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엄마 없이 먹는 ‘靑年의 집밥’ HMR|新東亞

사바나

엄마 없이 먹는 ‘靑年의 집밥’ HMR

‘給食 世代’ 밀레니얼의 슬기로운 晩餐生活

  • reporterImage

    고재석 記者

    jayko@donga.com

    入力 2020-06-27 10:00:01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1人 家口 靑年, 週 3~4回는 HMR로 집밥

    • 고등어구이, 밀푀유나베…골라 먹는 재미

    • 健康 걱정? ‘雜穀밥’에 닭 가슴살 먹는다

    • 인스턴트 아닌 나를 위한 小小한 晩餐

    • 같이 먹어야만 집밥? ‘혼자서 近似하게’

    • 給食과 便宜店 日常이던 밀레니얼, HMR 親和的

    • 코로나에도 主要 食品企業 줄줄이 好實績

    *사바나 草原처럼 탁 트인 2030 놀이터, 밀레니얼 플레이풀 플랫폼

    국내 주요 식품기업의 
대표 HMR(가정간편식) 브랜드. [각사 제공]

    國內 主要 食品企業의 代表 HMR(家庭簡便食) 브랜드. [各社 提供]

    1人 家口 職場人 최형균(30) 氏는 1週日에 3~4끼를 HMR(Home Meal Replacement·家庭簡便食)로 解決한다. 집 近處 企業型 슈퍼마켓(SSM)에 HMR 코너가 具備돼 있어 그날그날 마음에 드는 메뉴를 골라온단다. 崔氏는 “冷藏庫가 작아 飯饌 여럿을 保管하기 어려운데 HMR은 必要할 때마다 사올 수 있고, 그때그때 메뉴를 바꿔가며 먹는 재미도 있다”고 했다. 

    그가 가장 選好하는 한 끼 組合은 ‘햇반 雜穀밥’ 210g, ‘비비고 배추김치’ ‘고메 함박스테이크’다. 왜 何必 雜穀밥이냐 물으니 “健康을 생각한 決定”이라는 答이 돌아왔다. 이틀에 한 番꼴로 運動을 한 뒤에는 HMR 形態로 出市된 닭 가슴살을 먹는다고 한다. 오랫동안 HMR은 ‘不良食品’ ‘防腐劑 덩어리’라는 偏見에 휩싸여왔다. 정작 ‘90年生 職場人’은 健康을 생각해 HMR을 먹는다. 

    마찬가지로 1人 家口 職場人인 김미나(32) 氏는 HMR을 두고 “몸에 안 좋은 인스턴트가 아닌 나를 위한 小小한 晩餐”이라고 表現했다. 金氏 亦是 1週日에 3끼를 HMR로 解決한다. 그는 一週日에 한 番 온라인으로 HMR 製品을 大量 購買한다. 夜勤이 잦아 場을 보거나 飯饌을 調理해 두는 게 如意치 않아서다. 近來 꽂힌 製品은 ‘비비고 告訴한 고등어구이’다. 그는 “生鮮구이는 손질이 힘들고 料理할 때 냄새가 振動해 혼자 먹기 어렵다. HMR 生鮮은 전자레인지에 돌리면 끝이다. 便利하다고 맛이 떨어지는 것도 絶對 아니다”라고 말했다. 

    最近 移徙한 金氏는 집들이 飮食으로 밀키트 製品인 CJ쿡킷 ‘밀푀유나베’를 擇했다. 밀키트는 HMR의 一種으로 손질된 材料와 양념이 함께 담겨 配達되는 製品이다. 밀키트 形態의 밀푀유나베에는 소고기와 가쓰오肉水, 단호박, 칼국수, 野菜, 소스 等이 包含돼 있다. 金氏는 “肉水를 낼 必要도 없이 냄비에 예쁘게 담아 끓이기만 했다”며 洽足해했다.



    집밥이란 무엇인가

    삼계탕에서 미역국, 꼬막무침, 불닭발에 이르기까지 HMR 종류도 다양해졌다. [뉴스1]

    蔘鷄湯에서 미역국, 꼬막무침, 불닭발에 이르기까지 HMR 種類도 다양해졌다. [뉴스1]

    밀레니얼 世代는 最小限의 時間과 努力, 金額을 들여 남의 干涉 없이 良質의 한 끼를 오롯이 즐길 수 있길 願한다. 崔氏는 “20~30分間 유튜브 映像을 보면서 HMR로 혼자 便히 저녁을 먹는다”고 했다. 金氏는 “1人 家口다 보니 혼자 먹을 食材料 量을 定하는 게 너무 어려운데, HMR은 1引用으로 出市된 製品이 많아 選好한다”고 했다. 혼자 사는 밀레니얼 世代에 HMR은 過去와는 다른 意味에서 어엿한 집밥이다. 

    집밥이 浪漫과 追憶의 對象이라는 건 만들어진 판타지다. 職場人 김아영(35) 氏는 “집밥이 마치 노스탤지어처럼 머물러 있지만, 事實 엄마의 끊임없는 家事勞動을 통해 아빠와 子女들이 얻은 一種의 수혜였다”고 꼬집었다. 그 밑바탕에 ‘正常家族 이데올로기’가 자리 잡고 있다. 父母와 두어 名의 子女로 이뤄진 核家族을 理想的 形態의 家族으로 規定해 온 거다. ‘正常家族’의 範疇에 들지 않는 家族은 모두 少數者의 處地로 내몰렸다. 

    ‘正常家族’에서 엄마는 아무리 몸이 힘들어도 子女들에게 直接 料理해 주는 걸 ‘좋아하는’ 利他的 存在로 表象된다. 精誠을 들여야 한다는 强迫은 늘 엄마들을 支配했다. 食單은 밥과 국, 最小 3饌이 갖춰진 形態여야 했다. 半條理된 飮食을 食卓에 올리는 건 엄마로서 役割을 제대로 遂行하지 못했다는 罪責感을 자아냈다. 이 대목에서 登場하는 單語가 ‘손맛’이다. ‘엄마 손맛이 담긴 집밥은 내 幼年의 追憶’이라는 敍事는 이런 式으로 誕生했다. 

    집밥 판타지는 産業化 世代(1940~1954年生)와 베이비부머 世代(1955~1963年生), 86世代(1960年代生), X世代(1970年代生)를 貫通하는 魔法의 낱말로 자리매김했다. 工場에서 굵은 땀방울을 흘려 일하는 産業 逆軍도, 빳빳이 펴진 흰 셔츠를 입은 채 밥벌이를 하던 넥타이 部隊도, 催淚彈을 던지고 獨裁 打倒를 외치던 民主化 鬪士도, 압구정동에서 날밤을 지새우던 오렌지族도 ‘엄마가 해주는 집밥’을 渴求했다. 

    하지만 밀레니얼 世代(1981~1996年生)의 삶에는 重要한 斷切線이 登場했다. 給食이다. 初等學校 給食은 1993年부터 擴大돼 1998年 全國 모든 初等學校에서 實施됐다. 中學校 給食은 1999年 全國 中學校의 30.3%에서 實施됐고, 2000年 以後 해마다 크게 擴大됐다. 高等學校 給食은 1998年부터 增加 趨勢를 보이고 있었다. 結局 2003年을 起點으로 全國 初·中·高 學校給食이 全面 實施됐다.(국가기록원 ‘記錄으로 만나는 大韓民國’ 中) 1989年 登場한 프랜차이즈 便宜店이 1997年 2000個, 2001年 3000個를 突破하는 等 超高速 成長하고 있었다는 點도 言及해야겠다. 

    먹거리 談論을 主題로 博士 論文을 쓴 강보라 延世大 커뮤니케이션硏究所 專門硏究員은 “밀레니얼은 給食 世代”라면서 이렇게 說明했다.

    “밀레니얼은 給食 世代”

    “윗世代는 學校에 도시락을 싸 갖고 다녔잖아요. 自然히 엄마가 해주는 집밥을 먹을 수 있는 機會가 더 많았죠. 누가 어떤 도시락 飯饌을 싸왔을까 살펴보는 雰圍氣마저 있었습니다. 反面 밀레니얼 世代는 엄마의 집밥을 먹을 機會가 1週日에 손에 꼽을 만큼 적었을 거예요. 學校에서는 給食 먹고, 學院 갈 때는 便宜店에서 끼니를 解決했잖아요. PC房에서 놀면서 簡單히 배를 채우기도 했을 테고요. 卽 밀레니얼 世代는 집 밖에서 먹는 밥에 對한 拒否感이 작았기 때문에 HMR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었을 겁니다.” 

    卽 밀레니얼 世代의 生涯에서 HMR은 接近性이 도드라지게 높은, 말하자면 只今의 유튜브와 같은 對象이었다. 김미나 氏는 “高等學校 때는 賣店用 햄버거가, 大學校 때는 三角김밥이 나의 삶에서 떼놓을 수 없는 食品이었을 만큼 HMR이 익숙했다”고 回顧했다. 3分카레, 量반죽, 크림스프 等 한 時代를 風靡한 製品들도 밀레니얼 世代의 삶을 不知其數로 파고들곤 했다. 

    따라서 밀레니얼 世代가 HMR을 집밥으로 여기는 건 매우 자연스러운 일로 보인다. 김아영 氏는 “어릴 적부터 유튜브를 통해 콘텐츠를 보고 자라면 유튜브 콘서트와 公演場 콘서트가 別般 달라 보이지 않을 것이다. 幼年 時節부터 HMR을 日常에서 接할 經驗이 많았던 밀레니얼 世代가 HMR을 近似한 한 끼 집밥으로 여기는 건 當然하다”고 했다. 

    形式에 얽매이는 代身 內容을 重視하는 밀레니얼 世代 特有의 實用主義도 이런 雰圍氣를 돋운다. 최형균 氏는 “HMR은 집밥이나 마찬가지”라면서 “父母님 世代만 하더라도 집밥 하면 국과 김치가 있어야 하는 等 나름의 形式이 있었다. 하지만 밀레니얼 世代는 形式과 規格에 拘礙하지 않고 簡便하면서도 맛있게 한 끼 먹는 걸 選好한다”고 했다. 

    그러니 반드시 ‘함께하는 食事’일 必要는 없다. 김미나 氏는 “같이 사는 食口가 없다 보니 다 같이 모여서 먹는 집밥이 定石(定石)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代身 혼자 먹어도 ‘近似하고 맛있게 먹자’는 注意를 自然히 갖게 됐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1人 家口다 보니 혼자 먹을 食材料 量을 가늠하는 게 늘 어려운데, HMR은 1人 家口에 맞춰 나온 製品이 大部分이라 먹고 남은 걸 버릴 일이 많지 않은 點이 좋다”고도 덧붙였다.

    코로나19에도 줄줄이 好實績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비대면 소비가 증가하면서 HMR 수요가 늘었다.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소비자가 HMR 제품을 고르는 모습. [뉴스1]

    新種 코로나바이러스 感染症(코로나19) 擴散에 非對面 消費가 增加하면서 HMR 需要가 늘었다. 서울의 한 大型마트에서 消費者가 HMR 製品을 고르는 모습. [뉴스1]

    德分에 關聯 市場은 擴張 一路에 있다. 農林畜産食品部와 韓國農水産식품流通公社의 ‘2019 加工食品 細分市場 現況報告書’에 따르면 農村經濟硏究院은 2018年 國內 HMR 市場 規模(出荷額 基準)를 3兆2164億 원으로 推定했다. 2022年에는 그 規模가 5兆 원을 넘을 것으로 展望하고 있다. 報告書에 따르면 HMR 製品 中 最近 들어 卽席國, 國·湯·찌개類, 加工밥, 卽席죽 等이 돋보이는 成長勢를 記錄하고 있다. 反面 冷凍饅頭 市場 成長勢는 주춤한 模樣새다. 間食보다 食事에 傍點이 찍힌 最近의 HMR 活用法을 反映한 結果로 풀이된다. 

    KDB未來戰略硏究所 産業技術리서치센터는 ‘國內 HMR 市場의 成長過程과 業界 對應方案’에서 “1980年代 當時 便宜性을 追求하는 3分料理, 卽席밥 爲主의 市場에서 現在는 다양한 프리미엄 일常識이 登場하며 市場이 進化했다. 1人 家口 增加, 高齡化, 製品의 多樣化, 食品의 온라인 販賣 比重 上昇으로 成長勢는 持續할 것”이라고 分析했다. 

    主要 HMR 브랜드를 갖추고 있는 食品企業들도 近來 들어 줄줄이 好實績을 記錄했다. 新種 코로나바이러스 感染症(코로나19) 擴散으로 집에서 簡便하게 먹는 食事 需要가 더 늘어난 德分이다. 

    ‘비비고’ ‘햇반’ ‘고메’ 브랜드 等을 고루 保有한 CJ제일제당의 食品事業部文은 올해 1分期 賣出額 2兆2606億 원을 記錄해 지난해 같은 期間보다 31.4% 늘어난 成績表를 받아 들었다. 같은 期間 營業利益은 15.3% 增加한 1163億 원으로 集計됐다. 海外市場에서 加工食品 賣出이 126%나 增加한 게 奏效했다. 國內에서는 비비고 죽, 國·湯·찌개 製品 販賣가 늘어 關聯 賣出이 前年 對比 16% 늘었다. 

    ‘청정원’ ‘宗家집’ 브랜드로 有名한 大象그룹度 1分期에 498億 원의 營業利益을 벌어들였다. 지난해 같은 期間과 比較하면 30.8%나 增加한 數値다. 特히 食品部門 營業利益은 256億 원으로 같은 期間 72.9% 急增했다. ‘3分 料理’ ‘오뚜기밥’ 브랜드를 保有한 오뚜기도 1分期에 賣出額 6455億 원, 營業利益 572億 원을 記錄했다. 前年 對比 賣出額과 營業利益이 各各 8.2%, 8.3% 늘었다. 이 中 乾燥食品(카레 等) 賣出은 925億 원으로 지난해 같은 期間보다 約 120億 원 增加했다. ‘兩班’ 브랜드로 잘 알려진 動員F&B도 1分期 賣出額과 營業利益이 2019年 1分期에 비해 各各 4.73%, 4.49% 늘어난 7836億 원, 365億 원을 記錄했다.

    물고 물리는 領土 싸움

    各 企業 間 領土 싸움의 움직임마저 보이는 形局이다. CJ제일제당은 最近 ‘第一按酒’라는 이름으로 常溫 按酒 HMR 市場에 進出했다. 大象그룹度 旣存 冷凍按酒 HMR 브랜드 ‘按酒野(夜)’의 領域을 擴大해 常溫 按酒 製品을 出市했다. 動員F&B는 簡便 파우치 形態로 ‘兩班 國·湯·찌개’ 14種을 내놓으며 CJ제일제당에 挑戰狀을 냈다. 이를 위해 動員F&B는 光州工場 3000坪 敷地에 400億 원 規模로 新規 設備 投資를 進行한 바 있다. 

    강보라 연세대 硏究員은 “過去에는 少數의 베스트셀러, 스테디셀러가 HMR 市場을 이끌었다. 이에 製品 開發이 톱다운(Top-down) 方式으로 이뤄졌다”면서 “最近에는 유튜브 等 消費者가 意思表示를 할 수 있는 通路가 생겼고, 企業도 消費者 趣向과 龜尾를 反映하면서 洑텀業(Bottom-up) 方式으로 製品 開發에 着手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사바나

    고재석 기자

    고재석 記者

    1986年 濟州 出生. 學部에서 歷史學, 政治學을 工夫했고 大學院에서 映像커뮤니케이션을 專攻해 碩士學位를 받았습니다. 2015年 下半期에 象牙塔 바깥으로 나와 記者生活을 始作했습니다. 流通, 電子, 미디어業界와 財界를 取材하며 經濟記者의 文法을 익혔습니다. 2018年 6月 동아일보에 入社해 新東亞팀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22代 國會 注目 初選 22人] 議員이 된 醫師·未來學者 차지호 京畿 誤算 ...

    建設業 不況에도 注目받는 大宇建設, 왜?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