朝鮮佛敎維新論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朝鮮佛敎維新論 》(朝鮮佛敎維新論)은 1913年 에 萬海 한용운 이 著述 刊行한 佛敎 논서이다. [1] 朝鮮 抑佛崇儒 (抑佛崇儒) 政策에 依한 排斥과 彈壓 속에서 思想的으로나 組織的으로나 山中으로 逃避하여 弱化된 朝鮮 佛敎 의 復興을 위하여 近代的인 佛敎 改革論을 主張한 力著(力著)이다. [1]

內容 [ 編輯 ]

《朝鮮佛敎維新論》에서 한용운 은 다음과 같은 內容을 記述하고 있다. [1]

  1. 佛敎의 性質로서 佛敎가 進步的으로 未來의 道德 文明의 原料品이 될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2. 佛敎의 主義로서 平等主義 (平等主義)와 救世主의 (救世主義)를 强調하고 있다.
  3. 舊習破壞(舊習破壞)에 依한 革命的 改革으로 佛敎 維新을 定義하고 있으며, 그 方案으로 아래의 事項을 提示하고 있다.
    1. 僧侶 敎育制의 改革
    2. 念佛堂 (念佛堂)의 廢止
    3. 布敎方法의 近代化
    4. 大衆的, 冒險的, 救世적, 競爭的, 思想의 鼓吹
    5. 前近代的 不可所懷 (佛家塑繪)의 撤廢
    6. 各種 意識의 改革
    7. 僧侶 自身의 勞動力에 依한 自活(自活)과 그것에 依한 人權回復
    8. 僧侶 禁婚第(禁婚制)의 撤廢
    9. 寺院 住職(住職)의 選擧制 採擇
    10. 有神論者의 大同團結
    11. 寺院統轄制의 改革

이노우에 엔料 의 佛敎改革論에 影響을 받았다. 僧侶의 結婚과 肉食을 許容하자는 ‘帶妻食肉론’(帶妻食肉論)을 主張했었는데, 出家僧 中心의 傳統과 戒律이 佛敎를 社會로부터 孤立, 隔離시킨다는 問題 意識에서였다. [2]

各州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