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서 (1383年)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絶才 김종서 에서 넘어옴)

김종서
朝鮮 의 禮曹判書
在任 1441年 11月 ~ 1446年 1月
이름
別號 者(字) 國境(國卿)
號(號) 絶才(節齋)
시호(諡號) 衝益(忠翼)
別號 白頭山 大虎 ( 白頭山 大虎 )
身上情報
出生日 1383年
出生地 高麗 楊廣道 共注目
死亡日 1453年 11月 10日 (71歲)
死亡地 朝鮮 漢城府
經歷 文身, 무신, 政治家, 詩人
本館 順天(順天)
父母 金睟(簿), 星州 裵氏 否認(某)
兄弟姊妹 김종한(兄)
김종흥(아우)
配偶者 本실 坡平 尹氏 否認
側室 2名
子女 金昇圭 (長男)
김승벽(次男)
김승유 (三南)
金목대(庶子)
김석대(庶子)
親姻戚 김태영(親祖父)
배규(外祖父)
윤원部(匠人)
軍事 經歷
服務期間 1414年 ~ 1453年
勤務 咸吉道 都節制使, 平安道 都體察使
最終階級 大匡輔國崇祿大夫 議政府 左議政 英集賢殿 경연사 監春秋館事 世子副腎
(大匡輔國崇祿大夫 議政府 左議政 領集賢殿經筵事 監春秋館事 世子傅臣)
指揮 朝鮮 陸軍
主要 參戰 6陣 開拓

김종서 (金宗瑞, 1383年 [1] ~ 1453年 11月 10日 ( 陰曆 10月 10日 )는 朝鮮 前期의 文臣, 軍人, 政治가 이다. 本貫은 順天(順天) . 字는 國境(國卿), 號는 絶才(節齋)이다. 都總制(都摠制) 金睟(金?)의 아들이다. 斷種 의 忠臣 中 한名이다. 諡號는 衝益(忠翼)이다.

槪要 [ 編輯 ]

高麗 楊廣道 共注目 에서 出生하였으며 그는 1405年(太宗 5年) 式年文科에 同進士를 13位로 及第하여, 司諫院右正言(司諫院右正言), 地平(持平)·집의(執義)·우부대언(右副代言) 等을 지냈다. 1433年 6陣 을 設置하여 豆滿江 을 境界로 朝鮮 의 國境線을 擴張하였다. 1435年 咸吉道 兵馬都節制使(咸吉道兵馬都節制使)를 兼職하면서 擴張된 領土에 朝鮮人을 정착시켰고 北方의 境界와 守備를 7年 동안 맡았다.

1453年 首陽大君 에 依하여 두 아들과 함께 집에서 殺害되어 癸酉靖難 의 첫 犧牲者가 되었다. 그의 墓는 世宗特別自治市 將軍面 (舊 忠淸南道 公州市 長鬐面 )에 있다.

生涯 [ 編輯 ]

生涯 初盤 [ 編輯 ]

金宗瑞는 1383年 ( 高麗 禑王 9年) 楊廣道 公州 에서 아버지 김추(金錘)와 大司諫(大司諫) 배규(裵規)의 딸, 星州 裵氏 사이에서 3男 中 둘째로 태어났다.

兄弟 關係 [ 編輯 ]

兄은 李朝 板書 를 지낸 김종한(金宗漢)이고, 동생은 洋酒府使를 歷任한 김종흥(金宗興)이다.

功績과 官力 [ 編輯 ]

1405年(太宗 5) 文科에 及第하여 1415年 尙瑞院職場(尙書院直長)을 지냈고, 1418年(世宗 卽位年) 11月 監察로서 江原道의 踏驗損失(踏驗損實)로 怨聲이 크자 朝廷에서는 그에게 다시 調査하게 하였다. 1419年 3月 行臺監察(行臺監察)로서 忠淸道에 派遣되어 賑恤狀況을 調査하였고, 같은 해 10月에 司諫院右正言이 되었다. 1420年 尹正月에 光州판관(廣州判官)이 되었고, 奉常判官(奉常判官)으로 있으면서 義州·삭主導(義州朔州道)의 賑濟敬差官(賑濟敬差官)으로 派遣되었으며, 1426年 4月에는 吏曹正郞으로서 全羅道에 派遣되어 侵入한 倭人의 捕獲狀況을 調査, 報告하였다. 1427年에는 民政을 살피기 위하여 黃海道敬差官으로 派遣되기도 했다. 特히, 世宗의 信任이 두터워 右副代言, 左副代言, 右代言을 거쳐 1433年 左代言人 그에게 이부지選(吏部之選)을 管掌하도록 特命하기도 하였다.

같은해 12月 咸吉道節制使가 된 뒤 7, 8年間 北邊에서 六鎭(六鎭)을 開拓하여 豆滿江을 國境線으로 確定하는 데 큰 功勞를 세웠다. 以後 兵曹判書가 되었고, 禮曹判書를 거쳐 義禁府製造가 되었다. 또한 承文院提調度 겸했다. 1445年에는 忠淸·全羅·輕傷 3度의 都巡察使로 派遣되어 三男地方의 木磨場으로 적합한 곳과 房마(放馬)가 可能한 곳의 數爻를 調査하여 報告하였다. 1446年 議政府右贊成으로 任命되고 판例調査(判禮曹事)를 겸하였으며, 이듬해 忠淸道에 派遣되어 泰安 等地의 冊褓(柵堡)를 心情하였다. 1449年 8月 달달(達達, Tatar) 夜船(也先)李 侵入하여 搖動脂肪이 騷亂해짐에 따라 그에 對處하기 위하여 平安都體察使로 派遣되었다가 이듬해에 召喚되었다.

1451年(文宗 1) 左贊成 兼 知春秋館事(知春秋館事)로서 《高麗史》를 撰進하였고, 같은 해 10月 右議政이 되었다. 1452年 《世宗實錄》 編纂의 監修를 맡았고 《高麗史節要》를 撰進하였다. 1453年(端宗 1年) 左議政이 되어 端宗을 輔弼하다가 首陽大君에게 殺害되었다(향년 71歲).

面貌 [ 編輯 ]

六鎭開拓의 首長이자 剛直하고 威嚴을 갖춘 官僚, 《高麗史》·《高麗史節要》의 編纂責任者로서의 그의 面貌를 볼 수 있다. 아버지가 武官職에 있었고 六鎭開拓에서 이룩한 功勞로 인해 그를 흔히 武裝으로 알기 쉬우나, 剛直·嚴正하고 밝은 文人·學者였으며, 有能한 官僚이기도 하였다. 剛直·嚴正한 面貌는 司憲府·司諫院에서의 履歷을 통해 쉽게 斟酌할 수 있으며, 六鎭開拓 當時 試鍊도 잦았다. 副官이었던 판會寧都護府社(判會寧導護府使) 박호문(朴好問)의 謀陷을 받아 信任을 잃을 뻔 했으나, 곧 世宗(世宗)에 依해 棍杖을 맞고 끝이 난다. 六鎭開拓의 일을 마친 뒤 刑曹判書를 거쳐 禮曹判書에 任命되고 1446年 에 右贊成으로서 板豫調査를 겸한 일 等은 그가 高弟(古制)와 儀禮에 造詣가 깊었기 때문이었다.

實錄編纂과 受難 [ 編輯 ]

世宗은 勸第 (權?)· 안지 (安止) 等의 《高麗史》 個數作業이 未備한 것을 보고 1449年 김종서· 정인지 (鄭麟趾) 等에게 고쳐 쓰기를 命하였다. 그 作業은 2年 뒤에 完成되었는데, 이때 執筆과 校閱을 맡은 이들은 김종서 外에는 모두 集賢殿의 官僚出身들이었다. 集賢殿出身이 아니면서도 當時 最高水準의 學者·官僚였던 集賢殿學士와 그 出身들을 指揮하여 《高麗史》 編纂의 責任을 맡을 수 있었다는 것은 그의 學者的 能力을 보여주는 面이라 할 수 있다.

1451年 새로 編纂된 《高麗史》를 王에게 올리는 자리에서 編年體의 《高麗史》 編纂을 建議하자, 王은 卽時 그 編纂의 着手를 命하여 이듬해에 《高麗史節要》가 이루어졌다. 같은해 《世宗實錄》의 編纂 때에는 責任官으로 任命되었으며, “世宗實錄에는 따로 지(志)를 만들어야 마땅하다”고 한 정인지 의 意見을 支持하여 《世宗實錄》에 五禮·樂譜·地理誌·칠정산내외편(七政算內外篇) 等의 專門的인 資料가 整理되어 실리게 하는 데 影響을 주었다. 斷種 이 卽位한 뒤 議政府署事制 (議政府署事制)아래서의 議政府大臣들의 權限은 王權을 壓倒할 程度였다.

特히 學問과 智略에 武人的 氣像을 갖춘 威勢는 當時 ‘大湖(大虎)’라는 別名을 듣기에 足하였다. 首陽大君 이 野望을 實現하는 데 가장 問題되는 人物로 밖에 될 수 없는 가장 큰 理由는 어린 國王을 輔弼한다는 名分으로 朝鮮의 모든 兵權을 掌握하여 指目되었고, 結局 癸酉靖難 때에 첫 番째로 除去되었다. 그 뒤 1678年(肅宗 4)에 그 後孫들이 採用되었고, 1746年(英祖 22)에 復官되었다. 諡號는 衝益(忠翼)이다.

衝匿空 不弔電 全校 [ 編輯 ]

衝匿空 不弔電을 하사한 全校(傳敎)이다.

丙午(1786,正祖10年)年 12月22日에 左議政이 임금께 아뢰었다.

"今年 가을에 한 선비가 白岳山 기슭에서 한쪽 基퉁이가 老衝된 玉函을 發見하고 열어보니 單綜調에 相臣 金宗瑞의 新株이었다 하오이다". 正祖 임금께서 領議政 김치인과 左議政 이복원에게 "衝匿空 絶才에게는 後孫이 있다고 하니 特別히 不弔電을 命하는 것이 事理에 合當할 듯한대 意向이 어떠한가?"하니 左議政 이복원이 "옛 上申이 六鎭을 開拓한 공이 매우 크고 忠節이 卓越하니 扶助를 特許하는 것이 表彰하는 道理에 合當할 듯 하옵나이다". 하니 임금이 允許하였다.

 
— 正祖 10年 (1786年) 12月 22日, 正祖實錄

6陣 開拓 [ 編輯 ]

野煙사준도(夜宴射樽圖)

南部 滿洲地方에는 滿洲族들이 자리잡고 있었는데, 이들은 豆滿江과 鴨綠江을 넘어 朝鮮의 國境을 자주 侵犯하였다. 이 異民族을 '野人'(野人)이라고 불렀는데, 後에는 女眞族 으로 알려졌다. 高麗 때부터 交易을 통하여 懷柔하기도 하고 武力으로 征伐하기도 하였지만 女眞族과의 摩擦은 繼續 이어졌다. 朝鮮 初에는 寧邊 以北地方으로 朝鮮의 支配가 미치지 못하고 있었는데, 世宗 以後로 朝鮮이 安定되면서 國土가 침탈될 狀況에 이른 北方에 注目하게 되었다.

當時 朝鮮의 北方 진지는 정도전 이 公主에 設置한 敬遠部 였는데, 繼續되는 女眞族의 侵入으로 防禦하기가 어려워졌다. 그는 當時 百姓들의 凶年으로 인해 國內問題 解決에 汲汲하는 調整을 反駁하며 世宗에게 올린 上疏文에 다음과 같은 內容을 남겼다.

百姓이 굶주리고 나라財政이 바닥났다고 하여 오랑캐가 쳐들어 오지 않는다는 말입니까? 女眞族이 뭉쳐서 軍士가 일만이 되면 亡한다고 警告한 사람이 있는데도 遼나라는 女眞族에 對한 아무런 防備를 하지 않다가 敗亡했습니다.
 
— 김종서, 世宗 29年 (1447年) 7月 27日, 世宗實錄

結局 世宗 15年( 1433年 ) 平安道 地域에 繼續되는 女眞族의 侵奪에 최윤덕을 平安道 節制使로 임명하여 同年 4月에 平安道와 黃海道의 軍事 15,000名을 動員하여 鴨綠江의 支流인 파저강 流域의 이만주勢力을 征伐시키면서 鴨綠江 流域을 平定시켰다.

以後 同年 10月 豆滿江 流域의 女眞族 사이에 內紛이 發生하여, 알目下의 酋長인 동맹가첩목아 富者가 죽는 等 內部的인 女眞族의 分裂이 있었는데 이에 世宗은 金宗瑞를 咸吉道 觀察使로 임명하여 國土 回復 作業을 指示하였다. 金宗瑞는 咸吉道 觀察使로 赴任한 뒤 흩어진 民心을 추스르고, 咸吉道 南部 地方의 農家 2,200號를 敬遠部와 같은 北方 眞知人 靈北進 으로 이주시켰다. 金宗瑞는 먼저 會寧을 攻擊하여 會寧陣을 設置하고 敬遠部度 더 北쪽인 慶源으로 이동시키고, 敬遠部가 있던 地域에는 공성현을 設置하였다. 또한 終聲과 穩城에도 陣을 設置 하여 동북면의 國境을 確定하였다.

評價와 批判 [ 編輯 ]

金宗瑞는 太宗 世宗 , 文宗 , 斷種 을 모셔온 忠臣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當時 그의 威勢는 웬만한 權臣들度 잡지 못할 만큼이었으며, 議政府署事制 를 名分으로 朝鮮을 號令하였다. 또한 官僚로서 國王의 絶對的인 信任을 받으면서 成長하게 되자, 權勢가 犯하기 어려운 地境에 이르렀다. 世宗이 世孫(端宗)을 情事에 能한 元老大臣에게 委託하려는데 黃喜는 이미 隱退를 했고 아흔 살의 高齡이라 金宗瑞에게 맡기고자 하였다. 黃熙 (黃喜)는 이 때를 내다보고 金宗瑞를 길렀었으나 政治를 無理하게 할 것을 생각치 못하였다. 端宗이 卽位하면서 ‘그의 專橫과 獨斷이 너무 甚하다’라는 明나라 使臣의 評을 받기도 하고, '聖像위에 坐像'이라는 말도 있었다. 假令 그런 記錄을 보면, ' 황보인이 祖上의 墓(墓)에 祭祀를 지내기 위해 故鄕에 갈 때 電送하는 者들이 구름과 같이 많았으나, 金宗瑞가 갈 때보다는 많지 않았다'라는 것과 사위와 아들이 '特進'이라는 制度 때문에 昇進을 했다는 程度이다.

그의 攝政은 황보인 情分 等 當時의 宰相들의 存在를 無視한다라는 評價도 있다. 3政丞 體制에서 제 뜻을 펼치기 어려운 政治構造로 됐을 만큼 勢力을 잡고있었다. 少壯派 官僚 卽, 신숙주나 박팽년, 成三問 等의 不平도 있었으나, '臺諫이 敢히 大臣을 凌蔑하니 참해야한다' 라고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로 因해 金宗瑞가 百姓들의 怨望을 샀다는 記錄 等은 全혀 없다. 金宗瑞를 逆賊으로 몰아 쓴 端宗實錄 에서도 그가 西大門 밖에 집이 있었는데 그 집이 호화로웠다는 表現조차 보이질 않는다. 이런 情況들은 그가 엄청난 權力을 지녔으면서도 公人으로서 節度를 잘 지켰음을 보여준다.

文學 作品 [ 編輯 ]

金宗瑞가 武裝으로 有名하나, 元來는 文科에 及第한 文人이다. 그는 安平大君의 詩會에 參席하여 '夢遊桃源圖始蹴'에 五言古詩를 남겼다. 文身으로써 《 高麗史 》와 《 高麗史節要 》 等의 刊行에 힘쓰기도 하였다.

長白山(長白山)에 氣를 꽂고 豆滿江에 말을 씻겨
셕은 져 션비野, 우리 아니 社儺戱냐.
엇더타, 凌煙閣(凌練閣) 上(上) 뉘 얼골을 그릴高

[2]

朔風(朔風)은 나某 끝에 불고 명월(明月)은 눈 속에 贊듸
萬里邊城(萬里邊城)에 一長劍 집고 셔셔
긴 바람 큰 한 소리에 거칠 거시 業歲라

[3]

宋時烈, 宋浚吉 家門과의 關係 [ 編輯 ]

송준길 의 7代祖이며 송시열 의 8代祖 繫辭(繼祀)는 判官을 지냈으며 金宗瑞의 동생 김종흥 (金宗興)의 딸과 婚姻했다. 順天 金氏는 金宗瑞의 後孫들이 亂을 避해 公州에 숨어 있던 집안이다. 順天 金氏와의 사이에 두 아들 요년(遙年)과 旬年(順年)을 두었다. 癸巳의 子孫으로 동춘당 宋浚吉과 尤庵 宋時烈이 요년과 旬年 兄弟에서 갈라진다. 요년의 5代孫이 송준길 이다. 그리고 純年의 6代孫이 송시열 이다. [4]

家計 [ 編輯 ]

  • 高祖父: 金通해(金通海)
  • 曾祖父: 김욱(金煜)
  • 祖父: 김태영(金台泳)
    • 아버지: 金睟(金?)
    • 어머니: 星州 裵氏 (星州裵氏)(?~1435年10月12日)-大司憲 배규(裵規)의 딸
      • 兄님: 김종한(金宗漢)
      • 동생: 김종흥(金宗興)
      • 否認: 坡平 尹氏 (坡平尹氏) 윤원部(尹元富)의 딸
        • 長男: 金昇圭 (金承珪)
          • 孫女 : 順天 金氏
          • 孫女사위 : 심치(沈淄) - 深穩 (沈溫)의 孫子, 심준(沈濬)의 아들
        • 次男: 김승벽(金承璧)
        • 三南: 김승유 (金承琉)
        • 사위: 職場 김자정(金自?)
      • 側室: 이름 未詳
        • 庶子: 金목대(金目臺)
        • 庶子: 김석대(金石臺)
      • 側室: 女眞族 出身의 첩

金宗瑞를 다룬 作品 [ 編輯 ]

드라마 [ 編輯 ]

映畫 [ 編輯 ]

기타 [ 編輯 ]

그의 生家터人 김종서 遺墟地 (金宗瑞遺墟地)는 忠淸南道 公州市 의당면 월곡리 138-2番地에 位置하고 있으며, 忠淸南道 文化財資料 第394號로 指定되어 公州市 에서 管理하고 있다. 한便, 公州市 의당면 一部와 長鬐面 一部 地域으로 構成된 世宗特別自治市 將軍面 의 '將軍(將軍)'은 金宗瑞를 가리키는 것이며, 의당면 에 그의 生家터가 있고, 將軍面에 그의 가 있는 데서 由來한다.

關聯 文化財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一說에는 1390年生 出生說度 있다.
  2. 現代語驛:

    長白山에 氣를 꽂고 豆滿江에 말 씻기니
    썩은 저 선비야 우리 아니 大丈夫냐
    어떻게 麒麟閣 畫像에 누가 먼저 오를까

  3. 現代語驛:

    朔風(朔風)은 나무 끝에 불고, 명월(明月)은 눈속에 찬데
    萬里邊城(萬里邊城)에 一長劍 짚고 서서
    긴파람 큰 한소리에 거칠 것이 없어라

  4. 이순형, 韓國의 名門 宗家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188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朝鮮初의 對外關係" 項目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