性理學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性理學者 에서 넘어옴)

性理學 (性理學) 12世紀에 南宋 朱熹 (朱熹)가 集大成한 遊學 의 酒類 學派이다. 性理學의 語源은 情이 가 主唱한 性卽理(性卽理)를 縮約한 名稱이다.

性理學을 集大成한 走者 (朱熹)의 이름을 따서 朱子學 (朱子學)이라고도 하고, 宋나라 時代 留學이란 뜻에서 송학 (宋學), 宋나라 明나라 에 걸친 學問이라고 해서 송명이學 (宋明理學)이라고도 하며, 宋나라 時代 以前 儒學의 가르침을 集大成한 새로운 氣風의 留學이라는 뜻에서 新儒學 (新儒學), 정호 (程顥)와 情이 (程?)에서 朱熹로 이어지는 學統이라는 뜻에서 程朱學 (程朱學), 井州 性理學 (程朱性理學), 井州 理學 (程朱理學)으로도 불리고, 理學 (理學) 또는 道學 (道學)이라고도 한다. 特히 中華 卷에서는 송명리學(宋明理學), 西歐圈에서는 新儒學이라고 主로 稱한다.

學問 目的은 위기지학(爲己之學, 自己(修養, 手記)를 위한 學問)이다.

走者 以前에 [ 編輯 ]

大略 眞綜調(眞宗朝)로부터 人種組(仁宗朝, 998~1063)에 걸친 時期에 宋나라의 學問 文化가 새로운 傾向을 가지고 일어나기 始作했다. 范仲淹 이나 停學(正學)의 4先生으로 呼稱된 호원 (胡瑗), 損福 (孫復), 石芥 (石介), 진양 (陳襄) 等은 各其 特色있는 學風이나 主張을 가지고 서로 잇따라 나와 性理學의 船荷(先河)를 이루었다.

范仲淹은 그 名節(名節)과 高邁한 識見으로 時代의 先驅者로서 啓蒙的 役割을 遂行하였다. 特히 西夏 經營에 政治的 手腕을 보여 中央政府의 重要한 地位를 차지하였다. 學問的으로는 6景 에 통하였으며 더욱이 에 精通하였고 장횡거 에게 《 重用 》을 주어 儒學의 門에 들어가게 한 이야기는 有名하다.

호원(胡瑗, 993-1059)은 安定 先生(安定 先生)이라고 呼稱되며 敎育家로서 많은 弟子를 養成하였는데, 정이천(程伊川)도 그 門下에서 배운 俊才(俊才)이다. 그의 <主役區의(周易口義)>는 驛(易)을 理論的으로 解明하고 한대 油價(儒家)와 같이 常修論(象數論)을 混合하지 않았다. 利川(伊川)의 逆轉(易傳)에 그 影響이 보인다.

損福(孫復, 992-1057)은 泰山先生(泰山先生)으로 呼稱되었다. 進士 試驗에 合格하지 못해 泰山(泰山)에 隱退하여 講學(講學)에 힘을 쏟았으며 <春秋존王跋尾(春秋尊王發微)>를 著述하였다. 그는 이 著述에서 從來의 註釋에 拘礙받지 않고 자유스러운 自己의 解釋을 展開하고 있지만 그中에도 다시 <春秋>의 本紙(本旨)를 정명정分(正名定分)에 있다고 하고 또 <春秋>에 실린 事實을 全部 道義에 違背된 것뿐이라고 하였다. 損福 및 그 弟子인 石芥(石介, 1005-1045)는 春秋論을 통하여 中國(宋王朝)의 正統性과 古典思想의 正統的 復活 및 量(楊)·묵(墨)·佛(佛)·노(老) 思想의 排擊을 主張하여 宋朝 國家體制의 精神的 支柱를 樹立하려고 하였다.

진양(陳襄, 1017-1080))은 <大學> <重用>에 依據 實踐道德論을 展開하여 <성명기(誠明記)>와 함께 宋代 道德의 궁리진性(窮理盡性)·格物致知설(格物致知說)의 方向을 잡아 놓았다. 그의 地方政治에 있어서의 勸農政策(勸農政策)이나 鄕村民(鄕村民)의 敎徒에 利用한 <高齡先生勸誘文(古靈先生勸誘文)>은 南宋의 走者 에 이르러서 크게 採擇되어 그 模範이 되었다. [1]

朱子의 集大成 [ 編輯 ]

走者 의 學問은 北送 에서 일어난 新傾向의 學術을 全面的으로 받아들여 이를 體系的으로 集大成한 것이다. 또 사서 [2] 를 特別히 重要視하여 註釋을 하였고, 《大學》의 〈省의〉(誠意)장의 註解는 죽기 3日 前까지 繼續해서 修正했다. [3]

理氣論(理氣論) [ 編輯 ]

理氣論에서는 정이천 의 2原論(二元論)을 繼承하여 다시 더욱 詳細·嚴密하게 體系化하였다. 形而上的, 形而下的 論理 區別을 분명하게 하였다. 또 周敦頥 의 太極論(太極論)도 받아서 太極 (太極)은 오직 1個의 이(理)의 者(字)라고 規定하여, ‘李(理)=太極(太極)=道(道, 形而上)’와 ‘氣(氣)=陰陽5行(陰陽五行, 形而下)’인 것은 兄以下(形而下)의 陰陽2期(陰陽二氣)의 校監에 依해 生成되는 個體와 相卽不利(相卽不離)인 것이라고 말하였다. [3]

道德論(道德論) [ 編輯 ]

道德論에서 二千二 名(命)·性(性)·李(理)· (心)을 同一하게 보았기 때문에 ‘性卽理(性卽理)’, ‘心卽理(心卽理)’라고 한 데 對하여, 走者는 ‘性卽理(性卽理)’만을 取하고 審(心)은 形而下的(形而下的)인 것, 卽 陰陽2期(陰陽二氣)의 作用이라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사람의 性(性)은 이(理)이고 地選(至善)韓 것이며 사람의 本然의 것이라고 하였다. 審(心)은 이(理)가 있는 곳, 이가 作用하는 場所이다. 또한 審(心)의 發動은 이(理)에 依하여 있게 되는데, 그 이야말로 사람에게 本來의 性(性)이라고 規定하였다. 그러나 사람의 本然의 性(性)李 地選(至善)하지만 現實에는 惡도 存在하고 惡人도 있다. 그것은 氣品 [4] 에 過不及(過不及)이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런데 ‘李(理)=太極(太極)’이라고 하는 形而上的人 것은 恒常 事事物物(事事物物) 속에 있다. 事事物物이 없으면 따라서 이(理)는 없다. 卽 1물(一物)에 ‘1里(一理)=1太極(一太極)’이 있는 것이다. 論理的 過程을 말하면 이(理)가 있어야 물(物)이 있는 것이지만 그렇다고 하여 물(物)이 없는 이(理)는 없다. 이런 까닭으로 이기(理氣)에 先後는 없다고 한다. 또 朱子에 依하면 1물(一物)에 1太極(一太極)이 있는데, 이 이(理)는 卽 萬物의 이(理)이다. 湖水 나 냇물에 비쳐도 달은 元來 하나의 것이다. 一般者(一般者)·兄異常者(形而上者)는 恒常 個體에 內在하여 個體를 통하여 一般者는 實現된다고 하는 것이다. 이러한 論理가 道德論에 適用되면 사람은 自己의 本然의 性(性)(理)을 回復하는 것이 人間으로서의 을 完成하는 것이며, 個別的 人間은 實踐에 依하여서만 一般者로서의 ‘道(道)~이(理)-성(性)’을 具現할 수가 있다고 하는 것이다. [3]

修養論(修養論) [ 編輯 ]

修養論은 于先 格物致知(格物致知)이며 궁리진性(窮理盡性)인 것이다. 朱子에 依하면 事事物物의 이를 窮究한다고 하는 것은 結果的으로는 나를 窮究하는 것이며 나를 다하는 것이지만, 그러나 ‘물(物)의 이(理)’와 ‘心(心)의 이(理)’와의 統一的인 把握에는 아직 不充分한 點이 있었다. 陸象山 이나 明나라 王陽明 이 그 正鵠을 찔러 批判했다. 朝鮮에서는 旣存의 高麗 末, 정몽주 의 <義理論>을 그의 弟子 河演 은 이를 더욱 深化하여 朝鮮 절의파 士大夫의 思想을 <修養論>으로 발전시켜 繼承한 代表的인 性理學者가 되었다. [5]

後代에 미친 影響 [ 編輯 ]

朱子學이 宋代 以後 끼친 影響은 至極히 크다. 朱子學은 朱子의 生前에 있어 脂肪觀的, 在野的(在野的) 立場에서의 思想을 構築했음에도 不拘하고 원(元)·明(明)을 거쳐 淸朝에 이르기까지 官學的(官學的)인 아카데미즘의 主流를 形成하였다. 朱子學은 朝鮮 이나 日本 에도 重大한 影響을 끼쳤다.

韓國의 性理學 受容 [ 編輯 ]

韓國에서는 高麗時代에 安珦 이 《주자전서》(朱子全書)를 들여와 硏究한 데서 비롯되었으며, [6] [7] 性理學을 本格的으로 硏究하고 그 體系를 把握해 크게 一家를 이룬 이는 백이정 理라 할 수 있다. 朝鮮時代에 이르러 河演 · 이언적 · 李滉 · 김인후 · 기대승 · 李珥 等 뛰어난 學者들이 排出되면서, 人間의 理性을 强調하여 精神的인 面과 道德的인 面을 重視하는 주리說과 人間의 感性을 重視하고 現實 問題에 關心을 가지는 週期說 等이 나오게 되었다. 주리說은 嶺南地方에서 發展하여 '嶺南學派'라고 하는데, 이언적·李滉· 류성룡 · 김성일 로 이어졌으며, 週期說은 畿湖地方에서 發展하여 '畿湖學派'라고 하는데 徐坰德 · 김인후 · 기대승 · 成婚 ·李珥에 이르러 完成되었고 김장생 等에게 이어졌다. [8]

日本의 性理學 受容 [ 編輯 ]

主要 性理學者 [ 編輯 ]

中國
韓國
女性 學者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 〈東洋思想 - 東洋의 思想 - 中國의 思想 - 송·明의 思想 - 宋學의 發興〉
  2. 大學 》·《 重用 》·《 論語 》·《 孟子
  3.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 〈東洋思想 - 東洋의 思想 - 中國의 思想 - 송·明의 思想 - 朱子學〉
  4. 사람도 基(氣)의 集合에 依하여 이루어져 있고, 그 氣가 모이는 方法, 氣를 받는 方式은 個別的인 것이라고 주자는 생각하였다.
  5. 「韓國人物史列傳」, 이상각
  6. [네이버 知識百科] 朝鮮 性理學 [朝鮮性理學] (哲學辭典, 2009., 임석진 外 多數 共著 ) ......朱子學으로서의 性理學은 우리나라에 高麗 末 忠烈王(忠烈王) 때 元나라로부터 安珦(安珦)에 依해 傳來되었다. 안향은 1289年(忠烈王 15年)에 元나라에 들어가 『주자전서』(朱子全書)를 베끼고, 孔子ㆍ朱子의 賞(像)을 그려 가지고 왔다...(중략)....고려 末의 性理學은 成均館을 中心으로 安珦ㆍ백이정(白正)ㆍ權府(權溥)ㆍ異色(李穡)ㆍ정몽주(鄭夢周)ㆍ吉再(吉再) 等에 依해서 繼承되었다.
  7. [네이버 知識百科] 安珦(안자) [安珦(安子)] (韓國民族文化大百科, 韓國學中央硏究院) ......1289年 2月 征東行省(征東行省)의 員外郞(員外?)에 除授되었으며, 얼마 뒤 左右司郎中(左右司?中)李 되고, 또 高麗留學除去(高麗儒學提擧)가 되었다. 그 해 11月 王과 公主(元나라 公主로서 當時 高麗의 王后)를 扈從하여 元나라에 가서 走者서(朱子書)를 손수 베끼고 孔子와 朱子의 畫像(畵像)을 그려 가지고 이듬 해 돌아왔다.
  8.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 〈時事 - 現代社會와 示唆 - 社會·環境·學術·文化 - 學術·文化 - 性理學〉

參考 文獻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