 꼴은 앞세우고 정작 軍事는 뒤에 두는 曹操의 疱疹에 疑問을 提起하는데 實은 曹操가 미끼 를 둔 것이다. 赤壁 大戰 , 祖妣의 男丁 에도 從軍한다.

家計 [ 編輯 ]

  • 아들  : 餘番(呂?)
    • 孫子 : 女戒(呂桂)

各州 [ 編輯 ]

  1. 兩分敎委가 아니라 量比較위라 發音하며 量릉교位(襄陵校尉)는 傲氣이다.
  2. 《三國志》2卷 魏書 第2 問題 조비
  3. 《三國志》3卷 魏書 第3 命題 造詣
  4. 陳書 》33卷 列傳 第3 왕상 提攬
  5. 《三國志》18卷 魏書 第18 廉온(閻溫)

參考 文獻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