高聲層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高聲層
層서 範圍 : 白堊紀 ~ 92?85百萬年 前
慶南 固城郡 고성읍 신월리 海岸가의 高聲層
類型 堆積巖
上位 單位 輕傷 累層軍
下層 振動層
上層 유천層群 安山巖類
地域 慶尙南道 固城郡 고성읍 , 삼산면 , 거류면 거류산(571.7 m), 面火山(413.7 m)
統營市 도산면 西部
두께 650 m 以上
巖質
沙巖 , 李嵒
나머지 礫巖 , 凝灰巖
位置
이름 由來 慶尙南道 固城郡
나라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高聲層 (Kgos; Kyeongsang supergroup Yuchoen group Goseong formation, 固城層)은 大韓民國 輕傷 盆地 慶尙南道 固城郡 南東部의 고성읍 , 삼산면 거류면 의 거류산(571.7 m), 面火山(413.7 m), 統營市 도산면 西部 地域에 접시 模樣의 向斜 構造로 分布하는 輕傷 累層軍 유천層群의 最下部 地層이다. 最小 650 m 以上의 두께를 가지는 高成層은 輕傷 累層軍 하양層群 最上部 振動層 을 平行 不整合으로 덮고 있으며, 유천層群 安山巖類와 佛國寺 花崗巖類에 依해 被服 또는 管入黨해 있다. 高成層은 암상에 따라 綠灰色의 凝灰質沙巖, 礫巖, 李嵒, 붉은色의 凝灰質 沙質李嵒 等으로 構成되는 下部, 붉은色이 優勢한 沙巖과 沙質李嵒으로 構成되는 中部, 綠灰色 乃至 暗灰色의 細粒質沙巖, 礫巖, 赤色 沙質이암이 主로 나타나는 上部로 區分된다. 高聲層의 上限은 州 分布誌 中央部의 最上部 凝灰巖 層으로 認知된다. 高聲層 下部의 데사이트質 凝灰巖에서 抽出한 碎屑性 저어콘의 U-Pb SHRIMP 連帶測定 結果는 92.1±3.2 Ma를 보여 高聲層의 堆積은 約 9200萬 年 前 始作되었으며, 高聲層 上部에 협재되는 데사이트質 火山灰 凝灰巖 (N 34°57'51.28", E 128°15'59.11")과 高成層을 被覆하는 安山巖質 火山灰 凝灰巖 (N 34°58'01.88", E 128°16'09.73")에 對해 實施한 저어콘 U-Pb 絶對年齡測定 結果는 各各 約 89.1±0.4 Ma와 約 85.0±0.3 Ma 를 보여 高聲層의 堆積이 85 Ma 以前에 終結된 것을 指示한다. [1] [2]

地域別 地質 [ 編輯 ]

統營市 巨濟市 [ 編輯 ]

  • 忠武 地質圖幅(1983)에 依하면 主로 凝灰質 堆積巖과 凝灰巖 으로 構成되며 凝灰質 堆積巖 속에 淡褐色 或은 灰色의 李嵒을 협재하기도 한다. 凝灰巖層은 高聲層 上部에 두께 20 m로 2枚 협재된다. 본 層의 下限은 振動層과 漸移的이어서 設定하기 곤란하나 大體로 綠色, 紫色 凝灰質셰일, 綠色 凝灰質沙巖 或은 凝灰質礫巖의 算出로부터 그 基底로 삼았으며 上限은 凝灰巖을 境界로 삼았다. 본 層 內에서 斜層理 漣痕 이 觀察된다. [3]
  • 미조-미륵도圖幅(2016)에 依하면 高成層은 統營市 閑山島 염호리 北東部와 巨濟市 둔덕면 술역리 火도 南東部에 小規模로 드러나 있으며 文魚脯 安山巖 아래 놓이고 綠灰色 凝灰質 李嵒 및 沙巖, 沮塞 凝灰質 李嵒과 淡綠灰色 凝灰質 礫巖으로 構成된다. 地層의 走向과 警査는 一般的으로 北西 10~70°및 南西 10~19°를 나타내나 화도에서 閑山島 單層 隣接部에서는 大槪 北東 10~20°및 南洞 20° 로서 反對 方向으로 警査한다. [4]
  • 장태우 外(1983)는 釜山 地域의 多大浦層 이 高聲層에 對比될 것이라는 見解를 提示한 바 있으나 강희철 等은 2000年 古地磁氣 硏究를 통해 高聲層과 그 上位의 安山巖 에서는 여러 次例의 逆磁化가 觀察되는 反面 多大浦層 에서는 下部 2個 層準에서만 짧은 譯者火가 나타나고 上位의 安山巖은 정자화된 것에 根據하여 高聲層과 多大浦層 이 시층書籍으로 對比될 可能性은 없다고 하였다. [5]
  • 2011年 統營市 도산면 도선리의 鳶島(N 34°55'29.69", E 128°19'50.38")에 分布하는 高聲層 上部에서 恐龍 알 化石이 産出되었고, Macroelongatoolithus goseongensis oosp. nov.와 Dictyoolithus neixiangensis 로 記載되었다. 이 一帶에 分布하는 高成層은 主로 붉은色 李嵒, 沙巖, 疫疾 沙巖, 凝灰巖 等으로 構成되고 中性 巖脈이 이를 貫入한다. 河川 祈願의 疫疾 組立沙巖 乃至 沙巖層은 斜層理가 發達하고 上向 細粒化의 傾向을 보인다. 沙巖에서는 硅化木便化石도 産出되었다. [6] [7]
  • 統營市 도산면 오륜리의 작은 섬 泣禱의 船着場 옆에 位置한 海岸가 노두의 成層面(N 34°55'26.69", E 128°19'17.61")에서 恐龍 발자국 化石이 産出되었다. 海岸가의 高成層은 主로 凝灰質 沙巖層으로 構成되고 中性 巖脈이 이를 貫入한다. 凝灰質 沙巖에 保存된 恐龍 발자국 化石은 조각類 龍脚類 의 발자국으로 推定되며 多數의 步行列들이 여러 方向으로 發達한다. 文化財資料 第203號로 指定되어 있으나 現地에는 案內板이 없으며 泣禱에는 定期 배便이 없어 接近性이 낮다. [7]

固城郡 [ 編輯 ]

  • 2017年 固城郡 고성읍 서외리 道路工事現場 切開赦免(N 34°58'38.75", E 128°19'08.02")에서 第4期 地層과 高成層을 切斷하고 있는 單層이 報告되었다. 이 斷層은 慶南 南海圈에서 最初로 報告된 第4期 單層이며, 白堊紀 高聲層과 그 上位의 第4基層을 切斷하는 驛移動性 單層이다. 現在 본 노두는 放置되어 있어 一般人이 認知하기 어렵다. OSL 連帶測定 을 통해 얻어진 第4期層 下部의 連帶는 第4基層의 上部까지 切斷하고 있는 單層의 최후기 單層 活動 이 적어도 61~60 ka, 約 6萬年 以後임을 指示한다. 單層의 實際 最小 垂直 變位와 實際 變位量은 各各 1.61 m와 2.17 m이며, 이 變位를 한 番의 地震 活動에 依한 것이라 假定하고 最大變位-모멘트 地震規模의 經驗式에 適用하면 모멘트 地震規模(Mw)는 6.7 程度로 推定할 수 있다. [8] [7]
  • 李允盛 外(2018)는 高成層을 調査하고 거류면 의 거류산 一帶에서 基底 礫巖으로 判斷되는 礫巖 層이 흔히 觀察되었고, 두 地層 사이의 姿勢 變化가 認知되지 않는 點을 根據로 振動層 과 高聲層의 境界를 平行 不整合 으로 解釋하였다. 또한 두 枚의 斷層이 北西 方向의 碎屑性 巖脈을 切斷하는 하일면 용태리 海岸 露頭(N34°56'28.99", E128°13'40.36")와 高成層을 切斷하는 男-北 方向의 單層이 發達한 삼산면 장치리 海岸 露頭(N34°56'28.09", E 128°14'13.69")를 發見하였다. [2]
  • 固城郡 삼산면 삼봉리 山 102 (N 34°56'24.40", E 128°15'10.05", N 34°56'20.72", E 128°15'12.80")에 드러난 高成層은 主로 붉은色 李嵒, 沙巖, 逆質沙巖, 凝灰巖 等으로 構成되고 붉은色 沙巖層에는 凝灰巖이 約 10 cm 두께로 여러 매 협재한다. 地層 內에 側方 連續性이 좋은 酸性의 流紋巖質 凝灰巖이 2~5 m 두께로 수 매 협재하여 高聲層의 鍵層(key bed) 役割을 한다. 火山火 凝灰巖에서 分離된 저어콘의 U-Pb 連帶測定 結果는 92~89 Ma이다. [7]
  • 固城郡 고성읍 신월리 산 10-7 (N 34°57'20.25", E 128°19'32.17")에 드러난 高成層은 主로 灰色 李嵒, 沙巖, 逆質沙巖 等으로 構成되고 石灰質이암이 협재된다. 沙巖層에는 凝灰質沙巖이 10 cm 두께로 여러 매 협재된다. 이곳에는 西北西 方向이 優勢하고 約 10 cm 內外의 垂直 變位를 보이는 點緩刑 成長 斷層과 (徐)北西 方向이 優勢한 碎屑性 巖脈들이 多數 發達한다. 斷層과 美高潔 堆積物이 液狀化되어 印章斷熱을 따라 注入된 碎屑性 巖脈들은 본 地域 一圓에서 發生한 單層 或은 火山 活動에 依해 誘發한 地震動의 起源으로 形成된 것으로 보인다. [7]
  • 固城郡 고성읍 월평리 一帶(N 34°56'17.16", E 128°20'22.20")의 海岸가를 따라 約 3 km 에 걸쳐 高聲層이 分布한다. 干潮 時에 觀察이 可能한 이곳의 高成層은 主로 붉은色 李嵒, 沙巖, 逆質沙巖, 凝灰巖 等으로 構成되고 中性 巖脈의 貫入을 받았다. 이곳의 붉은色 이暗層에서 恐龍 알 化石과 거북알 化石이 産出되었고, 綠灰色의 沙質李嵒에서는 뿔恐龍의 아래턱뼈 化石이 産出되었다. 現在는 發掘되어 現場에 없다. [7]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백인성; 강희철 ( 부경대學校 ); 허민 ( 전남대학교 ); 양승영 (韓國地質古生物硏究回). “Goseong Formation (Yucheon Group) in the southern part of the Gyeongsang Basin, Korea (經常盆地 南部에 發達된 유천層群 高聲層 : 山上 및 層서)” . 大寒地質學會 .  
  2. 李允盛; 천영범; 하상민; 강희철; 孫文 (2018年 8月). “Distribution, age, and structural evolution of the Goseong Formation in the southern Gyeongsang basin, SE Korea (經常盆地 南部 高聲層의 分布, 堆積時期와 構造進化社)” . 大寒地質學會 .  
  3. “忠武 地質圖幅說明書 (忠武 地質圖幅說明서)”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1983年.  
  4. “미조·미륵도圖幅 地質調査報告書”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2016年.  
  5. 강희철; 김인수 (2000年). “經常盆地 南端 고성地域의 白堊紀 유천層群에 對한 鼓字旗 硏究 (Palaeomagnetism of the Cretaceous Yuchon Group in Kosong Area, Southern Kyongsang Basin)” . 《韓國地區科學會》 21 (6): 663-674.  
  6. 김정률; 양승영; 최현일; 서승조; 金慶洙. “Dinosaur Eggs from the Cretaceous Goseong Formation of Tongyeong City, Southern Coast of Korea (南海岸 통영시에 分布한 白堊紀 高聲層의 恐龍 알 化石)” . 《韓國高生物學會》 27 (1): 13-26.  
  7. 정대교 ( 강원대학교 ); 좌용주; 造形性 ( 경상대학교 ); 백인성; 김현주; 박정규 ( 부경대學校 ); 孫文; 임현수; 강희철; 신승원; 이성준; 하수진 ( 부산대학교 ); 김종선 ( 전남대학교 ); 金慶洙 ( 全州敎育隊學校 ) (2018年 12月). 《慶南圈 脂質遺産 發掘 및 價値評價》. 大寒地質學會 .  
  8. 李允盛; 천영범; 하상민; 강희철; 최정헌; 孫文 (2017年 2月). “Geometric and kinematic characteristics of the Quaternary fault at Seooe site, in Goseong-gun, Gyeongsangnam-do (慶南 固城郡 鉏外地點에서 發見된 第4期 單層의 幾何와 運動學的 特性)” . 《 大寒地質學會 53 (1): 115-127. doi : 10.14770/jgsk.2017.53.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