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버트런드 러셀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버트런드 러셀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버트런드 아서 윌리엄 러셀
學者 情報
出生 1872年 5月 18日 ( 1872-05-18 )
웨일스 몬머스셔
死亡 1970年 2月 2日 ( 1970-02-02 ) (97歲)
웨일스 귀네드
國籍 英國
時代 20世紀 哲學
地域 西洋 哲學
學派 分析哲學
署名

第3代 러셀 伯爵 버트런드 아서 윌리엄 러셀 ( 英語 : Bertrand Arthur William Russell, 3rd Earl Russell , OM , FRS , 1872年 5月 18日 ~ 1970年 2月 2日 )은 英國 數學者 , 哲學者 , 數理論理學者 , 歷史가 , 社會 批評家 [1] 이다. 화이트헤드 와 함께 《 數學 原理 》를 著述하여 數理論理學 의 成立에 貢獻하였으며, 以後 平和主義 運動과 著述活動에 參與하였다. 1950年 노벨 文學賞 을 受賞하였다.

槪要 [ 編輯 ]

그는 一生의 여러 部分에서 自由主義者 , 社會主義者 , 平和主義者 順으로 自身의 以上을 생각해왔으나, 自身이 이 中 어느 쪽도 되지 않았다고 回顧했다. [2] 一生의 大部分을 잉글랜드 에서 보냈으나, 그는 웨일스 에서 태어났고 그곳에서 死亡했다. [3]

러셀은 1900年代 初盤 " 觀念論 反對運動(revolt against idealism)" 을 일으켰으며, 그의 先輩 프레게 , 弟子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과 함께 分析哲學 의 創始者 中 하나로 꼽히며, 20世紀의 先頭 論理學者로 자리매김했다. [1] 그는 화이트헤드 와 함께 《 數學 原理 》를 著述했으며, 이는 數學을 利用해 論理學의 기틀을 닦고자 한 試圖이다. 그의 哲學 에세이 〈 On Denoting 〉은 "哲學의 패러다임"으로 看做되고 있다. [4] 그의 著述은 論理學 , 數學 , 集合論 , 言語學 , 哲學中에서도 言語哲學 , 認識論 , 形而上學 에 影響을 주었다.

러셀은 當時 反戰 運動家 로서 크게 活躍했다; 그는 自由 貿易 을 支持했으며, 反帝國主義 運動家로도 活躍했다. [5] [6] 러셀은 1次 世界大戰 때 反戰 運動으로 인해 監獄에 收監되었으며, [7] 以後 아돌프 히틀러 , 스탈린주의者 , 全體主義 , 美國의 베트남 戰爭 에 對한 批判과 反對 運動을 펼쳤다. 그는 核武裝 反對運動에도 熱烈히 參加했다. [8]

1950年 , 러셀은 " 人本主義 良心의 自由 를 代表하는 다양하고 重要한 著述을 한 功勞를 認定받아" 노벨 文學賞 을 받는다. [9]

生涯 [ 編輯 ]

出生 [ 編輯 ]

1872年 5月 18日 러셀은 英國의 總理를 지낸 존 러셀 伯爵의 孫子로 貴族家門에서 태어났다. [10]

버트런드 러셀의 아버지

러셀의 家門은 몇 世紀 前 튜더 王朝 가 세워지며 權力을 얻어 英國의 自由主義的인 휘그당 을 세운 家門이었으며, 英國 政治史의 重要한 事件, 1536~1540年의 修道院 解體, 1688~1689年 名譽 革命 과, 1832年 英國選擧法 改正 에 參與하였다. [10] [11]

러셀의 父母는 當時 政治思想이 極端的인 쪽이었다. 러셀의 아버지 존 러셀은 無神論者 였으며, 아이들의 家庭敎師였던 生物學者 더글러스 스펄딩 과 自身의 아내間의 情事를 公式的으로 認定했으며, 父母 兩쪽 모두 當時 社會 雰圍氣에 앞서가는 "産兒制限"의 支持者였다. [12] 아버지 존 러셀의 無神論은 哲學者 존 스튜어트 밀 에게 러셀의 代父 가 되어줄 것을 付託한 데서 明確히 드러난다. [13] 밀은 러셀이 태어난 以後 얼마 되지 않아 死亡했지만, 그의 著述은 러셀의 삶에 많은 影響을 끼쳤다.

柳少年期 [ 編輯 ]

할머니의 養育 [ 編輯 ]

러셀에게는 프랭크와 레이첼이라는 두 兄弟가 있었으며 이中 레이첼은 1874年 어머니가 디프테리아 로 世上을 떠난 뒤에 世上을 떠났다. 1876年 에는 아버지가 憂鬱症 에 시달리다가 世上을 떠났다. 살아남은 프랭크와 버트런드 러셀은 祖父母의 敎育을 받으며 자랐다. 할아버지 존 러셀은 1878年 世上을 떠났는데, 러셀은 할아버지를 휠체어에 탄 親切한 할아버지로 記憶했다. 幼年期의 大部分동안 러셀은 할머니 러셀 伯爵夫人의 돌봄을 받았다. [8] [12]

當時 러셀 伯爵夫人은 宗敎的으로 保守 敵이었으나, 宗敎 以外의 部分에서는 進步 的인 立場을 取하여 다윈 思想을 支持했으며, 버트런드 러셀에게 社會正義 에 對한 視角을 키워주었다. 할머니가 좋아하던 聖書 이야기 人 '多數의 사람들이 잘못을 저지를 때에도 그들을 따라가서는 안 되며, 多數의 사람들이 正義를 굽게 하는 證言을 할 때에도 그들을 따라가서는 안 된다.'( 出埃及記 23:2/ 새飜譯 聖書)는 러셀의 座右銘이 되었다. 當時 러셀이 살던 펨브로크 롯지 도 宗敎的으로는 相當히 保守的인 雰圍氣였는데, 러셀의 兄 프랭크는 抵抗 敵이었으며, 러셀은 自身의 感情 을 숨기면서 生活했다. 할머니는 公敎育 에 反對해 孫子를 學校 에 보내지 않고 家庭敎師 를 招聘해 가르쳤기 때문에 親舊를 사귀지 못한 러셀은 다른 사람들과의 對話 에 恐怖를 느꼈다. [14]

孤獨 [ 編輯 ]

러셀의 思春期는 宏壯히 孤獨했으며, 그는 몇 次例 自殺 衝動을 느꼈다고 回顧한다. 러셀은 自身의 回顧錄에서 當時 自身의 주된 關心事는 宗敎와 數學이었으며, 數學에 對해 조금이라도 더 알고 싶은 마음에 自殺을 하지 않았다고 敍述한다. [15] 그는 집에서 몇 名의 家庭敎師에게 敎育받았다. [9] 그의 兄 프랭크는 러셀에게 유클리드 幾何學을 가르쳐, 러셀의 삶을 劇的으로 바꾸었다. [12] [16]

또한, 이 期間 中에 러셀은 퍼시 비시 셸리 의 著述을 찾게 되었다. 自敍傳에 그는 "나는 내 생각이나 氣分을 말할 사람이 없다는 걸 알고서, 모든 餘暇 時間을 그의 著述을 읽으며, 마음 깊이 새기는 데 보냈다. 나는 셸리의 著述을 알게 된 것이 正말 幻想的이라고 느꼈으며, 내가 人間으로서 그를 만났다면 큰 同情을 느꼈을 것이라고 생각하곤 했다"고 記錄했다. [17] 15歲가 되며 러셀은 基督敎의 敎理가 合當한가에 對해 생각하는 데 많은 時間을 썼으며, 18歲에 그는 完全한 無神論者가 되기로 決心했다. [18]

大學 時節과 첫 番째 結婚 [ 編輯 ]

러셀은 1890年 케임브리지 大學校 트리니티 칼리지 에 奬學生으로 들어갔다. [19] 그는 自身보다 어린 조지 에드워드 무어 와 아는 사이가 되었으며, 화이트헤드 에게 祕密 동아리 케임브리지 아포슬스 를 推薦받으며 影響을 받는다.

러셀은 數學과 哲學에서 頭角을 나타내어, 1893年 學校를 最優等 卒業生 으로 卒業하고 1895年 先任硏究員(Fellow)李 된다. [20] [21]

러셀은 17歲에 처음으로 퀘이커 敎徒였던 앨리스 페어살 스미스 와 만났으며, 그女의 家族과도 親密한 關係가 되었다. 그女의 家族들은 러셀이 존 러셀 伯爵의 孫子라는 것을 알고 있었으며, 以後 러셀과 같이 大陸을 돌며 旅行하기를 즐겼다. 그들과 함께 러셀은 1889年 파리 博覽會 에 參加해 當時 갓 建築된 에펠塔 에 올라 본다. [22]

以後 그는 淸敎徒的인 價値觀을 가졌던 앨리스와 사랑에 빠지며, 할머니의 反對를 무릅쓰고 1894年 12月 13日 結婚했다. 그러나 둘은 1901年 함께 自轉車를 타다가 러셀이 앨리스에게 自身이 그女를 더 以上 사랑하지 않는다는 것을 告白하며 破鏡에 빠진다. 러셀은 앨리스의 어머니가 殘忍하게 그를 操縱하려고 하였기에 싫어하기도 하였으며, 以後 1921年 까지 別居하며 形式的으로만 夫婦로 남아있다가 離婚했다. [23] 이 期間 동안 러셀은 誤톨린 모렐 과 俳優 콘스턴스 말레슨 等 여러 사람들과 熱愛 關係에 빠졌다. [24]

初期 活動 [ 編輯 ]

러셀은 1896年 自身의 全 生涯에 걸친 政治, 社會學에 對한 關心을 나타낸 《獨逸 社會民主主義》를 出刊하고, 이어서 같은 해에 런던 經濟 大學에서 獨逸 社會民主主義 에 對한 講義를 始作한다(그는 1937年 이곳에서 다시 '權力의 科學'을 講義하기도 한다). [25] 그는 1902年 페이비언 協會 시드니 웨브 베아트리스 웨브 가 세운 多이닝 클럽 코에피션츠 (Coefficients)에서 社會 改革 運動家로도 活動했다. [26]

以後 그는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數學의 基礎 原理를 硏究하며, 集合論 의 基礎를 뒤흔드는 러셀의 逆說 을 發見한다. 1903年 그는 數理論理學에 對한 첫 番째 著作인 《 The Principles of Mathematics 》를 發刊하며, 여기서 數學은 매우 적은 數의 公理에서 誘導될 수 있음을 보여 論理主義 의 主張에 큰 根據를 실어준다. [27]

1905年 에 그는 哲學 저널 《 Mind 》에 에세이 〈On Denoting〉을 싣고, 1908年 王立 學會 會員이 된다. [8] 以後 1910年 《數學 論理》 1卷을 화이트헤드와 함께 出刊하며 數理哲學 分野에서 名聲을 얻게 된다.

1910年 그는 케임브리지 大學校 講師가 되었고, 여기서 오스트리아의 工學徒였던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을 만나게 되었다. 비트겐슈타인은 곧 그의 博士課程 學生으로 들어오게 되었고, 러셀은 그를 天才이자, 自身의 論理學의 後繼를 이을 사람으로 評價했다. 비트겐슈타인에 魅了된 러셀은 많은 時間을 비트겐슈타인의 다양한 恐怖症과 憂鬱症을 돌봐주는데 보내게 되었다. 이것이 相當히 러셀의 氣力을 消耗했지만, 러셀은 굽히지 않고 비트겐슈타인에게 學問을 하도록 勸誘했으며, 1922年 비트겐슈타인 의 代表咀嚼 中 하나인 《 論理哲學論考 》를 出版하도록 勸誘하기도 한다. [28] 1918年 러셀은 비트겐슈타인이 1次大戰 戰爭 捕虜로 잡혀있는 동안 그의 哲學的 아이디어를 再解釋한 論理的 原子論 (Logical atomism) 講義를 하기도 하였다.

1次 世界大戰中 活動 [ 編輯 ]

1次 世界大戰 中 러셀은 몇 안되는 反戰 運動家로 活動했다. [29] 그리고 이로 因해 1916年 에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解雇되었고, 100파운드의 罰金을 宣告받았다. 러셀은 監獄에 가기를 希望하여 이를 내기 拒否했으나, 政府에서는 러셀의 冊들을 押收해 競賣에 부쳐 罰金을 徵收하였다. 押收된 書籍은 러셀의 親舊들이 購買했으며, 러셀은 "케임브리지 警察에 依해 押收됨"이라는 烙印이 찍힌 킹 제임스판 聖經을 記念品으로 간직했다.

以後 美國이 英國便으로 參戰하는 것에 對해 反對하는 講演을 했다는 罪目으로 起訴된 것에 對해서는 브릭스튼 監獄에서 6個月 懲役刑을 宣告받았으며, 1918年 9月 釋放되었다. [30]

러셀은 1919年 大學校에서 復職되었으나 1920年 講師職에서 물러났고, 1926年 特講 'Tarner Lecture'의 講師를 暫時 맡았다. 以後 1944年 부터 1949年 까지는 先任 硏究員(Fellow)으로 活動하였다. [31]

1次 大戰後 活動 [ 編輯 ]

1920年 8月 러셀은 1917年 러시아 革命 이 미친 影響을 調査하기 위한 1920年 英國 代表團에 뽑혀 갔다. [32] 그는 블라디미르 레닌 과 1時間에 걸친 討論을 했으며, 回顧錄에서 레닌의 "惡魔的인 殘忍性"을 發見했고, 레닌의 性品을 "獨善的인 敎授"에 比較하며, 失望感을 表示했다. 그는 레닌의 共産主義 體制가 "專制的 官僚主義 體制에 가까우며, 차르 時代보다 더 끔찍하고 精巧한 監視 시스템 아래서 運營되고 있고, 傲慢하고 不快한 一種의 貴族 政治를 行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以後 蒸氣船을 타고 볼가江 을 내려가기도 했다.

當時 러셀의 戀人이었던 도라 블랙 도 러셀과는 別個로 러시아를 같은 時期에 訪問했는데, 그女는 러시아 革命의 積極的인 支持者였다. 하지만 러셀의 經驗은 以前의 러시아 革命에 對한 自身의 支持를 撤回하게 했고, 自身의 經驗을 《The Practice and Theory of Bolshevism》에서 回顧하며, 英國으로 돌아갈 때 同僚 24名이 러시아 革命을 肯定的으로 評價하는 데 對해 反對 意見으로 說得하려고 한 이야기를 싣는다. 一例로, 러셀은 午밤中에 들은 銃聲을 이야기하며 이것이 祕密警察의 銃殺이라고 主張하지만, 同僚들은 自動車 엔진 소리였을 거라고 흘려듣는 場面이 있다.

以後 러셀은 베이징에서 1年間 도라와 함께 哲學 講義를 했다. 러셀은 그곳에 希望을 품고, 中國 이 새로운 軌道에 올랐다고 보았다. 當時 그곳에 있던 學者들 中 注目할 만한 사람으로는 印度의 詩人 라빈드라나트 타고르 가 있다. 中國에 머무르는동안, 러셀은 肺炎 으로 甚하게 苦痛받았는데, 日本 新聞에는 그의 死亡說이 돌았다. [33] 이 커플이 日本을 訪問할 때, 道라는 "日本 新聞에서는 죽은 버트런드 러셀氏는 日本 記者들께 인터뷰를 하실수 없답니다."라고 應答했는데, 當時 日本 言論은 이 應答을 달가워하지 않았다. [34]

1921年 8月 26日 歸國 當時 도라가 妊娠 6個月 次였기에, 러셀은 離婚을 서두르고 1921年 11月 27日 結婚했다. 두 사람 사이에서는 1921年 後날의 第4代 러셀 伯爵이 되는 아들 존 콘라드 와 딸 캐서린 이 태어났다. 러셀은 一般人을 위한 物理學, 倫理學, 敎育學 書籍을 出版하여 家族의 生計를 책임졌다.

이 當時 러셀이 T. S. 엘리엇 의 夫人이었던 Vivienne Haigh-Wood 와 情事關係에 있었다는 主張도 있다. [35]

2次大戰 [ 編輯 ]

러셀은 처음에는 히틀러를 패배시키는 것보다 全 世界에 걸친 戰爭을 막는 것이 重要하다고 보아 나치 獨逸에 對한 再武裝을 反對했으나, 아돌프 히틀러가 全 유럽을 掌握하는 것은 民主主義에 對한 永久한 威脅이 될 것이라고 보았기에, 1940年 에는 視角을 바꾸게 되었다. 1943年 그는 "政治的으로 相對的인 平和主義(Relative Political Pacifism)"를 提唱한다. 戰爭은 언제나 巨大한 惡行이지만, 히틀러의 나치 獨逸 體制와 같은 특정하고 極端的인 狀況에서는 選擇할 수 있는 것 中 덜 나쁜 惡行이 될 수 있다는 것이었다. [36]

以後 活動 [ 編輯 ]

末年의 러셀 (1957年)

以後 1944年 歸國하여 母校 케임브리지 大學校에서 先任硏究員(Fellow)으로서 講義를 하였다. 1945年 原子爆彈 이 發明되자, 그는 水素 爆彈 의 發明을 豫言하고 核武器 反對 運動과 함께 世界 平和 運動을 벌였다. 《 러셀 西洋哲學史 (A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基督敎 批評書 《 나는 왜 基督敎人이 아닌가 》를 비롯해 많은 著書를 남겼다. 1950年 노벨 文學賞 을 받았다.

그는 數學者로서 出發하여 《數學 原理》를 통해 數理 哲學 및 記號 論理學에 貢獻하였다. 哲學·政治·敎育·人生 等에 關한 評論도 있다. 主要 著書로 《數理哲學 序說》, 《精神의 分析》, 《서양철학사》, 《權力》 等이 있다.

史上 [ 編輯 ]

러셀의 哲學思想은 흔히 指摘되듯이 發展的이며 자주 變하였으나 그 基礎가 되어 있는 哲學에서의 分析的 方法은 一貫되어 있고 이에 依해서 科學的인 哲學을 樹立하려고 하였다. 이 方法을 土臺로 英國 經驗論 의 傳統 위에 선 認識論을 展開하는 것이 그의 哲學이다. [37]

처음에는 大學에서 받은 敎育 때문에 헤겔 敵人 絶對精神만을 참된 實在라고 하는 觀念的 一元論 의 立場에 支持했으나 그것이 數學科 맞지 않는다는 것을 알자, 이 立場을 버리고 그 反動으로서 이番에는 많은 存在物을 認定하는 多元論 의 立場을 取하였다. 《哲學의 問題들》(1912)에서는 個體와 普遍, 感覺과 物體를 함께 認定하는 二元論 敵·플라톤的 實在論 의 立場에 支持하였다. [37]

外部 世界의 認識 》(1914)에서는 感覺소여(感覺所與, 센스 데이터)만을 確實한 것으로 보고, 事物은 感覺소여로부터 論理的으로 構成된 것이라고 생각하는 有名한 見解에 到達하였다. 이 무렵부터 그는 自身의 立場을 論理的 原子論이라고 불렀는데 《精神의 分析》(1928)에서는 感覺도 物體도 아닌 中立的인 것을 참된 存在로 보는 中性的 一元論(中性的 一元論)의 立場을 確立하였다. [37]

宗敎에 關한 見解 [ 編輯 ]

러셀은 宗敎, 特히 基督敎 에 對한 剛한 反感을 表示했다. 그는 死後世界 를 否認했으며, 神의 存在를 否定했는데, 그것은 科學的으로 證明할 수 없다는 根據에 依한다. 卽, 宗敎는 人間이 그들의 믿음을 즐기기 위한 道具이며, 그것을 통해서 그들이 德이 있고, 그들의 적은 惡함을 보이기 위한 것으로 主張하였다. [38] 그는 '神의 存在 與否는 知識을 가질 수 있는 範圍 밖에 있으며, 人間의 永遠性 또한 證明이 可能해야만 信賴할 수 있다'고 主張하였다. 人間 靈魂의 永遠不滅性은 죽음에 對한 恐怖에 起因하며 基督敎의 敎理의 核心으로 基督敎가 復興하게된 基礎를 提供하였다는 것이다. 神을 믿게 되며 그 믿음을 통해 宇宙 全體를 祈禱의 能力으로 左之右之 可能케 되어, 죽음의 恐怖를 緩和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學問的 業績 [ 編輯 ]

分析哲學 [ 編輯 ]

러셀은 分析哲學 의 創始者 中 하나로 알려져 있다. 비트겐슈타인 과 함께 先驅者的 業績을 이뤘다고 評價받는다. 20世紀 初에는 헤겔 에 影響받은 理想主義 에 反對했고, 30年 뒤에 이는 비엔나에서 論理實證主義者 들에 依해 形而上學 反對를 反復했다.

論理와 數理 哲學 [ 編輯 ]

러셀은 近代 修理 論理에 큰 影響을 주었다. 美國의 哲學者이자 論理學者인 윌러드 밴 오먼 콰인 은 러셀이 自身의 哲學에 가장 큰 影響을 주었다고 말했다.

러셀의 첫 數學에 關한 冊은 《幾何學基礎論에 關한 에세이(An Essay on the Foundations of Geometry)》이다. 이 作品은 칸트 에게 크게 影響을 받았다. 러셀은 自身의 冊이 아인슈타인 의 時空間 스키마를 받아들일 餘裕 空間이 없다는 것을 깨닫고, 칸트의 數學科 幾何學을 完全히 拒否했다. 그는 自身의 最初의 作業에 對해 거의 重要性 없다는 評價를 했다.

語錄 [ 編輯 ]

單純하지만 누를 길 없이 强烈한 세 가지 熱情이 내 人生을 支配해왔으니, 사랑에 對한 渴望, 知識에 對한 探究慾, 人類의 苦痛에 對한 참기 힘든 憐憫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熱情들이 나를 이리저리 제멋대로 몰고 다니며 깊은 苦惱의 大洋 위로, 絶望의 벼랑 끝으로 떠돌게 했다.
거짓과 더불어 제精神으로 사느니, 眞實과 더불어 미치는 쪽을 擇하고 싶다.
많은 사람들은 생각을 하느니 차라리 죽을 것이다. 그리고 實際로 그렇게 한다.
모든 사람은 可能하다면 神이 되고 싶어한다.

主要 著作 [ 編輯 ]

  • 1912. 哲學이란 무엇인가(권오석 驛, 2008) / 哲學의 問題들(박영태 驛, 2000) The Problems of Philosophy . London: Williams and Norgate.
  • 1916. 왜 사람들은 싸우는가? (이순희 驛, 2010) Principles of Social Reconstruction . London: George Allen & Unwin.
  • 1919. 數理哲學의 基礎 Introduction to Mathematical Philosophy . London: George Allen & Unwin. ( ISBN   0-415-09604-9for Routledge paperback) ( Copy at Archive.org ).
  • 1922. 러셀 北京에 가다(이순희 驛, 2009) The Problem of China . London: George Allen & Unwin.
  • 1925. 相對性 理論의 참뜻(김영대 驛, 1997) The ABC of Relativity . London: Kegan Paul, Trench, Trubner.
  • 1925. 나는 믿는다( What I Believe . London: Kegan Paul, Trench, Trubner.
  • 1926. 러셀의 子女敎育론 On Education, Especially in Early Childhood . London: George Allen & Unwin.
  • 1927. An Outline of Philosophy . London: George Allen & Unwin.
  • 1927. 나는 왜 基督敎人이 아닌가 (李在晃 驛, 1996) Why I Am Not a Christian . London: Watts.
  • 1927. Selected Papers of Bertrand Russell . New York: Modern Library.
  • 1928. 우리는 合理的 思考를 抛棄했는가(김경숙 驛, 2008) Sceptical Essays . London: George Allen & Unwin.
  • 1929. 結婚과 道德에 關한 10가지 哲學的 省察(김영철 驛, 1997) Marriage and Morals . London: George Allen & Unwin.
  • 1930. 幸福의 征服 / 러셀의 幸福論(황문수 驛, 2001) The Conquest of Happiness . London: George Allen & Unwin.
  • 1935. 게으름에 對한 讚揚 (송은경 驛, 1997) In Praise of Idleness . London: George Allen & Unwin.
  • 1935. 宗敎와 科學(김이선 驛, 2011) Religion and Science . London: Thornton Butterworth.
  • _. 런던 通信 1931-35(송은경 驛) Mortals and Others: American Essays 1931-1935
  • 1938. 權力 (안정효 驛, 2003) Power: A New Social Analysis . London: George Allen & Unwin.
  • 1940. 意味와 眞理의 探究(임병수 驛, 1990) An Inquiry into Meaning and Truth .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 1945. 러셀 西洋哲學史(서상복 驛) A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and Its Connection with Political and Social Circumstances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Present Day . New York: Simon and Schuster.
  • 1948. 人間과 그 밖의 것들(송은경 驛, 2005) Human Knowledge: Its Scope and Limits . London: George Allen & Unwin.
  • 1949. 權威와 個人(이종익 驛, 1997) Authority and the Individual ]. London: George Allen & Unwin.
  • 1950. 反屬籍 에세이 Unpopular Essays . London: George Allen & Unwin.
  • 1959. 나는 이렇게 哲學을 하였다(곽강제역, 2008) My Philosophical Development . London: George Allen & Unwin.
  • 1959. 西洋의 智慧 Wisdom of the West , edited by Paul Foulkes. London: Macdonald. George Allen & Unwin.
  • 1961. 事實과 虛構의 交叉路(고정식 驛, 1993) Fact and Fiction . London: George Allen & Unwin.
  • 1961. 人類에게 來日은 있는가(고정식 驛, 1991) Has Man a Future? , London: George Allen & Unwin.
  • 1951?1969. 러셀 自敍傳(송은경 驛, 2003) The Autobiography of Bertrand Russell , 3 vols.. London: George Allen & Unwin. Vol 2 1956
  • 1969. 러셀의 哲學노트(최혁순 驛, 1990) Dear Bertrand Russell... A Selection of his Correspondence with the General Public 1950?1968 , edited by Barry Feinberg and Ronald Kasrils. London: George Allen and Unwin.
  • 所重한 삶을 여는 人生노트 / 러셀 人生노트
  • 파이의 歷史
  • 一般人을 위한 哲學
  • 나는 무엇을 보았는가 Bertrand Russell's Best edited by R.E. Egner
硏究서

徐薰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Bertrand Russell" , 1 May 2003
  2. "I have imagined myself in turn a Liberal, a Socialist, or a Pacifist, but I have never been any of these things, in any profound sense." -- Autobiography , p. 260.
  3. Hestler, Anna (2001). 《Wales》. Marshall Cavendish. 53쪽. ISBN   076141195X .  
  4. Ludlow, Peter, "Descriptions",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Fall 2008 Edition), Edward N. Zalta (ed.), URL = [1] .
  5. Richard Rempel (1979). “From Imperialism to Free Trade: Couturat, Halevy and Russell's First Crusade”. 《Journal of the History of Idea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40 (3): 423?443. doi : 10.2307/2709246 . JSTOR   2709246 .  
  6. Bertrand Russell (1988) [1917]. 《Political Ideals》. Routledge. ISBN   0-415-10907-8 .  
  7. Samoiloff, Louise Cripps. C.L.R. James: Memories and Commentaries , p. 19. Associated University Presses, 1997. ISBN   0-8453-4865-5
  8. The Nobel Foundation (1950). Bertrand Russell: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1950 . Retrieved on 11 June 2007.
  9. Bloy, Marjie, Ph.D. “Lord John Russell (1792-1878)” . 2007年 10月 28日에 確認함 .  
  10. Cokayne, G.E.; Vicary Gibbs, H.A. Doubleday, Geoffrey H. White, Duncan Warrand and Lord Howard de Walden, editors. The Complete Peerage of England, Scotland, Ireland, Great Britain and the United Kingdom, Extant, Extinct or Dormant, new ed. 13 volumes in 14. 1910?1959. Reprint in 6 volumes, Gloucester, UK: Alan Sutton Publishing, 2000.
  11. Paul, Ashley. “Bertrand Russell: The Man and His Ideas.” . 2006年 5月 1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7年 10月 28日에 確認함 .  
  12. Russell, Bertrand and Perkins, Ray (ed.) Yours faithfully, Bertrand Russell . Open Court Publishing, 2001, p. 4.
  13. 최효찬 (2011年 10月 14日). “러셀 家門의 急進的 家風…婚外情事·契約結婚도 龍仁” . 韓國經濟 . 2012年 11月 24日에 確認함 .  
  14. The Autobiography of Bertrand Russell , p.38
  15. Lenz, John R. (date unknown). “Bertrand Russell and the Greeks” . 2011年 5月 14日에 原本 文書 (PDF) 에서 保存된 文書 . 27 October 2007에 確認함 .  
  16. The Autobiography of Bertrand Russell , p.35
  17. “Bertrand Russell on God” .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 . 1959 . 2010年 3月 8日에 確認함 .  
  18. 〈Russell, the Hon. Bertrand Arthur William (RSL890BA)〉 . 《케임브리지 同門 데이터베이스》. 케임브리지 大學校.  
  19. O'Connor, J. J.; E. F. Robertson (2003年 10月). “Alfred North Whitehead” . School of Mathematics and Statistics, University of St Andrews, Scotland . 2007年 11月 8日에 確認함 .  
  20. Griffin, Nicholas; Albert C. Lewis. “Bertrand Russell's Mathematical Education” . 《Notes and Record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Vol. 44, No. 1.》. 51?71쪽 . 2007年 11月 8日에 確認함 .   (購讀 必要)
  21. Wallenchinsky et al. (1981), "Famous Marriages Bertrand...Part 1".
  22. Wallenchinsky et al. (1981), "Famous Marriages Bertrand...Part 3".
  23. Kimball, Roger. “Love, logic & unbearable pity: The private Bertrand Russell” . 《The New Criterion Vol. 11, No. 1, September 1992》. The New Criterion. 2006年 12月 5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7年 11月 15日에 確認함 .  
  24. Simkin, John. “London School of Economics” . 2011年 6月 5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7年 11月 16日에 確認함 .  
  25. Russell, Bertrand (2001). Ray Perkins, 編輯. 《Yours Faithfully, Bertrand Russell: Letters to the Editor 1904?1969》 . Chicago: Open Court Publishing. 16쪽. ISBN   0-8126-9449-X . 2007年 11月 16日에 確認함 .  
  26. “Bertrand Russell, Biography” . Nobelprize.org . 2010年 6月 23日에 確認함 .  
  27. Russell on Wittgenstein
  28. Hochschild, Adam (2011), ' I Tried to Stop the Bloody Thing ' , 《The American Scholar》 , 2011年 5月 10日에 確認함  
  29. Vellacott, Jo (1980). 《Bertrand Russell and the Pacifists in the First World War》. Brighton: Harvester Press. ISBN   0855274549 .  
  30. “Trinity in Literature” . Trinity College . 2010年 6月 23日에 確認함 .  
  31. “Bertrand Russell (1872?1970)” . Farlex, Inc . 2007年 12月 11日에 確認함 .  
  32. “Bertrand Russell Reported Dead” (PDF) . The New York Times. 21 April 1921 . 05 November 2022에 確認함 .  
  33. Russell, Bertrand (2000). Richard A. Rempel, 編輯. 《Uncertain Paths to Freedom: Russia and China, 1919?22》 . 《The Collected Papers of Bertrand Russell》 15 (Routledge). lxviii. ISBN   0415094119 .  
  34. Monk, Ray (2004年 9月). “‘Russell, Bertrand Arthur William, third Earl Russell (1872?1970)’” . 《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 ( Oxford University Press ). doi : 10.1093/ref:odnb/35875 . 2008年 3月 14日에 確認함 .   (購讀 必要)
  35. Russell, Bertrand, “The Future of Pacifism”, The American Scholar, (1943) 13: 7?13
  36. 《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 〈러셀〉
  37. “Bertrand Russell on Immortality, Why Religion Exists, and What “The Good Life” Really Means” .  

參考 文獻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

前任
프랭크 러셀
英國 러셀 伯爵
1931年 ~ 1970年
後任
존 러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