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황조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황조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황조
黃祖
死亡日 208年
死亡地 剛하군
國籍 後漢
經歷 降下太守
子女 黃驛

황조 (黃祖, ? ~ 208年 )는 中國 後漢 말 兄 注目 遊標 麾下의 武裝으로 降下太守 로 在職했다. 형주 로 南下한 孫堅 을 막아 죽였으며 그 아들 손책 孫權 의 거듭된 降下 侵攻 亦是 約 10年間 막아내다가 結局 잡혀 죽었다.

自身을 위해 熱心히 일한 감녕을 冷待했으며 예형 을 함부로 죽일 程度로 殘惡無道하고 眼下無人인 데다가 狀況 判斷을 제대로 못했다.

生涯 [ 編輯 ]

孫氏 兄弟의 怨讐 [ 編輯 ]

191年 ( 草平 2年) 反童濯 聯合軍 이 分裂하여 南陽 태수 怨讐 渤海 태수 元素 가 서로 싸웠다. 遊標 는 元素와 손잡은 탓에 元述이 孫堅 을 시켜 형주 로 쳐들어왔다. [1] 黃鳥歌 邀擊했지만 蕃盛 (樊城)과 等星(鄧城) 사이에서 격파당하고 現産(峴山)으로 달아났다. 192年 孫堅이 한手 를 건너 遊標의 據點인 襄陽性 包圍 한 채 皇祖를 쫓아 現産으로 올라왔다가 埋伏한 弓手가 쏜 화살 에 맞아 죽었다.( 襄陽 戰鬪 ) [2] 이로써 孫堅을 沮止하였다.

198年 ( 建安 3年) 皇祖의 身世를 지고 있던 예형 을 죽였다. 元來 예형은 曹操 에서 유표를 거쳐 河口 (夏口)에 駐屯하던 [3] 皇祖에게 와있었는데 글을 뺄 것은 빼고 넣을 것은 넣는 等 정갈하게 잘 썼으므로 황조가 그 손을 잡으며 ‘黃鳥歌 말하고 싶은 마음 속의 생각을 正確히 그대로 쓴다’고 말할 程度로 優待하였다. 어느 날 몽衝(蒙衝)에서 船上 파티를 크게 열어 예형도 參席했는데 그 말이 不遜하였다. 황조가 부끄러워 나무라자 되레 注視하며 “老人 屍體야! 무슨 말을 하는 것이냐?”라고 쌍辱 을 날렸다. [4] 황조가 크게 怒하여 鞭刑(鞭刑)을 賦課하려하자 예형은 더 辱을 퍼부었다. 完全히 뚜껑이 열린 黃鳥歌 死刑 을 命하니 平素 예형을 싫어하던 主婦 (主簿)가 卽時 兄을 執行하였다. 以前부터 豫型과 親했던 큰아들 黃驛 이 遑急히 맨발로 달려왔지만 이미 늦었다. 황조 亦是 後悔하여 厚하게 葬事지냈다. [5]

10年間의 血戰 [ 編輯 ]

199年 여강 태수 有勳 洋酒 (揚州)를 蠶食해가던 손책 의 거짓 同盟에 속아 驪江을 뺏기고 [6] 서새산(西塞山)의 遺棄(流沂) [7] 까지 밀려나 遊標에게 急히 援兵을 請하였다. 黃役이 5,000名을 데리고 달려갔지만 反轉夏至 못하고 剛하군 사이縣(沙?縣, 沙羨縣)까지 손책에게 蹂躪당하였다. [8] 皇祖의 妻子息이 붙잡히고 遊標가 增員한 한희(韓晞)와 조카 유호(劉虎) 等 수많은 사람 이 죽었다. 이때 손분 , 注油 , 女犯 , 情報 , 孫權 , 汗黨 , 黃蓋 , 桐濕 [9] 等이 參戰하였다. [10]

손책 事後 그 뒤를 이은 孫權이 203年 降下를 侵犯하였다. 皇祖의 水軍 이 깨지고 追擊당했는데 部下 감녕 이 派的敎委(破賊校尉)였던 吳나라 將帥 능兆 로 쏴 죽이는 [11] 等 奮戰하여 더 큰 危機를 면하였다. [12] 孫權은 은 征服하지 못하고 産月 問題로 인해 돌아갔다. 207年 孫權이 또 넘어왔는데 이番에도 皇祖를 克服하지 못하고 [13] 사람들만 잡아갔다. 그동안 황조도 施賞(柴桑, 只今의 장시省 主張詩 )을 몇 番 찔렀으며 손權君의 徐渻 [14] 周遊家 功을 올렸다. [15]

惡緣의 끝 [ 編輯 ]

208年 봄 孫權이 감녕의 建議에 따라 또 侵入하였다. 앞서 감녕은 황조가 自身을 普通 사람으로 對하는 데에 不滿을 품고 동오 로 歸順했었다. [16] 황조는 몽忠을 雙으로 免勾 (沔口)에 配置하여 守備하였다. 棕櫚나무 로 만든 큰 밧줄로 맨 돌을 닻으로 삼아 固定시키고 그 위에서 1,000名의 路需가 화살을 비처럼 쏟아부으니 孫權軍이 함부로 接近하지 못했다. 편장군(偏將軍) 桐襲과 別付私馬(別部司馬) 能通 이 各各 決死隊 100人을 이끌고 甲옷을 껴입은 채 큰 배를 몰아 突進하였다. 능통이 皇祖의 長壽 長石(張碩)을 베고 [17] 桐襲이 量 닻줄을 끊어 隊伍를 흩트리는 바람에 孫權의 大軍이 水陸竝進해왔다. [9] 黃鳥歌 眞趣 의 水軍을 출전시켰으나 先頭에서 突擊하던 平北徒尉(平北都尉) 旅夢 에게 머리를 베였다. 孫權軍이 그 氣勢로 姓까지 猛烈하게 攻擊하였다. [18] 黃鳥歌 밤을 타 [13] 逃走하다가 孫權의 起兵 風칙 에게 잡혀 梟首 當했다. 後任 태수로는 油種 과의 後繼者 競爭에서 밀려난 遊標의 長男 遺棄 가 赴任하였다.

評價 [ 編輯 ]

손책은 黃鳥歌 遊標 발톱 어금니 [爪牙] 같은 心腹이라 하였다. [10] 예형을 죽인 일은 後世에도 널리 膾炙되었다. 二百 에도 素材로 使用되어 황조는 惡名을 얻었다고 하였다. [19]

三國志演義 [ 編輯 ]

司書가 아닌 小說 三國志演義 》에서는 襄陽 戰鬪 의 秒前에서 接近하는 척하는 孫堅 을 向해 사흘間 화살만 날리다 다 떨어진다. 孫堅이 이 화살을 뽑아 거꾸로 日帝 射擊 하며 上陸하니 黃鳥歌 敗退한다. 女工 怪量 의 計策에 따라 孫堅을 現産으로 誘引한 後 돌과 화살을 쏟아부어 죽인다. 이에 怪月 , 菜某 와 함께 城 밖으로 出擊하는데 黃蓋 에게 사로잡힌다. 遊標와 손책 이 孫堅의 屍體와 皇祖를 서로 交換하고 强化한다. 예형 이 自身을 아무 靈驗도 없는 祠堂 鬼神 이라 坪하자 火가 나 殺害 한다. 遊標가 예형을 鸚鵡週에 묻어준다. 208年 孫權 의 大軍에 降下가 함락당해 달아나지만 그間의 푸待接으로 因해 동오로 歸順했던 감녕 에게 사살당한다. 孫權이 그 머리를 죽은 아버지의 靈前에 바친다.

手下 長壽 [ 編輯 ]

家計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後漢書 》75卷 列傳 第65 元述
  2. 《三國志》46卷 五署 第1 孫堅. 御患, 《前略》(典略) ; 配送地 主席, 《三國志》46卷 五署 第1 孫堅에서 引用.
  3. 《平原예형展》 ; 配送地 主席, 《三國志》10卷 魏書 第10 순욱 에서 引用
  4. “死公 云等道” 死公(沙工)은 쌍辱이다. 耳峴 主席, 《後漢書》80卷下 列傳 第70下 예형
  5. 《後漢書》80卷下 列傳 第70下 예형
  6. 《三國志》46卷 五署 第1 손책
  7. 배송지가 〈손책展〉에 引用한 《강표傳》(江表傳)에서는 氣(沂)라고 하였으나 《 資治通鑑 》63卷 寒氣 第55 獻帝 建安 4年을 따른다.
  8. 《강표傳》 ; 配送地 主席, 《三國志》46卷 五署 第1 손책에서 引用
  9. 《三國志》55卷 五署 第10 桐濕
  10. 《오록》(吳錄) ; 配送地 主席, 《三國志》46卷 五署 第1 손책에서 引用
  11. 능條가 戰死 한 해가 언제인지는 記錄이 없다. 〈能通展〉에 依하면 陵弔意 아들 能通은 아버지 事後 마둔(麻屯)과 步둔(保屯)을 攻擊했다. 〈駐油田〉과 〈 손유 전〉에도 마鈍과 步鈍을 攻擊한 記錄이 있는데 206年 이다. 206年 以前에 孫權이 皇祖를 친 것은 203年이다. 그래서 司馬光 은 능條가 203年에 죽었다고 推定하였다. 《資治通鑑고이》3卷
  12. 危巢 (韋昭) 等, 《五署》 ; 配送地 主席, 《三國志》55卷 五署 第10 감녕에서 引用
  13. 《三國志》63卷 五署 第18 誤犯 (吳範)
  14. 《三國志》55卷 五署 第10 徐渻
  15. 《三國志》54卷 五署 第9 注油
  16. 《三國志》55卷 五署 第10 감녕
  17. 《三國志》55卷 五署 第10 能通
  18. 《三國志》54卷 五署 第9 旅夢
  19. 李白, 〈網鸚鵡週回예형〉(望鸚鵡洲懷?衡, 鸚鵡週를 바라보며 예형을 떠올리네)

參考 文獻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