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成事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成事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七聖事 에서 넘어옴)

成事 (聖事 , [1] 古代 그리스어 : μυστριον 뮈스트리온 [ * ] , 라틴語 : Sacramentum 사크라멘툼 [ * ] , 英語 : Sacrament 새크러먼트 [ * ] ) 또는 聖禮典 은 눈에 보이지 않는 하느님의 恩惠가 눈에 보이는 方法으로 傳達되는, 쉽게 말해서 하느님의 恩惠를 받는 基督敎 의 禮式이다. 形態的으로는 三位一體 하느님의 이름으로 行해지는 基督敎의 宗敎的 禮式이다. 大韓民國에서는 敎派別로 改新敎 成禮 , 聖禮典 으로 부르며 로마 가톨릭교회 東方 正敎會 , 聖公會 成事 라고 한다.

成事 에 對해서는 두 가지의 理解方式이 있다. 하나는 客觀主義的 理解 이고 다른 하나는 主管無人的 理解 이다. 客觀主義的 理解方式 에 따르면 成事 는 하나님의 恩惠의 客觀的 實在이다. 안티오키아의 이냐시오 成事 를 '우리가 죽지 않고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永遠히 살기 위해서 먹어야 하는 藥(antidote), 卽 不滅의 約 '이라고 表現했다. 아우구스티누스 는 罪를 지은 司祭가 執禮하는 成事 는 效力이 없다고 主張하는 도나투스 追從者들에 反對하여 成事 의 有效함이 執禮하는 司祭의 純粹性이나 資格에 左右되지 않는다고 主張하였다. 成事 가 執禮者의 靈的, 道德的 狀態에 依해 影響을 받는다는 主張이 主管無人的 理解 (ex opere operantis)이며 成事 가 合法的으로 執行됨으로써 自動的으로 效力을 發揮한다는 것이 客觀主義的 理解 (ex opere operato)이다. 主管無人的 理解에 따르면 成事 는 하나님의 恩惠에 對한 一種의 ' 劇的 表紙 '이므로 그 自體로서는 效力이 없고 오직 信仰에 依해 받아들여질 때만 效力을 發揮한다. 따라서 이 立場에 따르자면 幼兒 洗禮 는 不可能하다. 가톨릭 敎會 東方 正敎會 는 大體로 幼兒洗禮 를 除外하고는 主管無人的 立場을 보여준다. 客觀主義 主觀主義 는 適切히 折衷되고 調和될 必要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 더욱 眞摯하고 持續的인 對話가 必要하다.

어원 [ 編輯 ]

聖禮典 또는 成事는 交付 테르툴리아누스 200年 그리스어 의 基督敎 用語인 '뮈스트리온'(μυστριον, 神秘, 특별한 것)을 라틴語 로 '사크라멘툼'(Sacramentum)으로 表記하여 鉏유럽어에서 聖禮典을 뜻하는 單語로 發展하였다. 飜譯하면 ‘性別된 것이나 行動’ 或은 ‘성스러운 것’, ‘聖別하는 것’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사크라멘툼'은 本來 로마 帝國 軍人들의 皇帝 에 對한 服從 곧 帝國 秩序 에 對한 服從을 象徵하는 標識를 뜻하기도 했으므로,성사는 基督敎人 그리스도 에 對한 服從을 象徵하는 標識를 뜻하기도 한다. [2] 浸禮敎 神學者이자 社會學 自認 토니 캠폴로 (Tony Campolo)는 成事 또는 聖禮典을 基督敎 信者가 自身이 基督敎 信者임을 恒常 記憶하게 하는 重要한 傳統 이라고 說明한다. [3]

敎派別 聖事의 區分 [ 編輯 ]

카톨릭 ( 西方敎會 ) 이 時期에는 成事를 洗禮와 聖晩餐을 眞正한 成事(聖禮典)로 보고, 附隨的인 成事(準聖事, 禮式)를 受容하는 形態였다. 地域別로 成事에 對한 理解가 달랐으며, 洗禮와 聖晩餐을 除外하고는 그 內容이 조금씩 달랐고, 洗禮와 聖晩餐을 包含해 6個에서 10個의 成事를 地域別 傳統으로 維持하였다. 13世紀가 되어서 7個의 成事로 意見이 모였으나 個數가 같을 뿐 地域別로 그 構成 要素는 조금씩 달랐으며 同時에 洗禮(堅振 包含)와 聖晩餐만을 主張하기도 했다.

正敎會 [ 編輯 ]

公敎會 [正敎會]는 成事에 公式的인 敎理로 數字를 制限하지 않으나 初代敎會의 傳統을 尊重한다. 가장 中心이 되는 成事인 洗禮 聖晩餐 을 中心으로 하며, 그리스도의 神祕를 담은 成事와 成事的인 것, 卽 準聖事를 區分하지 않는다. 9世紀 스튜디뜨는 "거룩한 照明, 洗禮, 集會, 聖晩餐, 堅振, 敍品, 修道誓願, 葬禮式"의 6個를 成事로 區分하였고, 13世紀 로마敎會의 敎皇 클레멘스 4歲가 東方에 同意를 要求한 信仰告白書에 "洗禮, 堅振, 聖晩餐, 神品, 結婚, 告白, 聖油(病者)成事" 7가지 成事가 처음으로 提案되었다 [4] . 7가지 數字가 같기는 하였지만 同時代인 13世紀에 成事를 "洗禮, 堅振, 聖晩餐, 神品, 結婚, 聖油, 修道誓願 成事"로 一部 內容이 다른 理解도 存在했으며, 15世紀에는 시메온이 修道誓願과 告白聖事를 統合하고 성유성社를 追加하였다. 15世紀 人物인 要亞翣은 "敎會築城, 葬禮, 修道誓願"을 包含하는 10個의 成事를 提示하였다. 이와 同時에 그레고리오스 팔라마스는 "洗禮와 聖晩餐"에만 救援이 뿌리내렸다고 主張하였으며, 니콜라스 카발실리스는 "洗禮, 堅振, 聖晩餐"만이 眞正한 聖事라고 主張하였다.

正敎會 의 成事는 7個의 成事를 傳統으로 받아들이기는 하나 로마가톨릭교회 가 主張하는 成事 內容과 一部 다르기도 하며, 神學的 見解에 따라 10個의 成事로 區分하기도 하고, 洗禮와 聖晩餐을 전정한 成事로만 認識하는 傳統을 同時에 지니고 있다. 正敎會 는 敎會의 歷史的 傳統을 따르지만, 敎理的으로 成事의 種類를 公式的으로 制限하지 않았다 [5] .

로마가톨릭 [ 編輯 ]

로마 가톨릭 에서는 洗禮聖事 , 堅振聖事 , 聖體聖事 , 告解聖事 , 婚姻聖事 , 病者聖事 , 聖品聖事 의 일곱 가지 成事를 13世紀 敎皇 클레멘스 4歲가 東方正敎會에 同意를 求한 以後 敎理化하였다. 곧 七聖事를 통해 하나님의 恩寵을 받는다고 規定하였고, 로마가톨릭교회는 16世紀 트리엔트 公議會 에서 "그리스도께서 세우신 成事는 7聖事"라는 敎理를 다시 한 番 確立하였다. [6]

聖公會 [ 編輯 ]

聖公會 聖公會 祈禱書 ( The Book of Common Prayer ) 版本別로 聖事의 區分이 다르다. 韓國 聖公會의 境遇, 1965年 판 共同祈禱文(공도문)에서는 成事를 洗禮聖事 , 堅振聖事 , 聖體聖事 , 告解聖事 , 婚姻聖事 , 病者聖事 , 神品聖事 의7가지로 區分했다. 聖書에 나오는 洗禮聖事 聖體聖事 예수 가 人間의 救援을 위해 制定한 聖事로, 나머지 成事는 東方 敎會 西方敎會 에서 모두 지키는 敎會傳統으로 理解한 것이다. [7] 2004年 판 聖公會 祈禱書에서는 聖書 에 나오는 聖事인 洗禮聖事 聖晩餐 을 成事로, 婚姻, 躁病, 敍品, 堅振聖事 는 聖事의 性格을 가진 聖事的 禮式으로 區分하고 있다. [8] [9] [10] 하지만 只今도 韓國成功回 一部에서는 共同祈禱文의 影響으로 成事를 7가지로 理解하는 傾向이 있다.

改新敎 [ 編輯 ]

改新敎 에서는 西方敎會의 傳統인 7個의 成事를 聖禮典과 禮式으로 區分한다. 예수 그리스도가 制定했다고 傳하는 新約聖經에 따라 聖晩餐 洗禮 예수 가 制定한 聖禮典으로 理解하며 다른 것들은 禮式으로 본다. 나머지 5가지를 結婚, 聖職按手, 入校(堅信禮), 病者心房, 牧會相談으로 理解하며, 敎團別로 禮式을 마련하여 牧師가 執禮한다. 聖禮典人 聖晩餐과 洗禮를 除外한 나머지는 禮式 또는 牧會的 보살핌이다. 堅信禮 또는 入校禮式은 말 그대로 洗禮를 받은 以後의 禮式이고 結婚 禮式으로, 聖職按手度 禮式으로 理解한다. 病者心房은 改新敎의 傳統인 心房의 한 部分으로 病者를 위한 禮式과 臨終을 위한 禮式이 있다. 罪의 告白은 牧會相談으로 信仰的으로 成長하도록 돕는 牧會的 보살핌이다. [6]

聖事의 效果 [ 編輯 ]

로마가톨릭 [ 編輯 ]

로마가톨릭 에서는 聖事의 效果를 四爻적 效果(Effectum ex opere operato)와 人效的 效果(Effectum ex opera operantis)두 가지로 區分한다. 四爻적 效果는 '擧行된 成事 自體를 통해 받는 聖事의 恩惠'이며, 人效的 效果란 '聖事에 參與하는 이의 努力과 精誠과 熱心에 따라 받게 되는 하나님의 恩惠'이다. 따라서 로마가톨릭에서는 前例 를 통해 擧行되는 聖事의 效果를 最大化하기 위해 信仰과 敎理 에 對한 敎育 의 必要性을 强調한다. 그러나 그 成事의 效果는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를 약화시키거나 沮害하지 않는다. 따라서 비록 敎理 敎育을 받지 않은 幼兒 에 對한 洗禮聖事 에 있어 그 成事의 效果는 同一하다. 따라서 로마 가톨릭에서는 幼兒洗禮를 生後 100日 以內에 받기를 要求하고 있다. 그러나 그 幼兒가 成長하여 堅振聖事 , 聖品聖事 等을 받기 위해서는 信仰과 敎理에 對한 敎育이 必要하다.

聖公會 [ 編輯 ]

聖公會 에서는 成事를 ‘보이지 않는 하나님의 恩惠가 눈에 보이는 方法으로 傳達되는 禮式'(性 아우구스티누스 主敎 의 說明)으로 理解하며, 누구나 成事를 통해 하나님의 恩惠를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聖公會에서는 私製 어린이 에게 洗禮 를 베푸는 幼兒洗禮 를 執典하는데 [11] ,이때 어린이 基督敎 信仰으로 키울 代父母 가 같이 洗禮에 參與한다. 어린이 들은 나이가 어려서 비록 信仰告白을 할 能力은 없지만, 洗禮聖事 를 통해 傳達되는 하나님의 恩惠에서 除外되지 않는다는 理解가 聖公會에서 說明하는 幼兒洗禮의 妥當性인데, 이러한 說明에는 ' 洗禮聖事 聖體聖事 (聖晩餐)는 그리스도 께서 우리의 救援을 위해 세우신 成事이므로, 모든 사람에게 必要하다'는 聖公會 의 成事理解 [7] 가 담겨 있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네이버 漢文辭典] 聖事 (成事)...거룩한 일. 성스런 일....形象(形象ㆍ形像) 있는 標的(標的)으로 形象(形象ㆍ形像) 없는 聖寵(聖寵)을 票(表)하는 거룩한 行事(行事).
  2. 《그리스도人이 되어가는 나 그리고 우리》-成事란 무엇입니까>?/홍영선 지음/대한성공회 p.182
  3. 《偉大한 說敎者 10人을 만나다 英語 : Ten Great Preachers by Bill Turpie 》2. 토니 캠폴로 : 유머, 熱情, 現實 參與의 說敎者/빌 터피 저/김대웅 驛/브니엘
  4. 메이엔도르프. 《비잔틴 神學: 歷史的 變遷과 主要敎理》. 박노양 옮김. (서울: 正敎會出版社, 2010) 376.
  5. 메이엔도르프. 《비잔틴 神學: 歷史的 變遷과 主要敎理》. 박노양 옮김. (서울: 正敎會出版社, 2010) 376-377.
  6. 《이야기敎會史》-왜 洗禮를 받아야 하는 걸까?/이성덕 지음/살림 P.114
  7. 聖公會《 共同祈禱文 》(공도문)/ 大韓聖公會 P.6
  8. 聖公會 敎理解說서 《그리스도人이 되어가는 나 그리고 우리》/홍영선 지음/대한성공회
  9. 《共同祈禱文》/大韓聖公會
  10. 《聖公會 祈禱書》/大韓聖公會(2004年 改訂版)
  11. 《그리스도人이 되어가는 나 그리고 우리》-成事란 무엇입니까>?/홍영선 지음/대한성공회 p.237

外部 링크 [ 編輯 ]

  • 위키미디어 公用에 成事 關聯 미디어 分類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