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러시아 國境 紛爭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나선 征伐 에서 넘어옴)

靑-러시아 國境 紛爭

러시아 차르國 要塞를 攻擊하는 靑軍.
날짜 1652年 ~ 1689年
場所
現代의 아무르주 헤이룽장省 一帶
結果 러시아 차르國 의 敗北, 네르친스크 條約 締結
交戰國
러시아 차르국의 기 러시아 차르國
카자크 수장국의 기 카자크 首長國
청나라
조선 朝鮮
指揮官
러시아 차르國
曳撈페이 하바로프
阿罷拿視 波市코프
알렉세이 톨不振
阿罷拿視 베이톤
카자크 首長國
오노프리오 스테파노프
바실리 폴랴코프

順治帝
海色
喜福
밍가다리
사르후다
朝鮮
卞急
신류
兵力
2,000名 [1]
15,000名 [1]
朝鮮
350餘名
被害 規模
800名 以下 [2]
數百名
朝鮮
40名 以下

靑-러시아 國境 紛爭 ( 러시아語 : Русско-цинский пограничный конфликт , 中國語 : 雅克薩戰役 , 英語 : Sino-Russian border conflicts )은 1652年 부터 1689年 사이에 코사크 아무르江 以北의 淸나라 領土를 占有하려고 試圖하여, 러시아 차르國 과 淸나라 사이에 불거진 一連의 間歇的인 小規模 軍事 衝突이다. 1686年에 淸軍이 알바陣 의 코사크 요새를 攻掠하고 1689年에 네르친스크 條約 을 맺음으로써 敵對的 行爲는 幕을 내렸다.

紛爭의 背景 [ 編輯 ]

시베리아의 南東쪽 구석, 스타노보이山脈 의 南쪽 地域이 紛爭의 背景이 되었다. 水文學(水文學)的으로, 스타노보이山脈은 北쪽으로 흘러 北極海 로 흘러들어가는 江들과 南쪽으로 흐르는 아무르江 을 나누는 分水嶺이 된다. 生態學的으로 이 地域은 시베리아 타이가 의 南東쪽 끝部分으로, 農業에 적합한 區域이 多少 섞여 있다. 社會的·政治的인 面에서는 紀元後 約 600年 頃부터 餘震 의 根據地에 屬했다.

1643年에 러시아 차르國 의 探險家들이 스타노보이山脈 一帶로 쏟아져 들어왔으나, 1689年까지 淸나라 當局에 依해 모두 쫓겨났다.

1859年에서 1860年에 걸쳐 러시아가 이 地域을 차지했고, 재빨리 러시아系 人口로 채워넣었다.

淸나라 側 立場 [ 編輯 ]

1639年 ~ 1643年: 淸나라가 이 地域의 土着 支配者들에 對한 軍事行動을 實施함.

1643年 ~ 1644年: 바실리 폴랴코프

  • 1643年 겨울 ~ 1644年 봄: 바실리 폴랴코프의 코사크 騎兵隊가 先導하는 러시아軍이 領土擴張을 祈禱하며 除夜 江 과 아무르 江의 支流를 探査함.

1649年 ~ 1653年: 曳撈페이 하바로프

1654年 ~ 1658年: 오노프리오 스테파노프

  • 1655年 3月 ~ 4月: 코마르 攻城戰.
  • 1655年: 러시아 차르國 이 ‘아무르 地域의 軍事 總督’을 任命.
  • 1657年: 샤르호디 戰鬪.

1654年 ~ 1658年: 靑-朝鮮 聯合軍, 러시아에 對한 遠征 實施

  • 1654年 1月: 朝鮮軍이 닝안 時 에서 靑軍에 合流.
  • 1654年 7月: 後桶 戰鬪. 現代의 이란 現 에 該當하는 숭化 江 下流에서 靑-朝鮮 聯合軍 1,500餘名과 400 ~ 500餘名의 러시아軍 衝突.
  • 1658年: 닝안을 出發한 사르후다 의 靑軍 艦隊( 신류 가 指揮하는 少數 朝鮮軍 包含)가 숭化 江을 따라 아무르 江 쪽으로 내려가고, 알바陣 要塞에서 기어나온 오노프리오 스테파노프의 小規模 코사크 船團을 發見. 아무르 江床 戰鬪는 松花 江의 河口에서 不過 몇 마일 떠어진 곳에서 勃發(1658年 7月 10日). 11隻의 배로 이루어진 러시아 차르國 側 傳單은 潰滅하고, 배 한척만 脫出. 스테파노프 本人도 作戰 中 死亡 . [4]

1685年 ~ 1687年: 알바陣/야케社 軍事行動

  • 1685年 5月 ~ 7月: 알바陣 攻城戰(右側 情報箱子의 그림에 描寫).
  • 1868年 7月 ~ 10月: 新(新)알바陣 攻城戰.

러시아 차르國 側 觀點 [ 編輯 ]

現代의 國境線을 表記한 아무르 江 流域.
1860年의 아무르 江 流域 地圖.

이 段落에서는 위의 이야기를 러시아 차르國 側의 觀點에서 再構成한다. 大部分의 內容은 제임스 砲사이스(James Forsyth)와 브루스 링컨(W. Bruce Lincoln), 그리고 패트릭 마치(G. Patrick March)의 硏究에 바탕한 것이다. [5] [6] [7]

러시아 차르國 은 1582年에 시비르 韓國 을 征服하면서 시베리아로 膨脹을 始作했고, 1643年에 오호츠크 에 到達함으로써 太平洋에까지 領土를 넓혔다. 예니세이 江 의 東쪽 地方에는 農業에 適切한 땅이 거의 없었는데, 스타노보이山脈 아무르江 사이에 있는 多우리아(현대의 者바이칼 )는 例外였다. 이 땅에는 9,000餘名의 다우르族 , 14,000餘名의 逗滯르族 , 數千 名의 퉁구스系 예벤키족 니브흐族 이 살고 있었다. 다우리아에 對한 情報를 最初로 接한 러시아人은 1640年의 이반 모스크費틴과 막심 페르필레프로 推測된다.

1643年 ~ 1646年 폴랴코프 : 1643年에 바실리 폴랴코프 야쿠츠크 에서 南쪽으로 내려가 除夜 江 까지를 探査했다. 그리고 아무르江 을 따라 내려가 아무르 江 河口에까지 到着한 뒤, 오호츠크 海 海岸을 따라 北上하여 3年 뒤에 야쿠츠크에 歸還했다.

1649年 ~ 1650年 하바로프 : 1649年에 曳撈페이 하바로프 가 아무르 一帶로 向하는 더 좋은 길을 發見하고, 재빨리 야쿠츠크로 돌아가 이 地域을 征服하기 위한 武力行動 開始를 建議했다.

1650年 ~ 1653年 또다시 하바로프 : 하바로프는 같은 해(1650年)에 돌아와 講義 北壇의 알바陣에 冬季兵營 (winter quarter)들을 세운다. 다음해 여름이 되자 아무르 江을 따라 내려가 現代의 하바롭스크 地域에 亞찬스크 要塞를 建設한다. 러시아人들과 原住民들 사이에 衝突이 있자 原住民들은 自身들의 賞國인 請에 도움을 要請한다. 1652年 3月 24日, 亞찬스크는 많은 數의 靑軍에게 攻擊을 받는다. 靑軍은 닝안에서 出發한 女眞族 600名과 約 1,500名의 다우르族과 두체르족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將軍 海色( 中國語 : 海色 , 병음 : Haise ) [8] 또는 러시아 表記로 이제네이(Изеней or Исиней) [9] 가 指揮했다. 要塞 攻略은 失敗했고, 海色은 그 責任을 지고 처형당한다. [10] 江의 얼음이 녹자마자 하바로프는 上流로 撤收하고 [11] 現代의 후마 現 地域에 冬季兵營을 建設한다. 1653年 봄이 되자 드미트리 지노비에프(Dmitry Zinoviev)가 指揮하는 增强 兵力이 到着했다. 하바로프와 지노비에프가 싸움을 벌이고, 하바로프는 逮捕되어 證言을 하기 위해 모스크바로 끌려갔다.

1653年 ~ 1658年 스테파노프 : 오노프리오 스테파노프가 400 ~ 500餘名의 兵力과 함께 뒤에 남았다. 스테파노프의 코사크 軍은 原住民들을 掠奪하면서 淸의 地方軍을 擊退했다. 청은 두 가지 政策으로 맞섰다. 于先 地域 住民들을 소개시켜 러시아人들이 貪내는 食糧 生産을 中止시켰다. 그리고 숭化 江 河口의 니에르補(Nierbo) 마을 出身인 經驗 많은 將軍 사르후다 를 닝안으로 派遣하여 守備隊 司令官(garrison commander)으로 임명했다. 1657年이 되자 사르후다는 울라 마을(現代의 지린)에서 40隻 以上의 배를 建造했다. [ 出處 必要 ] 1658年, 사르後다가 指揮하는 靑 艦隊가 스테파노프를 追擊하여 스테파노프 本人과 그 麾下 220名의 코사크人들을 잡아 죽였다. 脫出한 少數의 生存者들은 掠奪을 하면서 延命했다.

1658年 ~ 1665年: 武人地帶 (No man's land) 靑軍은 1658年까지 네르친스크 以南의 러시아人들을 모두 쫓아내고, 코사크 敗殘兵들이 숨지 못하게 하기 위해 그 一帶를 破壞했다. 그러던 中 自身들의 焦土化 作戰으로 인해 自身들이 먹을 食糧마저 不足해지자 靑軍은 코사크를 더 쫓지 못했다. 1670年代에 靑軍은 北進하여 摩耶江 까지 올라감으로써 러시아人들을 오호츠크 海岸 너머로 몰아내려 했다.

1665年 ~ 1689年: 알바陣 1665年, 니키포르 체르니코프스키(Nikifor Chernigovsky)가 일림스크의 보이보다 를 殺害하고 [12] 아무르로 逃走한 뒤 알바陣 要塞를 차지했다. 이윽고 알바陣 요새는 1670年에 攻擊받았으나 防禦에 成功한다. 그러자 차르는 1672年에 赦免令을 내리고 알바陣을 公式的인 植民地로 認定한다. 한便 靑軍은 1673年에서 1683年까지 南部 地方에서의 삼번의 亂 을 鎭壓하느라 北部에 神經을 쓰지 못했다. 1682年 또는 1684年에 모스크바에서 알바陣의 보이보다가 派遣되었다. 1685年, 叛亂을 完全히 鎭壓한 靑 帝國은 알바陣 요새를 攻略하여 寬大한 條件으로 降伏을 받아낸다. 거의 大部分의 러시아人들은 네르친스크로 도망갔지만, 少數는 滿洲에 남아 페킹의 알바陣 코사크 가 되었다. 곧이어 靑軍이 南쪽으로 물러갔는데, 이 消息을 들은 알렉세이 톨不振(Aleksei Tolbuzin)李 이끄는 800名의 러시아人들이 또다시 몰려와 要塞를 되찾았다. 그들의 本來 目的은 그저 穀食을 얻는 것 뿐이었으나, 不幸히도 1686年에 淸軍이 돌아왔다. 이 마지막 싸움이 어떻게 끝났는지는 두가지 說이 있다. 먼저 攻城戰이 12月까지 질질 끌리다가 兩國이 平和 條約을 맺어 흐지부지 되었다는 것과, [13] 18個月 동안의 攻城戰 끝에 톨不振이 戰死하고 요새는 陷落되었다는 것이 두 說이다. [14] 어찌 되었든 間에 戰鬪가 끝났을 때 防禦側 生存者는 100名이 채 되지 못했다.

나선征伐 [ 編輯 ]

當時 1654年과 1658年 사이 朝鮮 또한 이 紛爭에 휘말려 參戰했다. 1654年 3月 20日(陰曆 2月 2日)에 淸나라에 다녀온 茶祀 한車轅 (韓巨源)이 서울에 돌아와 “漕倉(鳥槍)을 잘 쓰는 사람 1百餘 名을 뽑아 보내라”는 淸나라 禮部의 要求를 傳達했다. 이에 當時 朝鮮의 王이었던 孝宗 이 ‘螺旋’이 어떤 나라냐고 묻자 한車轅은 “ 영고탑 近處에 사는 別種들”이라고 對答했다. 한車轅이 물러나자 領議政 정태화 가 북우후(北虞候) 卞急 을 軍事 引率者로 推薦했다. [15]

서울을 出發한 卞急은 會寧 에서 8日만에 영고탑에 到着하고, 영고탑에서 다시 14日 가서 曰合에 到着하여 러시아軍과 遭遇했다. 이때 러시아軍은 큰 배가 13隻, 작은 배가 26尺이었다. 淸나라 장수가 朝鮮軍을 先鋒에 세우려 하자 卞急은 “이 작은 者被選 으로 어떻게 저런 커다란 西洋 배를 막을 수 있겠습니까?”라며 拒否했고, 이를 妥當하게 여긴 靑軍은 曰합 原住民 3百餘 明과 淸軍 3百餘 名으로 러시아軍을 攻擊하고 朝鮮軍에게는 砲兵으로 支援射擊을 맡겼다. 攻擊이 繼續되자 덩치는 크지만 盧가 없는 西洋 배들은 아무르江 (黑龍江)의 거센 물살을 이기지 못하고 떠내려가고 말았다. [16] 卞急은 陰曆 7月頃에 영고탑 으로 歸還했다. [17]

1次의 境遇 7日만에 敵軍을 敗退시키고 朝鮮軍은 6月에 本國으로 改善하였다. 淸은 朝鮮 總帥의 威力에 새삼 놀랐다고 한다.

1658年에는 淸나라에 使臣으로 갔다 온 이일선(李一善)이 “螺旋을 다시 征伐하려 하니 다섯 달 치의 軍糧을 提供하라”는 靑 側의 要求를 傳達했다. 朝鮮은 군말없이 따랐다. [18] 2次의 境遇 10餘 隻의 배를 앞세우고 攻擊해 오는 러시아軍에 銃과 불화살로 맞서 싸워 大勝을 거두었다. 靑軍은 朝鮮軍을 先鋒으로 세우려 했는데 朝鮮軍은 작은 자피線만 가지고 있어서 러시아 차르國 의 큰 軍艦에 對應할 수 없어 取消되었다. 放心하고 배에서 待機를 하던 러시아軍을 向해 奇襲的으로 불을 저질러 큰 混亂을 주는 方法으로 스테파노프를 包含하여 270餘 名이 戰死하였고 殘黨은 모두 敗退하였다. 朝鮮軍은 7名의 戰死者를 냈는데 戰死者가 나온 經路가 荒唐하다. 朝鮮軍의 鳥銃 射擊에 러시아人들은 모두 뱃속에 숨어 있었고 朝鮮軍과 靑軍은 러시아 차르國 배에 불을 질렀으나 러시아배에 실린 財物을 貪한 淸나라 장수가 배의 불을 進化하고 戰利品을 얻을 것을 命令하면서 朝鮮兵士들은 遑急히 불을 끄고 다시 배로 돌아가는 헛수고를 해야 했다. 그 때 숨어있던 러시아人들이 射擊을 加하면서 朝鮮軍 7名을 包含한 多數의 戰死者가 났고 奇襲攻擊에 憤怒한 朝鮮軍은 反擊을 加해 러시아人들을 모두 殲滅했다. 靑軍은 朝鮮軍 屍身을 火葬할 것을 命令했으나 朝鮮軍은 祖國의 傘下에 묻어주진 못할 망정 異國에서 태울 순 없다고 하며 近處에서 埋葬을 했다. 신류 가 引率한 것으로 알려진 1658年 遠征에 對해서는, 派兵에 應했다는 것 以外에는 《 朝鮮王朝實錄 》 床에 남아있는 記錄은 없다. [19] 그러나 신류將軍이 쓴 當時의 狀況을 다룬 日記인 《 北征錄 》이 남아있다. 다른 異本으로는 1869年에 신류의 6世孫 呼應(顥應)李 1869年(高宗 6)에 펴낸 《通常新共實技》(統相申公實記)가 있는데 이 冊에는 〈北征日記〉(北征日記)로 되어 있으며, 以後 1980年에 現代語로 飜譯되어 再出刊되었다. 이 日記는 신류가 이끌었던 나선征伐에 對한 仔細한 記錄이 남아있으며 戰鬪狀況과 靑-朝鮮 聯合軍의 作戰, 러시아軍의 모습을 그린 아주 貴重한 資料로 評價된다. [20]

戰後 處理 [ 編輯 ]

1689年, 네르친스크 條約 이 締結되고 러시아 차르國 은 알바陣을 包含하여 아무르 一帶의 領土를 모두 잃었다. 廳과 러시아 차르國 의 國境은 아르군江 스타노보이山脈 으로 決定되었다. 1727年에 캬흐타 條約 이 締結됨으로써 이 國境을 다시 한番 確定짓고, 러시아人과 中國人 사이의 交易을 規制했다.

알바陣 要塞가 陷落되고 거의 2世紀가 지난 1858年, 아이훈 條約 으로 러시아 는 마침내 스타노보이山脈과 아무르 江 사이의 領土를 손에 넣었다. 1860年의 베이징 條約 에 따라 러시아는 애當初 17世紀에 紛爭 對象도 아니었던 프리모르스키 를 차지했고, 그 뒤로 只今까지 外滿洲는 러시아의 領土에 屬해 있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CJ. Peers, Late Imperial Chinese Armies 1520-1840 , 33
  2. China Marches West: The Qing Conquest of Central Eurasia, By Peter C. Perdue, Published by Harvard University Press, 2005
  3. А.М.Пастухов (A.M. Pastukhov) К вопросу о характере укреплений поселков приамурских племен середины XVII века и значении нанайского термина ≪гасян≫ Archived 2011年 10月 1日 - 웨이백 머신 (Regarding the fortification techniques used in the settlements of the Amur Valley tribes in the mid-17th century, and the meaning of the Nanai word "гасян" ( gasyan )) (러시아語)
  4. A.M. Pastukhov, " Корейская пехотная тактика самсу в XVII веке и проблема участия корейских войск в Амурских походах маньчжурской армии 保管됨 2012-07-08 - archive.today " (Korean infantry tactic samsu (三手) in the 17th century, and the issues related to the Korean troops' participation in the Manchus' Amur campaigns) (러시아語)
  5. Forsyth, James (1994). 《A History of the Peoples of Siberia: Russia's North Asian Colony 1581-1990》 .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47771-9 .  
  6. Lincoln, W. Bruce (2007 (earlier edition, 1994)). 《The Conquest of a Continent: Siberia and the Russians》 . Cornell University Press. ISBN   0-8014-8922-9 .  
  7. G. Patrick March, Eastern Destiny: the Russians in Asia and the North Pacific, 1996
  8. Gong, Shuduo; Liu, Delin (2007). 《???》 . 知書房出版集團. 66쪽. ISBN   986-7151-64-X .   (Although this particular book seems to misspell 海色 as 海包 (Haibao))
  9. Август 1652 г. Из отписки приказного человека Е.П. Хабарова якутскому воеводе Д.А. Францбекову о походе по р. Амуру. Archived 2011年 10月 4日 - 웨이백 머신 An excerpt from Khabarov's report to the Yakutsk Voivode D.A.Frantsbekov, August 1652.) (러시아語)
  10. Hummel, Arthur William (1970). 《Eminent Chinese of the Ch'ing period (1644-1912), vol. 2》 . Ch'eng Wen Publishing Co. 632쪽. Haise was executed for this disgrace   "SARHUDA" article.
  11. Оксана ГАЙНУТДИНОВА (Oksana Gainutdinova) Загадка Ачанского городка Archived 2007年 8月 13日 - 웨이백 머신 (The mystery of Fort Achansk)
  12. Ravenstein, The Russians on the Amur, 1860(sic), Google Books
  13. March, chapter 5
  14. John J. Stephen, The Russian Far East, 1994,page 31
  15. 朝鮮王朝實錄 《孝宗實錄》 12卷, 5年(1654 甲午 / 靑 脣齒(順治) 11年) 2月 2日(癸亥) 1番째記事
  16. 《孝宗實錄》 14卷, 6年(1655 乙未 / 靑 脣齒(順治) 12年) 4月 23日(丁丑) 2番째記事
  17. 《孝宗實錄》 13卷, 5年(1654 甲午 / 靑 脣齒(順治) 11年) 7月 2日(己丑) 5番째記事
  18. 《孝宗實錄》 20卷, 9年(1658 武術 / 靑 脣齒(順治) 15年) 3月 3日(경자) 2番째記事
  19. 《박시백의 朝鮮王朝實錄》 〈第13卷 孝宗·顯宗實錄〉 63쪽
  20. 韓國民族文化大百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