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백산層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함백산層
層서 範圍 : 페름기
江陵市 강동면 심곡리 海岸에 드러난 함백산層의 褶曲 單層 救助
類型 堆積巖
上位 單位 平安 累層軍
下層 平安 累層軍 將星層
上層 平安 累層軍 道士曲層
地域 三陟炭田 , 江陵炭田 , 旌善 - 平昌 炭田, 寧越炭田 , 丹陽炭田
두께 三陟炭田  : 將星 鑛山 250 m
도계 鑛山 270 m
白雲山 350 m
丹陽炭田  : 100~300 m
巖質
沙巖 , 셰일
나머지 石灰巖 , 無煙炭
位置
이름 由來 함백산
命名者 정창희 (1969)
座標 北緯 37° 39′ 34.8″ 東京 129° 03′ 21.5″  /  北緯 37.659667° 東京 129.055972°  / 37.659667; 129.055972
나라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함백산層 (咸白山層, Hambaeksan formation)은 大韓民國 三陟炭田 , 江陵炭田 , 旌善 - 平昌 炭田, 寧越炭田 , 丹陽炭田 에 分布하는 平安 累層軍 堆積巖 地層이다. 함백산 에서 이름이 由來되었고 主로 沙巖 으로 構成되며 過去 고방산層 下部에 該當하는 地層이다.

槪要 [ 編輯 ]

大韓民國 에 分布하는 平安 累層軍은 最大 1,400 m의 두께를 가진다. 平安 累層軍은 過去 下部로부터 鴻漸統(→ 灣港層 ), 사동통(→ 衿川層 , 將星層 ), 고방산통(→함백산層, 道士曲層, 高한層), 綠巖桶(→東古層)으로 區分하였다. 코다이라(Kodaira, 1924)는 北韓 地域의 平南 盆地에 分布하는 後記 古生代 퇴적암층을 平安系(system)라고 提案하였고, 카와사키(Kawasaki, 1927)와 他테이와(Tateiwa, 1931)는 平安系를 4個의 桶(series; 現在의 層軍에 該當) 卽 鴻漸統, 사동통, 고방산통 그리고 綠巖通으로 區分하였다. 南韓 地域의 太白山 盆地에 分布하는 平安 累層軍의 層序는 日本 學者들과 태박산地球地下資源調査團(GICTR, 1962)에 依해 처음으로 北韓 地域과 類似한 4個의 桶으로 區分되었다. [1] [2] 그러나 分斷 以後 北韓 地域의 接近이 不可能해졌을 뿐 아니라 平南 盆地와 太白山 盆地로 대표되는 兩 地域 間의 巖相 差異 및 對備 問題가 漸次 提起되었다. 이에 1969年 정창희는 三陟炭田을 平安 累層軍의 表式地로 삼고, 그 層序를 下部에서부터 灣港層 , 衿川層, 將星層, 함백산層, 道士曲層, 高한層, 東古層 으로 새로 設定하였다. 그리고 灣港層 과 衿川層을 고목층群, 將星層과 함백산層을 鐵巖層群, 道士曲層, 高한層, 東古層을 黃지층군으로 設定하였다. [3] 이들 地層名은 오늘날 大韓民國에 分布하는 平安 累層軍의 標準 層序로 자리잡아 現在는 大部分의 硏究者가 이 名稱을 使用한다. [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의 平南 盆地에 分布하는 平安 累層軍은 下部로부터 鴻漸統, 立席桶, 사동통, 고방산통 等으로 分類된다. 現在까지도 北韓 地域에서는 사동통의 下部를 後記 石炭紀 의 立席通으로 分離한 것을 除外하면 같은 層序를 使用하고 있다. [5]

平安 累層軍의 地質 系統表와 層序는 다음과 같다. 그間 平安 累層軍을 對象으로 이루어진 많은 調査 硏究가 石炭 開發을 目的으로 한 바, 平安 累層軍의 分布地는 一般的으로 地域名 뒤에 炭田(炭田)이라는 名稱을 붙여 使用한다. [6] [5]

地質 時代 地域
三陟炭田 江陵炭田 旌善 - 平昌炭田 寧越炭田 丹陽炭田 報恩炭田 和順炭田 平南盆地 두萬分之
中生代 三疊紀
201.3?252.17 Mya
中世 237?247.2 Mya 아니시안 東古層 박지산層 東古層 - 太子圓筒
傳貰 247.2?252.17 Mya 咽頭안 상원산層 -
古生代
페름기
252.17?298.9 Mya
로핑기아 252.17?259.8 Mya ch - 고방산통 송相通
과달루페
259.8?272.3 Mya
카피탄 高한層 (언별리層) 옥갑산層 高한層
워디안 道士曲層 망덕산層 道士曲層 -
로디안 천운산層
時數랄里아
272.3?298.9 Mya
쿤쿠리안 함백산層 함백산層 함백산層 함백산層 鷄龍山桶
아르틴스키안 將星層 將星層 將星層 美炭層 將星層 將星層 含炭層 사동통
사크마리안 밤치層 밤치層 밤치層 暗記桶
아셀吏案 立席桶
古生代
石炭紀
252.17?298.9 Mya
펜실베이니아
298.9?323.2 Mya
모스크바 衿川層 衿川層 衿川層 板橋層 衿川層 오음리層 鴻漸統
灣港層 灣港層 灣港層 要鳳層 灣港層 灣港層 용마산層
바시키르

三陟炭田과 白雲山 享祀대 [ 編輯 ]

  • 三陟-고사리 地質圖幅(1962)에 依하면 함백산層은 京東鑛業所 附近 將星層 床위에 分布하며, 主로 (담)灰色의 逆質沙巖 및 組立 乃至 中立의 沙巖과 乳白色의 中立 乃至 조립질의 沙巖이 大部分이나 실트암이나 셰일度 小規模 협재한다. 下部의 將星層과는 整合的 關係로 두 地層의 區分은 뚜렷한 암상의 差異로 容易한 便이다. [7]
  • 정창희 (1969)에 依하면 主로 乳白色 沙巖 으로 構成되며 黑色 셰일 을 협재한다. 地層의 두께는 將星鑛山에서 250 m, 道界鑛山에서 270 m, 白雲山 近方에서 350 m이다. 將星層 과 함백산層은 大槪 整合이나 一部 地域에서 不整合 의 關係를 보인다. 不整合의 證據로 基底 礫巖層이 白雲山 과 玉洞鑛山 地域에서 各各 20 cm와 10 cm 두께로 나타난다. [3]
  • 함백산層은 함백산 周邊에 表式的으로 分布하나 將星의 將星層 上位에도 잘 發達한다. 함백산層은 고방산통의 下部에 該當한다. 함백산層은 乳白色 硅巖 을 主로 하고 간간히 얇은 層의 黑色 셰일 을 협재한다. 이 地層은 250~270 m의 두께를 가지며 본 層 上部에서 發見되는 植物 化石은 페름기 를 指示한다. [8]
  • 三陟炭田 西部 地域에서의 함백산層은 主로 乳白色 乃至 담灰色 組立沙巖으로 構成되며 두께 5 m 以下의 黑色 셰일을 수 매 협재한다. 본 層에는 斜層理 가 많이 發達해 있다. [9]
  • 함백산 單層 東部 황지동 - 장성동 地域에서의 함백산層은 下位의 將星層과 整合的인 關係를 가지며 基底部에는 0.3~1 cm 크기의 役을 含有하는 礫巖 에서 暗灰色 셰일에 이르기까지 正常的인 點이 層理를 보이며 3回의 輪廻層을 보인다. 그 上部에서는 上向 組立火를 보이는 輪廻層이 6回 反復된 다음 다시 暗灰色 셰일層이 發達한다. 이 上位에는 大部分이 點이 層理를 보이며 礫巖 內地 疫疾 沙巖, 中立질 沙巖, 細粒質 沙巖의 順序이거나 또는 그 上位에 셰일 層이 놓이는 順序를 보이다가 본 層의 上限인 暗灰色 셰일이 分布한 다음에 道士曲層의 最下部 綠灰色 셰일과 接한다. [10]
  • 전희영(1985, 1987)은 함백산層에서 페름기 쿤구르節( Kungurian )에 屬하는 植物化石 Annularia gracilescens Halle, Annularia mucronata Schenk, Annularia sphenophylloides (Zenker) Gutbier, Annularia stellata , Lobatannularia sp. cf. L. lingulata Hall, Lobatannularia sinensis Halle, Calamites suckowii Brongniart, Calamites cistii Brongniart, Calamites sp. 等을 發見했다. [11] [12]
  • 함백산層은 主로 乳白色 乃至 灰白色 組立 沙巖으로 構成되며 간간히 黑色 셰일이 협재된다. 이 地層을 構成하는 沙巖 의 95% 以上은 石英 으로 構成되며 氣質의 量이 적다. 함백산層을 이루는 沙巖은 風化에 對한 抵抗이 强해 높은 絶壁이나 稜線을 이룬다. 이 地層의 두께는 70 m 內外이다. [13]
  • 三陟-고사리圖幅 脂質報告書(1994)에 依하면 함백산層은 京東鑛業所 附近 將星層 上位에 分布하며, 主로 담灰色 乃至 灰色의 疫疾 沙巖 및 組立 乃至 中立의 沙巖과 乳白色의 中立 乃至 조립질의 沙巖이 大部分이나 실트암이나 셰일度 小規模 협재한다. 下部의 將星層과는 整合的 關係로 두 地層의 區分은 뚜렷한 암상의 差異로 容易한 便이다. [7]
  • 이현석과 조성권(2006)에 依하면 함백산層의 암상組合은 三角洲가 潟湖(lagoonal)나 바다 쪽으로 擴張되는 環境에서 堆積된 것이다.

江陵炭田 [ 編輯 ]

안인리에서 묵호동 에 이르는 東海岸 一帶와, 大關嶺 東方 4 km 地域에서부터 江陵 南方 12 km 地點인 만덕봉 附近에까지 이르는 地域은, 石炭이 算出되어 所謂 江陵炭田 (江陵炭田)으로 불리는 地域이다. 面積 190 km 2 에 이르는 江陵炭田에는 全國 石炭의 約 5%가 埋藏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1980年代 末 約 90個의 炭鑛이 運營되었으나 石炭産業 合理化 事業으로 모두 廢鑛되었다. [14] 함백산層 (Hambaeksan Formation)은 過去의 고방산層 下部에 該當하며 乳白色, (담)灰色, 淡綠色의 (劇)組立沙巖과 淡綠色-(綠)灰色 細粒沙巖으로 構成되며 박층의 黑色/暗灰色 셰일과 沙巖을 협재한다. 地層의 두께는 約 200 m이다. [15] 江陵市 강동면 심곡리~ 옥계면 금진리 海岸道路를 따라 아래 寫眞과 같이 함백산層이 드러나 있으며 褶曲 單層 , 巖脈 이 觀察된다.

丹陽炭田 [ 編輯 ]

丹陽炭田 忠淸北道 丹陽郡 에 北東-南西 方向으로 發達하며 밑에서부터 灣港層 , 衿川層 , 將星層 , 함백산層, 道士曲層, 고한層과 桐高層으로 構成된다. 灣港層은 赤色 셰일과 灰色 沙巖이 主를 이루고 石灰巖을 협재하며, 衿川層은 灰色 乃至 黑色의 셰일~中立沙巖 및 石灰巖으로 構成된다. 將星層은 黑色의 셰일~沙巖으로 數 枚의 石炭層을 包含하며, 함백산層은 주되게 밝은 組立沙巖으로 構成된다. 道士曲層은 綠色 或은 灰色의 沙巖으로 主로 構成되어 있으며 고한層은 黑色 乃至 暗灰色의 沙巖 및 셰일이 特徵이나 沙巖은 때로 綠色을 띤다. 東古層은 淡綠色의 沙巖과 赤色 셰일을 包含한다. [5] 丹陽 地域에 分布하는 平安 累層軍 地層들은 堆積以後 褶曲 作用과 衝上斷層 의 運動을 겪었으며, 大部分의 層理 가 北東-南西 方向의 走向과 北西 方向의 傾斜를 보인다. 褶曲軸 및 스러스트 單層들은 主로 北東-南西 方向으로 發達되어 있고, 이러한 褶曲 및 衝上運動은 中生代 松林 變動 및 대보 造山運動 과 關聯된 것으로 報告되었다.

김항묵(1971)은 丹陽炭田 地區에 分布된 朝鮮 累層軍 , 平安 累層軍 과 帶同 累層軍에 發達된 斜層理 와 固守類에 對해 分析하여 丹陽炭田 地球의 碎屑性 堆積物의 供給地가 본 地域의 東쪽에 位置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平均的인 運搬 方向은 295°인 것으로 報告하였다. 함백산層과 黃지층군(道士曲層, 高한層, 東古層)의 斜層理 는 해성 環境을 指示하며 丹陽炭田의 平安 累層軍 堆積盆地가 海洋과 連結되었던 것으로 解釋된다. 卽 平安 累層軍은 灣入(灣入) 盆地 內 堆積型이다. [16]

  • 함백산層은 將星層 西便에 將星層과 平行하게 400~800 m의 幅으로 對象(帶狀) 發達하며 從來의 고방산層 分布帶와 거의 一致한다. 大部分 淡色의 沙巖 으로 構成된 地層이나 硅化 作用으로 인해 只今은 硅巖 으로 變하여 있다. 硅巖層은 風化에 强해 山 稜線部에 分布하며 乳白色이고 組立沙巖을 主로 하나 間或 두께 2~3 m의 黑色 셰일을 협재한다. 함백산層 基底에서 約 40 m 되는 곳에 石炭層이 發達되는 境遇가 있다. 본 層은 大體로 將星層과 整合的이며 아직 野外에서 不整合 을 指示하는 基底 礫巖層이 發見되지 않았다. 정창희는 三陟炭田의 白雲山 山政府 附近에서 硅巖 願力(圓礫)과 黑色 셰일의 角礫을 含有한 礫巖層이 將星層을 不整合 으로 덮는 部分을 보았으나 其他 地域에서는 漸移的이어서 不整合 을 認定할 수 없었다. 본 地層의 두께는 100~300 m이며 上部는 道士曲層에 依해 整合으로 덮인다. [17]
  • 함백산層은 고방산層 下部에 該當하며 고수洞窟 附近에서는 고수리 單層 東側에 넓게 分布한다. 고수洞窟 의 出口는 雪眉氣骨에라는 溪谷에 있는데 이 雪眉氣骨 西側 50 m 以內에 고수리 單層이 있어 고수洞窟을 包含한 막동 石灰巖層은 고현리 單層을 사이에 두고 함백산層과 接하고 있다. 이곳의 함백산層은 고수리 單層 東方 400 m 에 있는 또다른 逆斷層 '사평리 單層'에 依해 잘린다. 함백산層은 主로 담灰色 乃至 白色의 組立 沙巖으로 되어 있다고 하나 沙巖은 變成되어 硅巖으로 變해 있다. 이는 아주 단단하며 構成 鑛物은 거의 모두가 石英 粒子이고 粒子들 사이는 細粒의 石英 粒子로 充電되어 있으며 이들 사이는 硅酸이 沈澱되어 있다. 고수洞窟 駐車場에서 垂直距離로 50 m 더 높은 곳(海拔 200 m)에 있는 洞窟 出口에 接하여 함백산層의 노두가 發見되며 洞窟 出口 西側에는 막동 石灰巖層이 드러나 있다. 洞窟의 出口는 바로 고현리 斷層을 뜷고 나온 것이라고 하여도 좋을 것이다. 고현리 斷層과 사평리 單層 사이의 함백산層은 分布가 이들 斷層에 依해 規制되어 幅이 約 400 m, 地層의 두께는 200 m이다. 사평리 單層 東側의 함백산層은 分布의 幅이 最大 600 m, 地層 두께는 250 m이다. 사평리 單層 北端部 東側에는 道士曲層이 함백산層을 덮으며 分布한다. 함백산層의 走向은 南-北~北東 10°, 警査는 西側으로 40~50°이다. [18]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韓國地區科學會 (2001). 《地球科學槪論》. 서울: 교학연구사.  
  2. 김형수 (2019年). “平安累層群의 再照明: 松林 造山運動의 變成作用과 變形作用” . 大寒資源環境地質學會 .  
  3. 정창희 (1969年 3月). “Stratigraphy and Paleontology of the Samcheog Coalfield, Gangweondo, Korea (I) (江原道 炭三田陟의 層序 및 古生物)” . 《 大寒地質學會 5 (1): 13-55.  
  4. “땅_地盤을 알게 하는 地質學(Geology) -南韓은 어떤 巖石으로 構成되어 있나 Ⅰ(서울, 京畿도, 江原道, 忠淸道 地域) -” . 《한국지반공학회》 36 (2): 17-25. 2020年 3月.  
  5. 金文起; 이용일 (2017年 4月). “韓半島 南部의 上部 古生代 平安累層群의 層序와 對備 (The stratigraphy and correlation of the upper Paleozoic Pyeongan Supergroup of southern Korean Peninsula - A review)” . 《 大寒地質學會 53 (2): 321-338. doi : 10.14770/jgsk.2017.53.2.321 .  
  6. 韓國地區科學會 (2001). 《地球科學槪論》. 서울: 교학연구사.  
  7. “三陟-고사리圖幅 脂質報告書”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1994年.  
  8. 정창희 (1973年 6月). “A Paleontological Study of the Fusulinids from the Samcheog Coalfield, Korea (三陟炭田 紡錘蟲의 古生物學的 硏究)” . 《 大寒地質學會 9 (2): 47-88.  
  9. 서해길 (1981年 6月). “Geology of the Western Part of the Samcheog Coalfield (三陟炭田 西部地域의 地質)” . 《 大寒地質學會 17 (2): 117-121.  
  10. 金正煥; 金泰浩 (1985年 9月). “Structural Analysis of Hambaeg-san Area, Samcheog Coalfield, S. Korea (三陟炭田 咸白山一帶의 地質構造 硏究)” . 《 大寒地質學會 21 (3): 157-171.  
  11. 전희영 (1985年 6月). “Permo-Carboniferous Plant Fossils from the Samcheog coalfield, Gangwondo, Korea. Part 1 (江原道 三陟炭田地域에서 發見된 植物化石에 對한 硏究) <第1篇>” . 《韓國高生物學會》 1 (1): 95-122.  
  12. 전희영 (1987年 6月). “Permo-Carboniferous Plant Fossils from the Samcheog coalfield, Gangwondo, Korea. Part 2 (江原道 三陟炭田地域에서 發見된 植物化石에 對한 硏究 <第2篇>” . 《韓國高生物學會》 3 (페이지=1-27).  
  13. 박수인 (1989年 6月). “Conodont Biostratigraphy of the Pyeongan Supergroup in Sabuk-Gohan Area (사북-告한 地域의 平安累層群에서 産出되는 코노돈트 生層序에 關한 硏究)” . 《 大寒地質學會 25 (2): 192-201.  
  14. 김유홍 (2011年). “江陵·注文鎭圖幅 地質調査報告書”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15. 엄상호; 전희영; 이호영; 최성자; 김복철; 권영인 (1990年). “韓半島 上部 古生代의 層서 確立을 위한 硏究(Ⅱ) The Stratigraphy of the Upper Paleozoic Formations in Korea)”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16. 김항묵 (1971年 12月). “Paleozoic and Mesozoic Paleocurrents of the Danyang Coalfield District, Korea (丹陽炭田 地區의 古生代 및 中生代의 古水流)” . 《 大寒地質學會 7 (4): 257-276.  
  17. 정창희 (1971年 6月). “Stratigraphy and Paleontology of the Danyang Coalfield, N. Chungcheong-do, Korea (丹陽炭田의 層序 및 古生物學的 硏究)” . 《 大寒地質學會 7 (2): 63-85.  
  18. 정창희 (1993年 1月). “고수洞窟의 地質에 關한 硏究” . 《韓國洞窟學會》 32 (33): 63-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