下後燕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下後燕
夏侯淵
청나라 때 발간된 《삼국지연의》에 삽입된 하후연의 삽화.
淸나라 때 發刊된 《 三國志演義 》에 揷入된 하후聯의 揷畵.
本名 下後燕(夏侯淵)
出生地 後漢 敗局 초현
死亡日 219年 1月
死亡地 後漢 韓中群 定軍山
國籍 後漢
作爲 박창정後
經歷 別付私馬, 祈禱위 → 진류, 永川태수 → 督軍敎委 → 全軍敎委 → 行令群 → 情緖護軍 → 護軍將軍 → 도호장群 → 情緖將軍
子女 下朽敗 (次男)
親戚 하후돈 (足形)
하후上 ( 조카 )

下後燕 ( 中國語 正體字 : 夏侯淵 , 簡體字 : 夏侯? , 병음 : Xiahou Yu?n 샤허우위안 [ * ] , ?~ 219年 1月 )은 中國 後漢 曹操 麾下의 將軍 이다. 妙才 ( 中國語 : 妙才 , 병음 : Miaocai 먀오差異 [ * ] )이며 醴酒 敗局 초현 (?縣) 사람 이다. 재빠르고 果敢한 起動이 長期였으며 恒常 앞장서서 싸우는 勇將이었다. 마초 한手 , 여러 異民族 을 물리치고 農牛를 平定하였다. 劉備 로부터 韓中 을 지켜내던 中 蝗蟲과의 戰鬪에서 戰死 하였다.

生涯 [ 編輯 ]

後方 支援 [ 編輯 ]

일찍이 故鄕에 있을 때 曹操 가 저지른 를 代身 짊어지려 했는데 曹操가 容恕를 빌어 면하였다. 曹操가 擧兵瑕疵 別付 사마 (別部司馬)와 祈禱위 가 되어 따르고 진류 태수 · 永川 태수를 지냈다. 官道 戰鬪 에서는 督軍敎委(督軍校尉)로서 連奏 · 醴酒 · 西周 로부터 軍糧 을 調達하였다. 201年 ( 建安 6年) [1] 匠料 와 함께 東海群 唱戱 包圍 攻擊했으나 몇 달間 陷落시키지 못하고 軍糧이 다 떨어졌다. 回軍하기 前에 匠料가 唱戱와 단둘이 만나 說得하니 投降 하였다. [2] 206年 [3] 唱戱가 다시 反旗를 들어서 于今 과 같이 鎭壓하고 全軍敎委(典軍―)가 되었다. 黃巾賊 書畫(徐和)와 사마구(司馬俱)가 濟南 落雁 을 치므로 泰山 · 諸君 · 平原 의 軍士를 動員하여 討伐하고 그 食糧을 確保하였다. 209年 行令群(行領軍)에 任命되어 여강 腦서 를 擊退했다.

동관 戰鬪 [ 編輯 ]

211年 情緖護軍(征西護軍)을 맡고 棲遑 을 指揮하여 太原 盜賊 牀요(商曜)를 죽였다. 3月(陰曆) 曹操가 鍾繇 와 下後燕에게 韓中 長老 를 征伐하라고 하였다. 마초 한手 觀衆 의 勢力들은 曹操가 自身들을 노린다고 判斷하여 동관 (潼關) 으로 進擊 하였다. [4] 하후聯銀 위남 (渭南)에서 이들과 싸우고 棲遑, [5] 주령 과 함께 유미현(??縣)과 犬縣(?縣)의 저족 을 쳐부수었다, 10月 安定 에서 曹操를 만나 凉秋 를 包圍하니 그 降伏을 받았다. 212年 曹操가 으로 돌아가면서 下後燕을 護軍將軍(護軍將軍)으로 삼아 장합 , [6] 棲遑, [5] 주령, 蘆草 長安 에 駐屯시켰다. 南山(南山)에서 유웅(劉雄)을, 部(?) [7] 에서 量興 을 擊破하고 박창정後(博昌亭侯)에 封해졌다.

마초와의 싸움 [ 編輯 ]

마초가 基(冀)省을 包圍하고 있었으므로 救援하러 갔지만 제때에 到着하지 못하여 8月(陰曆) [8] 抗戰하던 洋酒 自社 胃腔 이 죽었다. 마초가 200餘 를 나와 邀擊하고 犬저까지 合勢했기에 下後軟餌 退却하였다. 9月 조九(趙衢)와 윤봉 等이 마초를 몰아낼 計劃을 세웠다. 이에 同參한 江西(姜敍)가 魯省(鹵城)에서 軍士를 일으켰다. 마초가 出軍한 사이 조구 等이 奇聲을 닫아걸고 그 處子를 殺害 하였다. 갈 곳이 없어진 마초는 韓中으로 달아났다. [9] 214年 마초가 다시 記事(祁山)을 包圍하자 講書 等이 急히 救援을 請하였다. 여러 將帥가 曹操의 指示를 기다리자고 했지만 하후聯銀 業果의 往復 거리가 4,000리이니 必히 늦을 것이라며 바로 出陣하였다. 장합에게 5,000名으로 선봉을 맡기고 自身도 뒤따랐다. 마초는 이를 보고 싸우지도 않고 물러났다.

農牛 平定 [ 編輯 ]

하후聯銀 現親縣(顯親縣)에 있던 韓脩를 잡고자 約陽性(略陽城)까지 追擊하였다. 장수들은 한수 아니면 興國(興國)의 저 中 하나를 이대로 치자고 하였다. 하후聯銀 둘 다 孔性 으로는 이기기 어렵다 보고 長利(長離)를 攻擊하여 韓脩를 野戰으로 꾀어냈다. 韓脩에 呼應한 强族 들의 家族 이 있는 長利를 攻擊하면 그 江族들이 各自의 家族을 求하러 갈 것이었다. 輕武裝한 軍隊로 長利를 襲擊하니 果然 한수도 흩어지려는 强族을 도와 長利로 나왔다. 그 數字 에 陣地를 構築하여 對敵하자는 案도 있었지만 1,000里에 걸쳐 거듭 싸워온 兵士들이 더 疲弊해질 것이라며 바로 싸워서 大勝을 거두고 約量과 興國마저 휩쓸었다. 興國저 아귀(阿貴)는 죽고 한手는 書評 으로, [4] 百項저王(白項―) 千萬(千萬)은 파촉으로 逃走하고 남은 者들은 降伏하였다. [10] 考評(高平)의 底角(屠各)까지 무찌르고 그 糧穀, , 들을 거두었다. 이러한 功勞로 佳節(假節)을 받았다.

10月(陰曆) [4] 自稱 하수평한王(河首平漢王) 송건 이 30餘 年 동안 다스리던 不한현(?罕縣) [11] 을 1달 만에 陷落하고 그와 그 官員들을 斬首 했다. 장합을 下棺(河關)을 經由하여 小황중(小湟中) [12] 으로 보내니 下서의 强族들이 모두 投降하였다. 이로써 農牛가 平定되었다. 215年 [13] 食邑 300號를 더해 모두 800號가 되었다.

韓中 攻防戰 [ 編輯 ]

無挑 의 저와 江을 下邊(下辯)에서 攻擊하여 그 穀物 十餘萬 曲(斛)을 奪取하였다. 曹操 長老 征伐할 때 下後軟餌 楊州의 여러 勢力을 引率해 參戰했으며 異民族 들을 威壓하였다. 長老가 降伏하고 韓中 이 平定되자 도호장群(都護―)으로서 장합 棲遑 을 부려 破軍 을 接受하였다. 曹操가 돌아가면서 下後燕을 情緖將軍 에 任命하고 韓中의 守備를 맡겼다. 218年 (建安 23年) 劉備 가 양평관(陽平關)으로 進軍하자 下後緣도 여러 將帥를 거느리고 나아가 서로 對峙하였다. 다음해 1月 劉備가 南쪽의 面殳(沔水)를 건너 定軍山(定軍山)에 陣을 치므로 그 을 다투었다. [14] 에 劉備가 하후聯의 鹿砦에 을 질렀다. 東쪽 防禦는 장합에게 맡기고 自身은 輕武裝한 軍士를 데리고 南쪽 防禦에 나섰다. 장합 쪽의 戰況이 좋지 않아 兵士를 半으로 나누어 支援보내고 손수 鹿砦를 補修하다가 [15] 蝗蟲 [16] 來襲해와 戰死 하였다. 시호 는 민후(愍侯)라 하였다.

評價 [ 編輯 ]

하후聯銀 매우 빠르게 나아가 언제나 敵이 豫想치 못한 곳에서 나타났기 때문에 群衆에서는 ‘사흘에 5百 , 엿새에 1千 里를 간다.’는 所聞 이 돌았다. [17] 農牛를 平定했을 때 曹操는 “송건을 一擧에 滅하고 官署를 虎狼이 처럼 내달려 앞을 가로막는 것이 아무것도 없으니 孔子 顔回 가 더 낫다고 했다.”라며 自身보다 낫다고 稱讚하였다. 그러나 ‘ 將軍 이라면 怯을 먹고 弱해져야 할 때도 있다. 勇猛만을 믿어서는 안 된다. 勿論 勇猛함이 基本이기는 하지만 智略을 가지고 行해야 한다. 오직 패기만으로는 一介 匹夫만을 相對할 수 있을 뿐이다.’며 恒常 注意도 주었다. 하후聯銀 本來 用兵에 能하지 못하여 群衆에서도 白紙將軍(白地―)이라 불렸다. 總大將이 最前方에서 直接 敵과 뒹구는 것도 不當하건만 結局 鹿砦를 補修하다 戰死하였다. [18] 劉備 亦是 장합은 꺼린 反面 하후聯銀 쉬이 여겼다. 總大將人 下後燕을 죽였음에도 “마땅히 우두머리를 잡아야 하지만 이는 무슨 쓸모가 있는가?”라고 하였다. [19]

三國志演義 [ 編輯 ]

司書가 아닌 小說 三國志演義 》에서도 最前線에서 活躍하는 勇將으로 登場한다. 銅雀臺 를 完工한 記念으로 曹操가 年 宴會에서 조휴 , 文憑 , 조홍 , 장합 솜씨를 뽐낸다. 長老를 征伐할 때 先鋒으로 가던 中 量앙 量임 의 奇襲에 敗한다. 다시 안개 속에서 襲擊하여 양평관 占領에 功을 세우고 娼妓 와 量임을 벤다. 定軍山에서 場合意 挽留에도 直接 出戰했다가 蝗蟲과 法廷 의 計略에 戰死한다.

家計 [ 編輯 ]

  • 否認  : 曹操 의 妻弟
    • 長男 : 하후型(夏侯衡) - 曹操의 아우 海洋애후(海陽哀侯)의 結婚 하였다. 아버지 事後 習作했다가 안녕정후(安寧亭侯)로 이봉됐다.
      • 孫子 : 하후적(夏侯績)
    • 次男 : 下朽敗
    • 三南 : 하후稱(夏侯稱)
    • 사남 : 下後衛
      • 孫子 : 하후準(夏侯駿)
      • 孫子 : 下後場(夏侯莊)
    • 오남 : 下後榮(夏侯榮)
    • 肉男 : 하후慧
    • 漆남 : 下厚和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資治通鑑 》64卷 寒氣 第56 獻帝 建安 6年
  2. 《三國志》17卷 魏書 第17 匠料
  3. 《資治通鑑》65卷 寒氣 第57 獻帝 建安 11年
  4. 《三國志》1卷 魏書 第1 武帝 曹操
  5. 《三國志》17卷 魏書 第17 棲遑
  6. 《三國志》17卷 魏書 第17 장합
  7. 하후連戰에서는 號(?)라 하였으나 《三國志》16卷 魏書 第16 定婚 , 《三國志》17卷 魏書 第17, 《資治通鑑》66卷 寒氣 第58 獻帝 建安 17年을 따른다.
  8. 後漢書 》9卷 本紀 第9 孝헌第 유협 建安 17年
  9. 이 일을 《三國志》25卷 兩部 全은 212年이라고 했는데 司馬光 은 《資治通鑑고이》3卷에서 《三國志》 無祭器의 技術로 보아 213年인 것 같다고 하였다.
  10. 御患, 《 偉略 西戎 前 ; 配送地 主席, 《三國志》30卷 魏書 第30 烏桓 선비 東이 에서 引用
  11. 抱恨이 아닌 부한이라 發音한다. 耳峴 主席, 《後漢書》87卷 列傳 第77 西江 無益원檢(無?爰劒)
  12. 황중은 皇壽(湟水)의 量案을 이른다. 황중성은 서평군과 漿液群 사이에 있었는데 素月地 가 살았으므로 소황중이라고도 불렀다. 好三星 主席, 《資治通鑑》67卷 第59 獻帝 建安 19年
  13. 長老 征伐은 215年이다. 《三國志》1卷 魏書 第1 武帝 曹操, 《後漢書》9卷 本紀 第9 孝헌第 유협 建安 20年. 216年은 하후연戰의 傲氣이다.
  14. 《三國志》32卷 蜀黍 第2 船主 劉備
  15. 《慰撫群冊令》(魏武軍策令) ; 《 太平御覽 》337卷 兵部 第68 鹿角에서 引用. 若干 差異는 있으나 비슷한 內容이 《三國志》 장합前에도 있다.
  16. 《三國志》36卷 蜀黍 第6 蝗蟲
  17. 《魏書》 ; 配送地 主席, 《三國志》9卷 魏書 第9 하후聯에서 引用
  18. 《慰撫群冊令》 ; 《太平御覽》337卷 兵部 第68 鹿角에서 引用
  19. 當得其魁,用此何爲邪. 《偉略》 ; 配送地 主席, 《三國志》17卷 魏書 第17 장합에서 引用

參考 文獻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