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眞正한 孝는 經世濟民” 實踐으로 불 밝힌 實學|新東亞

朝鮮의 아버지들

“眞正한 孝는 經世濟民” 實踐으로 불 밝힌 實學

‘모두의 아버지’ 利益

  • 백승종 | 韓國技術敎育大 待遇敎授 chonmyongdo@naver.com

    入力 2016-05-02 08:45:2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星湖 利益이 지닌 勤儉과 節約의 美德은 學問마저 변화시켰다. 꼼꼼하고 알뜰하며 부지런한 아버지이던 그는 平生을 한결같이 百姓의 生計를 걱정했다. 그런 헤아림은 後날 實學의 集大成으로 이어졌다.
    星湖(星湖) 李瀷(李瀷·1681~1763)李 남긴 有名한 말이 있다. “黨派 싸움은 밥그릇 싸움이다. 벼슬자리는 적은데, 한자리 하고 싶은 사람은 많으니 어쩔 수 없는 일이 아닌가.” 思想도 理念도 다 重要하지만 먹지 않고도 살 수 있는 사람은 없기 때문이다. “의식(衣食)李 足해야 禮儀를 안다”는 옛 말씀엔 누구도 否定할 수 없는 理致가 깃들어 있다. 利益은 그 理致를 自身의 삶에 適用했다. 世上을 運營하는 根本 價値로도 理解했다.

    한 家庭의 아버지로서 利益은 누구보다 꼼꼼하고 알뜰하며 부지런한 살림꾼이었다. 不幸히도 그는 일平生 벼슬길에 나아가지 못했다. 하지만 그는 죽을 때까지 百姓의 生計를 걱정했다. 後날 茶山 丁若鏞은 利益을 司稤(私淑)해 實學을 集大成했다. 그런 點에서 利益의 뜻이 世上으로부터 永永 버림받은 것만은 아니었다.



    꼿꼿하고 端正한 風貌

    利益의 言行을 傳하는 글은 여럿이다. 조카 이병휴가 쓴 ‘가장(家狀)’도 있고, 弟子 윤동규의 ‘行長(行狀)’도 있다. 正祖 때 領議政을 지낸 蔡濟恭의 ‘墓碣銘(墓碣銘)’ 等도 傳한다. 이런 글들을 두루 參考해 ‘아버지 利益’의 모습에 좀 더 가까이 다가서보자.

    “京妓地方의 觀察使가 되어 여러 郡縣(郡縣)을 巡幸하게 되자, 나는 길을 돌아서 添星里(瞻星里, 現在의 景氣 安山市)에 있는 先生의 宅을 訪問했다. 當時 先生은 81세셨다는데, 처마가 낮은 허름한 지붕 아래 端正히 앉아 계셨다. 先生의 눈빛은 炯炯하여 쏘는 듯했고, 성긴 鬚髥은 길게 늘어져 허리띠까지 닿을 듯했다.”



    老年에 이르기까지 利益은 이처럼 누구보다 健康하고 端正한 學者였다. 蔡濟恭의 訪問記는 이어진다.

    “절을 올리기도 前에 내 마음속에는 恭敬하는 마음이 일어났다. 가까이 다가가서 모습을 뵈었더니, 和平하고 너그러우셨다. 經典(經傳)에 關해 說明하실 때는 古今을 자유로이 넘나들며 내가 前에 알지 못한 말씀을 해주셨다.”(채제공 ‘墓碣銘’)

    어릴 적부터 利益의 가르침을 받고 자란 조카 이병휴의 말에 따르면 “先生은 얼굴이 반듯하고 키가 훤칠했다”고 한다.(이병휴 ‘가장’) 類달리 눈이 컸고, 살찐 便도 아니었다. 老年에도 利益은 姿勢가 늘 꼿꼿해 굽은 데라곤 조금도 없었다고 한다.

    利益이 平生 스승으로 여긴 이는 16世紀의 大學者 退溪 李滉이다. 利益도 李滉처럼 밥을 먹을 때 수저 소리가 나지 않게 했고, 洗手할 때도 물방울 하나 튀지 않게 操心했다. 書札엔 반드시 自身의 이름을 적었다. 그는 退溪의 著書를 샅샅이 檢討하고 그 言行을 調査해 ‘利子數언(李子粹言)’이라는 冊子로 만들어두고 一一이 實踐에 옮겼다(이병휴 ‘가장’).

    利益은 키가 크고 몸이 날씬했고, 서글서글하면서도 光彩가 나는 눈瞳子를 지녔다. 그 言行은 退溪 李滉을 그대로 닮아 조그만 빈틈도 없었다(윤동규 ‘行長’). 한눈에 大學者의 氣像이 절로 드러나는 큰 人物이었다.



    黨禍로 집안 焦土化

    그럼에도 利益은 世上으로부터 외면당했다. 黨爭 때문이었다. 그의 父親 이하진은 肅宗 때 司憲府 大司憲까지 지냈다. 南人의 重鎭이던 이하진은 南人의 領袖 許穆과 가까운 사이였다. 그런데 年老한 許穆이 調整을 떠나자 危機가 찾아왔다. 反對派인 老論은 이하진을 平安道 雲山郡으로 流配 보냈다. 1681年 利益은 그 流配地에서 出生했는데, 안타깝게도 父親은 곧 病死했다.

    利益이 스물다섯 살 되던 해(1706) 또다시 집안에 不運이 닥쳤다. 둘째 兄 이잠은 한 張의 上疏를 올려 警鐘(當時엔 世子)의 保護를 主張했다. 그러자 老論은 事件을 擴大시켜 이잠을 逆賊으로 몰았다. 이잠은 酷毒한 拷問 끝에 죽고 말았다. 結局 利益은 黨爭으로 말미암아 依支할 곳을 모두 잃어버렸다.

    아버지를 여읜 데 이어, 어린 時節 鐵石같이 믿고 依支하던 兄마저 잃자 利益은 絶望했다. 그는 온終日 집안에 머물며 謹愼하고 隱居할 뿐, 벼슬길에 뜻을 두지 않았다(윤동규 ‘行長’).

    滅門之禍를 입었으나 삶을 抛棄할 수는 없었다. 그는 집안을 再建할 責務를 느꼈다. 처음 結婚한 高齡 申氏는 곧 死別했고, 再婚한 泗川 睦氏는 그의 뜻에 잘 맞았다. 그들 夫婦는 살림에 힘써 집안의 秩序를 잡았고 膝下에 1男 1女를 뒀다.

    늘그막에 얻은 아들 이맹휴(1713~1751)는 利益에게 큰 보람이었다. 文科에 壯元及第한 이맹휴는 30代에 벼슬이 禮曹正郞에 이르렀다. 學問에도 出衆해 利益의 後繼者로서 不足함이 없었다. 그러나 命이 짧았던지 39歲를 一期로 死亡했다. 아들의 事後, 利益은 조카 이용휴와 어린 孫子들에게 期待를 걸었다. 이미 그가 老年에 한참 접어들었을 때의 일이다.

    젊은 時節부터 利益은 類달리 살림살이에 마음을 썼다. 朝鮮時代 兩班들은 가난해도 아무런 對策이 없었다. 살림살이를 돌보는 것 自體를 부끄럽게 여기는 傾向마저 있었다. 그래서 한番 貧困의 늪에 빠지면 永永 헤어나지 못했다. 利益은 이런 世態를 首肯하지 못했다.

    둘째 兄 이잠까지 목숨을 잃자 집안 살림은 몹시 窮乏해졌다. 그러자 20代 中盤의 利益은 스스로 집안 經營을 떠맡았다. 그는 어머니 安東 權氏에게 살림 걱정을 끼치지 않으려 애썼다. 가난에서 벗어나기, 그것이 利益이 생각하는 孝誠이었다.

    利益은 집안에 規約을 定해두고 他人의 物件을 빌리지 않았다. 다른 사람의 도움 要請에 함부로 따르지도 않았다. 오직 自身의 땅에서 農事지어 얻은 收穫量을 헤아려, 많든 적든 그것을 按排해 自給自足했다(윤동규 ‘行長’).



    規約 定하고 살림 일으켜

    그는 農事일에 익숙한 奴僕(老僕)에게 논과 밭을 全的으로 맡겼다. 살림 밑천인 奴僕을 虐待하지 않았고, 定해둔 規則대로 待遇했다. 그러자 奴僕들度 힘을 다해 부지런히 일했다. 經營에 效果가 났던 셈이다. 이런 式으로 한 해 두 해 지낸 結果, 利益의 살림살이는 晩年에 이르러 相當히 넉넉해졌다. 그는 가난을 克服하고, 生計의 安定을 回復했다.

    “내가 先生의 門下에 數十 年을 出入했지만, 奴僕을 꾸짖는 소리를 들은 적이 없다.” “先生은 奴僕을 兄弟나 親戚과 똑같이 어루만지고 보살피셨다. 부지런히 일하고 忠誠을 다한 奴僕이 死亡하자 찾아가서 曲을 하셨다. 또한 집에서 기르는 개가 죽으면 묻어주게 하셨다. 每事에 내 마음의 人(仁)을 擴大하여 남에게까지 닿게 하시는 法이 이와 같으셨다.”(이병휴 ‘가장’)

    利益은 먹을거리를 生産하는 農事 外에도 뽕나무를 심어 기르고 木花 農事도 지어 옷감을 自給했다. 과일나무를 심어 祭祀 用途에 充當했다. 그는 市場에서 物件을 購入하는 境遇가 거의 없었다.

    모든 살림살이에서 奢侈는 極度로 排擊됐다. 平素 밥床에 올리는 飯饌 가짓數도 規則을 定해 最少로 줄였다. 祭祀床에 올리는 祭物도 少量의 깨끗한 飮食으로 充分했다. 기름지고 넉넉한 床차림은 容恕되지 않았다. 제아무리 貴한 손님이 찾아와도 飯饌을 더 놓지 않았다. 손님의 身分 高下에 關係없이 床차림은 늘 똑같았다. 特別한 理由? 없이 닭과 개를 잡아먹는 일도 없었다. 富者가 되지 않을 수 없었다.



    利益의 집안에선 닭을 많이 쳤다. 그는 틈틈이 닭에게 모이도 주고, 그들이 자라는 模樣을 仔細히 살피기도 했다. 그는 닭에게서 ‘人間의 道理’를 再發見하기도 했다. 李瀷의 文集을 보면, 닭에게서 觀察한 眞正한 어버이의 사랑과 孝道, 友愛의 에피소드가 실려 있다. 實學者의 눈으로 바라보면 動物의 日常에서도 배울 點이 적지 않았던 것이다.

    假令 외눈박이 어미닭이 병아리들을 키우는 모습을 보며 그는 이렇게 말했다. “새끼를 기르는 것은 작은 生鮮 삶듯이 조심스럽게 해야 한다. 攪亂시키는 것은 禁物이다.” 父母 노릇의 要諦는 無條件 好衣好食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사랑으로 操心스레 품어주는 데 있다는 말이다. 利益은 이렇게 말했다. “닭을 기르면서 그 德分에 子息 기르는 法을 배웠다.”



    勤儉과 節約의 美德

    그는 왜 그토록 節約에 힘썼을까. “벼슬 없는 선비는 어려서부터 익힌 일이 冊에 적힌 文字에 不過하다. 農事 짓거나 장사를 하려 해도 힘이 堪當하지 못한다.”(이익 ‘삼두回 서’) 節約하지 않을 方道가 없다는 것이다. 筆者도 어려서 자주 듣기로, “兩班의 살림은 規模가 第一”이라 했다. 利益이 그러했듯, 輸入을 헤아려 支出하는 것이 으뜸이라는 뜻이었다.

    구두쇠와도 같은 그가 娛樂을 멀리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쓸데없이 돈이 들어가는 吸煙도 當然히 反對했다. 當時엔 담배 피우는 風習이 널리 퍼져 있었다. 利益은 喫煙에 反對하며 이렇게 말했다. “날마다 독한 煙氣로 신명(神明)李 깃든 몸을 쐬다니, 틀린 일이다. 담배를 반드시 끊어야 한다.”(이병휴 ‘가장’) 그 집안 食口들은 勿論이고, 弟子들도 스승의 가르침에 따라 長期, 바둑, 담배를 멀리했다.

    利益은 깨끗하고 정갈한 衣服에 滿足했다. 飮食도, 粗惡할망정 虛飢를 면할 수 있으면 充分했다. 집안의 모든 費用은 모두 한 해의 收穫으로 充當했다. 실오라기 하나라도 남에게 빌려 쓰지 않았다. 이런 뜻으로 그는 ‘입檢說(入儉說)’을 지어 當代의 奢侈 風潮를 批判했다.

    나아가, 利益은 節約과 儉素의 哲學을 重視한 나머지 當代에 널리 流行하던 禮學(禮學), 곧 禮儀에 關한 學說까지도 크게 바꿨다. 煩多한 여러 學說을 排擊하고 單純明瞭하게 整理했다. ‘精誠’이란 美名 아래 奢侈와 浪費로 흐르던 禮法을 고쳐 가난한 大多數 선비의 實生活에 맞게 뜯어고쳤다.

    1763年(英祖 39), 享年 83歲로 그가 別世하자 子孫들은 부엌 饌欌에 있던 飮食으로 全(奠)을 올렸다. 殮(殮)을 할 때도 베가 아니라 종이를 使用했다. 銘旌(銘旌)도 값비싼 緋緞 代身 종이를 썼고, 管 亦是 옻漆을 하지 않고 松津을 발랐다. 그의 喪禮에 使用한 物品은 儉素하기 짝이 없었다. 이것은 모두 利益이 生前에 定해놓은 그대로였다.



    콩粥 讚歌

    利益은 값은 싸도 營養이 豐富한 콩을 가장 貴한 食品으로 여겼다. 凶年이 들면 스스로 콩을 갈아 粥을 끓여 먹었다. ‘半熟가(半菽歌)’를 지어 콩의 美德을 讚美할 程度였다. 한番은 親族을 모이게 하여, 콩粥 한 그릇에 된醬 한 종지 그리고 콩기름에 버무린 겉절이 한 접시를 나눠주며 밤새워 歡談했다. 利益은 그 모임을 ‘삼두回(三豆會)’라고 했다.

    “어른과 아이가 모두 모여 배불리 먹고 모임을 마쳤다. 비록 飮食은 薄했어도 定義는 敦篤하기 이를 데 없었다.” 利益의 自評이다. 그는 “우리가 이렇게 儉約에 힘썼음을 後孫들에게 알리고자 한다. 後날 倉庫에 남은 穀食이 많다 할지라도, 반드시 1年에 한 番은 이런 모임을 마련하라. 보름이나 열흘間은 아침이나 저녁을 이런 式으로 먹어라. 代代로 法式으로 삼아 代代로 傳하여 그만두는 일이 없기 바란다.”(이익 ‘삼두回 서’)

    利益은 自身과 直系家族의 勤儉節約으로 滿足하지 못했다. 한마을에 사는 모든 親戚도 節約에 힘쓰길 바랐다. 그리하여 物資가 不足한 가운데서도 늘 굶주리지 않고, 簡素하지만 정성스레 禮法을 實踐하며 살기를 當付했다.

    벼슬이 있든 없든 利益과 그의 家族은 朝鮮 社會의 支配層인 兩班이었다. 士族(士族)의 正體性을 가지고 살던 그에게 孝道란 남다른 것이었다. 그런데 뜻밖에도 精誠껏 父母님을 奉養하는 것보다 重要한 것이 있었다. 世上을 救하는 것이었다. ‘子息을 訓戒하는 여덟 가지 條目[訓子八條]’에 利益의 생각이 잘 나타나 있다.


    1. 恒常 마음이 몸을 떠나 있는지 잘 살펴라.

    2. 溫柔함으로써 百姓을 사랑하라. 작은 잘못을 容恕하고, 正말 잘못이 있는지를 잘 살펴라.

    3. 함부로 성내지 말라. 하리(下吏)에게 罪가 있더라도 너그럽게 對하라.

    4. 部로(父老, 洞네의 나이 많은 男子)를 불러 苦衷을 들어보라.

    5. 相關을 父兄(父兄)처럼 섬기라.

    6. 訴訟이 있을 때는 반드시 거짓말하는 사람의 이름을 記錄해두라.

    7. 서리(胥吏)들의 잘못이 明白하지 않을 때는 함부로 꾸짖지 말라. 조용히 觀察해보라.

    8. 百姓을 잘 다스리는 데 마음을 써라. 집안일을 걱정하지 말라. 나라를 저버리지 않는 이가 孝子다.



    世上 救濟가 責務

    나중에 아들 이맹휴는 벼슬길에 나아가 南쪽 고을의 守令이 됐다. 任地에서 아들이 飮食物을 보내왔다. 그러자 利益은 모두 돌려보내면서 便紙를 보내 꾸짖었다. “百姓에게 物件을 거두는 것은 열에 여덟아홉이 그릇된 것이다. 이것으로 어버이를 奉養하다니 안 될 말이다. 나는 故鄕집에 남아서 제철에 내 밭을 耕作해 굶주림과 추위를 면할 수 있다.”(이병휴 ‘가장’) 利益에겐 아들 德分에 豪奢할 생각이 조금도 없었다.

    선비, 요샛말로 知識人이란, 自身의 몸은 비록 草野에 있더라도 온 世上을 念慮해야 한다. 利益은 그렇게 믿었다. 그리하여 그는 젊은 時節부터 默默히 國家의 弊端을 硏究하고 바로잡을 對策을 窮理해 ‘곽우록(藿憂錄)’을 지었다. 李瀷의 文集에 실린 ‘雜著(雜著)’와 許多한 書札에도 國家의 費用을 節約하고 百姓을 넉넉하게 만들 方道가 仔細히 記錄돼 있다.

    利益은 歷史上의 弊端을 3가지로 要約했다. 첫째는 임금만 높이고 臣下를 억누르는 弊端인데, 秦始皇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라고 했다. 둘째는 人材를 登用할 때 지나치게 門閥만 崇尙하는 傾向이다. 이는 曹操(曹操)로부터 始作됐다고 했다. 셋째는 文章으로 過去試驗을 치게 하는 弊端인데, 隋나라 煬帝 때 始作됐다고 봤다. 利益은 이 3가지 災殃을 없애야만 올바른 政治가 可能하다고 主張했다.

    利益이 가장 重視한 問題는 科擧制度의 弊端이다. 唐나라 때 論議된 ‘孝廉과(孝廉科)’ 또는 中宗 때 趙光祖가 施行한 ‘賢良科(賢良科)’를 바탕으로 그는 人材 登用의 새로운 可能性을 探究했다. 그런데 아직까지도 우리 社會가 知識 爲主의 考試 및 公務員 試驗에 얽매인 事實은 實로 안타까운 일이다.

    草野에 있으면서도 世上 救濟를 自身의 責務로 삼았던 利益. 그의 思想은 支配層의 利益을 줄여 民生을 살리는 것이 核心이었다. 비록 當代엔 施行되지 못했으나, 後世가 본받을 일이었다.



    삶 自體로 模範이 되다

    利益의 學問은 넓고 豐富했으나 번거롭지 않고 焦點이 뚜렷했다. 스스로에게 늘 嚴格하고 節儉(節儉)을 崇尙했으나, 他人에겐 언제나 溫和하고 너그러웠다. 子弟들과 弟子를 가르칠 때면 平易하게 가르쳐 어진 사람은 勿論이고 어리석은 사람도 마음껏 배울 수 있었다.

    그러나 벼슬길이 막혀 높은 뜻을 제대로 試驗해보지 못했다. 게다가 굳게 믿은 아들마저 일찌감치 世上을 뜨는 바람에 한스러움이 적지 않았을 것이다. 그렇긴 해도 利益은 八旬의 高齡에 이르기까지 많은 冊을 著述해 後學에게 燈불을 환히 밝혔다. 따지고 보면, 아버지보다 앞서간 이맹휴만 아들이 아니다. 利益을 尊敬하는 우리 모두가 그 아들이 아닐까.

    아버지란 決코 입으로만 가르치는 이도 아니고, 핏줄이 直接 통해야만 되는 것도 아닐 것이다. 삶 自體로 模範이 되는 이가 眞正한 아버지다. 누구보다 利益을 마음 깊이 尊敬한 정약용. 그는 忠淸道 금정도의 察訪으로 赴任하기 무섭게 선비들과 함께 利益의 文集을 읽고 校閱했다. 1795年 棒曲社에서 이병휴의 아들 이삼환과 함께한 그 作業이 없었더라면, 實學의 集大成은 한동안 더 미뤄졌을 것이다.?

    百 勝 種


    ● 1957年 全北 全州 出生
    ● 獨逸 튀빙겐대 哲學博士
    ● 서강대 史學科 敎授, 獨逸 튀빙겐대 韓國 및 中國學과 敎授, 獨逸 막스플랑크 歷史硏究所 招聘敎授,프랑스 國立高等社會科學院 招聘敎授
    ● 現 韓國技術敎育大 待遇敎授
    ● 著書 : ‘백승종의 逆說’ ‘마흔 歷史를 알아야 할 時間’ ‘禁書, 時代를 읽다’ ‘正朝와 不良선비 강이천’ 等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