腺腫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禪佛敎 에서 넘어옴)

選定 (禪定)에 든 고타마 붓다 ( 石窟庵 )

佛敎에서 腺腫(禪宗) 또는 (禪)이란, 中國 大陸 에서 5世紀 에 發展하기 始作한 大乘佛敎 의 한 潮流이다. 善意 鳥類는 中國 大陸 에서 한 宗派로 成立되어 韓國 日本 等地로 傳播되었는데, 이 系統의 여러 分派를 腺腫 (禪宗)이라고 統稱하고 이 系統의 佛敎를 禪佛敎 (禪佛敎)라고 한다.

(禪)이라는 낱말은 산스크리트語 디야나 (?????)를 中國 大陸 에서 音譯한 禪那 (禪那)의 준말이다. 디야나는 大體로 靜慮(靜慮: 고요히 하는 생각)  · 內官(內觀: 內部上으로 察觀)  · 耐性(內省: 內部上 省察)  · 沈潛(沈潛: 內面으로 깊숙히 沒入)의 뜻이 있다. 이런 뜻을 좇아 漢譯하여 線을 (定)  · 靜慮 (靜慮)  · 器樂 (棄惡)이나 思惟手 (思惟修)라고도 한다. [1] 또한 音을 좇아 漢譯한 선(禪)과 뜻을 좇아 漢譯한 낱말인 情(定)을 合하여 選定 (禪定)이라고도 한다. [1] 線은 根本佛敎 의 隨行 體系인 八正道 訂正 (正定)에 該當한다. [2] 大乘佛敎 에서 線은 菩薩行 의 實踐 德目인 六波羅蜜 選定 波羅蜜 (禪定波羅蜜)에 該當하며, 選定 波羅蜜은 般若 波羅蜜 (般若波羅蜜)李 發現되게 하는 直接的인 手段 또는 原因이다. [3] [4] [5]

이 文書는 中國 大陸 에서 5世紀 부터 發展한 大乘佛敎 의 한 흐름으로서 佛敎의 한 宗派로 成立된 腺腫 (禪宗)을 主로 다룬다.

禪宗의 敎義와 特徵 [ 編輯 ]

禪宗의 最大 目的이자 核心인 敎義는 見性成佛 (見性成佛)이다. 卽 船種은 모든 人間이 內面에 本來 불타 (" 本性   · 本性  · 佛性   · 佛性")가 있다고 믿고 遂行을 利用해 自己 內面에 있는 本來 佛陀를 發見하여(" 見性   · 見性") 涅槃 에 到達( 成佛 )하는 것을 最大의 目的으로 한다.

隨行 面에서는 坐禪 이나 參禪 을 重要한 遂行 方法, 卽 禪宗의 特徵은 精進(精進: 힘써 前震)을 手段으로 삼는다.

禪宗의 敎義 性格을 띠며 實踐하는 特徵을 가장 잘 드러내는 文句는 " 以心傳心   · 見性成佛   · 不立文字   · 敎外別傳 "이다. [6] 이런 文句는 禪宗이 敎宗 과 判異한 獨自性이 있다는 事實을 드러낸다. [6]

禪宗은 靜慮 (靜慮)  · 坐禪 (坐禪)으로 內觀 (內觀)  · 耐性 (內省)하여 佛性 (佛性)을 찾고 說敎  · 文字를 떠나 卽時 佛陀의 마음 (佛心)을 衆生에게 傳하는 宗派, 卽 佛心宗 (佛心宗)이다. [6] [7]

禪宗의 歷史 [ 編輯 ]

摩訶迦葉
蓮꽃 拈華微笑 의 故事에서 使用되었다고 하는 꽃이다
禪宗의 焦燥人 菩提達磨

禪宗의 起源 [ 編輯 ]

禪宗의 傳統을 보면, 禪宗의 起源은 고타마 붓다 靈山會 (靈山會)에서 말없이 꽃을 꺾어 보였을 때 弟子들 中 오직 摩訶迦葉 만이 그 뜻을 以心傳心 으로 理解하고 微笑지었다는 拈華微笑 (拈華微笑)나 拈華示衆 (拈華示衆)의 故事에서 찾는다. [7] [8] 靈駕현각 (永嘉玄覺: 647~713, 第6條 慧能의 弟子 [9] )의 《 증도가 (證道歌)》에서 보듯이, 禪宗의 傳統에서는 摩訶迦葉 을 禪法(禪法)을 받아 이어준 第1條로서 崇拜한다. [10]

後漢 時代 (25~220)에 印度 坐禪 (坐禪) 方法을 說法한 鮮京(禪經)李 飜譯되었으나 腺腫으로서 發展하지는 못하였다. [11]

禪宗의 基礎 [ 編輯 ]

그 뒤 470年 [11] 이거나 520年 [7] 菩提達磨 (?~528 [12] )가 남인도 에서 中國 大陸 南方으로 가서 傳播한 선(禪)이 禪佛敎에 直結되는 始初이다. [7] 達磨 達磨選 (達摩禪), 卽 達磨 系統의 旋法(禪法)의 傳統의 第1代 調査 로 불린다. 흔히 禪宗이라고 하면, 達磨線을 뜻하므로 達磨는 禪宗의 第1條이다. 《 증도가 (證道歌)》에 나타났듯이, 腺腫[達磨選] 傳統을 보면, 菩提達磨는 摩訶迦葉 에서 傳承한 禪宗의 第28條이고 中國 大陸 禪宗의 第1條이다. [10]

菩提達磨의 禪法(禪法)은 第2條 慧可 (487~593 [13] )를 거쳐 第3條 승찬 (僧璨: ?~606 [14] )으로 傳하여졌는데 慧可와 승찬은 北周파불 (北周破佛: 574~577의 北周 無題 에 依한 佛敎 彈壓)을 被害 西周(舒州)의 完工山(完公山)에 숨어 지냈다. [11] [15] 以後 旋法(禪法)은 第3條 승찬으로부터 第4條 道臣 (道信: 580~651 [16] )으로 傳해졌는데 寄主 (?州) 黃梅山 (黃梅山)에서 많은 門下生을 거느리고 旋法을 說法한 第4條 道臣 과 第5條 紅燐 (弘忍: 601~674 [17] )의 東山法文(東山法門)에서 多數의 卓越한 선자(禪者)들이 排出되어 腺腫으로서 基礎가 確立되었다. [11]

남종선·북종선·우두선 [ 編輯 ]

第5條 紅燐 을 代表할 程度로 典型이 될 만한 特徵이 있는 弟子로서 身數 (神秀: ?~706 [18] )와 慧能 (惠能: 638~713 [19] )이 있었는데 이 사람들은 禪宗을 크게 發展시켰다. [7] 身數 북종 (北宗)이라고 불리는 북종선 (北宗禪)을 改宗했고 紅燐 의 뒤를 이어 禪宗의 第6組가 된 慧能 (惠能)은 男종 (南宗)이라고도 불리는 남종선 (南宗禪)을 改宗했다. [15]

一邊 菩提達磨 (?~528)에서 제5조 紅燐 (601~674)을 거쳐 身數 (?~706)의 북종선 과 第6條 慧能 (638~713)의 남종선 으로 이어지는 達磨選 系統과 別途로, 牛痘(牛頭) 법융 (法融: 594~658)은 三論 (三論) 系統의 우두선 (牛頭禪)을 改宗했는데 [15] [20] 하루는 善終 第4條 道臣 (道信: 580~651)李 법융 에게 갔는데 법융 에게서 校時(敎示)받고서 心要(心要)를 깨달았다고 한다. [21]

남종선   · 북종선   · 우두선 系統의 많은 선자(禪者)가 活躍하여 腺腫 全體는 思想과 實踐 모두 크게 發展하였다. [15]

以後 남종선과 북종선의 禪宗은 韓半島   · 日本 으로 傳播되었는데 남종선이 主로 傳播되어 主流를 이루었다.

남종선의 隆盛 [ 編輯 ]

湖南省 (빨강)과 장시省 (파랑)

中國 大陸에서, 우두선 에서는 법융 의 뒤를 이어 지암(智巖)  · 혜방(慧方)  · 法知(法持)  · 地位(智威)  · 慧衝(慧忠)  · 玄素(玄素)  · 度欠(道欽)  · 道琳(道林) 等 高僧이 많이 輩出됐다. [20] 이들은 大體로 우두산 에서 법융 의 宗風(宗風)을 크게 떨쳤다. [20] 그러나 우두선의 旋法(禪法)은 繼續 이어지지 못하고 (618~907) 初期에 끊어졌다. [20]

남종선 북종선 은 그 分裂은 黨 初期에 일어났는데 제6조 身數 (神秀: ?~706)의 북종선은 漸悟(漸悟)를 標榜하고 第6條 慧能 (慧能: 638~713)의 남종선은 頓悟(頓悟)를 標榜하였다. [22] 神水는 黨의 首都였던 長安 과 黨 時代 東邦의 首都라는 意味로 동도(東都)라고 불린 洛陽 陽經(兩京)을 中心으로 中國 大陸 北部에 북종선을 普及하고 慧能 長杠 以南 地域인 江南 (江南)에 남종선을 선양(宣揚)했다. [11] 初期에는 북종선이 성했으나 後에는 남종선이 有力해져 남종선 系統이 中國 大陸選(中國禪)의 主流를 차지하였다. [15]

북종선은 빨리 衰退했지만, [11] 남종선의 慧能 (慧能: 638~713)의 門下에는 淮陽 (懷讓: 677~744 [23] · 行事 (行思: ?~740 [24] · 燼灰 (神會: 685~760 [25] ) 等이 排出되어 湖南省 장시省 을 中心으로 敎勢를 擴張하였다. [22]

五家七宗(五家七宗)의 成立 [ 編輯 ]

남종선 淮陽 (懷讓: 677~744)의 系統에 백장회해 (百丈懷海: 749~814 [26] )가 船員에어서 集團生活 規範이 된 後代에 《 백장청규 (百丈淸規)》라고 불린, 淸規 (淸規)를 만들었다. [11] [22] 그리고 이 系統에서 林悌의현 (臨濟義玄: ?~867 [27] )을 始祖로 하는 臨濟宗 (臨濟宗)과 위산영우 (?山靈祐: 771~853 [28] )와 앙산혜적 (仰山慧寂: 815~891 [29] )의 두 禪僧을 始祖로 하는 潙仰宗 (?仰宗)이 成立했다. [11]

남종선의 行事 (行思: ?~740)의 系統에서는 洞山良价 (洞山良价: 807~869 [30] )와 早産본적 (曹山本寂: 839~901 [31] )의 두 禪僧을 始祖로 하는 曹洞宗 (曹洞宗), 雲門文偃 (雲門文偃: ?~949 [32] )을 始祖로 하는 雲門宗 (雲門宗), 그리고 法案文益 (法眼文益: 885~958 [33] )을 始祖로 하는 法眼宗 (法眼宗)이 成立되었다. [11]

이로써 5代에 걸쳐서 潙仰宗 (?仰宗)  · 臨濟宗 (臨濟宗)  · 曹洞宗 (曹洞宗)  · 雲門宗 (雲門宗)  · 法眼宗 (法眼宗)의 5街 (五家) 또는 禪家 5種 (禪家五宗)이 成立되었다. [22]

後에 臨濟宗에서 갈라진 黃龍혜남 (黃龍慧南: 1002~1069 [34] )의 黃龍派 (黃龍派)와 양기방回 (楊岐方會)의 양기파 (楊岐派: 996~1046 [35] )의 두 派를 더하여 五家七宗 (五家七宗)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11]

五家七宗 으로 分化  · 發展한 남종선은 淨土敎 (淨土敎)와 함께 宋나라 (960~1279) 時代 以後 佛敎의 主流를 이루었다. [22] 特히 臨濟宗 이 中心이 되었으며 이윽고 選定雙手 (禪淨雙修: 腺腫 淨土敎 를 함께 遂行하다, 卽, 參禪 念佛 遂行을 함께하다)의 길로 들어섰다. [11]

看話禪(看話禪)과 默照禪(?照禪) 成立 [ 編輯 ]

南宋 (南宋: 1127~1279) 初期에 모두 남종선 에 屬하는 臨濟宗 (臨濟宗)과 曹洞宗 (曹洞宗)에서 各各 看話禪 (看話禪)과 默照禪 (默照禪)李 成立되었다. 看話禪은 話頭 (話頭)를 利用하여 得道하려는 旋風(禪風)으로서 臨濟宗의 대혜鐘鼓 (大慧宗?: 1089~1163)가 主唱하였다. [36] 默照禪은 妄想과 雜念을 없애고 고요히 坐定하여 得道하려는 旋風(禪風)으로서 曹洞宗의 굉지정각 (宏智正覺: 1091~1157 [37] )이 主唱하였다. [38]

禪宗의 韓國 傳來 [ 編輯 ]

禪宗의 韓國 傳來는, 唐나라 書堂 地場 (西堂 知藏)에게서 法을 받아 784年 ( 선덕왕 5年)에 新羅 로 歸國한 度의 를 始祖로 하는 迦智山門 (迦智山門)에서 始作되었다. [7] 以後 南北國時代 末期와 高麗 初期에 9散文 이 成立되어 한창 蕃盛했으나 漸次 衰退하였다.

高麗 時代 (918~1392)의 明宗 普照國師 知訥 (1158~1210)李 曹溪山 수선사 (修禪寺)를 세우고 淨慧結社 (定慧結社)를 設立했으나 그 뒤부터 承行(僧行)李 墮落하면서 次次 衰退하기 始作하였다. [7] 高麗 末期에 이르러 太古 保佑 (1301~1382)는 中國 濠洲 (湖州) 下霧散 (霞霧山)의 席玉 靑空 (石屋淸珙)의 法을 받아 왔고 懶翁 惠勤 (1320~1376)은 江西(江西)의 평산 處林 (平山處林)의 法을 받아 와서 두 派로 갈리었다. [7] 그러나 懶翁의 法階(法系)는 얼마 안 되어 없어지고 太古 의 法界만 只今까지 傳來한다. [7]

禪宗에 對한 誤解 [ 編輯 ]

或者는 禪佛敎가 中國 道敎와 莊子 思想의 習合이라고 보며 그것은 中國宗敎人 도(道) 系統의 宗敎일 뿐, 佛敎가 아니라고 말한다. 하지만, 禪佛敎는 大乘의 敎學에 基盤하고 있다. 禪敎一致 或은 善과 校歌 結局에는 다르지 않다는 생각은 이미 예전부터 많은 스님들에 依해 共有되어 왔던 觀念이다. 代表的으로 知訥스님은 善과 校歌 다르지 않다는 것을 깨닫고 善과 華嚴을 結合시킨 頓悟漸修論을 主唱했으며, 聖哲스님 또한 百日法文에서 善과 校의 共通點, 志向바는 바가 같음을 繼續해서 强調하고 있다. 대혜鐘鼓 스님 또한 '華嚴經을 보니 선 아님이 없다'라는 말을 남겼으며, 近來의 김성철 敎授 또한 <禪佛敎의 뿌리>라는 冊에서 禪宗의 깨달음과 重官學, 三論宗 같은 佛學의 關係에 對해 考察, “看話禪의 뿌리가 印度 重官學, 더 멀리는 부처님의 中道(中道) 說法에 있는 點을 밝힌 論文”이라고 强調했던 것이다. [39]


禪佛敎에 對한 無知와 誤解는 이처럼, 佛敎敎學이 너무나도 厖大하고, 실참修行을 하기가 普通사람들로서는 버겁고 쉽지 않기 때문에 發生한다. 그러나, 眼目을 갖춘 善知識들의 도움을 받아 종지를 잡고 探究하다 보면, 禪宗에 對해 가졌던 漠然한 誤解와 不信이 사라지게 된다.


禪宗과 敎宗의 差異는, 돈法이냐 占法이냐, 단박에 여래지에 들어가느냐 아니면 漸次的으로 닦아올라가느냐에 있는 것일 뿐, 印度의 佛敎하고는 다른 完全히 새로운 長子, 道가 系統의 宗敎라든가는 語不成說에 不過한 것이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 선(禪)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 《네이버 百科事典》. 2011年 3月 16日에 確認.
  2. 宗敎·哲學 > 世界의 宗敎 > 불 校 > 佛敎의 思想 > 根本佛敎의 思想 > 8程度 , 《 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
  3. 宗敎·哲學 > 世界의 宗敎 > 불 校 > 佛敎의 思想 > 初期 大乘佛敎의 思想 > 6波羅蜜 , 《 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
  4. 안혜 兆, 지바하라 漢譯 & T.1613 , p. T31n1613_p0851c28 - T31n1613_p0852a02 . 三摩地(三摩地)
    "云何三摩地。謂於所觀事。心一境性。所觀事者。謂五蘊等。及無常苦空無我等。心一境者。是專注義。與智所依?業。由心定故。如實了知。"
  5. 안혜 지음, 지바하라 漢譯, 조환기 飜譯 & K.619, T.1613 , p. 6 / 24 . 三摩地(三摩地)
    "무엇을 三摩地(三摩地)라고 하는가?
    管(觀)하는 일에서 마음이 한 對象에 머무는 것[心一境性]을 말한다. 關하는 일이란 5溫 等과 無常함  · 괴로움  · 공  · 無我 等에 마음을 集中하여 觀하는 것이다. 마음이 한 對象에 머문다는 것은 여기에 오로지 注意를 기울인다는 것이다. 智慧가 나타나는 行動樣式이다. 마음이 情(定)에 있기 때문에 如實하게 要별하여 안다."
  6. 宗敎·哲學 > 世界의 宗敎 > 불 校 > 佛敎의 分派 > 腺腫 , 《 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
  7. 韓國史 > 中世社會의 發展 > 高麗의 成立 > 豪族의 文化 > 腺腫 , 《 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
  8. 宗敎·哲學 > 世界의 宗敎 > 불 校 > 佛敎의 歷史 > 敎團의 發達 > 摩訶迦葉 , 《 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
  9. 耘虛 & 동국譯經院, "玄覺(玄覺)" Archived 2015年 6月 4日 - 웨이백 머신 , 《佛敎 事前》. 2011年 3月 26日에 確認.
  10. 玄覺(玄覺) 찬. https://web.archive.org/web/20160613025218/http://www.cbeta.org/result/normal/T48/2014_001.htm |archive-url= 은 題目을 必要로 函 ( 도움말 ) . 《永嘉證道歌(靈駕證道歌)》. 對精神수大藏經, T48, No. 2014, CBETA. T48n2014_p0396b18(00) - T48n2014_p0396b19(03). 2016年 6月 13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9年 5月 18日에 確認함 . 第一迦葉首傳燈。二十八代西天記。法東流入此土。菩提達磨?初祖。
    代弟子 迦葉 이 最初로 燈불을 傳하였고 二十八 代까지는 舒川[印度]의 記錄이다. 法[禪法]李 洞房으로 흘러 이 땅에 들어오니 菩提達磨 가 첫 調査가 되었다.
      |引用文= 에 라인 피드 文字가 있음(위치 32) ( 도움말 )
  11. 宗敎·哲學 > 世界의 宗敎 > 불 校 > 佛敎의 分派 > 中國 大陸佛敎의 宗派 > 腺腫 , 《 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
  12. 耘虛 & 동국譯經院, "菩提達磨(菩提達磨)" Archived 2015年 6月 4日 - 웨이백 머신 , 《佛敎 事前》. 2011年 3月 26日에 確認.
  13. 宗敎·哲學 > 世界의 宗敎 > 불 校 > 佛敎의 歷史 > 禪宗의 發達 > 慧可 , 《 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
  14. 耘虛 & 동국譯經院, "僧璨(승찬)" Archived 2015年 6月 4日 - 웨이백 머신 , 《佛敎 事前》. 2011年 3月 26日에 確認.
  15. 宗敎·哲學 > 世界의 宗敎 > 불 校 > 佛敎의 思想 > 中國 大陸佛敎의 思想 > 線의 思想 , 《 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
  16. 耘虛 & 동국譯經院, "道信(道臣)" Archived 2015年 6月 4日 - 웨이백 머신 , 《佛敎 事前》. 2011年 3月 26日에 確認.
  17. 宗敎·哲學 > 世界의 宗敎 > 불 校 > 佛敎의 歷史 > 禪宗의 發達 > 紅燐 , 《 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
  18. 宗敎·哲學 > 世界의 宗敎 > 불 校 > 佛敎의 歷史 > 禪宗의 發達 > 身數 , 《 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
  19. 宗敎·哲學 > 世界의 宗敎 > 불 校 > 佛敎의 歷史 > 禪宗의 發達 > 慧能 , 《 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
  20. 耘虛 & 동국譯經院, "牛頭禪(우두선)" Archived 2015年 6月 4日 - 웨이백 머신 , 《佛敎 事前》. 2011年 3月 26日에 確認.
  21. 耘虛 & 동국譯經院, "法融(법융)" Archived 2015年 6月 4日 - 웨이백 머신 , 《佛敎 事前》. 2011年 3月 26日에 確認.
  22. 宗敎·哲學 > 世界의 宗敎 > 불 校 > 佛敎의 歷史 > 禪宗의 發達 > 禪宗의 發達 , 《 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
  23. 耘虛 & 동국譯經院, "懷讓(淮陽)" Archived 2015年 6月 4日 - 웨이백 머신 , 《佛敎 事前》. 2011年 3月 26日에 確認.
  24. 耘虛 & 동국譯經院, "行思(行事)" Archived 2015年 9月 13日 - 웨이백 머신 , 《佛敎 事前》. 2011年 3月 26日에 確認.
  25. 耘虛 & 동국譯經院, "神會(燼灰)" Archived 2015年 9月 13日 - 웨이백 머신 , 《佛敎 事前》. 2011年 3月 26日에 確認.
  26. 宗敎·哲學 > 世界의 宗敎 > 불 校 > 佛敎의 歷史 > 禪宗의 發達 > 百張 , 《 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
  27. 宗敎·哲學 > 世界의 宗敎 > 불 校 > 佛敎의 聖典 > 臨濟錄 , 《 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
  28. 耘虛 & 동국譯經院, "靈祐(영우)" Archived 2015年 6月 4日 - 웨이백 머신 , 《佛敎 事前》. 2011年 3月 26日에 確認.
  29. 耘虛 & 동국譯經院, "慧寂(혜적)" Archived 2015年 6月 4日 - 웨이백 머신 , 《佛敎 事前》. 2011年 3月 26日에 確認.
  30. 耘虛 & 동국譯經院, "良价(良价)" Archived 2015年 6月 4日 - 웨이백 머신 , 《佛敎 事前》. 2011年 3月 26日에 確認.
  31. 耘虛 & 동국譯經院, "本寂(本籍)" Archived 2015年 9月 13日 - 웨이백 머신 , 《佛敎 事前》. 2011年 3月 26日에 確認.
  32. 耘虛 & 동국譯經院, "文偃(文言)" Archived 2015年 6月 4日 - 웨이백 머신 , 《佛敎 事前》. 2011年 3月 26日에 確認.
  33. 耘虛 & 동국譯經院, "文益(文益)" Archived 2015年 6月 4日 - 웨이백 머신 , 《佛敎 事前》. 2011年 3月 26日에 確認.
  34. 耘虛 & 동국譯經院, "慧南(혜남)" Archived 2015年 6月 4日 - 웨이백 머신 , 《佛敎 事前》. 2011年 3月 26日에 確認.
  35. 耘虛 & 동국譯經院, "方會(傍灰)" Archived 2015年 9月 18日 - 웨이백 머신 , 《佛敎 事前》. 2011年 3月 26日에 確認.
  36. 宗敎·哲學 > 世界의 宗敎 > 불 校 > 佛敎의 思想 > 中國 大陸佛敎의 思想 > 公案禪 , 《 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
  37. (中國語) "宏智派"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 《佛光大辭典(불광대事前)》. 3板. 2011年 3月 28日에 確認.
  38. 宗敎·哲學 > 世界의 宗敎 > 불 校 > 佛敎의 思想 > 中國 大陸佛敎의 思想 > 默照禪 , 《 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
  39. 記者, 이성수 (2021年 10月 5日). ““敎學을 버리기 前에 敎學 알아야”” . 2023年 12月 4日에 確認함 .  

參考 文獻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