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直層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日直層
層서 範圍 : 白堊紀
安東 하회마을 앞에 드러난 日直層의 露頭
類型 堆積巖
上位 單位 輕傷 累層軍
下層 眞珠層
上層 후평동層
地域 慶尙北道 安東市 풍천면 南部, 남후면 南部, 일직면
義城郡 단촌면 西部, 안평면 東部, 봉양면 東部, 금성면 西部
大邱廣域市 軍威郡 우보면 中部, 부계면
두께 700 m
巖質
실트스톤, 李嵒, 沙巖
나머지 셰일, 礫巖
位置
이름 由來 慶尙北道 安東市 일직면
나라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日直層 (Iljik formation, 一直層)은 大韓民國 輕傷 盆地 義城小盆地에 分布하는 中生代 白堊紀 輕傷 累層軍 하양層群의 最下部 地層으로, 慶尙北道 安東市 일직면 에서 그 이름이 由來되었으며 軍威郡 부계면 에서 義城郡 安東市 일직면 을 지나 풍천면 풍산읍 에서 安東 單層 에 依해 잘리기 前까지 길게 分布한다. [1] 日直層은 湖水 周邊에 位置하고 있던 河川 環境에서 하도 側方 移動과 流量 變化에 따른 堆積 作用의 結果로서 形成되었다고 解釋된다. [2]

地域別 地質 [ 編輯 ]

安東市 [ 編輯 ]

安東 地質圖幅(1988)에 依하면 본 地層은 主로 紫色(?色) 실트스톤과 李嵒 으로 構成되어 있다. 그러나 本 地層의 中下部와 中上部에는 (綠)灰色 셰일 또는 李嵒等이 협재되어 있어 眞珠層과 混沌을 일으키기도 한다. 紫色層은 礫巖 , (疫疾)알코스沙巖, 셰일 泥灰巖 等으로 構成된다. 驛의 크기는 2~3 cm 이고 亞元上이며 構成하는 巖石은 硅巖 , 片麻巖 , 花崗巖 等이다. 두께 2~3 m의 硅巖 은 紫色실트스톤에 협재되어 있으며 大部分이 알코스質이고 斜層理 가 發達되기도 한다. 紫色 李嵒에는 漣痕 乾熱 이 發達한다. 下位의 眞珠層 과는 整合 關係이다. 日直層의 下限은 眞珠層 의 暗灰色層이 끝나고 처음으로 나타나는 紫色層이며, 上限은 후평동層 의 最下部에 該當하는 雜色礫巖層 職下部로 定해졌다. 義城郡 단촌면 장림리와 安東市 일직면 에서 남후면 고상리, 상아리, 풍천면 인금리 , 병산리, 하회리, 풍산읍 마애리에 이르기까지 分布하고, 따라서 層理 의 發達은 西北西-東南東 走向을 보이고 있으며 地層의 走向과 警査는 일직면 附近에서 北西 30~40°및 北東 10°이나 풍천면 인금리 와 광덕리의 마늘鳳 附近에서는 地層이 거의 洞-西 乃至 北東 60~70°의 走向을 가지며 北 乃至 北西로 10~15°警査한다. 또한 北쪽의 安東 單層 과 거의 平行한 走向의 軸을 가지는 향사 褶曲 構造를 取하고 있으며 向斜 救助의 北益이자 安東 單層 과 接하는 곳에서는 地層의 傾斜가 北東 50~80°乃至는 수직층을 形成하고 있다. [3]

百子童層(Knil, 栢子洞層)은 安東市 길안면 百자리 와 고란리, 義城郡 옥산면 입암리 一帶에 分布하며, 1970年代 當時 義城圖幅(1977)의 日直層과 同一한 層準으로 認識되었으나 千指導幅(1978)에서는 日直層 代身 百子童層이란 名稱을 使用하였다. 日直層과 그에 對比되는 漆谷層 眞珠層 위에 놓이는 것과는 달리 百子童層은 鮮京상계 基盤巖 위에 놓인다. 본 層은 礫巖 , 沙巖 , 셰일 等으로 構成되며, 암상에 따라 3個 區間으로 나눌 수 있다. 下部의 基底礫巖臺(300 m)는 礫巖 및 疫疾沙巖으로 構成된다. 中部(250 m)는 沙巖, 礫巖 및 셰일로 構成된다. 驛의 크기는 直徑 10 cm 內外 및 그 以下이다. 組立沙巖은 白色이며 重綠灰色(5 G 5/1) 細粒沙巖도 産出되며, 葉理 가 잘 發達된 赤色 셰일度 협재된다. 上部 細粒癌對(150 m)는 그 下部에 白色 組立沙巖과 綠灰色 沙巖 및 셰일이 있으며 上部에 石灰質 團塊를 가지는 赭色(?色) 셰일이 있다. 地層의 두께는 約 700 m이다. 본 層은 上位의 후평동層이나 下位의 基盤巖에 비해 浸蝕에 對한 抵抗力이 弱해 골짜기를 形成다. [4] [1]

千指導幅 地域인 尙州영덕고속도로 社一山터널 附近(N 36°26'32.33", E 128°58'18.71")에서 쥐라紀 靑松 花崗巖과 日直層 礫巖 을 區分하는 北西 方向의 盆地 警戒 單層( 安東 單層 )이 確認된다. 斷層面은 走向 北西 53°/警査 南西 68°의 姿勢를 보이며 週 斷層面에서 確認되는 單層朝鮮 은 微弱한 座首鄕 感覺을 包含하는 正斷層性 運動 以後에 座首鄕 橫壓縮性 社交 移動 運動이 있었음을 指示한다. [5]

박진아 外(1997)는 義城郡 一帶에 分布하는 眞珠層 과 日直層 沙巖의 鑛物 組成과 元素를 分析하고 起源地와 고기후를 推論하였다. 이들은 1996年 여름 義城郡 봉양면 에서 安東市 일직면 까지 開通 直前인 중앙고속도로 를 따라 野外 調査를 實施했고 高速道路邊에서 露頭 發達이 良好한 곳을 찾아 眞珠層 과 日直層의 주상도를 作成했으며 64個의 沙巖 및 李嵒 試料를 採取했다. 硏究 結果 眞珠層 과 日直層은 約 3,000 m 깊이로 埋沒된 것으로 推定되며 沙巖의 鑛物 成分은 大陸 地殼으로부터의 由來 그리고 雅健組 및 아습윤의 고기후를 指示한다. [6]

靑松郡 과 백石炭 [ 編輯 ]

靑松郡 安德面 고와리의 백石炭에 分布하는 日直層의 沙巖 으로부터 碎屑性 저어콘 을 採取하여 U-Pb 連帶 測定 結果 最小年齡 164 Ma ( 쥐라紀 ), 最大年齡 2009 Ma ( 高原生代 )의 넓은 年齡 範圍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선캄브리아기 時代의 年齡을 보이는 저어콘은 單 2個에 不過하고 大部分의 저어콘은 트라이아스기 쥐라紀 를 指示한다. 저어콘의 U-Pb 年齡 分布와 巖石의 組織 等을 考慮해 볼 때 日直層의 堆積物은 트라이아스기 및 電氣 쥐라紀 貫入巖體에서 祈願했을 可能性이 높다. [7]

義城郡 [ 編輯 ]

義城 地質圖幅(1976)에 依하면 본 層은 紫色(?色) 실트스톤 및 茸巖의 협재를 特徵으로 하고 있으며 構成 巖石은 礫巖 , 逆質沙巖, 알코스 沙巖 , 셰일 泥灰巖 等이다. 본 層의 中下部와 中上部에는 綠灰色 또는 暗灰色 셰일 乃至 이암이 협재된다. 의성읍 地域에서는 中下部에 두께 100~150 m의 暗灰色 셰일 層이, 일직면 地域에서는 中上部에 두께 100~120 m의 暗灰色 셰일 및 이暗層이 협재된다. 礫巖은 본 層 下部에 紫色 실트스톤 內에 렌즈上으로 협재되며 役의 크기는 大體로 2~3 cm고 役의 成分은 硅巖 및 花崗巖質癌이 大部分이고 茸巖의 조각이 間或 섞여 나타난다. 疫疾沙巖은 大體로 組立沙巖에 該當하나 2 mm 以上의 잔자갈을 包含한다. 알코스質沙巖은 淡褐色 乃至 淡紫褐色(淡?褐色)을 띠며 그 構成 鑛物은 大部分 石英 長石 이며 곳에 따라 白雲母 片巖 層理 에 平行하게 含有되는 境遇도 있다. 地層의 두께는 750 m 內外이며, 下部의 眞珠層과는 整合 關係이다. 地層의 範圍는 眞珠層의 暗灰色層이 끝나고 最初로 나타나는 紫色(?色)層부터 후평동層 下部에 나타나는 雜色礫巖 아래까지이다. 安東市 일직면 義城郡 단촌면 장림리, 안평면 석탑리-신월리, 봉양면 분토리에 分布한다. [8]

安東市 일직면 명진리 西쪽 따웃재에 發達한 暗灰色 실트스톤에서 Viviparus sp.의 化石 이 比較的 良好한 保存狀態로 發見되었다. 일직면 국곡리 相國 附近의 綠灰色 乃至 綠褐色 李嵒에서 植物 化石 조각이 發見되었으나 保存이 不良하여 識別이 不可能하다. [8]

軍威郡 [ 編輯 ]

軍威郡 부계면 춘산리 西側 溪谷 春山1길 135 附近에 드러난 輕傷 累層軍 中部 日直層의 露頭
北緯 36° 04′ 39.9″ 東京 128° 38′ 36.6″  /  北緯 36.077750° 東京 128.643500°  / 36.077750; 128.643500

軍威 地質圖幅(1981)에 依하면 두께는 約 400 m이며 下位의 眞珠層 과 달리 紫色(?色)層을 含有하고 上·中·下部로 區分된다. 下部는 두께 約 130 m이며 沙巖, 셰일, 紫色(?色) 미사질(微砂質)셰일 및 礫巖으로 構成된다. 中部는 暗灰色臺(帶)로서 셰일이 大部分이고 두께 約 70 m 程度이며, 中部의 下部에는 暗灰色 셰일(10~20 cm)과 團塊上 石灰巖層(10 乃至 3 cm)의 互層으로 構成된 두께 30 m의 暗灰色 셰일代가 있다. 上部는 紫色臺(?色帶)로서 두께 約 200 m이며 下半部는 셰일보다 沙巖이 優勢하고, 上半部는 沙巖보다 셰일이 優勢하며, 凝灰巖 質 紫色(?色)層이 大部分이다. [9]

軍威圖幅 地域인 軍威郡 우보면 牛步驛 附近 이화리와 두북리의 日直層에서 胞子花盆化石이 觀察되었다. 가장 保存이 良好한 試料는 우보면 두북리의 綠灰色層으로부터 採取되었다. Corollina spp., Clavatipollenites minutes , Retimonocolpites peroreticulatus , Retimonocolpites sp., Tricolpites sp.와 같은 化石의 産出로 미루어 日直層은 白堊紀 압트절(Aptian) 乃至 初期 알悲絶(Albian)에 堆積된 것으로 解釋된다. [10]

大律 地質圖幅(1981)에 依하면 下部의 同名(晋州)層과는 整合 關係로서 姿色(?色) 실트스톤을 협재한다는 點에서 區別된다. 主要 構成 巖石은 礫巖 , 逆質沙巖, 沙巖 , 실트스톤, 泥灰巖 , 李嵒 및 셰일 等이다. 본 層에서 Estheria sp., Ostracod gen.et.sp.indet의 動物化石과 形態를 알아보기 힘든 植物 化石의 줄기가 發見되었다. 본 地層은 大體로 北東 10~15°의 走向과 南洞 10~15°의 警査, 700 m의 두께를 가지며 우보면 달산리에서 부계면 신화리, 춘산리를 지나 八公山 花崗巖 에 依해 그 南쪽 部分이 切斷된다. [11]

圖幅 構成 巖石 算出 化石 두께 (m) 地層名
安東圖幅 紫色 실트스톤과 李嵒, 礫巖, (疫疾)알코스沙巖, 알코스沙巖, 셰일 및 泥灰巖 等 -
義城圖幅 礫巖, 逆質沙巖, 알코스沙巖, 셰일 및 泥灰巖, 暗灰色 셰일과 紫色(?色) 실트스톤 및 李嵒 협재 Viviparus sp. 750 日直層
千指導幅 (上部 細粒癌對) 白色 組立沙巖과 綠灰色 沙巖 및 (紫色) 셰일
(中部) 沙巖, 礫巖 및 셰일
(下部 基底礫巖臺) 礫巖 및 逆質沙巖
- 150
250
300
百子童層
軍威圖幅 (上部 紫色臺) 셰일, 沙巖
(中部) 暗灰色 셰일과 團塊上 石灰巖의 互層
(下部) 沙巖, 셰일, 紫色 미사質셰일 및 礫巖
- 200
30
130
日直層
大律圖幅 礫巖, 逆質沙巖, 沙巖, 실트스톤, 泥灰巖, 李嵒 및 셰일 動物, 植物化石 700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5萬 地質圖”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2. 김다희; 정대교 (2021年 10月). “慶尙北道 軍威郡 一帶 白堊紀 經常盆地 하양層群 下部의 日直層, 후평동層에 對한 堆積環境 硏究 (Sedimentary environments of the Iljik Formation and Hupyeongdong Formation of the lower Hayang Group, Cretaceous Gyeongsang Sedimentary Basin, Bugye-myeon, Gunwi-gun, Gyeongsangbuk-do, Korea)” . 《 大寒地質學會 2021 推計地質科學聯合學術大會》: 505.  
  3. “安東圖幅 地質報告書 (安東圖幅 脂質報告書)”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1988年.  
  4. “泉旨 地質圖幅說明書 (天地 地質圖幅說明서)”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1978年.  
  5. 천영범; 하상민; 孫文 ( 부산대학교 ) (2017年 4月). “Geometry and kinematics of fault systems in the Uiseong block of the Gyeongsang Basin, and their roles on the basin evolution (經常盆地 義城地塊에 發達하는 單層系의 幾何와 運動學的 特性 그리고 盆地鎭火 동안의 役割)” . 《 大寒地質學會 53 (2): 241-264. doi : 10.14770/jgsk.2017.53.2.241 .  
  6. 박진아; 박용태; 김상욱; 고인석 (1997年). “經常分之北部 義城西部地域 白堊紀 眞珠層.日直層의 沙巖成分 및 고기후 (Sandstone composition and Paleoclimate of cretaceous Jinju and Iljig Formations of the Western Euiseong Area in the northern Part of Kyongsang Basin)” . 《巖石學會誌》 6 (2): 111-122.  
  7. 채용운; 최태진; 백인성; 김종선; 김현주; 정훈영; 임현수 (2021年). “靑松 世界脂質公園 內 白堊紀 日直層, 點曲層, 絲穀層의 碎屑性 저어콘 U-Pb 年齡: 堆積時期와 起源地 (Detrital zircon U-Pb ages of the Cretaceous Iljik, Jeomgok, and Sagok formations in the Cheongsong Global Geopark, Korea: Depositional age and Provenance)” . 《韓國地區科學會》 42 (1): 11-38. doi : 10.5467/JKESS.2021.42.1.11 . ISSN   2287-4518 .  
  8. “義城 地質圖幅說明書 (義城 地質圖幅說明서)”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1976年.  
  9. “軍威 地質圖幅說明書 (軍威 地質圖幅說明서)”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1981年.  
  10. 이명석; 최성자; 雲鞋수 (1993年 12月). “Cretaceous Palynomorphs from the Iljik Formation in the Euiseong Area, Korea (慶北 義城地域에 分布하는 日直層(白堊紀)의 胞子花盆化石 硏究” . 《韓國高生物學會》 9 (2): 166-179.  
  11. “大栗 地質圖幅說明書 (大律 地質圖幅說明서)”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1981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