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호신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임호신 (任虎臣, 1506年 11月 3日 ~ 1556年 8月 8日 )은 朝鮮 中期의 文臣으로, 本貫은 풍천 (豊川)이며 字(字)는 무백 (武伯), 號는 知足癌 (知足菴) 또는 知足癌(知足庵), 諡號는 停刊 (貞簡)이다. 觀察使, 好調參判을 지낸 임추 의 아들이고 工曹判書와 知中樞府事를 지낸 蘇間공 임유겸 의 孫子이다. 1528年(中宗 23) 司馬試에 合格하고, 1531年(中宗 26) 文科에 丙科로 及第, 여러 벼슬을 거쳐 지돈녕부社에 이르렀다.

임호신은 淸廉潔白함을 認定받아 廉謹吏 (廉謹吏)로 녹선되었지만 念根이라는 이름을 더럽힐지 모른다며 겸솜해했다. 돈녕부 知事로 任命되어서는 實質的으로 하는 일이 없다 하여 祿俸을 받지 않았고, 家族들에게도 祿俸을 받지 못하게 하였다. 生前에 廉謹吏 로 選拔되고도 物議를 일으키지 않아 事後 淸白吏 로 追錄되었다. 戶曹判書 在職 中 얻은 病으로 死亡하였다. 또한 청렴근新하면서도 學問的 實力이 되어 1556年 (明宗 11年)에는 明宗 의 王命으로 순회세자 를 가르칠 輔養官(輔養官)에 任命되어 王世子의 師傅를 맡아보기도 했다.

生涯 [ 編輯 ]

生涯 初盤 [ 編輯 ]

1506年 (中宗 1) 11月 3日 京畿道 楊州郡 회암면 귀率에서 태어났으며, 淋汗 (任漢)의 曾孫으로, 할아버지는 判書 임유겸 (任由謙)이며, 아버지는 觀察使 好調 參判 을 지낸 靖獻共 임추 (任樞)이며, 어머니는 하양許氏(河陽許氏)로 閑散郡守를 지낸 虛數(許邃)의 딸이다. 議政府 左參贊 을 지낸 靖獻共 任權 은 그의 三寸이었다. 그밖에 그는 壬辰倭亂 때의 將軍 忠諫공(忠簡公) 哀歎 任鉉 (愛灘 任鉉)에게는 7寸 叔姪間이 된다.

夫人은 全州崔氏(全州崔氏)인데 部長(部將)을 歷任한 최호문(崔浩文)의 딸이고, 일두 정여창 의 外孫女였다.

成均館 때부터의 親舊이자 過去 及第 動機인 洪暹 (洪暹)은 일찍부터 그는 작은 집을 하나 짓고, 直接 知足癌(知足庵)이라는 懸板을 달고 조용히 있었다 한다.

約款(弱冠)의 나이에 成均館 에 入學하여 成均館 幼生이 되었다. 이때 만난 洪暹 等과는 平生 交流하였고, 子女들은 後日 더 오래山 洪暹 에게 아버지의 碑文을 付託하였다. 1528年 (中宗 23) 司馬試에 合格하고 成均館 儒生으로 在學 中 1528年 (中宗 23) 儒生殿講(儒生殿講) 때 大學 을 主題로 剛하여, 前江에 合格하였다. 1531年 (中宗 26) 式年 文科 에 丙科로 及第, 權知 承文院 副正字(權知承文院副正字)를 지냈으며, 歷史에 才能을 보여 士官(史官)李 되었다가 藝文館 檢閱, 大橋, 侍講院 說書에 任命되었다.

官僚 生活 [ 編輯 ]

1533年 (中宗 28) 世子侍講院說書가 되었으며, 그 해 아버지 임추 가 使臣으로 選拔되어 中國 에 갈 때 冬至使(冬至使)인 아버지의 書狀官(書狀官)으로 燕京에 갔다가 歸國하는 길에 아버지 임追加 갑자기 病에 걸려 산하이關 出發 直後 黃疸 症으로 死亡했다. 아버지가 죽자 棺을 모시고 歸國하여 精誠껏 葬禮를 치렀다. 洪暹 (洪暹)에 依하면 永久(靈柩)를 모셔 오면서 울부짖고 몹시 슬퍼하니, 그 모습을 본 中國 사람들이 歎息하고 甘鰒(感服)하지 않는 者가 없었다 한다. 負傷(父喪)을 當하고 歸國 直後 藝文館奉敎가 되었으나 權臣들의 排斥을 받았으며 外戚 김안로 (金安老)에 依해 황간縣監으로 쫓겨났다.

어머니의 病으로 替直을 請하였다가 다시 內職으로 돌아와 成均館 戰績이 되고 1538年 司諫院 獻納, 兵曹와 刑曹의 佐郞과 正郞을 거쳐 司諫院 獻納이 되었다. 言官으로 在職 時, 으레 相當數 言官들이 自身을 미워하거나 排斥한 사람이나 그 子息, 사위를 미워하여 攻擊했는데, 임호신은 以前에 自己를 排斥한 者에 對하여 惡感情을 품지 않고, 조금도 못마땅하게 여기는 뜻이 없이 일을 處理하였다. 以後 弘文館 敎理, 侍講院弼善(侍講院弼善)을 거쳐, 李朝 전랑 이 任命되고 바로 兼職으로 侍講院 文學과 弼善을 겸하였다. 그뒤 議政府 檢詳 에 任命되었다가 얼마 뒤 議政府 사인이 되었다. 1541年 議政府 檢詳, 이듬해 淸洪道 救荒輕車社(淸洪道救敬差使, 忠淸道 賑恤敬差官)로 忠淸道 에 派遣되어 災害民 支援을 하는 한便 [[가흥창(可興倉), 牙山窓(牙山倉)의 穀食을 풀어 機敏을 救濟하였고 同時에 觀察使와 地方官을 問責하였다. 한便 일찍이 調整에서 士大夫 中 청렴한 者를 調査할 때 護身과 그의 아우 參議 임보신 두 사람이 뽑혔다. 임호신은 淸廉潔白함을 認定받아 廉謹吏 (廉謹吏)로 薦擧되었다. 이 消息을 듣고 그는 오히려 자랑스러워하기는커녕 '내가 念根(廉謹)이라는 두 글字를 더럽힐까 두렵다.'며 오히려 어려워했다 한다.

1543年 (中宗 38) 都元帥 이기 (李草+己)의 從事官(從事官)으로 다녀왔다가 司諫院 司諫이 되고 다시 黃海道 宰相 御史 로 나가 地方官의 勤務 態度 및 一部 貪官汚吏들의 貪虐賞을 낫낫이 知的, 報告하고 譴責하도록 하였다. 1544年 (人種 1) 司憲府 집의(司憲府執義)가 되었으나 갑자기 病이 생겨서 辭退하였다.

이어 軍資監 情, 弘文館 傳한(弘文館典翰), 弘文館 直提學 , 1545年 (人種 2) 承政院 同副承旨를 거쳐 病으로 遞職되었다. 明宗 卽位 後 1 545年 (明宗 卽位) 右副承旨에 經筵參贊官을 겸하고, 그해 가을 左副承旨가 되었다가 1546年 (明宗 1) 承政院 右承旨를 거쳐 承旨들의 順序대로 昇進시켜서 承政院 都承旨 로 拔擢되었으며 바로 1547年(明宗 2年) 明宗 이 親히 太廟(太廟)에 祔廟例(?禮)를 擧行할 때 示威 執事로 參與, 示威執事들에게 賞(賞)을 줄 때 嘉善大夫(嘉善大夫)에 올랐으나, 얼마 뒤 病으로 遞職되었다. 1547年 漢城府 右尹 을 거쳐 漢城府 左尹 이 되었다가 慶尙道 觀察使 로 發令, 赴任하였다. 1548年 (明宗 3) 어머니 하양許氏의 喪을 當하여 辭退하였다. 3年喪을 마친 뒤 1550年 (明宗 5) 掌禮院 判決事에 任命되었는데, 이때 訟事를 公正하고 明確하게 밝혀서 訴訟 事件을 處理하니 抑鬱함을 呼訴하는 일이 줄어들었다. 그해에 그는 다시 掌禮院判決事에 任命되었다.

過勞와 죽음 [ 編輯 ]

1550年 (明宗 5) 嘉善大夫 中樞府 冬至使로 春秋館 冬至使를 겸하고 中宗實錄 編纂에 中道 參與하였다. 1551年 明나라 에 派遣되는 聖節使(聖節使)로 年庚 에 다녀오고 이 때 廉謹吏 에 綠腺(錄選)되었다.

1552年 (明宗 7) 競演 特進官을 거쳐 1553年 漢城府 左尹이 되고, 漢城副左尹으로 特進官을 兼職해 競演 에도 들었다. 1554年 (明宗 9) 漢城府 右尹을 거쳐 1555年 (明宗 10) 勝者하여 自獻 品階가 더해졌고, 戶曹判書 五衛都摠府 都摠管 을 兼職하였다. 그가 戶曹判書 로 있을 當時 凶年으로 百姓들이 굶주리고, 海岸에는 倭寇가 侵略하여 할 일이 山더미처럼 쌓였다. 財政 擔當者였던 임호신은 稅金을 거두는 日, 稅金 租稅의 衡平性, 돈과 穀食을 내 주는 일을 合理的으로 빠르게 處理하고 形便에 맞게 調節하여 危機를 잘 넘겼다. 그러나 繼續된 過勞와 激務로 體力이 虛해지고 病이 들어 脹症 (脹症)에 걸렸지만 繼續 勤務하였다. 그 해 刑曹判書에 除授되었으나 新兵으로 辭職하였다. 1556年(明宗 11) 2月 戶曹判書에 起用되었으나 激務로 病이 깊어서 다시 辭職하고 지돈녕부社로 轉任되었다. 淸淨(淸淨)하고 신중함이 뛰어나다는 評을 받았다.

庶子 를 許通하느냐 問題가 나왔을 때 그는 庶孼 許通이나 庶孼 의 科擧制度를 反對하지는 않고, 良妾, 良人인 妾이 낳았으면 孫子 代에는 過去에 許容해야 한다는 立場을 펼쳤다. 또한 庶孼이 赤字를 無視하지 못하도록 條件을 달고 條件附로 庶孼許通을 論하였다.

돈녕부 는 實務機關이 아닌 名譽職이지만 祿俸이 나온다. 돈녕부 知事 에 任命되자 그는 月給을 拒絶했는데, 일하지 않고 祿俸을 받을 수 없다는 것이다. 閑職이지만 法令上 祿俸이 나왔는데도 받지 않았고, 家族들에게도 받지 못하게 하였다. 墓碣門에 依하면 그가 自身의 어머니에게도 祿俸을 받지 말라 하였는데, 當時 어머니인 하양許氏는 이미 死亡한 狀態였다. 族譜 喪에는 一旦 徐某나 繼母는 存在하지 않는데, 그가 當時 自身의 月給을 받지 말라고 當付했던 假冒가 그의 徐某였는지 與否는 不確實하다. 그는 生前 청렴함을 認定받아 實錄에도 그의 短點을 批判하면서도 史觀들이 淸廉性 하나는 共通的으로 認定하였다.

1556年 (明宗 11年) 明宗 의 王命으로 순회세자 를 가르칠 輔養官(輔養官)에 任命되어 王世子의 師傅를 맡아보았다. 1556年 (明宗 11) 8月 8日 資憲大夫 지돈녕부社 兼 世子輔養官, 世子賓客으로 在職 中 脹症 (脹症)과 過勞 의 合倂症으로 死亡했다. 明宗 은 어진 宰相이 죽었다며 그날 朝會를 撤朝하였다. 바로 停刊(貞簡)의 諡號가 追敍되었다.

事後 [ 編輯 ]

그해 10月 20日 屍身은 아버지 임추 의 墓所 아래, 京畿道 楊州郡 회암면 귀율리(現, 京畿道 楊州市 율정동 ) 237番地에 造成되었다. 當初 明宗 의 名으로 佛敎 査察도 陵을 造成하기로 한 곳과 똑같이 內需司 의 管轄로 定하여, 그의 賣場이 禁止되었으나, 그해 9月 男便을 先塋에 장사할 수 있게 해달라는 夫人 全州崔氏의 上疏를 올리자 김귀영(金貴榮) 等도 이를 許容하자고 上疏를 올렸다. 論議 끝에 그의 先山이 있는 곳 周邊은 金表紙로 하고, 그의 葬禮式을 許諾하였다. 墓所 近處에는 檜巖寺 (檜巖寺)地 터가 있다.

信徒碑文은 成均館 때부터의 親舊이자 過去 及第와 生員試 同氣였던 議政府 領議政 洪暹 이 썼다.

1572年 (宣祖 5年) 9月 6日 否認 全州崔氏가 長男의 林地인 牙山(牙山)에서 病으로 죽어 그해 12月 18日 楊州郡 천보산 그의 墓所 옆에 묻었다. 그는 生前과 死後에도 物議를 일으키지 않아 事後 廉謹吏 에서 淸白吏 로 格上되었다.

家族 關係 [ 編輯 ]

  • 할아버지 : 임유겸 (任由謙, 1456年 ~ 1527年 )
  • 할머니 : 瘞安李氏(禮安李氏, 生年 未詳 ~ 1522年 ), 이신(李愼)의 딸
  • 아버지 : 임추 (任樞, 1482年 1月 ~ 1534年 1月 24日 )
  • 어머니 : 하양許氏(河陽許氏, 1487年 ~ 1549年 ), 閑散 郡守 虛數(許邃)의 딸
  • 否認 : 全州崔氏(? ~ 1572年 9月 6日 ), 部長 최호문(崔浩文)의 딸, 일두 정여창 (鄭汝昌)의 外孫女
    • 아들 : 任員(任元)
    • 며느리 : 李氏, 郡守 이한(李漢)의 딸
      • 孫子 : 林京畿(任慶基)
      • 孫子며느리 : 신氏, 道士(都事) 신승서(申承緖)의 딸
    • 아들 : 임개(任凱), 동생 임장신의 養子로 入養 , 出系
    • 며느리 : 尹氏, 郡守 輪座(尹佐)의 딸
      • 孫女 : 풍천林氏
      • 孫女사위 : 이돈(李惇)
      • 孫女 :
      • 孫女 :
    • 딸 : 풍천林氏
    • 사위 : 정숙남(鄭淑男)
    • 딸 : 풍천林氏
    • 사위 : 박호겸(朴好謙)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

  • 中宗實錄, 仁祖實錄, 明宗實錄, 國朝榜目, 지퇴당집(知退堂集), 海東名臣錄(海東名臣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