東海

( 日本海 에서 넘어옴)

東海
朝鮮東海
日本海
East Sea
대한민국에서 촬영된 동해 일출
大韓民國에서 撮影된 東海 日出
동해와 주변 수역 지도
東海와 周邊 水域 地圖
동해와 주변 수역 위성 사진
東海와 周邊 水域 衛星 寫眞
位置 東아시아
座標 北緯 40° 東京 135°  /  北緯 40° 東京 135°  / 40; 135
類型 內海
流域國家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러시아의 기 러시아
일본의 기 日本
­
최대길이 1,700 km
最大幅 1,110 km
睡眠面積 978,000 km 2
平均水深 1,752 m
最大水深 3,742 m
鹽分 34.09‰
­
最高水溫 25?27 °C
最低水溫 0 °C

東海 (東海, 英語 : East Sea )는 아시아 의 東北部에 位置한 太平洋 沿海 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에서는 朝鮮東海 (朝鮮東海)로 부르고, 日本 에서는 日本海 ( 日本語 : 日本海 니혼카이 [ * ] , 英語 : Sea of Japan )로 부른다. 東쪽으로 日本 도호쿠 地方 , 홋카이도 러시아 사할린섬 , 西쪽으로 韓半島 의 東海岸 全體, 濟州特別自治道 , 南쪽으로 日本 혼슈 , 北쪽으로는 러시아의 프리모르스키 변경주 에 둘러싸여 있다. 大韓民國 에서 일컫는 南海 의 東쪽 海域도 地利區分 上 東海의 一部에 該當한다. [1]

지리

東海는 海峽 을 통해 다른 海洋으로 連結되는 反閉鎖性 海域이다. 大部分의 海岸은 海岸線이 複雜하지 않고 거의 곧게 뻗어 있으나, 南海岸 [1] 리아스式 海岸 으로 海岸線이 複雜하고 섬이 많다. 水深이 깊고 大陸棚이 發達되어 있다. 가끔 龍오름이 觀測되기도 하며 돌고래 等이 觀測된다. 오래 前에는 湖水였던 것이 氣溫이 올라감에 따라 海水面 上昇에 依해 現在의 바다가 되었다. [ 出處 必要 ]

南北의 길이는 約 1,700km이고 東西 最大 너비는 約 1,110km이며, 넓이는 約 1,007,300 km 2 이다. [2]

海峽

海峽 位置 잇는 바다
大韓海峽 韓半島와 규슈 사이 東海 - 東中國海
濟州海峽 韓半島와 濟州島 사이 東海 - 黃海
간몬 海峽 혼슈와 규슈 사이 東海 - 細土 內海
쓰가루 海峽 홋카이도와 혼슈 사이 東海 - 太平洋
라페루즈 海峽 홋카이도와 사할린섬 사이 東海 - 오호츠크해
타타르 海峽 러시아의 極東 本土와 사할린섬 사이 東海 - 오호츠크해

東海로 흐르는 江

形成 過程

東海는 유라시아 版으로부터 日本이 分離되면서 열리게 된 海洋地殼으로 新生代 高弟3期 올리고세 부터 新制3期 마이오세 中盤에 形成되었다. [3] 具體的으로 後記 올리고세 에서 마이오세 까지 斷層 運動에 依한 知覺의 腎臟(伸長)과 後列島 盆地의 形成을 통해 擴張되었으며, 中期 마이오세 以後 닫히기 始作하여 韓半島와 大陸 周邊部에 隆起 를 일으켰으며 同時에 東海의 應力權이 腎臟에서 壓縮으로 바뀌었다. [4] 大陸 열個는 東海岸에서 떨어진 鬱陵盆地 內에서는 正斷層을 발달시켰고, 盆地 周邊部에서는 板境界로부터 誘導되는 壓縮應力에 依해 走向 移動 單層 이나 逆斷層을 生成했다. 鬱陵盆地 南部는 局部的인 壓縮力의 結果로 마이오세 後記 돌고래 構造를 따라 隆起 스러스트 單層 이 發達한다. [5]

東海의 形成을 說明하기 위한 다양한 모델이 提示된 바 있다. 가장 많이 引用된 모델은 부채꼴 擴張 모델 (fan-shaped opening model) (e.g.,Otofuji et al., 1999)과 黨겨열림 모델 (pull-apart opening model) (e.g., Jolivet et al., 1994)이다. 부채꼴 擴張 모델에서는 新生代 마이오세 初期부터 北東 및 南西 日本 列島가 各各 半時計方向 및時計方向으로 回轉하여 아시아大陸으로부터 떨어져 나감으로써 東海가 形成되었다고 提示한다. 이에 反해 黨겨열림 모델에서는 高弟3期 올리고세 後期부터 新制3期 마이오세 中期까지 日本列島가 東海의 오른쪽과 왼쪽에 있는 優秀走向斷層을 따라 南쪽으로 竝進하여 東海가 열렸다고 提示한다. 最近 韓國海洋科學技術院 에서 韓半島 周邊部에서 彈性波 探査를 遂行하여 리프팅과 知覺의 分離를 解釋한 結果에 따르면 南西日本列島가 올리고세 末期부터 韓半島의 北쪽 周邊部에서 떨어져 나간 後 올리고세 최후기 乃至 마이오세 初期에 時計方向으로 回轉하면서 떨어져 나감으로써 東海가 形成되었음을 提示하였다 (Kim etal.,2007). 現在 東海에서 發生하는 地震 들은 후포 單層 과 같이 新生代에 일어난 後輩號(back-arc) 리프팅(rifting) 當時 形成된 單層 或은 地殼分離線을 따라 發生함을 알 수 있다.

? 韓半島 周邊海域 海底斷層分布圖 製作을 위한 企劃硏究 [6]

海洋

海底 地形

海流

쿠로시오 海流 로부터 起源되는 쓰시마 海流 는 북서태평양의 高溫ㆍ固鹽의 海水를 大韓海峽을 통해 東海로 輸送하며, 쓰시마 亂流에 依해 東海로 運搬된 쓰시마 亂流數는 東海 南部 海域의 上層을 占有한다. 東海로 流入된 쓰시마 暖流는 東海의 上層部 循環에 큰 影響을 미치며, 東海의 極前線 南쪽에서 北東쪽으로 흐른다. 쓰시마 暖流 全體 輸送量의 約 70%는 쓰가루 海峽을 통하여 北太平洋으로 流出되고 나머지는 라페루즈 海峽을 통하여 오호츠크해로 流出되며 一部는 東海 內에서 재순환한다.

쓰시마 暖流는 東海로 流入된 後 韓國의 東海岸을 따라 北上하는 桐한亂流 와 日本 沿岸을 따라 東海의 出口인 쓰가루 海峽 쪽으로 흐르는 內側 支流로 크게 나뉜다. 冬寒暖流는 大韓海峽을 통해 流入되는 쓰시마 亂流의 한 盆地로 韓國 東海岸을 따라 沿岸 가까이에서 北上하다가 北緯 36°~38°에서 그 方向을 東쪽으로 바꿔 陸上으로부터 멀어져 간다.

東海 北쪽의 反時計 方向 循環은 러시아와 北韓 沿岸을 따라 南下하는 리만 海流 北韓寒流 가 週 海流이다.

海峽을 통해 隣接 海域과 連結되어 있으나 海峽의 水深은 200m 未滿으로 東海 全體 海水의 約 10% 程度인 表層水만이 隣接 海域과 交換되고 大部分의 中ㆍ底層水는 東海 內에서 形成, 循環, 變形되는 過程을 거친다. [7]

海底 地形

東海는 3,000m 以上의 深海部(深海部)는 約 30萬km 2 이며, 平均 水深은 1,684m이고, 가장 깊은 곳은 北東쪽 오쿠시리 섬 附近의 3,762m이다. 大陸棚 은 約 21萬km 2 로 全體 넓이의 約 1/5程度이다. 全體的으로 볼 때 東部보다 西部가 깊고 南部보다 北部가 깊다. 海底 地形은 北緯 40°線을 基準으로 北部가 單純하고 南部는 複雜하다. [8]

東海 北部에 水深이 3,000m가 넘는 日本盆地가 놓여 있고, 南部에는 大和堆 를 中心으로 東쪽에 야마토 盆地(獸心 2,500m 以上), 그리고 西쪽에 鬱陵盆地 (獸心 2,000m 以上)가 位置한다.

自願

東海에 位置한 한 燈臺

水産物

北緯 40° 附近에서 冬寒暖流와 北韓寒流가 만나 造景을 이루어 좋은 漁場을 形成한다. 亂流의 影響으로는 오징어 , 韓流의 影響으로는 대게 가 有名하다. 그 밖에 重要한 魚種으로 鰱魚 , 明太 , 靑魚 , 大邱 , 아귀 , 숭어 , 농어 , 도루묵 , 쥐치 , 까치복 , 가자미 , 꽁치 , 멸치 , 防禦 , 정어리 , 붕長魚 , 볼락 , 고등어 , 錢魚 等이 있다.

가스 하이드레이트

東海는 2007年 11月 世界에서 다섯 番째로 深海底 가스 하이드레이트 의 大規模 賦存이 確認된 곳이다. 東海 鬱陵盆地를 비롯한 深海底에는 가스하이드레이트가 約 6億t以上 埋藏되어 있는 것으로 豫想하고 있다. [9]

海洋 深層水

海洋深層水 는 太陽光이 到達하지 않는 水深 200m 아래의 깊은 바다에 存在하며 海流를 따라 自然的으로 循環ㆍ再生되고 있는 天然의 水資源이다. 年中 安定된 低溫性을 維持하고 表層의 바닷물과 섞이지 않아 淸淨하면서도 無機物을 豐富하게 含有하고 있는데 東海에는 이런 良質의 海洋深層水가 形成돼 있다. [10]

名稱 問題

東海와 接한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變更主義 是非랴코프섬

韓國에서는 歷史的으로는 ‘傾駭(鯨海ㅡ 고래바다)’ [11] 가 가장 먼저 나온다. 그 뒤 大韓 帝國 末期에 ‘東海’, ‘창해’(滄海) 等으로 불렸으며, 16世紀에 들어서 西洋에 依한 東洋 探險이 本格的으로 이루어지면서 以後 製作된 西洋의 世界地圖에는 ‘한국해’, ‘조선해’, ‘東洋海’, ‘日本海’ 等의 다양한 이름으로 表記되었는데, 西洋의 發見 初期이던 이 時期에는 ‘한국해’라는 名稱이 자주 使用되었다. [12] 發見 初期에는 東海를 韓國해(MER DE COREE)라고 表記하기도 했다. 該當 指導의 名稱은 CARTE DES LSLES Du JAPON (日本, 에죠 또는 周邊帝國도·日本.蝦夷及周邊諸國圖)로, 1735年 製作됐고 製作者는 프랑스人 벨링(J.n.Bellin·1703~72)이다. 프랑스 海軍將校로 東洋海上을 專攻한 地圖作成 擔當이었다. [13]

以後 18世紀 末부터 19世紀 初에 걸쳐 ‘日本海’라는 呼稱이 유럽에서 널리 使用되게 되었으며, 以後 日本에서도 日本海라는 名稱이 使用되었다. [14] 日本古地圖人 <大日本使臣顚倒>. 韓國의 東海에 該當하는 部分에는 '조선해' 日本 쪽은 '日本西海', 南쪽에는 '日本南海', 東쪽은 '大日本東海'라고 적혀 있다. 地圖를 그린 에도時代 畫家의 하시모토 쿄쿠란사이는 북해도 東海 沿岸을 踏査하면서 1869年 10月 명치 新政府가 許可한 地圖(官許)를 그렸다. [15]

1929年에 국제수로기구 (IHO)의 《海洋과 바다의 境界》 第1版에서는 ‘日本海’ 이름이 使用되었다. 가장 最近에 나온 《海洋과 바다의 境界》는 1953年 發刊된 第3版이며, 여기에도 日本海로 單獨 表記되어 있다. 1957年 국제수로기구에 加入한 大韓民國 은 1992年 以後 국제수로기구 會議와 유엔의 關聯 會議 等 國際會議에서 ‘日本海’란 名稱에 異議를 提起해, 이에 對한 變更을 要求하고 있다.

環境 問題

1966年~1991年 舊 蘇聯 이 東海 上에 核廢棄物 을 投棄한 行爲가 確認되어 國際的인 物議를 빚었다.

大韓民國 政府는 1988年부터 쓰레기 海洋 投棄를 許容했는데, 排出 費用이 싸다는 點이 큰 理由였다. 1991年부터 2007年까지 17年間 東海에 投機된 廢棄物 總量은 20t 트럭 117萬餘臺 分量인 2352萬3000t이라고 한다. 이 中에는 生態系에 致命的인 카드뮴 , 과 같은 重金屬 이 相當量 包含되어 있어 環境 問題가 提起되고 있다. [16]

各州

  1. 國際 수로 器具 에서는 1953年 發刊한 海洋과 바다의 境界(Limits of Oceans and Seas) 第3板 Archived 2012年 3月 5日 - 웨이백 머신 (링크는 指導)을 통해 南海의 東쪽 海域을 東海로 規定하고 있다.
  2. “東海(東海)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2021年 4月 14日에 確認함 .  
  3. “韓半島 地震 特性 및 聯關 現象 分析” . 延世大學校 . 2015年 2月.  
  4. “高解像 彈性波 探査를 利用한 東海沿岸의 神奇 地震活動 分析” . 韓國海洋硏究員 . 2009年.  
  5. . 韓國海洋科學技術院 . 2018年 2月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Report.do?cn=TRKO202000007746 .   |題目= 이(가) 없거나 비었음 ( 도움말 )
  6. “韓半島 周邊海域 海底斷層分布圖 製作을 위한 企劃硏究” . 韓國海洋科學技術院 . 2014年 12月.  
  7. http://argo.kordi.re.kr/html/argo03_02.html Archived 2007年 7月 24日 - 웨이백 머신 韓國海洋硏究員 ARGO
  8. http://eastsea.nori.go.kr/east_info.asp Archived 2007年 10月 22日 - 웨이백 머신 國立海洋調査員 (東海)
  9. 東海서 超大型 ‘가스 하이드레이트層’ 發見 Archived 2016年 3月 4日 - 웨이백 머신 <大韓民國 政策포털> 2007.11.23
  10. 海洋深層水를 開發하자 Archived 2015年 9月 24日 - 웨이백 머신 , 《每日新聞》, 2008年 7月 10日.
  11. 최치원(857~908?), 鄕約雜詠
  12. 西洋 古地圖 '한국해' 表記 壓倒的 , 《聯合뉴스》, 2004年 11月 5日.
  13. http://m.kb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447034
  14. http://www.mofa.go.jp/policy/maritime/japan/study-fk.pdf
    http://www.mofa.go.jp/policy/maritime/japan/study-2fk.pdf
    http://www.mofa.go.jp/policy/maritime/japan/study-4k.pdf
    http://www.mofa.go.jp/policy/maritime/japan/study-6k.pdf
    http://www.mofa.go.jp/policy/maritime/japan/study-7fk.pdf
  15.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47&aid=0002159015
  16. 東海 海底는 ‘重金屬의 밭’ , 《문화일보》, 2008年 3月 21日.

같이 보기

外部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