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토니아 獨立 戰爭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에스토니아 獨立 戰爭
소비에트 西部 攻勢 의 一部

1919年의 에스토니아 海兵들
날짜 1918年 11月 28日 ? 1920年 2月 2日
場所
結果

에스토니아의 勝利

交戰國

에스토니아의 기 에스토니아
라트비아의 기 라트비아
영국의 기 英國
러시아 제국 白軍
自願義勇隊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의 기 러시아 SFSR
에스토니아 노동자 코뮌의 기 에스토니아 勞動者 코뮌
발트 鄕土防衛軍
指揮官
에스토니아 요한 라이도네르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有쿰스 바키에티스 독일 제국 뤼디거 폰 데어 골츠
兵力
1919年 1月 7日: 4,450 [1]
1919年 5月: 86,000
1919年 1月 7日: 5,750?7,250 [1]
1919年 5月: 80,000 [2]
1919年 6月: 20,000 [2]
被害 規模
死亡 5,000
浮上 15,000 [2]
死傷者 不明
砲로 10,000 [3]
死亡 400
浮上 1,500 [4]

에스토니아 獨立 戰爭 ( 에스토니아語 : Vabadussoda →自由戰爭 )은 1918年에서 1920年에 걸쳐 에스토니아 陸軍 및 그 同盟者들( 러시아 白軍 , 英國 , 라트비아 및 北유럽 義勇軍)李 소비에트 러시아 西部 戰線 攻擊 발트 獨逸人 들의 발트 鄕土防衛軍 의 攻擊에 맞서 싸운 防禦戰이다. 러시아 內戰 과 關聯이 있는 紛爭으로서 第1次 世界 大戰 以後 에스토니아가 主權을 갖기 위한 鬪爭이었다. 戰爭의 結果 防禦側이 勝利하여 타르투 條約 으로 에스토니아의 獨立이 決定되었다.

序幕 [ 編輯 ]

1917年 11月 러시아 帝國 의 解體 以後 에스토니아 自治 政府의 熟考集會였던 에스토니아 地方 總會 는 그 해 봄 選出되었고, 이들은 에스토니아에서 높은 自治權을 主張했다. 곧이어 볼셰비키 는 에스토니아 地方 總會를 解散시키고 一時的으로 脫燐 에 親獨立派 에스토니아人들을 潛跡시켰다. 몇 달 後 붉은 軍隊의 後退 以後 獨逸 帝國 軍이 到着했고, 에스토니아 國家議會의 에스토니아 救國委員會 는 1918年 2月 24日 總選에서 에스토니아 獨立 宣言書 를 發表했다. [5] 이들은 에스토니아 臨時 政府 를 樹立했다. 그러나 獨逸 帝國의 에스토니아 占領으로 에스토니아의 獨立은 相當히 짧았다. 獨逸 政府는 臨時 政府와 에스토니아 獨立을 모두 認定하지 않았고, 발트 貴族 에 對한 主權에 依存했다.

戰爭 過程 [ 編輯 ]

에스토니아의 獨立 [ 編輯 ]

1919年 2月 24日 脫燐 에서 에스토니아 獨立을 祝賀하는 사람들.

1919年 初 에스토니아 軍은 13,000名의 兵力을 保有했는데, 이들 中 5,700名은 8,000名의 소비에트와 맞서고 있었다. [6] 强化된 에스토니아軍은 1919年 1月 2日부터 1月 5日까지 붉은 軍隊 第7軍의 進擊을 막아냈고, 1月 7日부터 反擊에 나섰다. 이틀 後 타파 가 解放되었고, 이 戰鬪 德澤에 1月 12日 라크베레도 解放되었다. 핀란드 -에스토니아 聯合軍은 1月 17日 우트라 戰鬪 에서 소비에트 第6小銃師團의 側面을 攻擊해 소비에트君을 東쪽으로 撤收시켰다. 1月 18日 나르바는 解放되었다. 나르바 江을 따라 北東部 戰線이 安定化되었고, 11日 만에 에스토니아 第1師團은 200km를 進擊했다. [7]

南部 戰線에서 타르투 파르티잔 大隊와 裝甲列車의 急速한 配置로 타르套가 解放되었다. 에스토니아 第2師團은 소비에트君의 抵抗이 거세어지는 南쪽 戰線으로 繼續 進擊했다. 坡州 戰鬪 에서 타르투마 파르티잔 大隊와 핀란드 義勇軍은 라트비아 붉은 小銃大隊를 擊退시키고 1月 31日 都市를 解放시켰다. 붉은 軍隊 第7軍은 에스토니아 國境地帶까지 쫓겨났고 戰線은 歷史的인 에스토니아 居住 地域까지 移動되었다. [8] 2月 첫 2週 間 에스토니아는 살라츠그리바 알룩스네 를 占領했다. 이 進擊은 소비에트軍이 새로운 擴張的 攻勢를 위해 表面上 兵力을 强化했기 때문에 停止되었다. 1919年 2月 24日 親獨立派 에스토니아軍은 19,000名의 兵力과 70個의 野砲, 230代의 機關銃을 保有하고 있었다. 에스토니아는 소비에트 西部 攻勢 를 最初로 막은 國家였다. [9] 2月의 남은 15日 間 敵軍은 에스토니아를 占領하기 위해 새로운 攻勢를 始作했다. 이를 위해 소비에트軍은 에스토니아 赤緯小銃臺 를 設立했다. 이 小銃臺는 80,000名의 兵力을 保有한 것으로 推算되었다. 하지만 나르바 江을 따라 세운 據點에서 에스토니아 第1師團은 白軍 北部軍團과 함께 붉은 軍隊 第7軍의 攻擊을 逐出시켰다. [8] 붉은 軍隊는 나르바에 砲擊을 强化했고 이로 因해 2,000名의 避難民이 發生했지만, 에스토니아軍은 都市를 지켰다. 大部分의 소비에트軍은 南部 戰線에 兵力을 强化했고, 이들은 3月 15日까지 알룩스네, 歲토마, 바스체리나를 占領했다.

兵力을 强化한 에스토니아 第2師團은 反擊을 加害 3月 29日 페초리 를 奪還했다. 以後 에스토니아 敵軍은 옵초크 强까지 後退했다. 3月 27日 에스토니아 第3師團이 에른스트 푀더 將軍의 指揮 下에 南部 戰線의 西側傍으로 派遣되었다. [10] 例壘에서는 4月 22日부터 狀況이 惡化되었는데, 소비에트軍이 都市로부터 1.5km 떨어진 地點까지 進入했다. 4月 25日 라트비아 小銃臺는 뤼制나 를 占領했지만 에스토니아 第3師團이 이들을 擊退해 살라츠그리바-세다-가우차 線까지 밀어냈다. [11]

외국군의 編成 [ 編輯 ]

1919年 5月 驅逐艦 얌볼라 에 乘船한 에스토니아 海兵隊

1919年 4月 5日부터 4月 7日까지 에스토니아 立憲總會가 選出되었다. 이 選擧에서 左翼 및 中道 政黨이 勝利를 거두었다. [12] 120名의 立憲 總會 構成員들은 4月 23日 公開 會議에서 만났고, 議長으로 社會民主黨의 아우구스트 레이 를 選出했다. 臨時 政府는 廢止되었고 오토 스트란트만 이 이끄는 새로운 政府가 出帆했다. 6月 4日 總會는 에스토니아 臨時 憲法을 採擇했다. [13] 10月 10日 土地 改革法이 通過되어 에스토니아 領土의 折半 以上을 차지하고 있던 발트 貴族들의 資産을 沒收해 再分配했다. [14]

에스토니아는 活動的으로 白軍과 라트비아群, 잉그리我軍의 編成을 도왔다. 白軍 北部軍團은 1918年 12月부터 에스토니아에서 組織되고 있었다. 2月 18日 에스토니아와 라트비아 사이에서 라트비아軍이 에스토니아 司令部 밑에서 編成되고, 이들은 오직 南部 戰線에서만 活用한다는 合意案이 採擇되었다. 北部 라트비아 旅團은 요르히스 제미탼스 의 指揮를 받고 있었으며, 에스토니아로 逃走한 라트비아 市民들이 編成했다. [15] 1919年 3月 잉그리아 國家人民委員會와 에스토니아는 잉그리아 大隊의 編成을 위한 合意書를 締結했다. 1919年 5月 6,000名의 러시아人과 4,000名의 라트비아人, 700名의 잉그리아인이 그들의 國家部隊에 配屬되어 있었다. [16]

러시아 및 라트비아로의 進擊 [ 編輯 ]

에스토니아軍이 그들의 國家에 對한 領有權을 回復했지만, 붉은 軍隊는 如前히 活動하고 있었다. 에스토니아 最高司令部는 白軍 北部群團을 돕기 위해 그들의 防禦線을 러시아와의 國境地帶로 넓히기로 決定했다. 5月 13日 北部軍團은 나르바에서 攻勢를 始作해 소비에트君을 奇襲攻擊했고, 소비에트 第6師團이 이 戰鬪에서 潰滅되었다. [17] 英國 海軍 과 에스토니아 海軍 및 海兵隊의 支援 下에 핀란드만 을 따라 攻勢가 持續되었다. 크라스나야 고르카 要塞 의 本部가 除去되었다. 붉은 軍隊 第7軍은 兵力을 强化해 反擊을 開始했다. 이들은 러시아 白軍을 밀어붙였고, 戰線은 에스토니아 第1師團이 壘가 江 과 娑婆 江을 따라 支援軍을 보낸 以後 安定되었다. [18]

에스토니아 페체리 戰鬪團의 攻勢가 5月 24日 始作되었다. 레온하르트 리트의 에스토니아 第1小銃師團이 600名의 에스토니아 第1公算連帶와 함께 篇을 바꾸었다. [19] [20] 攻勢는 에스토니아 敵軍을 擊滅시켰고, 5月 25日 에스토니아軍은 프스코프 를 奪還했다. 以後 에스토니아軍은 에스토니아와 벨리카野江 사이의 소비에트君을 潰滅시켰다. [8] 白軍이 며칠 後 프스코프에 到着했지만 그들이 스스로 마을을 지킬 수 없었기 때문에 몇몇 에스토니아軍은 프스코프에 남았고, 나머지 全 部隊는 國境 地域으로 갔다. 北部軍團은 프스코프週 의 地域民을 動員했다. 1919年 6月 19日 에스토니아 司令官인 요한 라이도네르 는 그의 司令職을 白軍에게 넘겼고, 部隊名 亦是 北西軍으로 바뀌었다. 그 直後 니콜라이 유데니치 가 軍 司令官이 되었다. [21]

프스코프 攻勢가 벌어지는 동안 에스토니아 第2師團과 第3師團 亦是 南쪽으로 進擊을 開始해 北部 라트비아에 進入했다. 5月 末 이들은 알룩스네와 跋尾에라 를 占領했다. 獨逸軍의 라트비아 攻勢가 西쪽에서 始作되었기 때문에 소비에트에게 戰場 狀況은 매우 어렵게 돌아가고 있었다. 5月 31日 에스토니아 騎兵旅團이 굴베네 를 占領했다. [22] 第2師團의 奇襲的인 攻勢는 6月 6日까지 이어졌다. 이들은 다우가바 江 을 渡河해 예캅필스 를 占領했다. [23] 그러나 제3사단은 第2師團의 進擊을 더 以上 도와줄 수 없었는데, 이는 발트 鄕土防衛軍 이 새로운 敵으로 登場했기 때문이다. [22]

鄕土防衛軍과의 戰爭 [ 編輯 ]

발트 鄕土防衛軍 과의 戰爭은 1919年 6月 5日 라트비아 南部戰線에서 勃發했다. 카를리스 蔚마니스 가 이끄는 라트비아 民主主義者들은 에스토니아에서 獨立을 宣言했지만, 소비에트君의 攻擊으로 리예파야 까지 後退했다. 獨逸 帝國陸軍 第6豫備軍段이 소비에트君의 進擊을 막았다. 뤼디거 폰 데어 골츠 伯爵 이 이끄는 獨逸軍은 발트 獨逸人 으로 構成된 발트 鄕土防衛軍 을 包含하고 있었다. 이들은 옛 獨逸 帝國師團에서 勤務했던 豫備보위師團으로, 라트비아에서 居住하고 있었다. 또한 발트 自由群團 도 이들과 함께 싸우고 있었다. [24] 西歐 聯合軍과의 休戰 協定에서 東部에서 볼셰비키의 威脅에 맞서기 위해 東部戰線의 獨逸軍은 그대로 維持한다는 條項이 있었기에 발트 鄕土防衛軍과 같은 團體가 設立될 수 있었다. 第6豫備軍團은 라트비아 臨時 政府에 충성하는 라트비아 民族으로 構成된 오스카르스 칼파크스의 라트비아 第1獨立大隊도 包含되었다. [1]

獨逸軍은 라트비아 國家群 組織을 破壞했고 1919年 4月 16日 臨時 政府는 親獨逸 傀儡 政府인 라트비아 臨時政府로 代替되었다. 라트비아 臨時政府는 안드리예프스 니데라가 이끌었다. [25] [26] 蔚마니스는 憎忌함 사라토프를 타고 避難을 갔다. 第6豫備軍團은 소비에트君을 擊退하고 5月 23日일 리가 를 占領한 後 北쪽으로 進擊을 이어갔다. 이들은 에스토니아軍에게 北部 라트비아 占領을 끝낼 것을 要求했다. 第6豫備軍段의 眞짜 目的은 에스토니아를 獨逸 支配 下衣 傀儡 國家에 편입시키려는 것이었다.

6月 3日 에스토니아 將軍 레이도네르는 獨逸軍을 南쪽으로 擊退시키고 銳利키와 굴베네 사이의 鐵道를 에스토니아의 統制 下에 두어야 한다는 最後通牒을 보냈다. 에스토니아 裝甲列車가 6月 5日 이러한 要求가 移行되는 지 確認하기 爲해 移動하는 동안 발트 鄕土防衛軍은 裝甲列車를 攻擊했지만 失敗했다. [27] 다음 날 발트 鄕土防衛軍은 體시스 를 占領했다. 6月 8日 에스토니아君의 反擊이 擊退되었다. 첫 衝突을 통해 에스토니아軍은 第6豫備軍段이 소비에트群보다 더 잘 武裝되어 있고, 더 剛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6月 10日 協商國의 主導로 休戰이 成事되었다. 協商國이 獨逸軍에게 에스토니아가 要求한 線으로 撤收할 것을 主張했지만 골츠 將軍은 이를 拒否하고 에스토니아에게 라트비아에서 撤收할 것을 主張했다. 6月 19日 발트 自由群團이 림바지 스트라우페 에 있는 에스토니아 第3師團을 攻擊하면서 戰爭이 再開되었다. 에스토니아 第3師團은 크리車니스 베르키스 가 이끄는 第2라트비아 體시스 旅團을 包含해 5,990名의 步兵科 125名의 騎兵을 保有하고 있었다. 에스토니아 據點에 對한 獨逸軍의 集中 攻擊은 6月 22日까지 이루어졌지만 獨逸軍은 目標를 達成하지 몫했다. 6月 23日 에스토니아 第3師團이 反擊을 加害 體시스를 奪還했다.

에스토니아 第3師團은 里價를 向해 進擊을 繼續했다. 7月 3日 에스토니아軍이 理가 外郭에 到達했을 때 協商國의 要求로 休戰 協定이 締結되었고 蔚마니스 政府가 리가로 돌아왔다. 獨逸軍은 라트비아에서 떠날 것을 指示받았고 발트 鄕土防衛軍은 라트비아 臨時政府의 指揮에 編入되어 붉은 軍隊에 맞서 싸우기로 決定되었다. 하지만 協商國의 指示를 避해 解散된 第6豫備軍團은 撤收하는 代身 獨逸 傀儡 라트비아 政府가 公式的으로 雇用한 西部 러시아 義勇軍 으로 들어갔다. 이들은 파벨 베르몬트아야로프 가 指揮者였다. [8] 1919年 19月 西部 러시아 義勇軍이 里價를 攻擊하면서 戰鬪가 再開되었다. 라트비아 政府가 도움을 要請하자 에스토니아는 獨逸軍의 攻擊을 擊退하기 위해 2個의 裝甲列車를 보냈고, 소비에트軍으로부터 라트비아를 保護하기 위해 壘반스 號 北部에 防禦軍을 支援해주었다. [28]

마지막 戰鬪와 平和協定 [ 編輯 ]

1920年 에스토니아 最高司令部. 위에서부터 左側으로 次例대로 에른스트 푀더, 아서 로스만 博士, 알렉산데르 退니손, 카를 파츠 , 빅토르 푸스카르 , 얀 링크이다. 아래는 왼쪽에서부터 次例대로 안드레스 라르카 , 얀 수츠 , 요한 라이도네르 , 요한 피트카 , 그리고 루돌프 레이만이다.

소비에트 러시아는 1919年 봄까지 平和條約을 締結하고자 했다. 1919年 4月 25日 헝가리 共産主義者들이 볼셰비키와 에스토니아 사이의 協定을 仲裁하고자 했다. 월터 코원 驚異 헝가리의 仲裁를 受諾한다면 에스토니아에 對한 支援을 撤回하겠다고 脅迫했다. [29] 러시아人들은 4月 27日부터 28日까지 라디오 放送을 통해 平和會談을 周旋하고자 했다. 6月 5日 에스토니아 코뮌이 廢止되었고, 7月 21日부터 러시아人이 主導한 放送은 英國 記者 아서 랜섬 이 平和會談을 위해 게오르기 치체린 이 努力하고 있다고 報道했다. 이로 인해 소비에트 政府는 1919年 8月 31日 公式的으로 協商에 對해 論議할 수 있게 되었다. 에스토니아는 이 平和協商을 9月 4日 受容했고, 實質的인 論議는 9月 16日부터 始作되었다. 에스토니아는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 핀란드가 合同으로 協商에 參與하기 前까지 協商을 中斷하자고 提案했다. [30]

가을에 北西軍은 백檢 作戰을 開始해 페트로그라드 를 占領하고자 했다. 英國과 프랑스 가 武器를 提供했고 英國 海軍과 에스토니아軍이 作戰 支援을 하면서 1919年 9月 28日 北西軍은 攻勢를 開始했다. [31] 에스토니아는 協商國의 要求로 인해 北西君을 支援했다. [32] 에스토니아軍은 크라스나야 고르카 要塞에 陸海合同攻擊을 開始했고, [33] 에스토니아 第2師團은 옐리카야 江에 놓인 橋梁들을 破壞하려고 했으며 에스토니아 第3師團은 避脫로보 를 向해 進擊했다. 北西軍은 페트로그라드로부터 16km 떨어진 地域까지 進軍했으나 붉은 軍隊는 나르바江 까지 白軍을 逐出했다. [8] 白軍의 不信으로 인해 에스토니아 最高司令部는 武裝解除를 하고 北西軍의 남은 兵力을 國境 地域에 拘禁했다. [34]

소비에트 第7軍과 第15軍은 崩壞된 白軍을 追擊하면서 나르바 江 一帶의 國境 地帶에 位置한 據點들을 持續的으로 攻擊했다. 첫 戰鬪가 11月 16日 壘가 江에서 勃發했는데 120,000名의 소비에트軍과 40,000名의 에스토니아軍이 衝突했다. [3] 反復되는 攻擊을 통해 붉은 軍隊 第7軍은 小小한 成果를 거두었다. 11月 末 소비에트軍이 兵力을 補充해야 했기 때문에 戰線의 狀況은 고요해졌다. 에스토니아를 平和 協商에 나오도록 壓迫하기 위해 12月 7日 소비에트軍은 攻擊을 再開했다. [35] 12月 16日 붉은 軍隊 第15軍의 先鋒部隊가 나르바 江을 건너면서 에스토니아君의 狀況이 危急해졌고, 에스토니아 最高 司令部는 戰鬪 期間 동안 제1사단을 補充하고 第3師團의 本陣을 보냈다. 35,000名의 붉은 軍隊 軍人들이 死亡한 以後 붉은 軍隊는 12月 末 戰鬪 能力을 消盡했다. [3]

11月 19日 얀 퇴니손이 이끄는 새 政府는 다른 발트 海 國家가 參與하지 않더라도 소비에트 러시아와 會談을 再開하기로 決定했다. [36] 協商은 12月 5日 再開되었고, 主要 議題는 領土 問題에 關한 論爭이었다. 12月 내내 會談이 이어졌고 兩側은 그들만의 領土에 對한 要求를 主張했다. 協商 渦中에도 나르바에서 戰鬪는 이어졌다. 1919年 12月 31日 平和條約이 締結되었고, 停電은 1920年 1月 3日부터 效力을 發揮했다. [37]

各州 [ 編輯 ]

  1. Jaan Maide (1933). 〈IV〉. 《Ulevaade Eesti Vabadussojast (1918?1920)》. Tartu: Kaitseliidu kirjastus.  
  2. 〈Iseseisvuse aeg 1918?40〉. 《Eesti. Uld.》 11 . Eesti entsuklopeedia. 2002. 296?311쪽.  
  3. Kaevats, Ulo: Eesti Entsuklopeedia 10 , page 123. Eesti Entsuklopeediakirjastus, 1998, ISBN   5-89900-054-6
  4. Kaevats, Ulo: Eesti Entsuklopeedia 5 , page 396. Valgus, 1990, ISBN   5-89900-009-0
  5. Eston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 24 February 1918 保管됨 5月 22, 2009 - 웨이백 머신 at www.president.ee
  6. Traksmaa, August: Luhike vabadussoja ajalugu , page 10. Olion, 1992, ISBN   5-450-01325-6
  7. Traksmaa, August: Luhike vabadussoja ajalugu , page 98. Olion, 1992, ISBN   5-450-01325-6
  8. Estonian War of Independence 1918?1920 . Jyri Kork (Ed.). Esto, Baltimore, 1988 (Reprint from Estonian War of Independence 1918-1920 . Historical Committee for the War of Independence, Tallinn, 1938)
  9. Traksmaa, August: Luhike vabadussoja ajalugu , page 115. Olion, 1992, ISBN   5-450-01325-6
  10. “Kaitsevae ajalugu” . 2009年 2月 8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9年 9月 29日에 確認함 .  
  11. Traksmaa, August: Luhike vabadussoja ajalugu , pages 126-127. Olion, 1992, ISBN   5-450-01325-6
  12. Miljan, Toivo: Historical dictionary of Estonia , page 140. Scarecrow Press, 2004, ISBN   0-8108-4904-6
  13. Traksmaa, August: Luhike vabadussoja ajalugu , page 131. Olion, 1992, ISBN   5-450-01325-6
  14. O'Connor, Kevin: The몰숳 history of the Baltic States , page 88.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3, ISBN   978-0-313-32355-3
  15. Traksmaa, August: Luhike vabadussoja ajalugu , pages 137-138. Olion, 1992, ISBN   5-450-01325-6
  16. Traksmaa, August: Luhike vabadussoja ajalugu , page 11. Olion, 1992, ISBN   5-450-01325-6
  17. Traksmaa, August: Luhike vabadussoja ajalugu , page 141. Olion, 1992, ISBN   5-450-01325-6
  18. Traksmaa, August: Luhike vabadussoja ajalugu , page 142. Olion, 1992, ISBN   5-450-01325-6
  19. Traksmaa, August: Luhike vabadussoja ajalugu , page 145. Olion, 1992, ISBN   5-450-01325-6
  20. Raun, Toivo U.: Estonia and Estonians , page 108. Hoover Press, 2001, ISBN   9780817928520
  21. Traksmaa, August: Luhike vabadussoja ajalugu , pages 141. Olion, 1992, ISBN   5-450-01325-6
  22. Traksmaa, August: Luhike vabadussoja ajalugu , page 147. Olion, 1992, ISBN   5-450-01325-6
  23. Mangulis, Visvaldis: Latvia in the Wars of the 20th Century Archived 2012年 4月 11日 - 웨이백 머신 , page 50. Cognition Books, 1983, ISBN   9780912881003
  24. Spencer C. Tucker, 編輯. (2005). 〈Goltz, Rudiger von der, Count (1865-1946)〉. 《The Encyclopedia of World War I: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 Santa Barbara , California : ABC-CLIO. 492?493쪽.  
  25. Traksmaa, August: Luhike vabadussoja ajalugu , page 149. Olion, 1992, ISBN   5-450-01325-6
  26. Liulevicius, Vejas G.: War land on the Eastern Front: culture, national identity and German occupation in World War I , page 231.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ISBN   0-521-66157-9
  27. Traksmaa, August: Luhike vabadussoja ajalugu , page 150. Olion, 1992, ISBN   5-450-01325-6
  28. Traksmaa, August: Luhike vabadussoja ajalugu , page 162. Olion, 1992, ISBN   5-450-01325-6
  29. Rushton, James A. (June 2006). “OPERATIONALIZING DISSUASION (Thesis)” (PDF) . NAVAL POSTGRADUATE SCHOOL, Monterey , California . 2008年 9月 16日에 原本 文書 (PDF) 에서 保存된 文書 . 2008年 7月 24日에 確認함 .  
  30. Traksmaa, August: Luhike vabadussoja ajalugu , page 174. Olion, 1992, ISBN   5-450-01325-6
  31. Операция ≪Белый меч≫ /28 сентября ? 23 октября 1919 года/ Белая гвардия website
  32. Traksmaa, August: Luhike vabadussoja ajalugu , page 180. Olion, 1992, ISBN   5-450-01325-6
  33. “Krasnaja Gorka Operation 13 October ? 9 November 1919 (Baltic Military History Newsletter)” (PDF) . 《baltdefcol.org》. Baltic Defence College . October 2014. 28 January 2015에 原本 文書 (PDF) 에서 保存된 文書 . 24 January 2015에 確認함 .  
  34. Fletcher, William A. The British navy in the Baltic, 1918?1920: Its contribution to the independence of the Baltic nations , Journal of Baltic Studies, 1976, pp134 - 144
  35. Traksmaa, August: Luhike vabadussoja ajalugu , page 200. Olion, 1992, ISBN   5-450-01325-6
  36. Traksmaa, August: Luhike vabadussoja ajalugu , pages 223?224. Olion, 1992, ISBN   5-450-01325-6
  37. Georg von Rauch, The Baltic States: The Years of Independence 1917?1940, Hurst & Co, 1974, p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