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떠나라, 場터에서 香하라, 바람 찬 曠野로|신동아

特輯 | 나홀로 時代 살아가기

떠나라, 場터에서 香하라, 바람 찬 曠野로

베스트셀러 트렌드, 孤獨

  • 이주향 | 水原大 人文大 敎授·哲學

    入力 2016-05-02 10:48:27

  • 글字크기 설정 닫기
    孤獨하다는 건, 現代人이 孤獨하다는 건 혼자 있고 싶다는 게 아니라 ‘벗어나고 싶다’는 뜻이겠다. 촘촘하게 잘 짜여 있어 생각할 必要도 없이 스스로 굴러가지만, 생각을 許容치 않을 程度로 ‘나’를 옴짝달싹 못하게 하는 監獄 같은 日常에서, 그 삶을 물들이고 있는 競爭 或은 싸움에서, 疾視 或은 憤怒로 가득한 삶에서 도망치고 싶은 것이다.

    어쩌면 그런 삶에서 나도 모르는 사이 萎縮돼 있는 나 自身을 돌보기 위해 眞짜 孤獨이 必要하겠다. 當身은 眞짜 孤獨의 힘을 아는가. 로드 매퀸이 읊조리듯 부른 노래 中에 ‘孤獨은 나의 집’이 있다. “孤獨은 나의 집, 그러나 나는 외롭지 않네….” 노래를 듣다 보면 孤獨으로 힘이 붙은 吟遊詩人의 香氣가 난다. 孤獨의 집에서 自己 運命을 받아들이는 힘을 얻고, 因緣을 肯定하는 힘을 얻은 者의 그리움 같은 것!

    그렇게 孤獨을 사랑하는 사람, ‘나’를 만나는 時間으로 힘이 붙은 사람은 孤獨하고 싶다고 노래를 부르지 않는다. 孤獨하고 싶다고 투정하는 건 孤獨할 줄 모르는 것이다. 그것은 함께 살아야 하는 世上에서 함께 살기 싫다는 것이고, 傷處받았다는 것이다.



    現代人, 도망가고 싶은 未生

    現代人은 傷處가 많아서 意外로 自身을 過小評價하는 데 익숙하다. ‘나’는 내가 아는 것보다 괜찮은 사람이라는 것을 잊고 있다. 아무래도 고단한 世上살이 때문 같다. “工夫 좀 해라…” “엄마 親舊 딸은…” “그렇게 놀다간…” “點數가 이게 뭐냐…” 이렇게 우리는 어릴 적부터 숱하게 비교당하고, 評價當했다. 그렇게 ‘指摘질’當하는 사이 傷處 입은 自尊感이 回復될 틈도 없이 弱肉强食의 世上으로 내던져져 熱情만큼 다치고 꿈만큼 짓밟히고 나면, 남는 것은 後悔와 諦念, 쌓이는 것은 不安과 두려움이다. 게다가 엄청난 成功을 일군 또래의 人生들을 보고 또 보다 보면 힘이 쭉 빠진다. 이름도 없고 내세울 것도 없는 平凡한 ‘나’의 人生이 초라해 보일 수밖에 없다.



    더구나 平生 雇傭이 사라진 時代 아닌가. 3포 世代, 7包 世代를 거쳐 마침내 n포 世代에 이른 時代의 核心은 ‘未生(未生)’이다. 企業은 未生으로 굴러가면서 얄밉게도 未生을 完生으로 만들어주는 努力은 하지 않는다. 그런 時代에 未生으로 살다 보면 밟히게 돼 있다. 내가 屬한 組織은 내 꿈을 實現할 場이 아니라 내 意欲을 꺾고 내 길을 막고 서 있는 障礙物이다. 그러니 도망가고 싶다, 차라리 혼자 있고 싶다는 노래가 日常의 獨白이 된 것이다.  

    그럼 點에서 現代는 다이달로스의 迷宮이다. 技術의 ‘끝판王’이긴 하나 숨이 막히고, 스스로 完璧을 主張하는 만큼 人間的이지도 自然的이지도 않은 威壓的인 構造다. 빠져나올 수도 없고 버릴 수도 없는 生存의 틀! 목숨을 扶持하기 위해 애를 쓰는 未生들에게는 그만큼 威脅的이어서 그렇게 목숨 扶持하고 사는 것도 多幸이라 믿게 만드는 異常한 틀이다.

    現代의 甲은 그 迷宮의 閻羅大王 格인 미노타우로스며, 現代의 乙은 그 迷宮에 갇힌 祭物이다. 그러니 迷宮 속 미노타우로스로부터 도망가고 싶은 사람의 孤獨은 孤獨이라기보다 두려움 或은 漠漠함이고, 미노타우로스의 孤獨은 孤立이겠다.

    問題가 있는 곳엔 答이 있다. 問題에 짓눌려 答을 찾지 못할 뿐. 이 迷宮을 벗어나야 하는 우리 속에는 아리아드네의 실을 풀며 스스로 迷宮으로 걸어 들어온 英雄 테세우스가 있다. 무엇이 테세우스가 쥔 아리아드네의 실일까. 나는 그 실마리가 ‘고독’이라고 생각한다.

    마음에 傷處를 입었을 때 當身은 어떻게 하는가. 미움이라는 놈이 찾아와 憤怒의 불을 지피며 當身을 苦痛의 火宅(火宅)으로 만들 때, 물이 끓듯 火가 끓고 기름이 끓듯 속이 들끓을 때 어떻게 하는가. 不便하고 역겨운 사람과 狀況을 그저 꾹, 참고 견디는가, 아니면 正義의 이름으로 膺懲하며 맞서 싸우는가.



    내가 나를 대면할 때

    나는 혼자만의 空間으로, 나만의 洞窟로, 沈默으로 逃亡간다. 사람을 堪當할 수 없을 때는 만나면 만날수록 誤解가 풀리는 것이 아니라 不信만 부풀어 오른다. 만나서 풀리지 않을 때, 만날수록 얽히기만 할 때는 ‘大凡’을 假裝하고 만나는 것보다는 그릇의 작음을 認定하고 도망가는 것이 좋다는 게 내 생각이다. 期待와 評判으로부터, 倫理와 義務로부터, 사람과 所聞으로부터, 甚至於 사랑으로부터도. 完全히 혼자가 돼 마침내 내가 나를 대면할 수밖에 없는 時間에 到達할 때까지. 그 時間을 견디기는 쉽지 않다. 그 孤獨의 時間은 홀로 코카서스 산 絶壁을 견디는 프로메테우스의 時間이다.



    제우스의 벼락에서, 或은 헤파이스토스의 대장間에서 불씨를 훔쳐 人間에게 傳해준 罪로 프로메테우스는 코카서스 산 絶壁에 묶였다. 제우스가 프로메테우스에게 罪를 물은 것이다. 프로메테우스는 深淵이 아득한 絶體絶命의 絶壁에 묶여 옴짝달싹 못하게 되고, 그런 그에게 제우스의 禿수리가 날아와 그의 肝을 겨냥한다. 프로메테우스는 每日 禿수리에게 肝을 뜯긴다. 하루 終日 뜯긴 肝은 밤새 다시 살아나고, 싱싱해진 肝은 다음 날 또 禿수리의 먹이가 된다. 프로메테우스는 3000年을 그렇게 지냈단다. 百 年 동안의 孤獨이 아니라 3000年 동안의 孤獨이다.

    古代 豫言者들은 짐승들의 간을 보고 占을 쳤다. 모두모두 連結돼 있는 世上에서 共同體에, 世上에 어떤 일들이 일어날지를 알리는 徵兆가 간 속에 있었다. 그만큼 肝은 靈魂의 長技였다. 그 肝을 내준다는 것은 生命을 내준다는 것이겠다. 프로메테우스는 人間에게 自己를 던져 불을 傳한 것이다.

    프로메테우스는 ‘미리 아는 者’라는 뜻이다. 그 프로메테우스가 人間에게 불을 傳하는 일이 얼마나 酷毒한 代價를 치러야 하는 일인지 몰랐을 理 없다. 그 代價가 3000年 동안의 孤獨이었으니. 그럼에도 그가 모든 危險을 甘受하고 人間에게 불을 傳한 것, 그것이 사랑이 아니면 무엇이 사랑일까.    

    프로메테우스는 自己 形象을 따라 人間을 만들었다. 自己와 닮은 存在를 만들었다는 것은 自己 自身을 보고 알고, 自己 自身에게 귀 기울였다는 뜻이겠다.  人間 大部分은 自身을 보지 않고 自己 바깥 世上만 본다. 바깥 世上에 끌려만 다니니 右往左往 左衝右突이 日常이고, 自身을 보지 않고 自身에게 귀 기울이지 않으니 自尊感이 생길 理 없다.



    恨歎하지도, 탓하지도 않는다

    自己 形象을 따라 人間을 만드는 프로메테우스는 人間에게 必要한 것이 무엇인지 알았다. 그것은 불이었다. 生命의 불이었다. 불은 生命이었다. 神話를 사랑하는 獨逸 詩人 구스타프 슈바브가 말한다. 프로메테우스는 땅에 하늘의 氏가 잠들어 있다는 것을 알았다고. 그 하늘의 氏를 보살피기 위해 프로메테우스는 하늘의 불씨를 훔쳐 人間에게 주고 後悔 없이 未練 없이 코카서스 山의 絶壁을 孤獨하게 견뎠다.

    사랑하는 者는 後悔하지 않는다. 사랑하는 者에게는 希望이 있다. 禿수리에게 每日 當하면서도. 아니, 오히려 禿수리에게 쪼이고 먹힌 肝이 每日 밤 復活해 그에게 힘을 준 것이다. 프로메테우스의 밤, 그의 孤獨이고 孤獨의 힘이다. 自己 行動을 後悔하지 않는 프로메테우스는 제우스에게 빌지 않고 求乞하지 않고 제우스를 탓하지도 않는다. 그런 그는 自身의 運命을 恨歎하지도 않는다.

    남을 탓하거나 非難하는 사람들이 많다. 어느 한瞬間, 어느 한 時期에만 그런 것이 아니라 남 탓하고 非難하는 일이 日常이 되고 性格이 된 사람들이 있다. 제대로 살아지지 않는 삶에 對한 未練과 抑鬱함이 그를 휘어감고 있는 것이다. 憤怒와 未練에 시달리는 그는 自身을 받아들이지 못하기에 恨歎 아니면 남 탓을 하는 것이다.

    孤獨할 줄 모르는 그는 외로움에도 시달린다. 그런 사람 周邊에는 그 사람에게 기대 살아갈 수밖에 없는 주눅 든 下人·下女들이거나 爆彈 같은 그와 싸우지도 못하고 그를 버리지 못하는 착한 家族들밖에 없다. 問題는 그가 그 自身을 받아들이고 있지 못한다는 데 있다.

    自身을 받아들이는 사람은 프로메테우스처럼 極端的인 狀況에서도 恨歎하지 않고 남 탓하지 않는다. 孤獨이 ‘나’의 집인 사람은 自身의 價値를 他人의 視線 위에 세우지 않는다. 다른 사람이 認定해주는 것을 氣分 좋게 받아들일 줄 알지만, 認定해주지 않더라도 애석해하지 않으며 自己 길을 갈 줄 안다. 남이 이룩한 成就에 對해 尊重하고 祝福해줄 줄 알지만, 그것을 이루지 못한 사람이라고 無視하지 않는다. 무엇보다도 그는 存在 自體를 사랑할 줄 알고 祝福할 줄 안다.

    누구보다도 自己 自身의 목소리에 귀 기울인 니체는 델포이 格言의 “너 自身을 알라”를 들어 그리스인들의 가장 큰 矜持는 自己 自身의 探索과 探究라고 했다. 니체가 안타까워한 것은 우리가 우리 自身을 너무 모른다는 것이었다. 自身을 探究하고 探索하기 위해 니체가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서 勸한 것이 바로 ‘고독’이다.

    벗이여, 너의 孤獨 속으로 달아나라. 너는 독파리떼에 물려 傷處투성이가 되어 있지 않은가. 달아나라. 사납고 거센 바람이 부는 곳으로! 너의 孤獨 속으로 달아나라! 너는 하찮은 者들과 가엾은 者들을 너무 가까이에 두고 있다. 저들의 눈에 보이지 않는 앙갚음에서 벗어나라! 저들이 네게 일삼는 것은 앙갚음뿐이니. 벗이여, 너의 孤獨 속으로 달아나라. 사납고 거센 바람이 부는 곳으로! 파리채가 되는 것, 그것은 네가 할 일이 아니다!



    孤獨한 曠野로의 散策

    사납고 거센 바람이 부는 곳은 曠野다. 曠野는 시끌벅적한 곳이 아니라 사나운 곳이고 危險한 곳이며 무엇보다 孤獨한 곳이다. 孤獨한 曠野와 對比되는 시끌벅적한 곳은 場터다. 니체에 따르면 場터는 “盛大하게 차려입고 搖亂을 떠는 어릿광대로 가득”韓 곳이다. 그 場터에서는 ‘自己省察’이라는 偉大한 일이 일어나지 않는다. 創造하려 하는 者는 거센 바람이 부는 曠野의 孤獨 속으로 홀로 들어가야 한다.

    사람을 아끼지 않고 實績이 微微하면 廢棄處分하는 社會, 一等만 記憶하는 더러운 社會, 모두들 돈 버는 機械로 乃母나 제대로 돈도 벌지 못하게 만드는 社會를 살아가야 하는 우리에겐 나 自身에게 귀를 기울이는 니체의 曠野, 聖者의 洞窟이 必要하다. 疲困하면 쉬어야 하고 울고 싶으면 울어야 한다.

    孤獨이  ‘나’의 집이 된 사람, 孤獨 속에서 便安해진 사람은 누군가에게 自己 삶을 인정받으려 애쓰지 않는다. 그는 自己 存在가, 누군가가 자리를 許諾해줘야 자리가 생기는 下人이나 下女가 아님을 안다. 나는 나이며 나인 채로 좋은 것이다. 그러니 다른 사람의 判斷이나 다른 사람의 視線을 굳이 의식해야 할 理由가 없다. 그는 안다. 늘 自己 問題로 골똘한 그들도 意外로 그에게 關心이 없다는 事實을. 그런 그들이 한 마디, 두 마디 한 것을 마음에 품고 傷處받을 必要가 없겠다.  

    어쩌면 다람쥐 쳇바퀴 굴리듯 굴러가는 世上을 克服하는 아리아드네의 實은 單純하게 사는 것이 아닐까. 化粧 지우고 넥타이 푸는 時間을 늘리고, 願하는 것을 찾아가는 時間을 늘리고, 가까운 家族이나 親舊의 말과 行動을 理解하는 時間을 늘려보자.

    그러려면 무엇보다도 나를 理解하고 사랑해야 한다. ‘나’에게, 아무것도 안 할 수 있는 時間, 아무것도 안 해도 좋은 空間을 許諾해야 한다. 내 답답함을, 내 외로움을, 내 傷處를 그대로 느낄 수 있는 自己만의 時間이 있어야 한다. 내 두려움에 사로잡혀 삶의 실타래를 엉망으로 만들지 않도록! 그 실타래야말로 迷宮에서 살아나올 수 있는 실마리다.

    時間이 없다고 한다. 于先 TV 보는 時間, 스마트폰을 들여다보는 時間을 半으로, 그 以上으로 줄여보자. 意外로 ‘나’를 위한 時間이 있다. 무엇보다도 散策할 時間을 만들어보자. 가까운 公園을 걸어도 좋고 異邦人의 心情으로 골목길을 걸어도 좋다. 散策이 좋은 것은 나만의 時間, 나만의 空間을 만드는 징검다리이기 때문이다.

    現代人은 생각이 많다. 생각에 끌려다니고, 論理에 끌려다니고, 偏見에 끌려다니는 것이 知性人 줄 안다. 아니다. 혼자 골똘히 생각하는 건 自己 偏見의 監獄을 鞏固히 하는 것이다. 그 머리를 비워야 몸에 힘이 생기고 머리를 비울 줄 알아야 머리도 힘이 생긴다. 

    이 州 香


    ● 1964年 서울 出生
    ● 이화여대 法學科 卒業, 梨花女大 席·博士(哲學)
    ● 韓國니체學會 理事, 東亞日報 2期 讀者委員
    ● 現 水原大 人文大 哲學敎授
    ● 著書 : ‘사랑이, 내게로 왔다’ ‘이주향의 治癒하는 冊읽기’ ‘現代 言語·心理哲學의 爭點들’ 等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