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變化하는 金融環境 理解하고 이제는 나도 變할 時間|週刊東亞

週刊東亞 1328

..

變化하는 金融環境 理解하고 이제는 나도 變할 時間

  • 유용현 KFG 公認財務設計士(CFP)

    yhryub@naver.com

    入力 2022-03-01 10:00:01

  • 글字크기 설정 닫기
    부자가 아니더라도 재무설계가 중요한 이유는 뭘까. [GettyImages]

    富者가 아니더라도 財務設計가 重要한 理由는 뭘까. [GettyImages]

    Q 2022年을 멋지게 보내고 싶어 本格的으로 財테크 工夫를 始作했어요. 職場生活을 해보니 學窓 時節에 했던 工夫보다 돈 工夫가 어렵더라고요. 富者들은 財務設計를 많이 받는다는데, 財務設計를 해야 하는 理由가 뭘까요.

    A 꼭 富者가 되지 않더라도 人生을 살다 보면 必要한 資金이 많은데, 時間은 限定的이고 때론 財務的으로 資金이 不足한 瞬間도 생깁니다. 財務設計는 이런 일이 發生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對備策입니다. 財務設計士 觀點에서 財務設計가 꼭 必要한 理由를 說明해드릴게요.

    1. 低出産 時代
    低出産의 가장 큰 危險은 勞動力 減少, 消費人口 減少로 國家의 潛在的 經濟成長率이 下落한다는 點입니다. 出産을 回避하는 理由는 子女 養育과 敎育에 들어가는 經濟的 負擔이 크고 育兒 支援 施設이나 서비스가 不足하기 때문인데요. 以外에 獨身家口 增加와 結婚 및 出産에 對한 價値觀 變化도 低出産에 影響을 미치고 있습니다.

    2. 高齡社會 進入
    全體 人口 中 65歲 以上을 高齡人口라고 하는데, 7% 以上이면 高齡化社會(Aging Society), 14% 以上이면 高齡社會(Aged Society), 20% 以上이면 超高齡社會(Super-Aged Society)입니다. 韓國은 2000年 高齡化社會를 지나 2017年 高齡社會에 들어섰고, 2025年 超高齡社會 進入이 豫想됩니다. 長壽하면 좋지만, 已往이면 健康하게 長壽해야겠죠. 살아가는 데 必要한 生活費나 醫療費가 없다면 幸福하지 않을 겁니다.

    3. 超低金利 時代
    銀行 預金과 積金만으로 必要한 資産을 모으는 데는 限界가 있습니다. 銀行 金利가 下落하면 貸出者는 利子 負擔이 줄어 좋지만, 貯蓄 利子로 生活하는 隱退者는 利子가 減少해 生活하기가 곤란해집니다. 지난해부터 韓國銀行 基準金利가 若干씩 引上되고 있긴 하나, 金利가 오르면 貸出金利도 同時에 引上되면서 貸出 利子 負擔도 增加하기 때문에 이에 對한 對備는 必須입니다.



    4. 家族 認識 變化
    2018年 統計廳에 따르면 核家族化로 父母와 함께 사는 家庭은 10家口 中 3家口 程度입니다. 또한 父母의 生活費는 2014年을 起點으로 스스로 解決해야 한다는 意見도 늘고 있습니다. 이제 더는 子女에게 기대지 않고 老後 準備를 스스로 해야 하는 狀況입니다.

    5. 隱退 時點 輸入-支出 不一致
    더 빠르고 늦을 뿐, 누구나 經濟的으로 隱退하게 됩니다. 나이가 들면 病에도 脆弱하니 隱退 以後 삶에 對備해야 합니다. 마치 먼 未來 일처럼 보이지만, 隱退는 누구에게나 다가오는 것이니 隱退 以後를 위해 長期的인 貯蓄 및 投資 計劃을 세울 必要가 있습니다.

    *유튜브와 포털에서 各各 ‘매거진東亞’와 ‘투벤저스’를 檢索해 팔로剩하시면 記事 外에도 動映像 等 多彩로운 投資 情報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