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김상헌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김상헌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김상헌
金尙憲
朝鮮 左議政
在任 1649年 8月 4日 ~ 1649年 8月 17日
賃金 朝鮮 孝宗
이름
숙도
聽音·石室山人·書簡老人
身上情報
出生日 1570年 6月 3日 ( 1570-06-03 )
出生地 朝鮮 漢城府
居住地 朝鮮 漢城府
死亡日 1652年 6月 25日 ( 1652-06-25 ) (82歲)
死亡地 朝鮮 漢城府
國籍 朝鮮
職業 文臣, 學者
黨派 西人 殘存 後裔 勢力
本館 安東
父母 김대효(양부)
光州 李氏 夫人(羊毛)
김극효(生父)
정말정(生母)
兄弟姊妹 김상용 (兄)
김상관 (兄)
김상복 (兄)
配偶者 貞敬夫人 星州 李氏
子女 兩者 김광찬(生父 김상관)
親姻戚 祖父 김생해
孫子 김수증 金洙興 김수항
曾孫子 김창집 김창협 김창흡 김창업 김창즙 [1] 김창립
學問 活動
分野 性理學

김상헌 (金尙憲, 1570年 6月 3日 ~ 1652年 6月 25日 )은 朝鮮 中期의 文臣이자 性理學者 이다. 病者, 丁卯胡亂視 斥和代身으로 이름이 높았으며 孝宗 의 卯正에 從事되었다. [2] 字는 숙도(叔度), 號는 淸陰(淸陰)·石室山人(石室山人)·書簡老人(西磵老人), 諡號는 문정(文正)이며. [2] 本貫은 安東 이다. 月定 윤근수 (尹根壽)의 文人이다.

朝鮮後期 勢道家의 直系 先祖로 그의 後孫에서 13名의 宰相과 數十 名의 判書, 參判이 輩出되었고, 純祖比, 憲宗費, 哲宗費 等 王妃 3名과, 肅宗의 後宮 迎賓 金氏 가 모두 그의 後孫이었다.

生涯 [ 編輯 ]

生涯 初盤 [ 編輯 ]

1570年(宣祖 3年) 6月 3日 漢城 南쪽 外家에서 돈녕부 道政 을 지낸 克孝 (金克孝)의 사남으로 태어났다. 어머니 東來 鄭氏는 左議政 을 歷任한 정유길 의 딸이다. 3歲 때, 後嗣 없이 別世한 伯父 김대효의 養子로 入籍되었으나, 親아버지 김극효 膝下에서 成長했다.

1585年(宣祖 18年)부터 李滉 의 文人 月定 윤근수 의 門下에서 修學했고, 雨季 成婚 의 道學에 淵源을 두었다. [2]

1590年 (宣祖 23年)에 進士試에 合格하고, 壬辰倭亂 中인 1596年 (宣祖 29年) 庭試文科에 丙科로 及第하여 通禮院 仁義(引儀)가 되었다. 以後 副修撰·禮曹佐郞·副校理를 歷任했고, 禮曹佐郞·侍講院史書·吏曹佐郞· 弘文館 修撰 等을 歷任하였다.

1601年 (宣祖 34年) 濟州 에서 發生한 길운절(吉雲節)의 逆獄(逆獄)을 다스리기 위해 安武御史로 任命되어 6個月 동안 濟州島에 派遣되었다. 이때의 記錄을 남긴 것이 濟州 紀行文《남史錄(南?錄)》이다.

北人과의 葛藤 [ 編輯 ]

以後 정인홍 等이 成渾 等을 批判할 때 連累되어 外職으로 左遷되었다. 以後 孤山察訪(高山察訪)·京城判官(鏡城判官) 等을 지내고 1608年 文科重試에 及第하여 賜暇讀書 한 後 同副承旨가 되었으나, 이언적 李滉 을 排斥하려던 鄭仁弘을 彈劾하였다가 光州府使(廣州府使)로 左遷되었다. 以後 李滉·이언적 等을 文廟에 從事하는 일을 놓고 1611年 鄭仁弘 等이 上疏를 올려 둘을 激烈히 非難하자, 承旨로 있으면서 鄭仁弘을 糾彈하였다.

1614年 (光海君 6年) 8月 27日 衛星 原從功臣 2等(衛聖原從功臣二等)에 책록되었다.

1617年 10月 부터 1618年 仁穆大妃 폐모론(廢母論)이 나오자, 그는 廢母論에 反對하였다.

仁祖 反正과 丁卯胡亂 [ 編輯 ]

1623年 仁祖反正 以後 吏曹參議에 拔擢되었고, 西人 靑書派(淸西派)의 領袖가 되었다. 1624年(仁祖 2年) 李适의 亂 이 일어나자, 그는 仁祖에게 累次 上疏를 올려, 朋黨·派閥을 打破하고 人材를 登用하며 言路를 넓힐 것을 主張하는 上疏를 올리기도 하였다. 그러나 反正 以後에도 剛直한 性格으로 累次 示唆를 批判하다가, 反正 主體들의 뜻에 거슬려 鄕里로 歸鄕하였다. 以後 大司諫·吏曹參議·都承旨·副提學을 거쳐, 1627年 丁卯胡亂 이 일어났을 때 陳奏使로 明나라에 갔다가 救援兵을 請하였고, 돌아와서는 後金 과의 和議를 끊을 것과 강홍립 의 官爵을 復舊하지 말 것을 强力히 主張하였다.

仁祖가 自身의 父親 庭園大院君 을 大院君에서 다시 王으로 推尊하려 하여, 이른바 追崇論議(追崇論議)가 일어나자 禮法에 어긋남을 들어 그에 强力히 反對하였고, 贊成한 反正功臣 李貴 (李貴) 等과 葛藤을 빚어 다시 落鄕하였다. 그뒤 다시 六曹 板書 藝文館 · 成均館 의 提學 等을 지냈다. 工曹判書 , 刑曹判書 , 禮曹判書 , 吏曹判書 等을 지냈다.

1633年 司憲府 大司憲 에 起用되었는데, 以後 2年間 5次例나 大司憲에 任命되었으나, 剛直한 言論活動을 벌이다가 여러 高官들과 衝突, 出仕와 辭退를 여러番 反復하였다.

丙子胡亂과 斥和論 [ 編輯 ]

南漢山城

1636年 禮曹判書로 在任할 때, 丙子胡亂 이 일어나자 南漢山城 으로 仁祖를 扈從하였으며 主和論(主和論)을 排斥하고 끝까지 主戰論(主戰論)을 펴다가 大勢가 기울어 降伏하는 쪽으로 굳어지고 人組 가 降伏하자 崔明吉 이 作成한 降伏文書를 찢고 痛哭하였다. 降伏이 定해지자 6日 동안 食飮을 全廢하고 敎授 自殺을 企圖했으나 나만갑(羅萬甲) 아들 김광찬 조카 김광현에게 發見되어 失敗했는데, 崔鳴吉은 家族들이 다 보는 앞에서 自殺을 試圖해서 죽을 수나 있겠냐며 쇼를 한 것이라 非難했다. 丁丑하성 (所謂 三田渡 屈辱) 때 仁祖를 따라가지 않고 臥薪嘗膽해서 恥辱을 씻고 明나라와의 義理를 維持해야 한다는 內容의 上疏를 올린 뒤 1637年 2月 安東 풍산 所産으로 隱退하였다.

1638年 司憲府 掌令 維石(柳碩) 等으로부터 "金尙憲이 혼자만 깨끗한 척하며 賃金을 팔아 名譽를 救한다."라는 內容의 彈劾을 받았다. 그러나 仁祖는 받아들이지 않고 곧 調整에 다시 들어오라는 命을 내렸으나, 朝廷에서 軍隊를 보내 淸이 明을 치는 것을 돕는다는 말을 듣고 依然히 反對하였다.

  • 人質 生活
삼전도비

1639年 淸나라 明나라 를 攻擊하기 위해 要求한 出兵을 反對하는 上疏를 올렸다가 淸나라의 거듭된 要求로 1640年 12月 沈孃으로 押送되어 [3] 滿洲 瀋陽監獄에서 4年 그리고 平安道 義州監獄에서 2年 獄苦後 6年뒤에야 完全히 풀려났다. [4] 선양 (瀋陽)에 잡혀 있을 때, 女眞族은 隨時로 懷柔하였으나, 그는 剛直한 性格과 氣槪로써 淸人들의 妥協 要求를 拒絶하고 끝내 조금도 굽히지 않아, 淸나라 사람이 의롭게 여기고 稱讚해 말하기를 “金尙憲은 敢히 이름을 부를 수 없다.라고 했다. [2]

1645年 소현세자 와 함께 歸國하였지만, 그를 탐탁지 않게 여기는 人組와의 關係가 圓滿하지 못하여 벼슬을 斷念하고 石室(石室)로 落鄕하여 隱居하였다. 孝宗 이 卽位하여 北伐을 推進할 때 그 이념적 象徵으로 大路(大老)라고 尊敬을 받았으며, 1649年 大學者 로 尊敬을 받는 가운데 議政府 左議政 에 任命되었다. 그러나 數次例 拒絶하며 隱退의 뜻을 밝히고 曉鐘에게 人材를 기르고 大業을 完遂할 것을 强調하였다. 金堉 이 推進하던 大同法 施行을 金集 等과 함께 强力 反對하기도 하였다.

生涯 後半 [ 編輯 ]

金集 과 유근의 書信

以後 영 敦寧府 社로 있다가 1650年 5月 28日 祿俸을 受領하지 않았다 하여 孝宗 이 祿俸을 내려 承旨가 달구지에 싣고 갔으나 業務를 보지 않았으니 받지 못한다며 도로 실어가게 하였다. 그해 8月 다시 致死(致仕)를 請하였으나 孝宗은 不許하였다.

1651年 5月 28日 영 돈녕부 社 職 等 모든 職銜을 辭職하였으나 不許하였고, 11月 13日 病이 나자 語義(御醫)를 보내어 診察하고 藥물을 하사하였다. 1652年 4月 다시 辭職上疏를 올렸으나 거부되었고, 領敦寧府事로 在職 中 死亡하였다. [5] 1653年 特命으로 議政府 領議政 이 贈職되었다. 名筆로도 이름이 높았으며, 文集으로 《聽音全集》 40卷이 있다.

事後 [ 編輯 ]

事後 1661年(玄宗 2) 孝宗 의 卯正에 種墓配享 되었다. 《 김상헌先生墓 》는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리 石室 安東金氏分散에 있다. 墓 앞에는 墓碑·床石·香爐石이 있고, 左右로는 文人石이 1雙 配置되어 있는데, 墓碑는 玄宗 10年(1669)에 세워진 것이다. 墓의 오른쪽에는 玄宗 12年(1671)에 세운 神道碑(神道碑:王이나 高官 等의 平生 業績을 기리기 위해 무덤 近處 길가에 세운 비)가 있는데, 碑文은 앞面에 孫子 곡운 김수증이 쓴 글이 있고 뒷面에 동춘당 宋浚吉이 쓴 글이 있다. 1987年 2月 12日 京畿道의 記念物 第100號로 指定되었다.

家計 [ 編輯 ]

  • 祖父 : 김생해(金生海, 1512 ~ 1558)
    • 兩部  : 김대효(金大孝, 1531 ~ ?)
    • 養母  : 參判(參判) 이영현(李英賢)의 딸 光州 李氏
    • 養母  : 정태형(鄭泰亨)의 딸 連日 鄭氏
    • 養母  : 步천부정(甫川副正) 이抑情(李億正)의 딸 全州 李氏
    • 生父  : 김극효 (金克孝, 1542 ~ 1618)
  • 外祖父 : 정유길 (鄭惟吉, 1515 ~ 1588)
  • 外祖母 : 원臺銀個 (元大隱介, 1514 ~ ?)
    • 生母  : 정말정(鄭末貞, 1542 ~ ?) [6]
      • 兄 : 김상용 (金尙容, 1561 ~ 1637)
      • 兄 : 김상관 (金尙寬, 1566 ~ 1621)
      • 兄 : 김상건(金尙?, 1567 ~ 1604)
      • 男동생 : 김상복 (金尙宓, 1573 ~ 1652)
      • 貞夫人  : 先副官(宣傳官) 增 參議(贈 參議) 이의로(李義老)의 딸 貞敬夫人 星州 李氏
        • 兩者  : 김광찬 (金光燦, 1597 ~ 1668)- 兄 김상관(金尙寬)의 次男
        • 며느리 : 金內(金?) [7] 의 딸 沿岸 金氏
          • 孫女 : 김복희(金復喜, 1614 ~ ?)
          • 孫女 : 김계희(金繼喜, 1616 ~ ?)
          • 孫女 : 김영희(金永喜, 1620 ~ ?)
          • 孫子 : 김수증(金壽增, 1624 ~ ?)
          • 孫子 : 金洙興 (金壽興, 1626 ~ 1690) - 兄 김상관 (金尙寬)의 長男 김광혁 (金光爀)의 養子로 出系
          • 孫子 : 김수항 (金壽恒, 1629 ~ 1689)
          • 孫女 : 金泰希(金兌喜, 1632 ~ ?)
          • 孫女 : 김묘현(金妙賢, 1633 ~ ?)
        • 며느리(良妾) : 이름 未詳
          • 鉏孫子 : 金首징(金壽徵, 1636 ~ ?)
          • 鉏孫子 : 김수응(金壽應, 1640 ~ ?)
          • 鉏孫子 : 金水秤(金壽稱, 1642 ~ ?)
          • 鉏孫子 : 김수능(金壽能, 1644 ~ ?)
          • 庶孫女 : 양천 許氏 허서(許墅)의 妻

著書 [ 編輯 ]

  • 《야인담록(野人談錄)》
  • 《독례수초(讀禮隨)》
  • 《남史錄(南?錄)》
  • 《聽音全集》 40卷

가노라 三角山 [ 編輯 ]

淸나라에 押送되어 가면서 祖國의 山川을 돌아보며 남긴 時調가 널리 膾炙되었다.

가노라 三角山아, 다시 보자 한강수야

故國 山川을 떠나고자 하랴마는
時節이 하 殊常하니 올동말동 하여라

 
— 《 靑丘永言

關聯 文化財 [ 編輯 ]

遺跡地 [ 編輯 ]

慶北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에 金尙憲의 高祖夫人 司憲府掌令 金永壽의 生家故宅인 양소當(養素堂)과 金映洙 兄弟들이 建立한 삼구情(三龜亭) 亭子가 있으며, 曾祖父 김번이 最初建立하고 金尙憲이 새로 重建한 청원루(淸遠樓)가 있다. 소산리 마을뒷山 力動墓域에는 金尙憲의 5大棗否認 漢城府판관 김계권의 墓를 爲始하여 高祖父 金永壽와 그의형제 김영전 김영추 等 여러基의 墓가 있다. 京畿道 南楊州市 와부읍 덕소리 石室에는 曾祖父 平壤庶尹 김번의 妙를 筆頭로 하여 祖父 김생해, 아버지 김대효 김극효, 김상헌 김상용, 아들 김광찬墓 等이 있다. 그의 집은 只今의 서울 鍾路區 孝子洞 , 궁정동 , 靑瓦臺 一帶의 章動에 있었으며, 신안동 金氏 였던 그의 집안이 章動 金氏 로 불리는 理由가 됐다.

關聯 作品 [ 編輯 ]

드라마 [ 編輯 ]

演劇 [ 編輯 ]

映畫 [ 編輯 ]

小說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金昌緝. 緝의 音이 도 있고 도 있기 때문에 김창집 이라고도 하고 그의 큰兄과 區別하여 김창즙 이라고도 한다.
  2. 韓國歷史情報統合시스템
  3. 朝鮮王朝實錄, 仁祖 18年 12月 8日의 記事, 金尙憲이 서울에 와 王에게 下直을 告하다
  4. 朝鮮王朝實錄, 人組 46卷, 23年(1645 乙酉 / 靑 脣齒(順治) 2年) 2月 23日(病者) 2番째記事 전 領議政 崔明吉 , 영 中樞府 社 이경여, 前 判書 金尙憲이 瀋陽에서 돌아오다
  5. 孝宗實錄 》 8卷, 孝宗 3年 6月 25日 乙丑 1番째 記事
  6. 定宗 (定宗)의 14男 정석군 (貞石君)의 高孫女
    정석군 → 二兼 → 원계채 의 妻 李氏 → 원臺銀個 → 정말정
  7. 金霽南 의 長男이자 인목왕후 의 오빠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